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413B1 -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413B1
KR102193413B1 KR1020200055056A KR20200055056A KR102193413B1 KR 102193413 B1 KR102193413 B1 KR 102193413B1 KR 1020200055056 A KR1020200055056 A KR 1020200055056A KR 20200055056 A KR20200055056 A KR 20200055056A KR 102193413 B1 KR102193413 B1 KR 10219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al structure
groove
synthetic resin
display unit
chamf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20005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comprising two side walls hinged to a base panel and two other side walls being extensions hinged to said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11/105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U-shaped halves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a rotation of 90 deg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중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유연성을 갖도록 면취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취홈부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절곡시 절곡면에 내각이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 판재를 이용하여 다면체 구조물을 전개시킨 상태로 절단 가공하고 접는 부위마다 면취홈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접어 다면체 구조물로 조립 가능하므로 불량이 감소와, 작업 공정 및 시간이 감소되며,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표시부가 삽입될 표시부 삽입구를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각각 개별 고정시킨 후 가공해야 하는 기존과 달리 다면체 구조물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한번에 가공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SYNTHETIC RESIN PANEL MANUFACTURE METHOD AND BO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ABS, PC,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판재를 이용하여 전개시킨 상태로 가공한 후 접어 다면체 구조물로 조립하는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특정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사용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내부에 조명을 구비한 상태에서 조명 빛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광고용 문구 등을 식별 가능하도록 광고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박스는 그 재질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종이에서부터 목재 및 아크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박스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74368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각 면을 구성하는 광고판을 기둥에 일일이 끼워 입체화시켜야 하므로 연결 부위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74368호(1999.1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판재를 이용하여 다면체 구조물을 전개시킨 상태로 절단 가공하고 접는 부위마다 면취홈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접어 다면체 구조물로 조립 가능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유연성을 갖도록 면취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취홈부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절곡시 절곡면에 내각이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표시부 삽입구를 단차 가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표시부를 결합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는,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구비한 상태에서 절곡시켜 다면체로 구성된 박스로서,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종, 횡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며,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종, 횡 면취홈부 그리고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면취홈부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 중 이웃한 단부 또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의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다면체 구조물 측면의 단부를 가고정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마다 형성된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표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유연성을 갖도록 면취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표시부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로 형성된 표시부를 결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취홈부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절곡시 절곡면에 내각이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 삽입구는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의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되고, 상기 제4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의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단부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면서 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구비한 상태에서 절곡시켜 다면체로 구성된 박스로서,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종, 횡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며,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종, 횡 면취홈부 그리고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면취홈부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상호 접합되고,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된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을 포함한 표시부가 결합되되, 상기 단차홈에 상기 표시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단부 내측면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면서 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홈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면서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벌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유연성을 갖도록 면취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표시부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로 형성된 표시부를 결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취홈부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절곡시 절곡면에 내각이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 삽입구는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의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의 돌출부 단부가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에 노출되면서 상기 단차홈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의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면서 양단부 내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상기 결합홈에 상기 고정부의 결합시 상기 고정부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과 단차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구비한 상태에서 절곡시켜 다면체로 구성된 박스로서,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종, 횡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며,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종, 횡 면취홈부 그리고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면취홈부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상호 접합되고,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된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을 포함한 표시부가 결합되되, 상기 단차홈에 상기 표시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에 노출되면서 상기 단차홈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면서 양단부 내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부의 표면이 상기 측판의 외면과 단차없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고정홈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면서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벌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 판재를 이용하여 다면체 구조물을 전개시킨 상태로 절단 가공하고 접는 부위마다 면취홈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접어 다면체 구조물로 조립 가능하므로 불량이 감소와, 작업 공정 및 시간이 감소되며,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표시부가 삽입될 표시부 삽입구를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각각 개별 고정시킨 후 가공해야 하는 기존과 달리 다면체 구조물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한번에 가공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합성수지 판재를 절곡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다면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에서 표시부 삽입구에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이웃한 측면을 고정구를 통해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합성수지 판재를 절곡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다면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에서 표시부 삽입구에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의 이웃한 측면을 고정구를 통해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은 합성수지 판재 절단 단계(S10), 면취홈부 형성 단계(S20), 표시부 삽입구 형성 단계(S30) 및 표시부 결합 단계(S40)를 포함한다.
