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28B1 -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28B1
KR102193628B1 KR1020197025032A KR20197025032A KR102193628B1 KR 102193628 B1 KR102193628 B1 KR 102193628B1 KR 1020197025032 A KR1020197025032 A KR 1020197025032A KR 20197025032 A KR20197025032 A KR 20197025032A KR 102193628 B1 KR102193628 B1 KR 10219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rack
module
module element
elements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648A (ko
Inventor
요하네스 호데크
랄프 뮌처
클레멘스 튀르크
Original Assignee
라벤스부르거 베라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벤스부르거 베라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벤스부르거 베라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4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6Constructional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A63F7/24 - A63F7/34, i.e. constructional details of rolling boards, rims or play tables, e.g. frame, game boards, guide tracks
    • A63F7/3622Specially shaped rolling boards for the balls, e.g. ball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6Constructional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A63F7/24 - A63F7/34, i.e. constructional details of rolling boards, rims or play tables, e.g. frame, game boards, guide tracks
    • A63F2007/3655Collapsible, foldable or rollable parts
    • A63F2007/3662Collapsible, foldable or rollable parts modular, e.g. with connections between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25Tools
    • A63F2011/0032Ham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25Tools
    • A63F2011/0039Levers or crow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다수의 모듈 요소(12; 12') 및 - 베이스(32)를 포함하되, 모듈 요소들 전부의 외부 형상이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정다각형이고 모듈 요소 각각은 - 상면(14), - 상면 반대쪽의 저면(16) 및 상기 모듈 요소의 모서리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측면을 가지고, 각각의 모듈 요소(12; 12')는 모듈 요소의 상면(14)에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20, 22)을 형성하고, 상기 섹션은 모듈 요소의 측면(18)을 관통하고, 그리고 플러그 소켓(240이 모듈 요소의 저면(16)에서 각각의 모듈 요소(12; 12')로부터 돌출하고, 베이스는 각각의 플러그 소켓(24)을 수용하기 위해 균일하게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34)를 구비하되, 다수의 리세스(34)가 베이스(32) 위에 격자로 배열되고, 격자의 크기(s)는 모듈요소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다각형의 내접원 직경에 상응하고, 베이스(32)의 바로 인접하게 놓인 리세스(34)들에 플러그 결합된 모듈 요소들(12; 12')이 각각의 측면(18)으로 맞닿는 방식으로 서로 접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본 발명은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형태로 된 게임에 관한 것이다.
볼 트랙들을 이용하는 게임들이 오랫동안, 예를 들어 독일특허공보 DE 34 02 726 C2, 유럽특허공보 EP 1 150 753 B1, 미국특허공보 US 4 713 038 및 영국특허출원공개공보 GB 2 285 755 A로부터 알려져 있었다. 모듈형 구조로 된 볼 트랙 시스템들이 또한 예를 들어 독일실용신안공보 DE 20 2004 007 574 U1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볼 트랙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트랙의 구성 형태를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특히 볼 트랙의 구축과 해체와 관련하여 처리가 복잡하지 않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렴하게 다량으로 제조될 수 있는 볼 트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피처들을 구비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주 실시예들 둘 다, 이들이 다수의 모듈 요소를 포함하고 모듈 요소들 전부가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정다각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 공통적이다. 각각의 모듈 요소는 상면,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모서리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측면을 구비한다. 각각의 모듈 요소는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을 형성하고, 볼 트랙 섹션은 모듈 요소의 측면을 관통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은 모듈 요소의 하나의 측면에서 시작하고(끝나고), 이에 따라 볼 트랙은 인접한 모듈 요소의 추가 볼 트랙 섹션에 의해 연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된 볼 트랙 섹션은 오목한 섹션인데, 즉 볼 트랙 섹션이 모듈 요소의 상면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모듈 요소의 각각의 모듈 요소가 디스크 형상인데, 즉 각각의 모듈 요소의 높이가 모듈 요소의 다른 두 개의 공간 방향으로의 범위보다 상당히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정다각형은 정육각형이지만, 이로부터 벗어나서, 정다각형이 예를 들어 정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삼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인 다른 실시예들도 또한 가능하다.
제1 주 실시예에서, 플러그 베이스가 각각의 모듈 요소의 저면에서 각각의 모듈 요소로부터 돌출한다.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제1 주 실시예에 속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를 구비하되, 다수의 리세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격자로 배열되고, 격자의 격자 치수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다각형의 내접원 직경에 상응한다.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세스들에 끼워 맞춰지는 모듈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으로 맞닿게 놓인다. 상응하게 배열된 모듈 요소들에서, 모듈 요소들의 상면들에 형성된 볼 트랙 섹션들은 이에 따라 개별 모듈 요소들 사이에서 요소들을 연결할 필요 없이 그리고 개별 모듈들이 서로 체결될 필요 없이 연속하는 볼 트랙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제2 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 요소는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그 저면에 구비하고, 제2 주 실시예에 속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한 개씩의 리세스와 협동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되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격자로 배열되고, 격자의 격자 치수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다각형의 내접원 직경에 상응한다. 제1 주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끼워 맞춰지는 모듈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으로 맞닿게 놓인다. 제2 주 실시예로부터 발생되는 장점들은 제1 주 실시예의 장점에 상응한다. 본 명세서의 맥락 안에서, 격자 치수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서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리세스 간의 또는 두 개의 플러그 베이스 간의 간격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주 실시예들 둘 다의 장점은 모듈 요소들 전부가 예를 들어 정육각형인 동일한 외부 형상 및 동일한 외부 치수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는 한편으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선택된 정다각형의 내접원에 상응하는 격자 치수로 인해서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모듈 요소들을 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다양해진다는 것이다. 선택된 격자 치수 및 모듈 요소의 동일한 외부 형상과 크기는 또한 다수의 조합 가능성에 불구하고, 희망하는 볼 트랙을 생성하기 위한 모듈 요소들의 희망하는 조합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제1 주 실시예와 제2 주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단지 기능 요소들, 즉 플러그 베이스와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의 위치 변경에 있다. 제1 주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 요소가 모듈 요소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세스들 중 하나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는 반면, 제2 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모듈 요소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배열된 플러그 베이스들 중 하나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세스를 그 저면에 구비한다. 주 실시예들 둘 다에서, 기능 요소들인 플러그 베이스와 리세스는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부품들을 함께 유지하는 살짝 파지하는 동작이 발생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의 형태는 모듈 요소들을 형성하는 정다각형의 외부 형상과 독립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다각형은 육각형일 수 있고 플러그 베이스는 원형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런 경우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는 마찬가지로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의 형태 및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리세스의 형태는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모듈 요소가 모듈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으로 맞닿게 놓이는 위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 또는 그 위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 및 각각의 리세스가 선택된 정다각형의 모서리의 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이들 두 기능 요소들의 협동이 가능하도록, 즉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모듈 요소들이 모듈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으로 맞닿게 놓이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의 형태 및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리세스의 형태가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다각형과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내접원 직경이 보다 작은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실시예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정다각형이 육각형이면, 플러그 베이스와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또한 정다각형의, 서로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가지지만, 그 외부 치수는, 보다 작은 내접원 직경 때문에,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육각형의 외부 치수보다 작다.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과 플러그 베이스들 또는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들의 형태 간의 부합은 개별 모듈 요소들의 직관적인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가변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한 형태들은 다수의 모듈 요소에 더하여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지 않은 두 개의 모듈 요소들 간의 갭을 브리지하기 위한 연결 레일들을 또한 포함하며, 각각의 레일이 볼 트랙의 섹션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 레일이 볼 트랙의 섹션을 형성하는 은 두 개의 로드를 구비하되, 로드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양 사이드에 자유 단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로드들에 대해 횡으로 볼 트랙 아래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크로스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그 결과, 이러한 연결 레일들이 사다리형 외관을 갖는다. 로드들의 자유 단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레일들이 모듈 요소들에 걸어 잠기게 하기 위하여 후크와 같은 방식으로 하방 절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드들은 바람직하게는 볼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연결 레일의 로드들 위에서 적절하게 굴러갈 수 있도록 실린더형, 특히 원형 실린더형의 단면을 갖는다. 로드들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들은 연결 레일 위에서 굴러가는 볼이 크로스 부재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이는 볼이 굴러갈 때 극복해야만 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유리하게는, 로드들과 크로스 부재들을 구비하는 연결 레일들은 크로스 부재가 로드들의 자유 단부들 각각의 가까이에 배열되고 볼 트랙의 양 사이드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가드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레일의 단부들에서 볼이 연결 레일로부터 튀어 나갈 위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로드들 및 크로스 부재들을 구비하는 연결 레일들의 경우 유리하게는 각각의 로드가 그 상측 사이드 위의 자유 단부 가까이에 램프형 융기부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연결 레일로부터 어려움 없이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된 볼 트랙 섹션에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결 레일 위에서 굴러가는 볼이 연결 레일의 단부 영역에서 약간 들어 올려진다. 이는 굴러가는 볼이 연결 레일로부터 모듈 요소 위로 이동할 때 발생 가능한 레벨 차이에 의한, 볼이 볼 트랙 바깥으로 튀어나가게 할 수 있는, 볼의 덜컥거림을 방지한다.
