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836Y1 -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836Y1
KR200264836Y1 KR2020010037018U KR20010037018U KR200264836Y1 KR 200264836 Y1 KR200264836 Y1 KR 200264836Y1 KR 2020010037018 U KR2020010037018 U KR 2020010037018U KR 20010037018 U KR20010037018 U KR 20010037018U KR 200264836 Y1 KR200264836 Y1 KR 200264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cover
roll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성
Original Assignee
김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성 filed Critical 김수성
Priority to KR2020010037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836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상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개방된 출입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차량의 루프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차량의 루프 상면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부착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 상기 롤러부재를 원치위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재; 및 상기 차량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되고,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감기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Covering apparatus for protecting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차량에 덮개를 씌우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덮개를 씌우거나 해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 외부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 금속 표면의 부식 및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페인트를 이용하여 도장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에 도장이 완벽하게 되어 있어도 차량은 몇 년 이상 장기간 사용하게 되므로 도장이 변색되거나 일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차량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덮개가 사용된다.
특히, 차량 보호덮개는 여름철에 강한 자외선과, 산성비, 먼지 또는 꽃가루 등에 의한 차량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게 위해 사용되며, 겨울철 저온의 날씨에 의해 차량의 유리면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눈에 의한 차량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보호덮개는 방수성 재질의 천막을 차량의 형상으로 봉재하고, 가장자리에는 탄력성 있는 고무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 보호덮개는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된 덮개를 꺼내어 인력으로 전개한 다음 차량의 외부를 덮어야 하고, 차량 덮개를 해체할 때도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해체하여 접은 다음 별도의 보관함에 넣고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차량에 덮개를 덮고 해체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덮개의 보관시, 덮개의 부피가 커 차량의 제한된 수납공간를 필요 이상 차지함으로써, 차량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 간단한 동작에 의해 덮개를 전개하거나 접을 수 있으며, 덮개를 전개하고 접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덮개장치가 차량의 루프 상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덮개장치의 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덮개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부착부재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커버부재를 전개한 평면도.
도 7a는 도 1에 도시한 커버부재가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탄성바이어스부재가 롤러부재에 권회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c는 도 1에 도시한 탄성바이어스부재가 롤러부재에 권회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커버부재가 차량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상태를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커버부재가 하우징의 출입구로 인입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덮개장치가 차량의 루프 상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2a는 도 10에 도시한 커버부재를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킬 때, 단속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12b는 도 10에 도시한 커버부재를 하우징의 출입구로 인입시킬 때, 단속해제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20a... 부착부재
30... 롤러부재 40... 탄성바이어스부재
50... 커버부재 60... 후크부재
70... 후크걸이부재 80... 단속부재
90... 단속해제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상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개방된 출입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차량의 루프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차량의 루프 상면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부착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 상기 롤러부재를 원치위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재; 및 상기 차량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되고,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감기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방측 유리창과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상면 덮개부; 상기차량의 도어측 유리창을 덮기 위해 상기 상면 덮개부에 대해 전개되거나 접혀지도록 상기 상면 덮개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측면 덮개부; 및 상기 측면 덮개부가 상기 상면 덮개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 덮개부가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감길 때, 상기 하우징의 출입구에 걸리도록 상기 상면 덮개부의 인출측 단부에 마련된 걸림바아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는, 상기 걸림바아의 양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며, 갈고리 형상의 후크가 마련된 후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시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자 할 때, 상기 후크부재의 후크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전,후방측 범퍼에 설치된 후크걸이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롤러부재의 동축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롤러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롤러부재에 권회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고정된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는,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여 상기 회전되는 롤러부재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단속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단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감기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단속부재에 설치된 단속해제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롤러부재의 어느 한쪽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의 치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랫치; 및 상기 랫치가 스프로켓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랫치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속해제부재는: 상기 랫치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로켓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편; 및 상기 랫치를 강압적으로 잡아당겨 상기 랫치를 상기 스프로켓의 치열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편에 연결된 소정 길이의 당김로프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각 모서리측에 마련된 자석편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각 모서리측과 그 모서리측에 대응되는 차량의 루프에 마련된 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커버부재를 인출시키고,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어 편리하고, 차량에 덮개를 덮고 해체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가 