KR102196798B1 -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798B1
KR102196798B1 KR1020190073607A KR20190073607A KR102196798B1 KR 102196798 B1 KR102196798 B1 KR 102196798B1 KR 1020190073607 A KR1020190073607 A KR 1020190073607A KR 20190073607 A KR20190073607 A KR 20190073607A KR 102196798 B1 KR102196798 B1 KR 10219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ver assembly
bar
open ca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현
Original Assignee
임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세현 filed Critical 임세현
Priority to KR102019007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226Soft tops for convertibl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2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flexible and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지붕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오픈카의 지붕 프레임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양 방향으로 슬릿이 절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것으로, 상기 지붕의 특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1쌍의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와인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을 매개로 인입 및 인출되며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1쌍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서 상기 지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커버 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오픈카의 운전 중 갑자기 비가 올 때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붕을 가릴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COVER ASSEMBLY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FOR CONVERTIBLE CAR}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로서, 보다 상세히는 갑자기 비가 오거나 실내에 수분이 차는 등의 환경에서 컨버터블 카, 일명 오픈카의 상부 내지 지붕을 개폐하는 덮개를 조작하는 것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오픈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간이식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컨버터블 카는 일명 일본적 관용어로 오픈카라고도 명명되는 차로서, 지붕이 개방될 수 있도록 덮개가 개폐될 수 있는 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오픈카는 화창한 날에 오프로드 등을 달리는 속도감을 몸소 체감하면서 바깥바람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고유 특성을 발휘한다.
도 1은 공지의 오픈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오픈카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지프 루비콘과 같은 오픈카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상부 위치에 전후방/좌우측의 지붕 프레임이 사각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오픈카는 덮개가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많아 쿠페 형식 또는 스포츠카 형식의 오픈카의 덮개와 달리 차량을 정차시킨 후 운전자가 수동으로 덮개를 씌우는 방식으로 지붕을 덮어야 한다.
그런데 갑자기 비가 오거나 운전 중 새벽에 차량 내부에 습기가 찰 때 이와 같은 덮개를 통해 지붕을 덮는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따랐다.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 20-2011-0010629호 오픈카를 위한 간이 지붕형 바람막이를 살펴보면, 뒤쪽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간이지붕과 옆쪽을 막는 벽면으로 구성되는 바람막이 본체와, 차체와의 연결을 위한 전용 브라켓 또는 접착천(벨크로) 및 바람막이의 형태를 유지해주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간이식으로 신속하게 오픈카의 지붕을 덮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에 따르면, 오픈카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덮개를 씌우는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을 정도로 바람막이를 덮는데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적은 노력과 신속한 시간에 오픈카의 지붕을 개폐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붕 프레임을 구비한 오픈카에서 이 지붕 프레임에 장착되어 오픈카의 지붕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덮을 수 있는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픈카의 상부는 물론 측부도 가릴 수 있는 보조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체의 다양한 구조를 통해 결합 관계를 내구서과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지붕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오픈카의 지붕 프레임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양 방향으로 슬릿이 절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것으로, 상기 지붕의 특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1쌍의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와인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을 매개로 인입 및 인출되며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1쌍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서 상기 지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커버 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슬릿에서 인출 시, 초기에 접힌 상태에서 탈착부의 조작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오픈카의 측면을 가리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서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상기 지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1) 오픈카의 운전 중 갑자기 비가 올 때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붕을 가릴 수 있고,