연결 레일들과 모듈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간단하고 확실한 연결을 위해, 모듈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형성된 볼 트랙 섹션이 모듈 요소의 측면을 통과하는 지점 또는 그러한 각각의 지점에서 바로 인접한 각각의 모듈 요소가 연결 레일들이 양 사이드에서 볼 트랙에 끼워지게 하기 위한 한 쌍의 후크 개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연결 레일들의 크로스 부재들의, 후크와 같은 방식으로 하방 절곡된, 자유 단부들이 예를 들어 이 후크 개구들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개구들은 연결 레일들이 볼 트랙의 종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정도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레일들이, 그 길이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평면에 있는 모듈 요소들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된 모듈 요소들도 연결할 수 있다.
모듈 요소들을 서로 다른 높이들에 배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사전 결정된 높이의 칼럼 요소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칼럼 요소가, 서두에 설명한 제1 주 실시예와 호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 저면에는 모듈 요소들의 플러그 베이스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를 그리고 그 상면에는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세스들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구비하거나, 혹은 서두에 언급한 제2 주 실시예와 호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 저면에는 모듈 요소들의 리세스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그리고 그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은 각기 다른 사전 결정된 높이들을 갖는 칼럼 요소들, 예를 들어 그 높이가 하나의 높이 유닛에 상응하는 칼럼 요소들 및 그 높이가 높이 유닛의 절반에 상응하는 칼럼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한 개의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데, 이 중간 플레이트가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로 형상 및 배열 형태가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세스들에 상응하는 다수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중간 플레이트의 각각의 리세스가 그 저면에 모듈 요소의 플러그 베이스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의 중간 플레이트는 서두에 설명한 제1 주 실시예와 호환된다. 대안적으로, 중간 플레이트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로 형상 및 베열 형태가 각각이 한 개씩의 리세스와 협동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상응하는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고, 중간 플레이트의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가 그 저면에 모듈 요소들의 리세스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의 중간 플레이트는 서두에 설명한 제2 주 실시예와 호환된다.
앞에서 설명한 중간 플레이트들은, 상술한 칼럼 요소들과 결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배열되는 중간 레벨들이 생성될 수 있게 하고, 이 중간 레벨에 볼 트랙의 일부분들이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플레이트 또는 각각의 중간 플레이트는 이러한 중간 레벨 아래에 위치된 볼 트랙 섹션들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다수의 중간 플레이트들은 동일한 레벨에서 표면적이 더 큰 중간 레벨이 생성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다수의 중간 레벨이 각기 다른 레벨들에 생성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가변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다시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에 함께 걸릴 수 있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돌기들 및 컷아웃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들의 가장자리들에 존재할 수 있고, 이 돌기들 및 컷아웃들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 상의 상응하는 도브테일 형상 돌기들 및 컷아웃들과 협동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들로 분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의 포장과 운반이 용이해지고, 이에 더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적이 희망하는 대로 확대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다수의 모듈 요소 전부가,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선택된 다각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지만, 이들은 또한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은 상면에 제1 곡선 볼 트랙 섹션 및 제2 곡선 볼 트랙 섹션이 형성된 다수의 모듈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곡선 볼 트랙 섹션은 제2 곡선 볼 트랙 섹션보다 더 뚜렷한 곡선을 갖는다. 이러한 모듈 요소들은 크게 또는 적게 휜 곡선 볼 트랙 경로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또는 볼 트랙의 방향을 희망하는 정도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은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과 연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과 결합되는 기능성 인서트를 수용하는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성 인서트는 볼 트랙 섹션 위에 도달하는 볼을 수용할 수 있고, 중앙 개구가 관통 개구의 형태인 경우 그 볼이 구멍을 통해 다른 레벨의 볼 트랙으로 낙하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기능성 인서트는 구성되어 있는 볼 트랙 아래로 볼이 굴러가기 시작하는 스타트 램프의 형태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기능성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이러한 모듈 요소는 각기 다른 기능들을 갖는 모듈 요소들의 보다 합리적인 생산을 또한 허용하는데, 이는 모듈 요소 자체는 각각이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각기 다른 기능은 중앙 개구에 삽입되는 기능성 인서트에 의해서만 달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바람직한 형태들은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이 예를 들어 포인트, 루프 볼 리프트 메커니즘, 사출기, 깔때기 등과 같은 액션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크기와 무게가 동일한 다수의 볼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볼들 자체를 이용하여 상이한 게임 방식을 생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크기는 동일하고 무게는 각기 다른 볼들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은 자성이 각기 다른 볼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찬가지로 게임 방식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볼들은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의 전기 또는 전자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통합형 RFID 칩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은 마찬가지로 존재하는 액추에이터들을 이용하여 특정한 볼들에 따라 다르게 게임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볼에 포함된 RFID 칩에 기반하여 볼들을 구별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요소 위에 유지되는 볼은 예를 들어 다른 모듈 요소들 위에서 특정한 볼들이 검출될 때에만 방출될 수 있다. 어떤 볼이 정해진 표적에 가장 빨리 도달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RFID 볼들을 이용하여 전자식 시간 측정을 수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전자적 특성을 갖는 모듈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모듈 요소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포인트 위치를 전자식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포인트.
○ 볼들이 보다 낮은 레벨로 떨어지고 게이트들이 목적에 따라 또는 시간-제어식으로 전자식으로 개방되는 모듈 요소들.
○ 볼이 가속되는 모듈 요소들이 목적에 따라 또는 시간-제어식으로 트리거될 수 있음.
○ 푸시버튼을 구비하는 모듈 발사 패드가 볼들이 방출될 때 전자식 시간 측정을 시작함.
○ 모듈 요소들이 칼라 센서를 통해 유입되는 볼들을 검출하고 볼들이 도달하는 순서를 검출함.
○ 모듈 요소들이 특정한 개수의 볼들 또는 특정한 칼라의 볼들이 도달했으면 시간 측정을 정지시킴(조정 가능).
○ 모듈 요소들이 RFID 태그들을 판독할 수 있음. 따라서 이들은 목적에 따라 개개의 볼들을 검출하고 각기 다르게 반응할 수 있음.
○ 볼이 모듈 요소를 가로지르거나 혹은 모듈 요소 안으로 굴러가는 때를 광학식 또는 전자식 센서(접점은 폐쇄됨)를 통해 검출하는 모듈 요소들.