내재된 하우징의 크기가 작아 차량의 제한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덮개장치가 차량의 루프 상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덮개장치의 횡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덮개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100)는,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1)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개방된 출입구(13,14)를 가진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하면과 차량(1)의 루프(2) 상면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부착부재(20)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 (30)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 롤러부재(30)를 원치위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해 롤러부재(30)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재(40)와, 차량 (1)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출입구(13,14)를 통해 차량(1)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되고 탄성바이어스부재(40)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롤러부재(30)의 외주면에 각각 감기도록 설치된 커버부재(50)와, 갈고리 형상의 후크(61)가 커버부재(50)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후크부재(60)와, 커버부재(50)를 하우징(10)의 출입구(13,14)를 통해 차량(1)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시켜 차량(1)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자 할 때 후크부재(60)의 후크(61)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차량(1)의 전,후방측 범퍼에 설치된 후크걸이부재(7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대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차량(1)의 루프(2) 상면의 종방향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부착되는 바닥판(11)과, 바닥판(11)에 결합되는 돔형상의 덮개(12)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12)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도록 측면이 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판(11)과의 결합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이 차량(1)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통되도록 출입구(13,14)가 형성되며, 통상적인 "ㄴ"자형의 꺽쇠(15)에 의해 바닥판(11)과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구(13,14)는 편의상 차량(1)의 전방측을 향해 개방된 제1출입구(13)와,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해 개방된 제2출입구 (14)로 구분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덮개(12)와 바닥판(11)은 나사가 체결되는 꺽쇠(15)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판(11)의 모서리측에 마련된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덮개(12)에 마련된 삽입돌기(미도시)가 암수식으로 결합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재(20)는 자력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을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차량(1)의 루프(2) 상면과 대면하는 하우징(10) 하면의 각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자석편(21)이구비된다. 상기 자석편(21)은 하우징(10)의 재질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바닥판(11) 하면의 각 모서리측에 형성된 요홈(16)에 형합되어 접착식 또는 나사 결합식으로 고정되며, 하우징(10)의 재질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요홈(16)에 형합되어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결속력을 더욱 보강시킬 수 있도록 접착식 또는 나사 결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을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차량(1)의 루프(2) 상면과, 차량(1)의 루프(2) 상면과 대면하는 하우징(10) 하면의 각 모서리측에 각각 마련된 벨크로테이프(22)를 가진 부착부재(20a)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판(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바닥판(11)의 양단부측 상면에 직립되게 마련된 지지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롤러부재(30)는 그 양단에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되어 지지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부재(30)는 편의상 하우징(10)의 제1출입구(13)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회전롤러(32)와, 하우징(10)의 제2출입구(14)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롤러(33)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부재(30)는 금속 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지만, 부식 방지, 하중, 자원 재활용 및 환경 친화적인 차원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수지(PE)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40)는 상기 커버부재(50)를 하우징(10)의 제1 및 제2출입구(13,14)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킬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제1회전롤러(32)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제2회전롤러(33)를 원치위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회전과 무관하게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동축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제1회전롤러(32)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제2회전롤러(33)를 원치위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제1회전롤러(32)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제2회전롤러(33)를 원치위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도 있다(도 7b 및 도 도 7c 참조).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40)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프링 케이스(41)와, 일단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양단부측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각각 권회되며 타단이 케이스(41)의 내벽에 고정되는 강철 판스프링 타입의 스파이어럴 스프링(spiral spring, 일명 '태엽 스프링: 48)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41)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공간부를 가진 것으로서, 폭방향으로 거의 반분되는 제1케이스(42) 및 제2케이스(43)가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42)는 상술한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그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제1삽입공(43)이 형성되고,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고정편(44)이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제2케이스(43)는 상술한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그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제2삽입공(46)이 형성되고,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47)가 내벽에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은 일단이 스크류(49)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양단부측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의 외주면에 수회 권회되고, 그 타단이 제2케이스(43)에 마련된 고정돌기(47)에 고정된다.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은, 커버부재(5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1회전롤러(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회전롤러(33)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탄성 변형되고,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제거시키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한 쌍의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7b 및 도 7c 참조).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는 제1회전롤러(32)의 외주면에 시계방향으로 수회 권회되어 하우징(10)의 제1출입구(13)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회전롤러(33)의 외주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수회 권회되어 하우징 (10)의 제2출입구(14)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도 4 참조).
