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641Y1 - 차량 덮개 - Google Patents

차량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641Y1
KR200196641Y1 KR2020000004673U KR20000004673U KR200196641Y1 KR 200196641 Y1 KR200196641 Y1 KR 200196641Y1 KR 2020000004673 U KR2020000004673 U KR 2020000004673U KR 20000004673 U KR20000004673 U KR 20000004673U KR 200196641 Y1 KR200196641 Y1 KR 200196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ver
rotating rod
coupl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우
우무신
Original Assignee
황명우
우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우, 우무신 filed Critical 황명우
Priority to KR2020000004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덮개에 관한 것으로써, 차량의 루프와 차량의 양측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 내부에 수용공간부(110,110')가 형성된 지지체(100,100')와; 지지체(100,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수용공간부(110,110')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20)와; 수용공간부(110,110') 각각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수용공간부(110,110')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200,200')과; 회전봉(200,200')의 단부와 소정 이격된 지점에 결합되며, 회전봉(200,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300')와; 회전봉(200,200')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외력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차량을 덮는 덮개부재(400,400'); 및 덮개부재(400,400')의 끝단에 형성되고, 펼쳐진 덮개부재(400,400')를 차량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0,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덮개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상면의 루프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각각으로 덮개를 전개하여 간편하게 차량을 덮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덮개{a cover of cars}
본 고안은 차량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상면의 루프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으로 각각의 덮개를 전개하여 차량을 덮을 수 있는 차량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 외부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 금속 표면의 부식 및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특수 페인트를 이용하여 도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에 도장이 완벽하게 되어 있어도 차량은 몇년이상 장기간 사용되므로 도장이 변색되거나 일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덮개가 이용된다. 특히,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와 산성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덮개가 사용되며, 겨울철에는 저온의 날씨에 의한 동파와 눈에 의한 차량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덮개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덮개는 방수성 재질의 필름을 차량의 형상으로 봉재하고, 가장자리부에는 탄력성있는 고무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같은 차량덮개를 차량에 덮으려면 차량의 트렁크 등에 보관되어 있는 덮개를 꺼내어 인력으로 덮개를 전개하여 차량의 외부를 덮게 된다. 이때 차량 덮개를 일일이 사람 손으로 덮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 덮개를 해체할 때도 사람 손으로 일일이 해체하여 별도의 보관함에 넣고 차량의 트렁크 등에 보관하여야 하며, 보관할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차량의 제한된 용량의 트렁크를 필요 이상 차지하여 차량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 상면의 루프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각각으로 덮개를 전개하여 간편하게 차량을 덮을 수 있는 차량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가 차량을 덮은 모습을 보인 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의 내부를 보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 지지체 110,110' : 수용공간부
120,120' : 개폐부재 130 : 결합고리
140 : 결합홈부 200,200' : 회전봉
300,300' : 탄성부재 400,400' : 덮개부재
410 : 제1벨크로 420 : 제2벨크로
500,500' : 고정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와 양측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개폐부재와; 수용공간부 각각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수용공간부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과; 회전봉의 단부와 소정 이격된 지점에 결합되며, 회전봉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회전봉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외력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차량을 덮는 덮개부재와; 덮개부재의 펼쳐지는 끝단에 형성되고, 펼쳐진 덮개부재를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차량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덮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차량 상면의 루프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각각으로 덮개를 전개하여 간편하게 차량을 덮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덮개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가 차량을 덮은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덮개의 내부를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덮개는 차량의 상면 루프와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먼저, 차량의 상면 루프에 설치되는 차량 덮개를 설명한다.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차량덮개는 차량의 상면 루프에 고정되는 지지체(100), 지지체(100)의 수용공간부(110)에 결합되는 회전봉(200), 회전봉(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 회전봉(200)에 감겨지는 덮개부재(400), 덮개부재(400)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500)로 구성된다.
지지체(100)는 상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차량의 운행 중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이며, 양측면 내부에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봉(200)이 결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하부가 차량 상면 루프에 탈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며, 필요시 차량 상면의 루프에 설치하고, 필요하지 않을 경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지지체(100)의 형상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결합시킨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양끝단에는 결합고리(130)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덮개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지지체(100)의 양측면의 끝단에는 개폐부재(12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개폐부재(120)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수용공간부(110)가 개폐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20)에 의해 수용공간부(110)가 개방되어 지지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0)에 위치된 회전봉(200)에 감겨진 덮개부재(400)가 외력에 의해 수용공간부(110) 외부로 펼쳐진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 또는 덮개를 씌우지 않을 때는 개폐부재(120)를 회동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수용공간부(110) 내에 덮개부재(400)가 위치되어 있다.