○ 모듈 요소들이 속도 측정을 위한 차광막을 포함함.
○ 모듈 요소들이 내장형 음향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음: 사전에 규정된 조건이 발생되면(예컨대, 볼이 모듈 요소를 통과하거나 혹은 볼이 표적에 도달하면) 음향이 재생됨.
○ 모듈 요소들이 내장형 광원(전형적으로 LED)을 포함할 수 있음. 광원은 사전에 규정된 조건이 발생되면(예컨대, 볼이 모듈 요소를 통과하거나 혹은 볼이 표적에 도달하면) 조명함. 광원은 각기 다른 칼라로 조명할 수 있음.
● 모듈 요소들이 자체 전원(예컨대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이고 교체식인 배터리)을 구비할 수 있음.
● 모듈 요소들이 유입 신호들을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반응을 트리거할 수 있는 통합형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음.
● 모듈 요소들은 서로 그리고/또는 중앙 유닛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음.
○ 중앙 유닛은 자체 전원을 구비할 수 있고 무선을 통해 무선 모듈을 구비하는 모든 전자식 모듈 요소들과 통신할 수 있음. 전자식 모듈 요소들의 특성은 중앙 유닛을 통해 조정될 수 있음. 전자식 모듈 요소들 간의 논리 연산이 또한 중앙 유닛을 통해 확립될 수 있음.(예: 포인트는 규정된 볼이 표적에 들어왔을 때에만 스위치됨).
○ 중앙 유닛은 입력 요소들(예컨대 푸시버튼들, 스위치들)을 통해 제어될 수 있음. 내장 스피커 또는 내장 스크린이 출력 요소의 역할을 할 수 있음.
○ 대안적으로, 중앙 유닛은 무선을 통해 스마트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PC)와 통신할 수 있음. 중앙 유닛에 대한 모든 조정(예컨대, 전자식 모듈 요소들의 파라미터화 및 프로그래밍)은 스마트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음.
● 전자식 모듈 요소들은 적당한 소프트웨어(앱)로 스마트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PC)와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음.
● 각각의 모듈 요소의 전형적인 파라미터들(모듈 요소에 따라, 예를 들어 방출 조건, 대기 시간, 로직 기능들...)은 무선을 통해 모듈 요소들 내에서 조정될 수 있음.
● 전자식 모듈 요소들은 그 상태 및 상태 변화들을 무선을 통해 중앙 유닛 또는 스마트 장치에, 또는 직접 다른 전자 모둘 요소들에 보고함
● 전자식 모듈 요소들은 전형적인 파라미터들이 모듈 요소 상에서 직접 조정될 수 있게 하는 모듈 요소 상의 스위치들 또는 푸시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이른바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예를 들어 앱의 형태로 된) 특수한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들을 확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 볼 트랙이 특수 소프트웨어(예컨대 앱)를 거쳐 카메라 또는 스마트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통해 보이면, 볼 트랙은 살아나게 됨. 가상 그래픽에 의해 비디오 이미지 내에 이동 가능한 부품 및 고정된 부품이 보충되고 그리고/교체됨.
● 스마트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내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트랙의 이미지들이 만들어짐. 데이터는 전자적으로 평가되고 스마트 장치 또는 서버에 있는 적당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추가로 처리됨. 생성된 공간 데이터세트는 사용되는 모듈 요소들의 수와 유형을 계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기반이 됨. 그러면 소프트웨어는 스마트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적당한 구성 명령들(building instructions)을 발생시킴.
● 트랙이 특수 소프트웨어(예컨대 앱)를 거쳐 카메라 또는 스마트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통해 보이면, 볼들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검출됨. 볼이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스마트 장치는 이에 상응하게 무선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식 모듈 요소들을 제어함.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모듈 요소의 예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 요소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듈 요소를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모듈 요소들 간의 갭을 브리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연결 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 레일의 상측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연결 레일과 도 1의 모듈 요소의 협동을 서로 다른 두 가지 상태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의 칼럼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칼럼 요소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 시스템의 중간 플레이트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기능성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모듈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의 모듈 요소에 삽입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성 인서트들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모듈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모듈 요소를 피니시 레일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포인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볼텍스(vortex)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타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가우스 캐논(Gauss cannon)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볼-리프트(ball-lift)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두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1은 보다 뚜렷한 볼-리프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두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2는 게이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세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3은 투출(sling) 또는 사출(catapult)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세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4는 가속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두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5는 볼을 다른 볼을 이용하여 방출시키기 위한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26은 발사(firing)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두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7은 3방향 분배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4개의 인접한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28은 벨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29는 크로스오버(crossover)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인접한 두 개의 모듈 요소와 함께 도시한다.
도 30은 루프를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1은 브리지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2는 체커드 플래그(checkered flag)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3은 스플래시(splash)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4는 "레그-업(leg-up)"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5는 캐스케이드(cascade)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6은 수집 및 전달(collect and transfer)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7은 임펄스(impulse)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도 38은 도 37의 모듈 요소를 다른 배열 형태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모듈 요소(12)의 예를 여러 가지로 도시하는데,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은 다수의 모듈 요소를 포함하고, 모듈 요소들은 전부 크기가 동일한 정육각형으로 도시된 외부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모듈 요소는 모듈 요소들을 함께 놓는 것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볼 트랙 섹션을 그 상면 위에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모듈 요소(12)의 예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다른 모든 모듈 요소와 마찬가지로, 상면(14), 상면 반대쪽의 저면(16), 그리고 6개의 측면(18)을 구비한다. 도시된 모듈 요소(12)에서 두 개의 볼 트랙 섹션(20, 22)이 상면(14) 위에 형성되는데, 볼 트랙 섹션들은 원의 일부분의 형상을 갖는 단면을 구비하며 모듈 요소(1)의 면(14)에 끼워진다. 제1 볼 트랙 섹션(20)은 모듈 요소(12)의 도 1에서의 좌측 측면(18)에서 시작하여 모듈 요소(12)의 도 1에서 바로 인접하는 상부 측면(18)까지 곡선 형태로 연장하는데, 제1 볼 트랙 섹션(20)이 두 개의 측면(18) 각각을 통과함으로써 볼 트랙은 추가 모듈 요소들을 더하는 것에 의해 계속될 수 있다. 제2 볼 트랙 섹션(22)은 도 1에 도시된 모듈 요소(12)의 좌측, 하부 측면(18)에서 시작하여 덜 뚜렷한 곡선으로 모듈 요소(12)의 도 1에서 다음 우측 측면(18)까지 이어진다. 볼 트랙 섹션들(20, 22)의 시작과 끝이 단지 볼이 상응하는 볼 트랙 섹션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볼이 볼 트랙 섹션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방향에 따라, 볼 트랙 섹션의 시작은 동시에 볼 트랙 섹션의 끝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특히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모듈 요소912)의 예 및 볼 트랙 시스템의 다른 모든 모듈 요소들은 전체적으로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즉 상면(14)과 적어도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는 측면(18)의 높이가 데카르트 좌표계의 다른 두 공간 방향에서의 모듈 요소(12)의 치수들보다 훨씬 작다.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플러그 베이스(24)가 모듈 요소(12)의 예의 저면(16)으로부터 그리고 또한 볼 트랙 시스템의 다른 모든 모듈 요소들로부터 돌출하는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베이스는 정육각형의 형태를 갖고, 그 측면들은 모듈 요소(12)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육각형의 측면(18)들과 평행하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듈 요소(12)의 예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부품이고, 이러한 이유로 저면(16)은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모듈 요소(12)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 리브(26)들이 측면(18)들을 형성하는 외부 벽들(28)과 플러그 베이스(24)를 형성하는 내부 벽(30)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32)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여기서는 육각형인 다수의 리세스들을 구비하며, 리세스들 각각은 하나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리세스(34)들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여기서는 벌집 형상으로 형성된 격자로 배열되고, 그리드의 격자 치수(s)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육각형의 내접원 직경,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육각형에 내접할 수 있는 가장 큰 원의 직경에 상응한다.