2) 보조 스크린 또는 확장 커버 조합체를 통해 오픈카의 측부 내지 외측 부위에 연결되는 부위까지 안전하게 가릴 수 있으며,
3) 결합부의 다양한 구조를 통해 높이 조절은 물론 내구성과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공지의 오픈카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가 오픈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스크린에 보조 스크린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결합부 및 보조 스크린과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제 2 결합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확장 커버 조합체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가 오픈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는 오픈카(10)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지붕 프레임(1)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붕 프레임(1)에 결합 내지 안착된 케이스(100)에서 스크린(220)이 인출되어 지붕 프레임(1) 사이 공간을 커버링하면서 지붕 프레임(1)의 전후 단 또는 좌우 단 일 측에 탈착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 어셈블리는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와 덮개(110), 커버 조합체(200)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직육면체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지붕 프레임(1)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붕 프레임(1)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10)의 상부에 덮개(110)가 장착되고 그 내부에 커버 조합체(200)가 수용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운전자의 앉은키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해야 오픈카(10)의 지붕을 효율적으로 덮거나 가릴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오픈카(10)와 같이 지붕 프레임(1)이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과 같이 사각 형태로 구비된 경우에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가로지르거나 아니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에서는 케이스(100)가 지붕 프레임(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붕 프레임(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지붕 프레임(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오픈카(10)와 달리 지붕 프레임이 마땅히 없는 오픈카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별도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서포터를 하나 이상 준비하여 이 서포터를 조합하여 간이 형식으로 지붕 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이에 케이스(100)를 장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포터는 지붕 프레임(1)만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0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도 1와 같은 오픈카(10)에서 지붕 프레임(1)의 전후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중앙 부위에 장착되어 케이스(100)와의 결합을 매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100)는 지붕 프레임(1) 또는 상술한 서포터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지붕 프레임(1) 내지 서포터와 고정 결합 관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만일 돌기가 서포터 내지 지붕 프레임의 일 측에서 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경우 케이스(100)의 고정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면(101)에서 돌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결합 홈(1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의 구조는 지붕 프레임(1) 또는 서포터의 대응 구조와 연관된 상태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00)의 양 측면(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 축을 기준으로 이에 수직하는 양면)에는 슬릿(103)이 관통되어 이를 통해 후술할 스크린(220)이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110)는 케이스(100)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이러한 덮개(110)는 상면에 개방된 케이스(100)에 탈착되거나 아니면 케이스(10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상면 자체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덮개(110)는 빗물이 상면에 고이지 않도록 뾰족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110)는 최상단의 꼭지점에서부터 상협하광(上狹下廣)하도록 양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111)을 구비하여 스크린(220)이 인출된 경우 덮개(110) 방향으로 내린 빗물이 경사면(111)을 지나 스크린(220)을 타고 스크린(220)의 양 단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하여 오픈카(10)의 내부에 빗물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커버 조합체(200)는 케이스(100) 내의 중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와인더(21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00)의 슬릿(103)을 통해 스크린(220)을 와인딩/리와인딩하면서 오픈카(10)의 지붕을 덮을 수 있는 스크린(220)을 인출 내지 인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와인더(210)와 스크린(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와인더(210)는 스크린(220)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축(211)에 연결되어 회전축(21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때, 와인더(210)는 케이스(100) 내에 1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케이스(100)가 오픈카(10)의 지붕 중앙 부위에 장착된 경우 지붕의 좌우 양 방향 또는 전후 양 방향으로 스크린(220)이 펼쳐져야 운전자석은 물론 조수석도 완벽하게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나란히 인접한 1쌍(2개)의 와인더(2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운전자 측 와인더(210)를 회전시킬 경우 운전자 측 와인더(210)에 감긴 스크린(220)이 운전자석 영역을 가릴 수 있고, 조수석 측 와인더(210)를 회전시킬 경우 조수석 측 와인더(210)에 감긴 스크린(220)이 조수석 영역을 가릴 수 있다.