합성수지 판재 절단 단계(S10)는 아크릴, ABS, PC,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판재(10)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다면체 구조물은 다면을 이루거나, 다각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즉, 다면체 구조물이 다면을 이루는 경우 면과 면이 만나는 경계지점에 면취홈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기의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와 같이 다면체 구조물이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측면의 각 내면마다 접히는 부분과, 측면에서 각각의 내면 테두리와 상, 하부면에서 각각의 내면 테두리에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된다.
면취홈부 형성 단계(S20)는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해당하는 합성수지 판재(10)에 유연성을 갖도록 "V"자 형상 등의 면취홈부(1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면취홈부(12)는 골 부분이 합성수지 판재(10)의 저면에서 소폭에 해당하는 높이부터 형성되어 골 부분에서 접힘이 가능해진다.
즉, 면취홈부 형성 단계(S20)는 다면체 구조물(100)에 형성된 면과 면이 각을 갖도록 접을 경우 면취홈부(1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면과 면 간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면취홈부 형성 단계(S20) 수행시 면취홈부(12)는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판재의 제조 과정에서 금형 등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표시부 삽입구 형성 단계(S30)는 다면체 구조물의 면에 해당하는 합성수지 판재(10)에 표시부(1140)가 결합되도록 표시부 삽입구(1120)를 단차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표시부 삽입구(1120)는 가장자리에 단차홈(1122)이 형성되어 표시부(1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된다.
표시부 결합 단계(S40)는 표시부 삽입구(1120)에 표시부(1140)가 결합되는 단계이다.
이때, 표시부(1140)는 한글, 숫자, 영문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비된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표시된 돌출부(1142)와, 돌출부(1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로 형성된다.
더욱이, 표시부(1140)는 표시부 삽입구(1120)에 결합시 돌출부(1142)의 저면이 표시부 삽입구(1120)의 주위면과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100)는 아크릴, ABS, PC,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판재(10)를 박스 전개도에 맞게 구비한 상태에서 면의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다면체로 구성하며, 측판(110) 및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10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오각기둥 등의 형상이 적용 가능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다각기둥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100)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4개의 측판(110)과, 4군데 중 어느 하나의 측판(110)의 상하단에 연장된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을 포함한다.
측판(110)은 각각의 내면 상하좌우 테두리마다 서로 평행한 횡 면취홈부(112)와 종 면취홈부(114)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횡 면취홈부(112)와 종 면취홈부(114)는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판재의 제조 과정에서 금형 등에 의해 형성 가능하며, 골 부분이 합성수지 판재(10)의 저면에서 소폭에 해당하는 높이부터 형성되어 골 부분에서 접힘이 가능해진다.
횡 면취홈부(112)는 상, 하부 마감판(120, 130)에 형성된 제1-1 면취홈부(122) 및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제2-1 면취홈부(132) 및 제2-2 면취홈부(134)와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측판(110)과 상, 하부 마감판(120, 130) 간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횡 면취홈부(112)는 측판(110)의 연결 개수에 따라 다각형 형상이 달라지는 종 면취홈부(114)와 다르므로 제1-1 면취홈부(122) 및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제2-1 면취홈부(132) 및 제2-2 면취홈부(134)와 동일하게 45°의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종 면취홈부(114)는 박스(100)의 평면 형상에 따라 사잇각(θ)이 달라진다. 즉, 다면체(100)의 평면 형상이 사각[도 4 및 도 6(a) 참조]인 경우 사잇각(θ)은 90°로, 이웃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의 접합시 이웃한 측판(110)의 결합 각도는 90°이다.
이와 다르게, 박스(100)의 평면 형상이 삼각[도 6(b) 참조]인 경우 종 면취홈부(114)의 사잇각(θ)은 60°로, 이웃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의 접합시 이웃한 측판(110)의 결합 각도는 60°이고, 다면체(100)의 평면 형상이 오각[도 6(c) 참조]인 경우 종 면취홈부(114)의 사잇각(θ)은 108°로, 이웃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의 접합시 이웃한 측판(110)의 결합 각도는 108°가 된다.
이렇게, 종 면취홈부(114)는 측판(110)을 사각통 형태로 접는 경우 면취홈부(1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측판(110)과 측판(110) 간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측판(110)에는 표시부(1140)가 결합되도록 표시부 삽입구(1120)가 관통 형성된다.
표시부 삽입구(1120)는 가장자리에 단차홈(1122)이 형성되어 표시부(1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된다.