지지체(100)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110)에는 회전봉(200)이 위치되며, 수용공간부(110) 내측의 양단부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봉(200)의 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회전봉(200)은 환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상에 덮개부재(400)가 감겨진다. 그리고, 덮개부재(400)가 감겨진 회전봉(200)의 외측 각각에는 탄성부재(300)가 결합되어 회전봉(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00)는 롤 형태로 일측이 회전봉(200)의 단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용공간부(110) 내측의 양단부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봉(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00)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력을 지닌 재질을 사용하며, 롤 형태로 회전봉(200)의 양단부측에 각각 느슨하게 감겨있는 형상이다.
탄성부재(300)가 회전봉(200)에 탄성회전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회전봉(200)에 감겨지는 덮개부재(400)가 외력에 의해 수용공간부(110) 외부로 펼쳐지게 되면 회전봉(2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봉(200)에 느슨하게 감겨진 탄성부재(300)의 일단부가 회전봉(200)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봉(200)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부재(300)가 회전봉(200)에 촘촘하게 감겨지게 되어 탄성부재(300)에 탄성회전력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해제 되면 탄성부재(300)에 내재된 탄성회전력이 작용하여 탄성부재(300)가 다시 느슨하게 감겨진 형태로 복원된다. 이와같이 탄성회전력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느슨하게 풀려지면서 회전봉(200)이 풀려진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덮개부재(400)가 회전봉(200)에 감겨지게 된다.
덮개부재(400)는 회전봉(200)에 감겨져 있으며, 차량을 덮을 때는 회전봉(200)으로부터 풀려져 차량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400)는 빗물 및 눈 등의 투과를 방지 및 강한 자외선의 투과를 방지시키는 재질을 사용하며, 회전봉(200)에서 펼쳐져 차량을 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400)의 양측 단부의 하면에 다수의 제1벨크로(velcro)(410)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는 덮개부재(400') 단부에 형성된 제2벨크로(420)와 결합된다.
덮개부재(400)의 단부에는 고정부재(500)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부재(400)가 펼쳐져 차량의 전,후방의 일정지점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500)는 고리형태로 형성시켜 차량의 일정지점에 걸려짐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상면 루프에는 상기와 같은 차량 덮개가 설치되며,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차량 덮개는 차량의 상면에 설치되는 차량덮개와 동일한 구조로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체(100'), 지지체(100')의 수용공간부(110')에 결합되는 회전봉(200'), 회전봉(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 회전봉(200')에 감겨지는 덮개부재(400'), 덮개부재(400')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500')로 구성된다.
지지체(100')는 차량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동일한 구조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지체(100')의 상단부에는 결합홈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 상면 루프에 설치되는 지지체(10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고리(130)에 결합시키고, 하단부는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되고, 착탈식임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10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0'), 회전봉(200'), 탄성부재(300')는 차량 상면 루프에 설치되는 차량덮개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부재(400')는 회전봉(200')에 감겨져 있으며, 차량의 측면을 덮을 때 회전봉(200')으로부터 풀려져 차량의 측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400)는 빗물 및 눈 등의 투과를 방지 및 강한 자외선의 투과를 방지시키는 재질을 사용하며, 펼쳐진 형상이 차량의 측면 형상과 유사하며, 덮개부재(400')의 상단부에는 제2벨크로(420)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상면에 덮혀지는 덮개부재(400)의 제1벨크로(410)와 결합되어 차량의 측면을 덮게 된다. 그리고, 덮개부재(400')의 단부에는 고정부재(500')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으로 펼쳐지는 덮개부재(400')를 차량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덮개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은 차량덮개를 차량 상부의 루프에 위치시킨 후 지지체(100)를 루프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측면을 덮는 측면 차량 덮개의 지지체(100') 상단부의 결합홈부(140)를 지지체(100)에 형성된 결합고리(130)에 결합시키고, 지지체(100')의 하단부를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고정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차량 덮개는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 덮개를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면 루프에 설치된 차량덮개를 고정 결합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덮개를 설치하지 않고 상면에만 설치하여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설치한 후 차량 상면을 덮을 때는 지지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재(120)를 개방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10)에 위치된 고정부재(500)를 손으로 잡고 수용공간부(11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고정부재(500)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부재(400)가 