다시 말해, 1개의 와인더(210) 및 스크린(2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폭을 가리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그 작업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지붕의 좌우 또는 전후로 2분할한 영역 각각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와인더(210)에 감긴 스크린이 커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스크린(220)은 이 1쌍의 와인더(210)에 각각 감긴 상태, 즉 1쌍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와인더(210)의 회전(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슬릿(103)을 매개로 외부로 인출되어 지붕의 일 영역(운전자석 또는 조수석)을 커버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크린(220)은 천 또는 기타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와인더(210) 권취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빗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처리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스크린(220)의 단부에는 손잡이(230)가 형성되어 와인더(210)가 감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30)를 잡아당기면서 와인더(210)의 회전을 도모하여 스크린(220)을 펼칠 수 있고, 이러한 스크린(220)의 단부(손잡이 주변이나 손잡이 내)에 지붕 프레임(1) 또는 상술한 서포터과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300,400)를 구비하여 스크린(220)을 펼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부(300,400)는 상술한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지붕 프레임(1) 또는 서포터의 대응 구성과 함께 요철 구조, 벨크로 테이프, 단추, 후크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400)는 독특한 세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붕이 개방된 상태로 오픈카(10)를 운전하고 있을 때 갑작스럽게 비가 오거나 오픈카(10) 내에 습기가 차는 경우 잠시 갓길 등에 정차한 다음 스크린(220)의 단부에 위치한 손잡이(230)를 잡아당겨 스크린(220)을 펼친 다음 결합부(300,400)를 통해 지붕 프레임(1)이나 별도의 서포터에 스크린(220)을 결합하여 오픈카(10)의 지붕을 덮을 수 있고, 특히 운전자석과 조수석을 각각 독립적으로 담당하도록 1쌍의 와인더(210) 및 스크린(220)을 케이스(100) 내에 구비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담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스크린에 보조 스크린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220)의 단부 주변 일 측에는 보조 스크린(240)이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보조 스크린(240)은 탈착부(250)를 매개로 스크린(220)의 단부 또는 그 주변 일 측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이 스크린(220)이 슬릿(103)에서 인출되었을 때 운전자 또는 주변 사람에 의한 탈착부(250)의 조작으로 결합 관계가 해제되면서 펼쳐지는 서브 스크린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조 스크린(240)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질 경우 오픈카(10)의 도어 측, 구체적으로 측면 상부 부위를 덮어 빗물이 측면 내지 측부를 통해 오픈카(10)의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탈착부(250)는 다양한 탈착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탈착부(250)는 스크린(220) 및 보조 스크린(240)의 폭과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결합부 및 보조 스크린과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결합부는 스크린(220)의 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지붕 프레임(1) 또는 서포터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도 5에서는 서포터가 아닌 지붕 프레임(1)에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구체적으로 결합부는 제 1,2 결합부(300,400)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결합부(300)는 스크린(220)의 단부에서 스크린(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이고, 제 2 결합부(400)는 지붕 프레임(1)에서 제 1 결합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 1,2 결합부(300,400)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 1,2 결합부(300,400)는 자석, 벨크로 테이프, 요철결합 구조, 후크 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기에서는 구체적인 세부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5(a)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지붕 프레임(1)에 형성된 제 2 결합부(400)는, 지붕 프레임(1)의 일 측(바람직하게는 상면)에 부착된 베이스(410)와, 이 베이스(4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기립 연장되어 제 1 결합부(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4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410)는 지지봉(420)을 지붕 프레임(1)에 고정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이 베이스(410)를 다양한 체적과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결합 높이와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봉(420)은 특히 스크린(220)이 펼쳐졌을 때 운전자의 머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 즉 스크린(220)이 펼쳐지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 1 지지봉이 제 2 지지봉에 삽입 결합되되 제 1,2 지지봉의 외주면 일 측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에 패스너가 결합되어 제 1 지지봉의 결합 위치를 조절한 다음 패스너를 체결공에 결합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겸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봉(420)의 상단에는 제 1 결합부(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상술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결합 수단은 자석으로 이루어져 제 1,2 결합부(300,400)가 자성 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b)의 실시예는 도 5(a)의 구조에 더하여 지지봉(420)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봉(420)은 회동 수단(43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봉(421) 및 하봉(422)으로 구분되고 상봉(421)이 회동 수단(430)을 매개로 회동이 가능한데, 이 때 회동 수단(430)은 힌지(431)를 포함한다. 즉, 지지봉(420)이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기립된 것이 아니라 회동이 가능하여 수평면을 기준으로 70도, 80도와 같이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제 1 결합부(300)와의 결합 위치와 결합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힌지(431)는 무한 회동될 수 있어 상봉(421)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회동 수단(430)은 힌지(431)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432) 및, 힌지(43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토퍼(432)는 상봉(421)을 회동시켰을 때 특정 위치에서 힌지(431)가 회동되지 않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스프링(433)은 스토퍼(432)의 고정 작용이 없을 경우(스토퍼의 기능을 해제하였을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봉(421)이 원위치(예를 들어, 하봉과 일직선에 높이는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상봉(421)의 위치와 이에 따른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힌지(431)가 스토퍼(432)의 고정 작용 없이 회동될 때 스프링(433)의 복원으로 펼쳐져 상봉(421)을 편리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결합부(400)는 지지봉(420)의 일 측에서 외측 상 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된 걸림 바(4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크린(220)은 상술한 보조 스크린(240)을 구비하였을 경우 보조 스크린(240)의 내측 면이 걸림 바(440)에 의해 접촉되어 외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위치한다.