따라서, 플러그 베이스(24)에 의해, 모듈 요소(12)의 예와 같은 모듈 요소들이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에 끼워 맞춰질 수 있고, 바로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에 끼워 맞춰진 모듈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서, 각각의 경우에, 측면(18)들 중 하나와 동일한 높이에 놓이고, 이에 따라 모듈 요소 위에 형성되는 볼 트랙 섹션이 인접한 모듈 요소 위에 형성되는 볼 트랙 섹션과 거의 전이가 없는 방식(transition-free manner)으로 합쳐질 수 있다. 도 3과 도 5를 고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접원 직경(d)은 모듈 요소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육각형의, 그리드 치수(s)에 상응하는 내접원 직경보다 작다.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32)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도 5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들을 인터록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는 그 가장자리들에 여기서는 도브테일(dovetail) 형상 돌출부(38)들 및 도브테일 형상 컷아웃(40)들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개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들이 서로 걸어 잠길 수 있다. 도시된 돌출부(38)들 및 컷아웃(40)들의 형성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들에서, 돌출부들과 컷아웃들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들 및 컷아웃들 둘 다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가장자리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시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들은 여기서 예를 들어 통상의 지그소 퍼즐의 생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안정성 있는 판지로 만들어지지만,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들은 다른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 목재로도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개개의 모듈 요소들을 베이스 플레이트(32) 위에서 볼 트랙의 희망하는 경로에 따라 서로의 옆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모듈 요소(12)의 예와 같은 모듈 요소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서 조립되어 볼 트랙을 형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기재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모듈 요소들이 베이스 플레이트(32) 위에서 서로의 바로 옆에 배열되어야만 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연결 레일(42)들을 더 포함하기 때문이다. 단 한 개의 사전 결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 레일(42)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만,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은 다른 길이의 연결 레일들, 예를 들어 세 개의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연결 레일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길이들은 서로 1:2:3일 수 있다. 즉 가장 긴 연결 레일이 가장 짧은 연결 레일보다 세 배 길다.
연결 레일(42)은 실질적으로 여기서는 두 개의 로드(44)로 형성되는데, 두 개의 로드는 원형 실린더형 단면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리고 볼 트랙의 섹션을 형성한다. 로드(44)들은 서로 연결되어, 로드(44)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트랙 아래에서 연장하는 다수(여기서는 세 개)의 크로스 부재(46)에 의해 사다리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각각의 로드(44)는 후크와 같은 방식으로 하방 절곡되는 두 개의 자유 단부(48)를 구비한다. 후크형 단부들(48)에 의해 연결 레일(42)은 모듈 요소 위에 형성되는 각각의 볼 트랙 섹션(도 1 참조)의 끝 또는 시작에서 모듈 요소(12)의 예에 (그리고 다른 모든 모듈 요소에도 또한)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개구(50)에 걸어 잠길 수 있다. 정확하게는, 후크 개구(50)들은 볼 트랙 섹션이 모듈 요소(12)의 측면(18)을 통과하는 지점에 바로 인접하게 볼 트랙의 양 사이드에서 볼 트랙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연결 레일(42)의 후크형으로 하방 절곡된 자유 단부(48)들의 모듈 요소(12)의 후크 개구(50)들과의 협동이 도 8a 및 도 8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연결 레일(42)이 모듈 요소(12)를 동일한 평면에 놓인 추가 모듈 요소(미도시)에 연결하는 구성 형태를 도시하는 반면, 도 8b는 연결 레일(42)이 높은 레벨에 있는 모듈 요소(12)를 낮은 레벨에 있는 모듈 요소(미도시)에 연결하는 구성 형태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두 개의 구성 형태는 연결 레일(42)의 길이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가능한데 이는 후크 개구(50)가 연결 레일(42)의 자유 단부(48)들이 연결 레일(42)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볼 트랙의 종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자유도(x)를 가지고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결 레일(42)들은 동일한 레벨 또는 다른 레벨에 있을 수 있는,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지 않은 두 개의 모듈 요소들 간의 갭을 브리지하는 역할을 한다. 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볼이 모듈 요소로부터 연결 레일로 또는 반대로 연결 레일로부터 모듈 요소로 이동함에 따라 볼 트랙 밖으로 떨어지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로드(44)들의 자유 단부(48)들 가까이에 배열된 각각의 크로스 부재(46)가 사이드들에서 길어지고 상승되고 이에 따라 연결 레일(42)로부터 모듈 요소로의 전이부에 가까운 볼 트랙의 양 사이드 위에 가드(52)들을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이 가드들 위에 볼이 지지될 수 있다(도 7 참조). 볼 트랙 위에서 구르는 볼을 위해 연결 레일(42)과 모듈 요소 간의 전이부가 가능한 덜컥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로드(44)는 그 상측 사이드에 각각의 자유 단부 가까이 있는 구역에 있는 램프형 융기부(54)를 더 구비하고, 이 융기부는 연결 레일(42) 위에서 구르는 볼을 모듈 요소로 넘어가기 직전에 살짝 들어 올린다. 도시된 형태에서, 연결 레일(42)들은 유리하게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생산될 수 있다.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이 모두 동일한 평면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언급했다. 모듈 요소(12)의 예와 같은 모듈 요소들을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볼 트랙 시스템은 칼럼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이 칼럼 요소(56)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모듈 요소와 부합하게, 칼럼 요소(56)들은 모듈 요소들과 비교하여 내접원 직경이 약간 작은 정육각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다. 칼럼 요소(56)들이 모듈 요소들 및 베이스 플레이트(32)와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칼럼 요소(56)는 그 상면에 리세스(34')를 구비하며, 그 배치 형태와 치수는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에 상응한다. 따라서 모듈 요소(12)의 플러그 베이스(24)는 이 리세스(34')에 끼워 맞춰진다. 각각의 칼럼 요소(56)는 그 저면 위에 플러그 베이스(24')를 더 구비하며, 이는 형상, 배열 형태 및 치수에 있어 모듈 요소(12)의 플러그 베이스(24)에 상응한다. 따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칼럼 요소를 이용하여 모듈 요소(12)를 최상측 칼럼 요소(56)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모듈 요소들이 여러 가지로 다양한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높이의 단계적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하기 위해, 볼 트랙 시스템은 높이가 각기 다른,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칼럼 요소(56)의 높이의 단지 절반인 높이(h)를 갖는, 칼럼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칼럼 요소(56)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볼 트랙의 보다 큰 구역들이 베이스 플레이트(32)보다 높은 레벨에 또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중간 플레이트(58)가 사용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32)와 마찬가지로 중간 플레이트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육각형 리세스(34")를 구비하며, 각각의 경우 리세스는 하나의 플러그 베이스(24, 24')를 수용한다. 중간 플레이트(58)의 리세스(34")들은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과 동일한 벌집 형상 격자에 배열되고, 동일한 격자 치수(s)를 갖는다. 중간 플레이트(58)의 각각의 리세스(34")의 저면에는, 예를 들어 칼럼 요소(56)의 리세스(34')에 끼워 맞춰지는 플러그 베이스(24")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2) 위에 중간 플레이트(58)를 칼럼 요소(58)들로 구성된 다수의 칼럼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에 의해, 볼 트랙의 중간 레벨들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볼 트랙의 주행이 보다 흥미롭고 보다 흥분되게 한다. 중간 플레이트(58) 아래에 위치한 볼 트랙의 구역들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중간 플레이트(58)는 유리하게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의 모듈 요소들의 다른 형태들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주변 형태 및 치수가 도 1에 도시된 모듈 요소의 주변 형태 및 치수에 상응하지만, 여기서는 관통 개구의 형태이고 모듈 요소(12')의 상면(14) 위에 형성된 다수의 볼 트랙 섹션(20')과 연통하고 볼 트랙 섹션(20')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성 인서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중앙 개구(60)를 구비하는 모듈 요소(12')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기능성 인서트들의 몇 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도 13a는 예를 들어 모든 볼들이 도달해야 하는 표적(target)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트레이의 형태로 된 기능성 인서트(62)를 도시한다. 표적에 도달하는 볼들은 기능성 인서트(62)에 수집된다.
