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837Y1 - 조립식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837Y1
KR200373837Y1 KR20-2004-0031363U KR20040031363U KR200373837Y1 KR 200373837 Y1 KR200373837 Y1 KR 200373837Y1 KR 20040031363 U KR20040031363 U KR 20040031363U KR 200373837 Y1 KR200373837 Y1 KR 200373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box
wing
cardboard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이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근 filed Critical 이승근
Priority to KR20-2004-0031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는 조립식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박스는 일체로 형성된 판지를 접어 별도 공정없이 조립공정만으로 제작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100)로서, 상기 판지는,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과; 측면편을 그 양단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편과; 4개의 밑면편; 및 4개의 윗면편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윗면편은, 2개의 긴 윗면편인 지지편(270, 290) 및 2개의 짧은 윗면편인 날개편(260, 280)으로 구성되고, 지지편(270, 290) 각각에는 그 긴 방향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된 2개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편(260, 280) 각각의 자유단은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양측의 긴 날개부(264, 268, 284, 288)와 중앙의 짧은 날개부(266, 286)가 구비되며, 긴 날개부가 경사 삽입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택배 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로서, 특히 포장 마감을 위한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이 단순히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포장 마감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포장용 상자{Packaging Box Assembled}
본 고안은, 예컨대 택배 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로서, 특히 포장 마감을 위한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이 단순히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포장 마감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택배 등을 위하여 물품을 포장하는 박스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함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내측에, 필요한 경우 완충제 등과 함께, 물품을 넣게 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에는, 골판지나 판지 형상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접어서 완성하는 판지 상자가 있다. 밑면과 윗면이 모두 박스테이프로 테이핑되어 마감되는 타입은 가장 간단하고 별도의 특별한 재단과정이 필요없어 대량 생산제품의 포장에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박스는 별도의 접착공정 및/또는 테이핑 작업이 윗면과 아래면 2차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다양한 조립식 상자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포장용 상자(30)도 역시 널리 사용되는 포장용 박스 형태로서, 밑면은 조립식으로 되어 있고 윗면만이 박스테이프로 테이핑되어 마감된다. 도시된 예와 같이, 이 상자(30)는 윗면만이 테이핑 작업을 요하는 형태이며, 밑면은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이 조립만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자(30)는, 네 개의 측면편(32, 33, 34, 35)과 이에 대응하는 네 개의 윗면편(36, 37, 38, 39), 그리고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측면편(32, 33, 34, 35)의 양 자유단을 예컨대 접착제 또는 스테이플과 같은 부착 수단에의해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1, 35a) 등을 가진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라인은 접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람이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접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입된 홈의 형태로 형성된 절곡 라인이다. 이 절곡 라인들을 따라 접음으로써 입체적인 상자(30)가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30)의 밑면은, 네 개의 밑면편(42, 44, 46, 48)으로 이루어지는데, 긴 측면편(32)에 대응하는 제 1 밑면편(42)의 양측부는 각각 서로 거울 대칭인 경사측부(422, 424)를 이루고, 그 자유단은 돌출부(426)를 이룬다. 다른 긴 측면편(34)에 대응하는 제 3 밑면편(46)의 양측부는 경사져 있지 않고 직선형태의 측부(462, 464)를 이루고, 그 자유단은 중앙이 오목부(469)를 이루도록 양 측에서 돌출부(468, 466)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밑면편(46)의 양측에는, 짧은 측면편(33, 35)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밑면편(44)과 제 4 밑면편(48)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제 3 밑면편(46)과 인접한 측부가 경사측부(444, 482)를 이룬다. 이들 짧은 밑면편(44, 48)의 제 3 밑면편(46)에서부터 먼 측부는 직선형태의 측부(442, 484)를 이루고, 그 자유단은 각각 돌출부(446, 486)를 이룬다.