즉, 걸림 바(440)는 보조 스크린(240)이 펼쳐졌을 때 바람에 의해 펄럭거리며 오픈카(10) 내부로 진입하면서 오히려 오픈카(10) 내부에 빗물 튐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봉(420)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에 대응하여 스크린(220)의 단부에서 오픈카의 측면을 가리도록 펼쳐진 보조 스크린(240)이 걸림 바(440)에 접촉하면서 오픈카의 실내가 아닌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오픈카(10)의 주행 시 보조 스크린(240)이 오픈카(10) 내부로 말려 들어오는 문제를 차단하도록 한다.
물론, 보조 스크린(240)은 지붕 프레임(1) 내지 오픈카 도어의 외측에 별도의 탈착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한 고정 결합 관계 제공으로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나, 운전 중 보조 스크린(240)이 바람에 펄럭일 때 걸림 바(440)에 의해 바깥쪽으로 강제로 밀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보조 스크린(240)이 오픈카(10) 내로 진입하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결합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a)에 따른 제 2 결합부(400)의 구조를 특화한 것으로서, 베이스(410)는 저면을 제외한 복수의 평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더 나아가 이러한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410)의 평면 각각에는 내측으로 수직하게 함입된 상태에서 내주 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착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봉(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착공(411)과 나사산 결합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지봉(420)이 결합되는 베이스(410)의 특정 평면의 위치에 따라 지지봉(420)의 높이와 연장 각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제 1 결합부(30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한 방식으로 미세하게 제 1,2 결합부(300,400)의 결합 위치와 높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제 2 결합부(400)는 지지봉(420)이 결합되고 남은 결착공(411) 중 오픈카 외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결착공(411)에 나사산 결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된 서브 지지봉(460)과,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지지봉(420)과 서브 지지봉(460) 및 베이스(410) 사이 공간을 채우는 지지블록(45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지지블록(450)의 외측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슬릿(451)이 형성되어, 이 끼움 슬릿(451)에 스크린(220) 또는 보조 스크린(240)의 단부 일 측을 끼움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지지봉(460)은 지지블록(4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보조 스크린(24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지지하여 상술한 걸림 바(440)와 같이 보조 스크린(240)이 오픈카(10) 내측으로 진입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이 서브 지지봉(460) 역시 걸림 바(440)와 같이 상 방향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지지블록(450)은 스크린(220)의 단부가 지붕 프레임(1)을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오픈카(10)의 주행 중 바람에 펄럭거리는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말해 운전자가 이러한 문제를 운전 중에 해결하기 어려울 때 신속하고 간편하게 스크린(220) 또는 보조 스크린(240)의 단부를 지지블록(450)의 끼움슬릿(451)에 끼움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확장 커버 조합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지붕 프레임(1)의 바깥 방향으로 접철되는 확장 커버 조합체(5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확장 커버 조합체(500)는 고정 바(510), 회동 바(520) 및 힌지(550)와 확장 스크린(5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바(510)는 지붕 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로 지붕 프레임(1)의 상면에 부착된 것으로 이때 그 주변에는 제 1,2 결합부(300,400)가 위치한다. 즉, 제 1,2 결합부(300,400) 주변에 고정 바(510)를 위치시켜 제 1,2 결합부(300,400)와의 후술할 연동 관계(걸림 바와의 관계)를 도모할 수 있다.