상기 커버부재(50)는 차량(1)의 전,후방측 유리창과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상면 덮개부(51)와, 차량(1)의 도어측 유리창을 덮기 위해 상면 덮개부(51)에 대해 전개되거나 접혀지도록 상면 덮개부(51)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측면 덮개부(52)와, 측면 덮개부(52)가 상면 덮개부(5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면덮개부(51)가 탄성바이어스부재(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롤러 (32,33)의 외주면에 감길 때 하우징(10)의 출입구(13,14)에 걸리도록 상면 덮개부(51)의 인출측 단부에 마련된 걸림바아(54)를 구비한다(도 4 참조). 상기 상면 덮개부(51)와 측면 덮개부(52)는 그 측면 덮개부(52)가 접혀져 상면 덮개부(51)에 부착되거나 상면 덮개부(51)로부터 탈락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 (53)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상면 덮개부(51)와 측면 덮개부(52)는 여름철에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겨울철의 저온을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비 등의 방수가 가능한 재질인 PVC 소재 또는 PU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바아(54)는 상면 덮개부(51)의 인출측 단부가 제봉됨으로써 형성된 삽입부(55)에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플렉시블한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입부(5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이탈방지캡(56)이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60)는 최초 판재 형상에서 둥글게 밴딩되어 걸림바아(54) 각각의 양단부측에 클램핑되는 구조를 가지며, 갈고리 형상의 후크(61)가 일체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걸이부재(7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차량(1)의 전,후방으로 인출된 커버부재(50)가 탄성바이어스부재(40)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다시 되감기지 못하도록 후크부재(60)의 후크(61)가 걸리는 고리(71)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차량(1)을 주차한 상태에서 차량(1)의 트렁크 또는 차내에 보관되어 있는 본 고안의 덮개장치(100)를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장착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을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종방향으로 얹어 놓는다. 그러면, 하우징(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면에 마련된 부착부재(20)에 의해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부착된다. 이 때, 하우징(10)은 동작 설명의 편의상 제1출입구(13)가 차량(1)의 전방측을 향하고, 하우징(10)의 제2출입구(14)가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차량(1)의 루프(2) 상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바아(54)는 하우징(10)의 제1 및 제2출입구(13,14)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출입구(13)에 걸려 있는 걸림바아(54)를 잡고, 그 걸림바아(54)를 차량(1)의 전방측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커버부재(50)는 제1회전롤러(32)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제1출입구(13)를 통해 인출된다. 이 때, 제1회전롤러(32)는 커버부재(50)가 인출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 내에 위치된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은 탄성 변형되면서 제1회전롤러(32)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커버부재(50: 도 7a)가 끝까지 인출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롤러(32)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의 복원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커버부재(50)를펼친다. 즉, 상면 덮개부(51)에 부착된 측면 덮개부(52)를 탈락시켜 그 측면 덮개부(52)를 상면 덮개부(51)로부터 전개시킨다. 그러면, 하우징(10)을 기준으로 상면 덮개부(51)는 차량(1)의 전방측 상면을 덮게 되고, 측면 덮개부(52)는 차량의 도어측 유리창을 덮게 된다(도 8 참조).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걸림바아(54)에 설치된 후크부재(60)의 후크(61)를 차량(1)의 전방측 범퍼에 마련된 후크걸이부재(70)의 고리 (71)에 건다.