13b는 예를 들어 보다 높은 레벨로부터 볼들을 포획하여 출구(64)를 통해 볼 트랙 섹션(20')들 중 하나로 전달하는 램프의 형태로 된 기능성 인서트(62')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기능성 인서트(62')는 볼 트랙의 시작 지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c는 모듈 요소(12')의 볼 트랙 섹션(20')을 거쳐 도달하는 볼을 수용하고 이를 모듈 요소(12')의 중앙 관통 개구(60)로 안내함으로써, 이 볼이 보다 높은 레벨로부터 그 아래에 위치한 레벨로 떨어지게 하는 기능성 인서트(62")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3d는 모듈 요소(12')의 세 개의 볼 트랙 섹션(20') 각각과 연통하고 세 개의 오목부(66)를 구비하는 기능성 인서트(62"')를 도시하는데, 오목부들 각각에 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위치된 평면에 배열된 모듈 요소(12')에 있는 상술한 기능성 인서트(62")를 이용하여 추가의 볼이 위로부터 기능성 인서트(62"') 가운데로 떨어지면, 오목부(66)들에 위치된 세 개의 볼은 모듈 요소(12')의 세 개의 볼 트랙 섹션(20')의 방향으로 "스플래시(splash)된다".
상술한 기능성 인서트들(62, 62', 62", 62"')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다른 많은 기능성 인서트들이 가능하다. 또한 모듈 요소(12')의 중앙 개구(60)가 반드시 관통 개구의 형태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볼이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질 필요가 없으면 바닥(미도시)을 대신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모듈 요소(12")를 도시하는데, 이 모듈 요소는 상면에 형성된 두 개의 볼 트랙 섹션(20', 22')이 교차하는 점에서만 도 1에 도시된 모듈 요소(12)와 다르다.
도 15는 세 개의 볼 트랙 섹션(20", 21", 22")를 공통의 출구로 인도하는 모듈 요소(12"')를 도시하며, 출구에는 도 6의 연결 레일(42)과 유사한 피니시 레일(68)이 걸어 잠겨 있다. 이 마지막 레일(finish rail)(68)은 두 개의 모듈 요소들 간의 갭을 브리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연속해서 표적에 도달하는 볼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볼들의 마지막 배치는 볼들이 마지막 레일(68)에 의해 수용되는 순서대로 얻어진다.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에 더하여 액션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 요소들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6은 포인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모듈 요소(70)의 상면(14) 위에, 함께 Y자 형상의 형태를 갖는 두 개의 볼 트랙 섹션(71, 72)이 형성된다. 포인트 요소(74)는 볼 트랙의 Y자 형상 부분 위에서 모듈 요소(70)의 상면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Y자의 발 부분을 지향하는 긴 가이드 암(76) 및 Y자의 다리 부분들을 지향하는 두 개의 짧은 컨트롤 암(78)을 구비한다. 도 16에 도시된 포인트 요소(74)의 위치에서, Y자의 발 부분에서 유입되는 볼은 포인트 요소(74)의 가이드 암(76)에 의해 오른쪽 볼 트랙 섹션(72)으로 안내되고, 여기에서 두 개의 컨트롤 암(78) 중 오른쪽 컨트롤 암을 타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컨트롤 암(78)을 타격하는 볼은 포인트 요소(74)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볼이 더 굴러 갈 수 있게 하고 가이드 암(76)이 이제 볼 트랙의 반대쪽에 있는 Y자의 발 부분에 안착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Y자의 발 부분에서 모듈 요소(70)로 굴러 들어오는 다음 볼이 왼쪽 볼 트랙 섹션(71)으로 안내되고, 이 때 포인트 요소(74)는 다시 도 16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모듈 요소(70)는 Y자의 발 부분에서 모듈 요소로 굴러가는 볼들을 볼 트랙 섹션(71) 및 볼 트랙 섹션(72)으로 교대로 안내한다. 포인트 요소(74)는 물로 필요에 따라 손에 의해서도 또한 선회될 수 있다.
도 17은 이른바 볼텍스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80)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듈 요소(80)는 바닥에 중앙 개구(84)를 구비하는 깔때기의 형태로 된 영역(82)을 구비한다. 볼 트랙 섹션(20')들을 통해 모듈 요소(80)로 들어가는 볼들은 먼저 깔때기의 형태로 된 영역(82)의 볼텍스 라인 형상에서 이동하고 나서 중앙 개구(84)를 통해 모듈 요소(80) 외부로 떨어진다.
도 18은 세 개의 볼을 위한 스타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86)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세 개의 볼 리시버(88)가 중앙 영역에서 모듈 요소의 상면에 형성되며, 볼 리시버들 각각에 하나의 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볼들을 커버하며 모듈 요소(86)의 상면과 직교하게 스프링-장착되는 릴리스 컴포넌트(90)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상부 위치에서, 볼 리시버(88)들에 배열된 볼들이 굴러 나가는 것을, 각각에 관련된 볼 트랙 섹션(2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배리어(92)에 의해 방지한다. 릴리스 컴포넌트(90)의 중앙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아래로 누르는 것에 의해, 배리어(92)들은 볼 리시버(88)들에 위치된 볼들이 동시에 자유롭게 굴러갈 수 있을 정도까지 하강된다.
도 19는 이른바 가우스 캐논(Gauss cannon)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94)를 도시한다. 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듈 요소(94)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볼 트랙 섹션(96)이 볼 트랙 섹션(96)에 대해 횡으로 배열되고 브리지형 홀더(100)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형 자석(98)에 의해 막혀 있다. 자성 소재로 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볼이 자석(98)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자기력에 의해 볼들이 굴러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 하나의 사이드로부터 추가의 볼이 볼 트랙 섹션(96)으로 굴러가서 이미 위치되어 있는 볼들을 타격하면, 자석(98)의 충격으로부터 먼 사이드에 있는 볼이 타격하는 볼의 충격에 의해 방출된다.
도 20은 볼-리프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02)를 도시한다. 모듈 요소(102)의 상면(14) 위에, 램프(ramp)(106)를 구비하는 볼 트랙 섹션(104)이 형성되는데, 램프의 레벨은 볼 트랙 섹션(104)의 시작부보다 높다. 볼 트랙 섹션(104)을 가로지르는 레버(110)가 브리지형 홀더(108)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110)는 도 20에서 그 하단부에 릴리스 부재(112)를 구비하는데, 릴리스 부재는 도시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짧은 암(113) 및 들어오는 볼을 향하는 방향으로 짧은 암과 직각으로 연장하는 긴 암(114)을 구비한다. 레버(110)의 반대쪽 단부에, 웨이트(116)가 고정된다. 도 20에 도시된 레버(110)의 시작 위치에서, 레버는 이른바 상사점 위치에 있다. 즉 웨이트(116)가 그 무게 중심이 모듈 요소(102)의 상면(14)과 직교하고 홀더(108)를 통과하여 이어지는 평면의 약간 오른쪽에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모듈 요소(102)로 굴러 가는 볼은 릴리스 부재(112)의 짧은 암(113)을 타격함으로써 레버(110)가 상사점 밖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고, 이에 따라 이제 홀더(108)를 통과하여 이어지는 상술한 평면의 왼쪽에 위치된 웨이트가 레버(110)의 선회를 지속시키고 가속시킨다. 릴리스 부재(112)의 긴 암(114)이 볼과 접촉하여 볼을 램프(106)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21은 보다 뚜렷한 볼-리프트 기능을 갖는 다른 모듈 요소(118)를 도시한다. 상술한 모듈 요소(102)와 유사하게, 레버(110')는 홀더(108')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웨이트(116')를 구비한다. 웨이트(116') 반대쪽 단부에, 레버(110')는 볼을 수용하기 위한 컵(120)을 구비한다. 컵(120)의 자유 가장자리는 볼 트랙 섹션(20')에 장착된 스프링-장착 릴리스 레일(122)에 접하고 이에 의해 선회가 방지된다. 볼 트랙 섹션(20')으로 굴러 들어가는 볼은 컵(120)으로 굴러 들어감에 따라 그 무게로 릴리스 레일(122)을 누르고, 이에 따라 레버(110')는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 웨이트(116')는 레버(110')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이에 의해 컵(120) 안의 볼은 볼 트랙 섹션(20')의 높은 레벨로 이송된다.