표시부(1140)는 한글, 숫자, 영문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비된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표시된 돌출부(1142)와, 돌출부(1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로 형성된다.
더욱이, 표시부(1140)는 표시부 삽입구(1120)에 결합시 돌출부(1142)의 저면이 표시부 삽입구(1120)의 주위면과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더욱이,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는 서로 연결된 다른 종 면취홈부(114)와 달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데, 접착제가 굳기 전까지 접착테이프 등이 적용되는 접착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가고정된다.
이와 다르게, 도 9를 참조하면,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이 고정부(118)에 의해 상호 결속 가능하다.
이때,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의 외면에 결합홈(116)이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며, 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고정돌기(116a)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118)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 내측면에 고정홈(118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의 외면에 고정부(118)를 결합하면, 고정부(118)의 고정홈(118a)이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의 외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6a)에 결합되면서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이 벌어지지 않게 한다.
이때, 고정부(118)는 측판(110)과 측판(110)을 연결시키는 용도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을 측판(110)에 고정할 때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은 측판(1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박스(100)의 상, 하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서로 평행한 횡방향의 제1-1 면취홈부(122)와, 서로 평행한 종방향의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서로 평행한 횡방향의 제2-1 면취홈부(132)와, 서로 평행한 종방향의 제2-2 면취홈부(134)가 각각 형성된다.
제1-1 면취홈부(122)와,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제2-1 면취홈부(132)와, 제2-2 면취홈부(134)는 측판(110)의 연결 개수에 따라 다각형 형상이 달라지는 종 면취홈부(114)와 다르므로 측판(110)의 상하 횡 면취홈부(112)와 같이 45°의 경사면을 갖는다.
더욱이,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은 4군데의 측판(110)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므로 나머지 3군데인 일측의 제1-1 면취홈부(122) 및 제2-1 면취홈부(132)와 양측의 제1-2 면취홈부(124) 및 제2-2 면취홈부(134)는 서로 연결된 다른 타측의 제1-1 면취홈부(122) 및 제2-1 면취홈부(132)와 달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데, 접착제가 굳기 전까지 접착테이프 등이 적용되는 접착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측판(110)에 가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100)의 제조 과정을 도 5,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크릴, ABS, PC,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판재(10)를 박스(100)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한다.
다음으로, 박스(100)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한 상태에서 측판(110)에 표시부 삽입구(1120)를 가공한다.
다음으로, 박스(100)의 측면인 측판(110)의 각 내면 테두리마다 서로 평행한 횡 면취홈부(112)와 종 면취홈부(114)를 각각 형성하고, 박스(100)의 상, 하면을 구성하는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의 각 내면 테두리마다 제1-1 면취홈부(122)와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제2-1 면취홈부(132)와 제2-2 면취홈부(134)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으로, 표시부 삽입구(1120)에 표시부(1140)를 결합시켜, 돌출부(1142)의 저면(표면)이 표시부 삽입구(1120)의 주위면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마다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측판(110)이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종 면취홈부(114)들의 경계 지점을 기점으로 측판(110)을 절곡시킨다.
이때, 측판(110)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110)의 종 면취홈부(114)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접착제가 굳기 전까지 접착테이프 등이 적용되는 접착부에 의해 가고정된다.