회동 바(520)는 고정 바(510)의 일 측에 장착된 힌지(550)를 매개로 고정 바(510)를 기준으로 지붕 프레임(1)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바로서, 고정 바(5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마치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확장 스크린(530)은 고정 바(510)와 회동 바(520)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막 또는 천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회동 바(520)를 잡고 바깥 방향으로 밀면 회동 바(520)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확장 스크린(530)이 펼쳐지는데, 이 과정은 마치 부채의 구성 및 기능과 유사하다.
이러한 확장 커버 조합체(500)는 지붕 프레임(1) 바깥 영역까지 빗물 등으로부터 커버링을 하고자 할 때 특히 유용하게 활용된다.
추가적으로, 확장 커버 조합체(500)에 빗물이 고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 바(510)는 힌지(550) 측과 힌지(550) 반대 측이 같은 높이로 이루어지지 않고 높이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8(b)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고정 바(510)는 힌지(550) 측이 그 반대 측보다 높도록 이루어져 마치 원추형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힌지(550) 측에서 그 반대 측으로 높이 차이를 가지며 빗물을 흘러내려 보낼 수 있다.
더불어, 확장 스크린(530)은 그 표면에 일정 길이로 함입 연장된 복수 개의 배출 가이드(53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역시 빗물을 배출 가이드(530)를 따라 흐르도록 한 다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걸림 바(440)는 보조 스크린(240) 뿐 아니라 확장 스크린(530)과도 관계를 가질 수 있는데 도 8(c)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확장 스크린(530)의 저면이 걸림 바(440)에 안착됨으로써 걸림 바(440)에 의해 부유되면서 걸림 바(440)의 절곡 형상에 의해 외측을 지향하게 되어 오픈카(10)의 내부로 확장 스크린(530)이 접히거나 말려 들어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스크린(530)을 지지하는 기능은 비단 걸림 바(440)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브 지지봉(460) 역시 이와 같이 확장 스크린(530)이 외측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지붕 프레임 10: 오픈카
100: 케이스 101: 바닥면
102: 결합 홈 103: 슬릿
110: 덮개 111: 경사면
200: 커버 조합체 210: 와인더
211: 회전축 220: 스크린
230: 손잡이 240: 보조 스크린
250: 탈착부 300: 제 1 결합부
400: 제 2 결합부 410: 베이스
411: 결착공 420: 지지봉
421: 상봉 422: 하봉
430: 회동 수단 431: 힌지
432: 스토퍼 433: 스프링
440: 걸림 바 450: 지지블록
451: 끼움 슬릿 460: 서브 지지봉
500: 확장 커버 조합체 510: 고정 바
520: 회동 바 530: 확장 스크린
531: 배출 가이드 550: 힌지

Claims (12)

  1.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로서,
    지붕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정부를 매개로 상기 오픈카의 지붕 프레임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양 방향으로 슬릿이 절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것으로, 상기 지붕의 특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1쌍의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와인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을 매개로 인입 및 인출되며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1쌍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서 상기 지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커버 조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서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상기 지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면 일 측에 부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방 기립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지지봉의 일 측에서 외측 상 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된 걸림 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슬릿에서 인출 시, 초기에 접힌 상태에서 탈착부의 조작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오픈카의 측면을 가리되 내측 면이 걸림 바에 접촉되어 외측 방향을 지향하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평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면체 구조의 베이스의 평면 각각에는, 내측으로 수직하게 함입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공과 나사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최상단의 꼭지점에서부터 상협하광(上狹下廣)하도록 양 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지지봉의 일 측에서 외측 상 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된 걸림 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슬릿에서 인출 시, 초기에 접힌 상태에서 탈착부의 조작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오픈카의 측면을 가리되 내측 면이 걸림 바에 접촉되어 외측 방향을 지향하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회동 수단을 기준으로 상봉 및 하봉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봉이 회동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힌지와, 상기 힌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힌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결착공 중 상기 오픈카 외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결착공에 나사산 결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 스크린에 접하는 서브 지지봉과,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과 상기 서브 지지봉 및 상기 베이스 사이 공간을 채우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 표면에는,