도 22는 게이트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24)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아크형 게이트 요소(126)가 모듈 요소(124)의 상면(14) 위에 형성된 볼 트랙 섹션(125)을 가로지른다. 도시된 위치에서, 게이트 요소(126)는 볼이 볼 트랙 섹션(125)의 게이트 요소의 다른 쪽에 위치한 부분까지 가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 요소(126)에는 스푼 형상 릴리스 부재(128)가 연결되는데, 이 릴리스 부재는 모듈 요소(124)의 다른 볼 트랙 섹션(129)과 결합되어 있다. 스푼 형상 릴리스 부재(128)와 아크형 게이트 부재(126) 사이에, 상술한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게이트가 13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볼이 스푼 형상 릴리스 부재(128)에 도달하면, 볼은 그 무게로 스푼 형상 릴리스 부재를 누르는 동시에 게이트 요소(126)를 상승시켜서, 볼 트랙 섹션(125)에 처음 유지되어 있던 볼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도 23은 투출 또는 사출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32)를 도시한다. 이 모듈 요소(132)의 기능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듈 요소(118)의 기능과 유사하지만, 모듈 요소(132)는 컵(120)을 갖는 원-사이드 레버(110") 만을 구비한다. 레버(110")는 고무 밴드(13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기 위해 바이어스되어 있다. 컵(120)으로 굴러 들어가는 볼이 릴리스 레일(122)을 누르자마자, 레버(110")는 고무 밴드(134)의 탄성 바이어스로 인해 순간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컵(120)의 볼을 오른쪽으로 사출한다.
도 24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듈 요소(102)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36)를 도시한다. 그러나 모듈 요소(102)와 달리, 유입되는 볼은 상사점을 넘은 후에 릴리스 부재(112')에 의해 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되지 않고, 해머형 웨이트(116")가 후방에서 볼을 타격하여 볼을 도 24의 오른쪽으로 가속시킨다.
도 25는 다른 볼을 이용한 볼 방출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38)를 도시한다. 모듈 요소(102)와 유사하게, 레버(140)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지만, 이 레버는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암(141, 142)을 구비한다. 제1 암(141)은 모듈 요소(138)의 발사 램프(143) 위에 배열되고 원형 개구를 구비하는데, 원형 개구의 직경은 사용되는 볼의 직경에 상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암(141)에 의해 발사 램프(143)의 상측 단부에 유지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직 하방으로 안내되는 레버(140)의 제2 암(142)은 릴리스 부재(144)를 구비한다. 모듈 요소(138)로 굴러가는 볼은 릴리스 부재(144)를 타격하고, 이에 의해 레버(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살짝 선회함으로써 제1 암(141)에 의해 유지되는 볼을 방출한다.
도 26은 다른 볼을 위한 발사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46)를 도시한다. 모듈 요소(146) 위에는 스프링-바이어스된 피스톤(150)을 구비하는 발사 장치(148)가 배열된다. 발사 장치(148)의 왼쪽과 오른쪽에, 두 개의 릴리스 부재(152)가 모듈 요소(146) 위에 있고, 바이어스된 피스톤(150)을 방출하기 위하여 릴리스 부재들이 유입되는 볼의 무게에 의해 눌러질 수 있다. 그러면 피스톤(150)의 전방에 놓인 볼이 인접한 볼 트랙 섹션으로 발사된다.
도 27은 3방향 분배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54)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듈 요소(70)와 유사하게, 모듈 요소(154) 또한 대체로 Y자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볼 트랙 섹션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Y자의 발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볼 트랙 섹션은 전체 모듈 요소(154)에 걸쳐 연장하고 이에 따라 Y자의 발부분으로 굴러가는 볼은 각기 다른 세 개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중앙 볼 트랙의 오른쪽과 왼쪽에 배열된 두 개의 포인트 요소(156, 157)에 의해 실시되는데, 각각의 포인트 요소는 긴 가이드 암(158, 158') 및 짧은 가이드 암(159, 159')을 구비하며, 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선회 가능한 포인트 요소(156, 157)들이 도 27에서 제1 볼이 오른쪽 아래의 볼 트랙 출구를 통해 모듈 요소(154)를 이미 떠났을 때 발생하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다음 볼이,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상부에 위치된 모듈 요소(154)의 볼 트랙 출구로 안내되어 중앙 통로를 막지 않는 위치에 포인트 요소(156)를 위치시킨다.
도 28은 벨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60)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벨(162)이 벨 캡의 가장자리가 모듈 요소(160)의 상면(14)에 형성되는 볼 트랙 섹션(162)으로 돌출하도록 모듈 요소(160) 위에 배열된다. 볼 트랙 섹션(162)을 통과하는 볼은 벨(162)을 타격하고 이에 따라 벨은 소리를 울린다.
도 29는 크로스오버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64)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듈 요소(164) 위에 원형 링의 형태로 연장하고 두 개의 출구(166, 167)와 연통하는 볼 트랙 섹션(16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출구(166)를 통해 원형 볼 트랙 섹션(165)에 들어가는 볼은 원에서 안내되고 다른 출구(167)를 통해 모듈 요소(164)를 빠져나간다.
도 30은 루프의 형태로 된 볼 트랙 섹션이 형성된 모듈 요소(168)를 도시한다.
도 31은 브리지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듈 요소는 모듈 요소 전체에 걸쳐서 직선으로 연장하는 볼 트랙 섹션(173)을 그 상면(14)에 구비하고 또한 브리지 방식으로 볼 트랙 섹션(173)과 교차하는 볼 트랙 섹션(174)을 구비한다.
도 32는 체커드 플래그(checkered flag)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브리지와 같은 방식으로 모듈 요소(176)를 가로지르는 체커드 플래그(178)가 표적 깔때기(179)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장 깊은 지점에 릴리스 부재(180)가 있다. 볼이 표적 깔때기(179)로 굴러가면, 볼은 그 무게로 릴리스 부재(180)를 누르고, 이에 의해, 볼이 표적에 도달했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체커드 플래그(178)가 도 32에 도시된 위치 밖으로 상방으로 선회된다.
도 33은 이른바 스플래시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이 모듈 요소(182)의 기능은 도 13d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성 인서트(62"')의 기능에 상응한다.