다음으로,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의 제1-1 면취홈부(122)와, 제1-2 면취홈부(124) 그리고 제2-1 면취홈부(132)와 제2-2 면취홈부(134)마다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다음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이 측판(110)과 접합되도록 측판(110) 중 상, 하부 마감판(120, 130)과 연결된 일측 제1-1 면취홈부(122)와 제2-1 면취홈부(132)의 경계 지점을 기점으로 상, 하부 마감판(120, 130)을 각각 절곡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합성수지 판재 12: 면취홈부
100: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
110: 측판 112: 횡 면취홈부
114: 종 면취홈부 120, 130: 상, 하부 마감판
122: 제1-1 면취홈부 124: 제1-2 면취홈부
132: 제2-1 면취홈부 134: 제2-2 면취홈부

Claims (5)

  1.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외형을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경계지점에 유연성을 갖도록 면취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표시부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로 형성된 표시부를 결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취홈부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과 면의 절곡시 절곡면에 내각이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 삽입구는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의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의 돌출부 단부가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에 노출되면서 상기 단차홈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단계 수행시 상기 표시부의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면서 양단부 내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상기 결합홈에 상기 고정부의 결합시 상기 고정부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과 단차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2. 삭제
  3. 합성수지 판재를 다면체 구조물의 전개도에 맞게 구비한 상태에서 절곡시켜 다면체로 구성된 박스로서,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종, 횡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구성하며, 각 내면의 테두리마다 면취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며,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종, 횡 면취홈부 그리고 상기 종, 횡 면취홈부와 상기 면취홈부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상호 접합되고,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면마다 관통 형성되면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홈이 형성된 표시부 삽입구에 문자 및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된 플랜지 구조물을 포함한 표시부가 결합되되, 상기 단차홈에 상기 표시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물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 및 플랜지 구조물의 표면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면상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외면에 노출되면서 상기 단차홈이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상호 결속 가능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면서 양단부 내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 중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밀착시 "ㄱ"자 형상으로 조합 형성되되, 양단부에 직교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직교 방향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홈 내벽에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의 외면에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부의 표면이 상기 측판의 외면과 단차없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고정홈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면서 이웃한 단부에 형성된 측판이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측면 중 이웃한 단부 또는 상기 다면체 구조물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의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다면체 구조물 측면의 단부를 가고정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을 이용한 박스.
  5. 삭제
KR1020200055056A 2020-05-08 2020-05-08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KR10219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56A KR102193413B1 (ko) 2020-05-08 2020-05-08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56A KR102193413B1 (ko) 2020-05-08 2020-05-08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413B1 true KR102193413B1 (ko) 2020-12-21

Family

ID=7409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56A KR102193413B1 (ko) 2020-05-08 2020-05-08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31U (ja) * 1992-12-10 1994-07-0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組立箱
JPH06183442A (ja) * 1992-12-18 1994-07-05 Ebara Seisakusho:Kk 組立箱の組立方法及び組立箱
KR0174368B1 (en) 1988-08-22 1999-10-01 Hitachi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4307028A (ja) * 2003-04-08 2004-11-04 Toyokon:Kk 梱包装置、梱包板材及び梱包用連結具
KR200432842Y1 (ko) * 2006-08-09 2006-12-08 이용화 반지의 문양형성구조
KR20160088768A (ko) * 2015-01-16 2016-07-26 박순덕 완구용 입체딱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368B1 (en) 1988-08-22 1999-10-01 Hitachi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649331U (ja) * 1992-12-10 1994-07-0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組立箱
JPH06183442A (ja) * 1992-12-18 1994-07-05 Ebara Seisakusho:Kk 組立箱の組立方法及び組立箱
JP2004307028A (ja) * 2003-04-08 2004-11-04 Toyokon:Kk 梱包装置、梱包板材及び梱包用連結具
KR200432842Y1 (ko) * 2006-08-09 2006-12-08 이용화 반지의 문양형성구조
KR20160088768A (ko) * 2015-01-16 2016-07-26 박순덕 완구용 입체딱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44848A (ja) フレーム構造体
KR102193413B1 (ko)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JP2007328119A (ja) 地球儀の型紙
JPH11157569A (ja) 梱包用コーナー材
JPH10194285A (ja) 梱包箱
JPH0651131U (ja) 収納箱
JPS6236730Y2 (ko)
JP7188699B2 (ja) 梱包体
JP4926672B2 (ja) ダンボール製間仕切り装置及び間仕切り形成用ダンボール板
KR100345477B1 (ko) 다각형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S604779Y2 (ja) ブツクカバ−
KR200373837Y1 (ko) 조립식 포장용 상자
JPH075828A (ja) 展示用パネル装置とその組立方法
JPS6232470Y2 (ko)
KR200191191Y1 (ko)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
EP1223052B1 (en) Foldable tumbler for writing items
JP2023025898A (ja) ドーム型構造物、構造物ユニット、パネル及びパネルセット
JPH0123320Y2 (ko)
JP3010289U (ja) 段ボール製コーナーパッキン
JP3094811U (ja) 折曲げ組立式容器
JPH04502799A (ja) パネル取付手段
JPH0749998Y2 (ja) 紙製組立て玩具
TWM624638U (zh) 無段差接合之紙製容器以及用於製成該紙製容器的紙材
JP2005029236A (ja) 保管及び組立て容易な段ボール箱
JP2022047557A (ja) 段ボール等の板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