다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2출입구(14)에 걸려 있는 걸림바아(54)를 잡고, 그 걸림바아(54)를 차량(1)의 후방측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커버부재(50)는 제2회전롤러(33)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제2출입구(14)를 통해 인출된다. 이 때, 제2회전롤러(33)는 커버부재(50)가 인출됨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 내에 위치된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은 탄성 변형되면서 제2회전롤러(33)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커버부재(50: 도 7a)가 끝까지 인출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롤러(33)는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의 복원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커버부재(50)를 펼친다. 즉, 상면 덮개부(51)에 부착된 측면 덮개부(52)를 탈락시켜 그 측면 덮개부(52)를 상면 덮개부(51)로부터 전개시킨다. 그러면, 하우징(10)을 기준으로 상면 덮개부(51)는 차량의 후방측 상면을 덮게 되고, 측면 덮개부(52)는 차량의 도어측 유리창을 덮게 된다(도 8 참조).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걸림바아(54)에 설치된 후크부재 (60)의 후크(61)를 차량(1)의 후방측 범퍼에 마련된 후크걸이부재(70)의 고리(71)에 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을 주행하고자 차량(1)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커버부재(50)를 벗겨 내기 위해서는, 우선, 차량(1)의 전방측 범퍼의 후크걸이부재(70)에 걸려 있는 후크부재(60)를 후크걸이부재(70)로부터 탈거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의 측면 덮개부(52)를 접어 상면 덮개부(51)에 부착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잡고 있던 걸림바아(54)를 놓는다. 그러면, 전방측 커버부재(50)는, 제1회전롤러(32)가 그 제1회전롤러(32)에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 도 7c)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롤러(32)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1)의 전방측 커버부재(50)는 하우징(10)의 제1출입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고, 걸림바아(54)는 제1출입구(13)에 걸리게 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방측 범퍼의 후크걸이부재(70)에 걸려 있는 후크부재(60)를 후크걸이부재(70)로부터 탈거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의 측면 덮개부(52)를 접어 상면 덮개부(51)에 부착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잡고 있던 걸림바아(54)를 놓는다. 그러면, 차량의 후방측 커버부재(50)는, 제2회전롤러(33)가 그 제2회전롤러 (33)에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 도 7c)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회전롤러(33)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1)의 후방측 커버부재(50)는 하우징(10)의 제2출입구(14)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고, 걸림바아(54)는 제2출입구(14)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으로 차량에 커버부재를 덮거나 해체하는 경우, 그 작업 시간이 대략 1분 이내에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달리 커버부재를 덮거나 해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덮개장치가 차량의 루프 상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200)는 전기 제1실시예와 달리, 커버부재(50)를 하우징(10)의 제1 및 제2출입구(13,14)를 통해 인출시킬 경우,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고, 그 단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커버부재(50)를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200)는, 탄성바이어스부재(40)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여 회전되는 롤러부재(30)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커버부재(50)를 선택적으로정지시키기 위해, 롤러부재(30)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단속부재(80)와, 롤러부재 (30)의 단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커버부재(50)를 탄성바이어스부재(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롤러부재(30)의 외주면에 감기게 할 수 있도록 단속부재(80)에 설치된 단속해제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 단속부재(80)는 롤러부재(30) 각각의 어느 한쪽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81)과, 스프로켓(81) 각각의 치열에 치합되도록 하우징(10)의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브라켓(8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랫치(82)와, 랫치(82)가 스프로켓(81)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랫치(82)와 고정브라켓(84)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 (83)을 구비한다.
상기 단속해제부재(90)는 랫치(82)의 측면에 마련되어 스프로켓(81)에 대응되는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편(91)과, 랫치(82)를 강압적으로 잡아당겨 랫치(82)를 스프로켓(81)의 치열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돌출편 (91)에 연결된 소정 길이의 당김로프(9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91)은 스프로켓(81)에 대응되는 하우징(10)의 측면에 서로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가진 가이드공(9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공(93)은 랫치(82)의 회동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감겨져 있는 커버부재(50)를 차량(1)의 전,후방측으로 인출시키는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랫치(82)는 압축스프링(83)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면서 스프로켓(81)의 치열에 치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48: 도 7c)의 복원력이 랫치(82)에 의해 단속됨으로써,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커버부재(5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 제1실시예와 달리, 한 손으로 걸림바아(54)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커버부재(50)의 측면 덮개부(52)를 상면 덮개부(51)로부터 탈락시켜 전개할 필요 없이, 커버부재(50)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양손을 사용하여 측면 덮개부(52)를 상면 덮개부(51)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커버부재를 벗겨 내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전,후방측 범퍼의 후크걸이부재 (70)에 걸려 있는 후크부재(60)를 후크걸이부재(70)로부터 탈거한다.