펼쳐지게 되고, 고정부재(500)를 차량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면 일측의 차량덮개가 차량에 덮어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개폐부재(120)를 개방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10)에 위치된 고정부재(500)를 손으로 잡고 수용공간부(110)의 외측으로 당기면 고정부재(500)에 결합된 덮개부재(400)가 펼져지게 되고, 덮개부재(400)가 충분히 펼쳐지면 고정부재(500)를 차량의 고정하고자 하는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면 차량덮개의 조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차량의 측면을 덮을 때는 측면에 설치된 덮개부재를 지지체(100')의 수용공간부(110')에서 외부로 펼쳐 차량의 전,후로 각각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차량을 운행할 때 또는 차량 덮개를 덮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차차량의 전,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고정부재(500)의 고정을 해제하면, 회전봉(200)의 양단부 측에 형성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봉(200)이 회전되어 펼쳐진 덮개부재(400)를 회전봉(200)에 다시 감기게 되고, 덮개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500)는 감겨지는 덮개부재(400)와 함께 수용공간부(110) 내부로 수용되고 개폐부재(120)를 닫게 되면 차량에 씌워진 차량 덮개를 간편하게 덮개를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측면의 차량덮개는 차체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상면 루프에 설치된 차량덮개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유선형 구조이므로 해체할 필요없이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고, 필요시 자외선을 차단시키는 차양막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덮개는 차량 상면의 루프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각각으로 덮개를 전개하여 간편하게 차량을 덮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 상면 루프에 설치되는 차량 덮개가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의 상부 루프에 고정 결합시킨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루프와 차량의 양측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 내부에 수용공간부(110,110')가 형성된 지지체(100,100')와;
    상기 지지체(100,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10,110')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20)와;
    상기 수용공간부(110,110') 각각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용공간부(110,110')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200,200')과;
    상기 회전봉(200,200')의 단부와 소정 이격된 지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200,200')에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300')와;
    상기 회전봉(200,200')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외력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차량을 덮는 덮개부재(400,400'); 및
    상기 덮개부재(400,400')의 끝단에 형성되고, 펼쳐진 상기 덮개부재(400,400')를 차량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0,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덮개.
KR2020000004673U 2000-02-21 2000-02-21 차량 덮개 KR200196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73U KR200196641Y1 (ko) 2000-02-21 2000-02-21 차량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73U KR200196641Y1 (ko) 2000-02-21 2000-02-21 차량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641Y1 true KR200196641Y1 (ko) 2000-09-15

Family

ID=1964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73U KR200196641Y1 (ko) 2000-02-21 2000-02-21 차량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822B1 (ko) 2012-07-19 2013-06-05 김한섭 자동개폐가 가능한 돔형 주차시설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822B1 (ko) 2012-07-19 2013-06-05 김한섭 자동개폐가 가능한 돔형 주차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982B1 (en) Vehicle protecting cover device
US6012759A (en) Retractable vehicle cover
US6682123B2 (en) Retractable cover for small vehicles
US6782904B2 (en) Extendible rain shield for vehicle
KR101853891B1 (ko) 차량용 자동 커버링 장치
US7213868B1 (en) Easy deployment and storage automobile protection cover
US79673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damage
US5791361A (en) Car cover
KR101050515B1 (ko) 자동차 덮개 세트
KR101590924B1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KR200196641Y1 (ko) 차량 덮개
US20050022942A1 (en) Top feed roller awning system
KR200353898Y1 (ko) 차량용 자동덮개장치
KR200222517Y1 (ko) 전동식 차량보호덮개
KR200307587Y1 (ko) 햇빛차단 및 성에방지를 위한 자동차 유리덮개
RU28007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автомобиля от внешних климатических воздействий
KR101501586B1 (ko) 차량용 덮개장치 및 덮개 제작방법
KR200491804Y1 (ko) 차량용 차광막
CN203793098U (zh) 车载车库
JPH0840082A (ja) 自動車のカバー装置
KR101373707B1 (ko) 자동차 유리용 보호 덮개
FR2778374A1 (fr) Pare-soleil exterieur pour vehicule automobile
KR970006761Y1 (ko) 우산겸용 파라솔이 장착된 자동차
KR200175480Y1 (ko) 자동차용 덮개
KR20220099326A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