    끼움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슬릿에 상기 스크린의 단부 일 측을 끼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는,
    1쌍의 상기 제 1,2 결합부 사이 주변의 상기 지붕 프레임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바와,
    상기 고정 바의 일 단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 바 및,
    상기 고정 바와 회동 바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된 확장 스크린을 구비한 확장 커버 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상기 힌지 측이 상기 힌지 대향 측보다 높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 스크린은,
    표면에 일정 길이로 함입된 복수 개의 배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일 측에서 외측 상 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된 걸림 바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 스크린의 저면이 상기 걸림 바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73607A 2019-06-20 2019-06-20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KR10219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07A KR102196798B1 (ko) 2019-06-20 2019-06-20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07A KR102196798B1 (ko) 2019-06-20 2019-06-20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798B1 true KR102196798B1 (ko) 2020-12-30

Family

ID=7408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607A KR102196798B1 (ko) 2019-06-20 2019-06-20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593A (zh) * 2021-12-30 2022-04-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曲面折叠屏的汽车顶棚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60A (ja) * 1999-07-23 2001-02-06 Kanto Auto Works Ltd オープンカーの幌収納ユニット
KR200264836Y1 (ko) * 2001-11-30 2002-02-21 김수성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KR20030004977A (ko) * 2001-07-06 2003-01-15 최태현 차량에 설치되는 우산
US6662849B1 (en) * 2002-09-16 2003-12-16 Ming-Te Hsiung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60A (ja) * 1999-07-23 2001-02-06 Kanto Auto Works Ltd オープンカーの幌収納ユニット
KR20030004977A (ko) * 2001-07-06 2003-01-15 최태현 차량에 설치되는 우산
KR200264836Y1 (ko) * 2001-11-30 2002-02-21 김수성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US6662849B1 (en) * 2002-09-16 2003-12-16 Ming-Te Hsiung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593A (zh) * 2021-12-30 2022-04-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曲面折叠屏的汽车顶棚结构
CN114312593B (zh) * 2021-12-30 2024-03-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曲面折叠屏的汽车顶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1056A (en) Retractable awning for slide-out unit on mobile home, recreational vehicle or the like
US5979533A (en) Adjustable screen apparatus for a window air conditioner
KR102196798B1 (ko)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JP2019504956A (ja) 窓シェード
KR101541726B1 (ko)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US5664615A (en) Sun-blind for car window
KR102118922B1 (ko) 차량용 차양 장치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KR101659398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JP2575644Y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488336B1 (ko) 롤 블라인드 샤프트 결합구조
KR100558987B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JP2006327480A (ja) 自動車用日除け装置
KR102320741B1 (ko) 차량용 타프 고정장치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CN215096939U (zh) 遮光帘
JP3391712B2 (ja)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JP4088089B2 (ja) オーニング
KR200451110Y1 (ko) 차양 장치의 커버
JPH0418367Y2 (ko)
JP3006020U (ja) 日除け装置
JP3255760B2 (ja) 建物の開口枠への補助装置
JPH0715997Y2 (ja) 引紐付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2003096903A (ja) 雪除け用装置
US1136340A (en) Attachment for window-sh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