도 34는 이른바 "레그-업"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모듈 요소(184) 위에, 제1 볼 트랙 섹션(185)이 형성되는데, 제1 볼 트랙 섹션은 브리지와 같은 방식으로 볼 트랙 섹션을 가로지르는 볼 트랙 섹션(186) 아래에서 끝난다. 브리지형 볼 트랙 섹션(186)에서, 정확히 볼 트랙 섹션의 위에, 브리지형 볼 트랙 섹션(186)을 가로지르는 볼이 일반적으로 포획되는 원형 구멍(187)이 있다. 그러나, 볼 트랙 섹션(185)의 단부에 볼이 있으면, 이 볼은 브리지형 볼 트랙 섹션(186)을 가로지르는 볼이 더 굴러갈 수 있을 정도로 구멍(187)을 채운다. 대안적으로, 볼 트랙 섹션(185)으로 굴러가는 볼은 구멍(187)에 이미 볼이 있을 때 이 볼이 볼 트랙 섹션(185)으로 굴러가는 볼에 의해 "자유로워져" 더 굴러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35는 이른바 캐스케이드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88)를 도시한다. 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듈 요소(188)의 출구로 이어지는 마우스(mouth)(192)를 구비하는 깔때기(190)가 모듈 요소(188)에 체결된다. 모듈 요소(188)의 두 개의 입구는 각각 유입되는 볼의 무게에 의해 눌릴 수 있는 릴리스 부재(194)를 구비한다. 마우스(192)에 배열되는 게이트(미도시)는 릴리스 부재(194)가 눌리는 것에 의해 잠금 해제되고, 이에 따라 깔때기(190) 내의 모든 볼들이 하방으로 떨어지고 마우스(192)를 통해 인접한 볼 트랙으로 굴러간다.
도 36은 수집 및 전달(collect and transfer)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196)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듈 요소(196)는 선회 가능하게 그리고 편심적으로 장착된 컵(198)을 구비하는데, 볼 트랙의 보다 높은 레벨로부터의 볼들이 도 36의 왼쪽으로부터 이 컵으로 떨어질 수 있다. 특정한 수의 볼들, 예컨대 세 개의 볼이 컵(198)에 떨어지자마자, 컵(198)은 그 상사점을 넘어가서 타측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그 안에 수집된 볼들이 보다 낮은 레벨에 놓인 인접한 볼 트랙 섹션으로 방출된다.
도 37은 임펄스 기능을 갖는 모듈 요소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202)가 모듈 요소(200) 위에 배치되는데, 로드는 양방향으로 모듈 요소(200) 너머로 돌출하여 인접한 볼 트랙 섹션들까지 도달한다. 로드(202)의 한 단부가 볼에 의해 타격되어, 그 충격이 로드(202)를 통해 반대쪽 단부까지 진행되어 반대쪽 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볼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8은 도 37의 모듈 요소를 변형된 형태로 도시한다. 임펄스는 다시 로드(202)를 통해 하나의 볼로부터 다른 볼로 전달되지만, 임펄스 전달은 도 38에 따르면 로드(202)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Claims (22)

  1.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으로,
    - 다수의 모듈 요소(12; 12') 및 - 베이스 플레이트(32)를 포함하되,
    모듈 요소들 전부가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정육각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모듈 요소 각각은 -- 상면(14), -- 상면 반대쪽의 저면(16) 및 -- 모듈 요소의 모서리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측면(18)을 가지고, 각각의 모듈 요소(12; 12')는 그 상면(14)에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20, 22)을 형성하고, 볼 트랙 섹션은 모듈 요소의 측면(18)을 관통하고, 플러그 베이스(24)가 각각의 모듈 요소의 저면(16)에서 각각의 모듈 요소(12; 12')로부터 돌출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34)를 구비하되, 다수의 리세스(34)가 베이스 플레이트(32) 위에 격자로 배열되고, 격자의 격자 치수(s)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육각형의 내접원 직경에 상응하고,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에 끼워 맞춰지는 모듈 요소(12; 12')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18)으로 맞닿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2.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으로,
    - 다수의 모듈 요소 및 - 베이스 플레이트(32)를 포함하되,
    모듈 요소들 전부가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정육각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모듈 요소 각각은 -- 상면(14), -- 상면 반대쪽의 저면(16) 및 -- 모듈 요소의 모서리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측면(18)을 가지고, 각각의 모듈 요소(12; 12')는 그 상면(14)에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20, 22)을 형성하고, 볼 트랙 섹션은 모듈 요소의 측면(18)을 관통하고, 각각의 모듈 요소는 플러그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그 저면(16)에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한 개씩의 리세스와 협동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되,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격자로 배열되고, 격자의 격자 치수(s)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육각형의 내접원 직경에 상응하고,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끼워 맞춰지는 모듈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18)으로 맞닿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24)의 형태 및 각각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리세스(34)의 형태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모듈 요소(12; 12')가 서로에 대해 각각 한 개의 측면(18)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는 위치에서만 모듈 요소들(12; 12')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끼워 맞춰지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24)의 형태 및 각각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리세스(34)의 형태는 모듈 요소들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정육각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내접원 직경(d)은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지 않은 두 개의 모듈 요소(12; 12') 사이의 갭을 브리지하기 위한 볼 트랙의 섹션들을 형성하는 연결 레일(42)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레일(42)이 볼 트랙의 섹션을 형성하는 두 개의 로드(44)를 구비하되, 로드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로드들에 대해 횡으로 볼 트랙 아래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크로스 부재(46)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그리고 자유 단부(48)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로드(44)들의 자유 단부(48)들은 후크와 같은 방식으로 하방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46)는 로드(44)들의 자유 단부(48)들 각각의 가까이에 배열되고, 볼 트랙의 양 사이드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가드(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각각의 로드(44)가 그 상측 사이드 위의 자유 단부 가까이에 램프형 융기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볼 트랙의 섹션(20, 22)이 모듈 요소의 측면(18)을 통과하는 지점 또는 그러한 각각의 지점에서 바로 인접한 각각의 모듈 요소(12; 12')가 연결 레일(42)들을 위해 볼 트랙의 양 사이드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개구(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후크 개구(50)들이 로드(44)들을 구비하는 연결 레일(42)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후크 개구(50)가 연결 레일(42)들이 볼 트랙의 종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정도(x)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높이를 갖는 칼럼 요소(56)들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칼럼 요소가,
    - 그 저면에는 모듈 요소들(12; 12')의 플러그 베이스(24)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24')를 그리고 그 상면에는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에 상응하는 리세스(34')를 구비하거나, 혹은
    - 그 저면에는 모듈 요소들의 리세스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그리고 그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중간 플레이트(58)를 더 포함하되,
    이 중간 플레이트(58)가,
    -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 24')를 수용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34")로, 형상 및 배열 형태가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리세스(34)들에 상응하는 다수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각각의 리세스(34")가 그 저면에 모듈 요소(12; 12')의 플러그 베이스(24)에 상응하는 플러그 베이스(24")를 구비하거나, 혹은