이어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당김로프(92)를 차량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잡아 당긴다. 그러면, 랫치(82)는 압축스프링(83)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면서, 강제적으로 스프로켓(81)의 치열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 도 7c)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전,후방측 커버부재(50)는, 제 1 및 제2회전롤러(33)가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작용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48)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0)의 제1 및 제2출입구(13,14)를 통해 인입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회전롤러(32,33)에 감기게 된다(도 9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커버부재를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쉽게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된 덮개를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전개하고 해체해야 하는 종래와 달리, 간단한 동작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커버부재를 인출시키고,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둘째, 차량에 덮개를 덮고 해체하는 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셋째, 커버부재가 내장된 하우징의 크기가 작아 차량의 제한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의 루프 상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개방된 출입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차량의 루프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차량의 루프 상면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부착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 상기 롤러부재를 원치위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재; 및
    상기 차량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되고,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감기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방측 유리창과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상면 덮개부;
    상기 차량의 도어측 유리창을 덮기 위해 상기 상면 덮개부에 대해 전개되거나 접혀지도록 상기 상면 덮개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측면 덮개부; 및
    상기 측면 덮개부가 상기 상면 덮개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 덮개부가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감길 때, 상기 하우징의 출입구에 걸리도록 상기 상면 덮개부의 인출측 단부에 마련된 걸림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아의 양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며, 갈고리 형상의 후크가 마련된 후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 인출시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자 할 때, 상기 후크부재의 후크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전,후방측 범퍼에 설치된 후크걸이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롤러부재의 동축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롤러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롤러부재에 권회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고정된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여 상기 회전되는 롤러부재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단속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단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감기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단속부재에 설치된 단속해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롤러부재의 어느 한쪽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의 치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랫치; 및
    상기 랫치가 스프로켓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랫치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해제부재는:
    상기 랫치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로켓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편; 및
    상기 랫치를 강압적으로 잡아당겨 상기 랫치를 상기 스프로켓의 치열로부터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편에 연결된 소정 길이의 당김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각 모서리측에 마련된 자석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각 모서리측과 그 모서리측에 대응되는 차량의 루프에 마련된 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KR2020010037018U 2001-11-30 2001-11-30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KR200264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18U KR200264836Y1 (ko) 2001-11-30 2001-11-30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18U KR200264836Y1 (ko) 2001-11-30 2001-11-30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836Y1 true KR200264836Y1 (ko) 2002-02-21

Family

ID=7307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18U KR200264836Y1 (ko) 2001-11-30 2001-11-30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83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92B1 (ko) 2013-05-21 2014-07-09 박인수 차량용 커버장치
KR101592822B1 (ko) *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20190053743A (ko)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퓨처홀딩스 태양광 충전을 이용한 보호 덮개의 자동 감김장치
KR102196798B1 (ko) * 2019-06-20 2020-12-30 임세현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92B1 (ko) 2013-05-21 2014-07-09 박인수 차량용 커버장치
KR101592822B1 (ko) *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20190053743A (ko)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퓨처홀딩스 태양광 충전을 이용한 보호 덮개의 자동 감김장치
KR102196798B1 (ko) * 2019-06-20 2020-12-30 임세현 개폐가 용이한 오픈카용 커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5034734A1 (en) Extension spring system for an overhead door
KR101050515B1 (ko) 자동차 덮개 세트
KR101590924B1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KR200264836Y1 (ko) 차량 보호용 덮개장치
KR200482354Y1 (ko) 접이식 어닝 텐트
WO1994025303A1 (en) Portable car cover assembly
KR20110094364A (ko) 자동차 보호용 덮개장치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US6719339B1 (en)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1415592B1 (ko) 차량용 커버장치
KR100558987B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KR101143317B1 (ko)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보호커버
KR200438446Y1 (ko) 자동차 앞유리 커버
KR20080002253U (ko) 차량용 차양막겸 방충망
KR101373707B1 (ko) 자동차 유리용 보호 덮개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20030029298A (ko) 다기능 차량용 커버장치
KR100422877B1 (ko) 도어모듈 케이블 고정구
KR200196641Y1 (ko) 차량 덮개
KR200387128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권취 안내구의 중량기구
KR20090012322U (ko) 차량 글래스의 성에 방지 장치
KR200441742Y1 (ko) 간이 가리개
KR200271133Y1 (ko)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KR20220028549A (ko) 차량용 커버
KR20220099326A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