    -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로, 형상 및 배열 형태가 각각이 한 개씩의 리세스와 협동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플러그 베이스들에 상응하는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를 구비하고, 중간 플레이트의 각각의 플러그 베이스가 그 저면에 모듈 요소들의 리세스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2)가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에 함께 걸릴 수 있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세그먼트(3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곡선 볼 트랙 섹션(20) 및 제2 곡선 볼 트랙 섹션(22)이 상면(14)에 형성되는 다수의 모듈 요소(12)를 포함하고, 제1 곡선 볼 트랙 섹션(20)은 제2 곡선 볼 트랙 섹션(22)보다 더 뚜렷한 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모듈 요소의 상면(1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20)과 연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20)과 결합되는 기능성 인서트를 수용하는 중앙 개구(60)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요소(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 트랙 섹션이 포인트, 루프, 볼 리프터, 가우스 캐논, 사출기, 및 깔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션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 요소들(70, 80, 86, 94, 102, 118, 124, 132, 136, 138, 146, 154, 160, 164, 168, 172, 176, 182, 184, 188, 196, 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크기가 동일하고 무게는 각기 다른 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자성이 각기 다른 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통합형 RFID 칩을 구비하는 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각각이 한 개씩의 플러그 베이스(24)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2)에서의 다수의 리세스(34)의 규칙적인 배열 형태, 또는
    - 각각이 한 개씩의 리세스와 협동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에서의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베이스가
    벌집 구조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KR1020197025032A 2017-01-27 2017-01-27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KR102193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51820 WO2018137776A1 (de) 2017-01-27 2017-01-27 Modulares kugelbahn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48A KR20190141648A (ko) 2019-12-24
KR102193628B1 true KR102193628B1 (ko) 2020-12-21

Family

ID=5798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032A KR102193628B1 (ko) 2017-01-27 2017-01-27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857452B2 (ko)
EP (1) EP3573728B1 (ko)
JP (1) JP6856776B2 (ko)
KR (1) KR102193628B1 (ko)
CN (1) CN110582330B (ko)
AU (1) AU2017396363B2 (ko)
CA (1) CA3051029C (ko)
DK (1) DK3573728T3 (ko)
ES (1) ES2817577T3 (ko)
HU (1) HUE050605T2 (ko)
IL (1) IL268247B (ko)
LT (1) LT3573728T (ko)
PL (1) PL3573728T3 (ko)
PT (1) PT3573728T (ko)
RU (1) RU2719694C1 (ko)
SI (1) SI3573728T1 (ko)
WO (1) WO2018137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8888S1 (en) * 2018-01-17 2021-08-24 Ravensburger Ag Toy constructor piece
JP2020130560A (ja) * 2019-02-19 2020-08-31 株式会社 白川製作所 運動玩具
TWD209404S (zh) * 2020-01-27 2021-01-11 德商芮文斯堡股份有限公司 軌道系統玩具
CN111295979A (zh) * 2020-02-28 2020-06-19 蒋彩霞 一种具有高效分苗的农业用机械装置
JP1677108S (ko) * 2020-03-25 2021-01-18
US11547949B2 (en) 2020-11-19 2023-01-10 Makeway Ltd Universal modular marble course system
DE102021112743A1 (de) 2021-05-17 2022-11-17 ad hoc Film- und Fernsehproduktion GmbH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Öffnungs- oder Sperrmechanismus
RU209028U1 (ru) * 2021-08-24 2022-01-28 Данила Евгеньевич Моргин Настольная игра
US20230311015A1 (en) * 2022-04-02 2023-10-05 Benjamin Michael Cedarberg Unit based building block ball ru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139A (ja) * 1999-02-13 2002-10-29 ブラウン,ウィルフリート ボールトラック形式のゲーム
JP2012213652A (ja) * 2005-04-18 2012-11-08 Q-Ba-Maze Inc 相互接続モジュール式パスウェ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167A (en) * 1978-03-10 1980-01-15 Michael Jatich Three dimensional toy
DE3402726A1 (de) 1984-01-27 1985-08-01 Richard Simm & Söhne GmbH & Co, 7500 Karlsruhe Kugelrollbahn
US4713038A (en) 1985-07-05 1987-12-15 Discovery Toys, Inc. Marble race game
DE3673646D1 (de) * 1986-01-28 1990-09-27 Kurt Hesse Vorrichtung zum stuetzen von fahrbahnen fuer fahrspielzeuge.
US5312285A (en) * 1992-09-04 1994-05-17 Playskool, Inc. Descending ball game apparatus
US5344143A (en) * 1993-07-19 1994-09-06 Lance Yule Marble run game
GB2285755A (en) 1994-01-12 1995-07-26 Polymart Ind Marble race game device
HU781U (en) * 1995-08-30 1996-04-29 Fuchsne Tolnay Building bricks with bowling-leader playing field
US5904021A (en) * 1997-07-29 1999-05-18 Fisher; Kirk R. Modular flooring recreational use
ATE226468T1 (de) 1999-02-04 2002-11-15 Andreas Stadlbauer Mechanische tiernachbildung
USD492736S1 (en) * 2001-10-24 2004-07-06 Tomy Company, Ltd. Training toy
DE202004007574U1 (de) 2004-05-12 2005-09-22 Hermann Rossberg Gmbh & Co Kg Kugelbahn
EP1864704A1 (en) * 2006-06-06 2007-12-12 Marco Perego Modular play structure
DE102010020659A1 (de) * 2010-05-03 2011-11-03 Meinbaukasten Gmbh Murmelbahnsystem
USD712491S1 (en) * 2012-06-30 2014-09-02 Cepia Llc Ball track set
US9409097B2 (en) * 2012-07-11 2016-08-09 Q-Ba-Maze Inc. Accessories to a modular pathway apparatus
CN203075626U (zh) * 2013-02-22 2013-07-24 浙江科技学院 一种迷宫玩具
US9925471B2 (en) * 2013-09-18 2018-03-27 Kids Ii, Inc. Toy with rotation mechanism
USD718823S1 (en) * 2013-11-30 2014-12-02 Robert Roland Cunningham Track element for a marble run toy
CN204428819U (zh) * 2015-03-18 2015-07-01 浙江忠协工艺品有限公司 轨道玩具连接结构
CN205699476U (zh) * 2016-05-09 2016-11-23 杭州大清智能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带有榫卯连接结构的轨道积木玩具
CN206045368U (zh) * 2016-09-14 2017-03-29 武汉犇犇向前冲科技有限公司 一种滚球传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139A (ja) * 1999-02-13 2002-10-29 ブラウン,ウィルフリート ボールトラック形式のゲーム
JP2012213652A (ja) * 2005-04-18 2012-11-08 Q-Ba-Maze Inc 相互接続モジュール式パスウェ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48A (ko) 2019-12-24
IL268247B (en) 2022-04-01
PL3573728T3 (pl) 2020-11-30
NZ755600A (en) 2022-03-25
DK3573728T3 (da) 2020-08-31
WO2018137776A1 (de) 2018-08-02
CN110582330B (zh) 2020-09-22
SI3573728T1 (sl) 2020-10-30
CA3051029A1 (en) 2018-08-02
PT3573728T (pt) 2020-09-10
RU2719694C1 (ru) 2020-04-21
ES2817577T3 (es) 2021-04-07
IL268247A (en) 2019-09-26
AU2017396363A1 (en) 2019-08-08
HUE050605T2 (hu) 2020-12-28
AU2017396363B2 (en) 2020-12-10
US10857452B2 (en) 2020-12-08
JP6856776B2 (ja) 2021-04-14
JP2020508186A (ja) 2020-03-19
EP3573728A1 (de) 2019-12-04
CN110582330A (zh) 2019-12-17
US20200254329A1 (en) 2020-08-13
CA3051029C (en) 2022-09-13
LT3573728T (lt) 2020-09-25
EP3573728B1 (de)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628B1 (ko) 모듈형 볼 트랙 시스템
CA2793630C (en) Air hockey table
US11219838B2 (en) User controllable marble run kit
WO2006133278A3 (en) Toy vehicle playset and target game
JP4652354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4470411B2 (ja) 遊技機における遊技球の誘導装置
JP4663820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2010233749A (ja) 抽選装置、抽選システム及びメダルゲーム装置
JP2014023777A (ja) 遊技機
NZ755600B2 (en) Modular ball track system
JP5503176B2 (ja) ゲーム装置
JP6887970B2 (ja) 野球ゲーム盤
US8256770B1 (en) Skill game apparatuses
CN209248684U (zh) 扭蛋入洞装置
JP2009061181A (ja) 転動体供給装置及びメダルゲーム装置
JPH0229979Y2 (ko)
US8695983B1 (en) Game played with tiles
JP2007312955A5 (ko)
JP4880438B2 (ja) 遊技機
JPH0722300Y2 (ja) パチンコ球受口器
JP2021058739A (ja) 野球ゲーム盤
HU220244B (hu) Automata ügyességi játék
JPH03231694A (ja) 遊技機の入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