상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먼저 측면과 밑면을 완성하게 된다. 상자(30)의 측면의 제작에 있어서, 도 1의 (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편(32, 33, 34, 35)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절곡 라인을 따라 90ㅀ씩 접혀지고 또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측면편(32, 33, 34, 35)의 양 자유단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상자의 네 개의 측면을 이루게 된다. 측면편(32, 33, 34, 35)의 양 자유단이 서로 부착될 때, 일 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1)과, 타 자유단 즉 측면편(35)의 자유단(35a)이 접착제 또는 스테이플 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상자(30)의 밑면은 테이핑 작업없이 단순 조립작업만으로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이 형성된 후, 먼저, 자유단의 양측이 돌출되어 있는 제 3 밑면편(46)을 대응하는 측면편(36)에 대해 90ㅀ를 이루도록 접는다. 그후, 제 3 밑면편(46)의 양측에서 짧은 제 2 및 제 4 밑면편(44, 48)을 접어, 제 3 밑면편(46)에 접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밑면편(42)을 접으면, 제 1 밑면편(42)의 돌출부(426)가 제 3 밑면편(46)에 걸리게 되며, 한편 제 1 밑면편(42)의 양 경사측부(422, 424)는 제 2 및 제 4 밑면편(44, 48)의 돌출부(446, 486)에 의해 걸리게 된다. 이때, 제 1 밑면편(42)을 계속 접혀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제 3 밑면편(46)이 상자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밑면편(42)의 돌출부(426)는 제 3 밑면편(46)의 오목부(469)를 통해 상자 안쪽으로 삽입되며, 반면에 제 1 밑면편(42)의 양 경사측부(422, 424)는 제 2 및 제 4 밑면편(44, 48)에 의해 걸린 채 상자 외측에 그대로 남게 된다. 이리하여, 제 1 내지 제 4 밑면편(42, 44, 46, 48)은 서로 물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테이핑 작업 없이 밑면이 완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밑면이 완성되면,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상자 내부 공간에, 원하는 포장될 물품과 필요한 경우 완충제 등을 집어 넣고, 이후에 상자(30)의 윗면을 완성하여 상자를 마감하게 된다. 윗면편(36, 37, 38, 39)에 있어서는, 먼저 서로 마주보는 짧은 밑면편(37, 39)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절곡 라인을 따라 대응하는 측면편(33, 35)에 대해 90ㅀ를 이루도록 각각 접고, 그후 서로 마주보는 긴 밑면편(36, 38)을 대응하는 측면편(32, 34)에 대해 90ㅀ를 이루도록 각각 접는다. 그후, 윗면편(36, 38)의 자유단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박스테이프 등으로 테이핑함으로써 상자의 윗면이 완성된다. 테이핑 외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면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는, 윗면을 완성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 공정 또는 테이핑 작업이 필요하므로, 비용과 인력 등의 관련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영업을 영위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어, 소규모의 택배물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 공정이나 테이핑 작업 없이도 원하는 견고한 포장 강도를 충족하면서도, 동시에 포장시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생산라인에서도 별도의 테이핑, 스테이플링 공정 없이 단순히 벤딩 작업만으로 포장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문제를 해결하여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으면서도 조립시 필요한 견고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조립식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상자의 윗면 조립시, 복수의 날개부가 복수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포장 마감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날개부와 각 삽입부의 결합 관계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의 날개부와 복수의 삽입부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들이 거울 대칭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상자의 윗면을 조립한 경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원하는 견고한 마감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조립식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일면 조립식 포장용 골판지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를 조립하기 위한 골판지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전개도에 의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포장용 상자 110 : 고정편
120, 130, 140, 150 : 측면편 152 : 고정면부
160, 170, 180, 190 : 밑면편 260, 280 : 날개편
262, 282 : 절곡선 264, 268, 284, 288 : 긴 날개부
266, 286 : 짧은 날개부 270, 290 : 지지편
272, 274, 292, 294 : 삽입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의해 성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자는, 일체로 형성된 판지를 접어 별도 공정없이 조립공정만으로 제작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로서, 상기 판지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의 4 측면을 이루는,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과; 상기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을 그 양단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편과; 상기 직육면체 상자의 밑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상기 4개의 측면편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4개의 밑면편; 및 상기 직육면체 상자의 윗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상기 4개의 측면편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4개의 윗면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윗면편은, 2개의 긴 윗면편인 지지편 및 2개의 짧은 윗면편인 날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편 각각에는 그 긴 방향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된 2개의 경사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편 각각의 자유단은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양측의 긴 날개부 중앙의 짧은 날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편의 상기 긴 날개부가 상기 지지편의 경사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자의 입체적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의 경사 삽입부의 형태는 경사진 삼각형 또는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편의 상기 긴 날개부와 상기 날개편의 그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절곡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라, 상자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는 골판지 형태의 종이 또는 판지 형태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0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박스(100)의 거의 완성된 상태로서 윗면 조립과정이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위에서 종래 기술로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장용 상자(30)와 유사하게, 일체로 형성된 판지를 접어 제작하는 대체로 직육면체 상자 형태의 포장용 상자이다. 포장용 상자(100)에 사용되는 판지는 골판지 형태의 종이 또는 판지 형태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두께를 가지며 상자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시트지 또는 판지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포장용 상자(100)의 판지는,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 고정편(110), 4개의 밑면편(160, 170, 180, 190), 및 4개의 윗면편(260, 270, 280, 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각각의 부분편들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오목한 홈의 형태로 가압 프레스된 절곡 라인에 의해 사람의 힘에 의해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은, 포장용 상자의 형태인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의 4개의 측면을 이룬다. 동일한 모양의 2개의 짧은 측면편(120, 140)과 동일한 모양의 2개의 긴 측면편(130, 150)이 교대로 연결된다. 그 일 자유단에는 상기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을 그 양단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편(110)이 돌출 연결되는데, 이 고정편(110)은 반대쪽 자유단의 일부분(152)(도면에서 빗금친 영역)에 접착제 또는 스테이플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서 고정되는 부분이다.
4개의 밑면편(160, 170, 180, 190)은 상자(100)의 밑면을 이루는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접는 동작만으로 밑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조립형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밑면편(160, 170, 180, 190)은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 각각에 그 일단이 절곡 라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다.
4개의 윗면편(260, 270, 280, 290)은 상자(100)의 윗면을 이루는 부분이며, 본 고안에 따라,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에 날개부(264, 268, 284, 288)를 삽입함으로써 마감되어 윗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개선된 형태를 하고 있다. 각각의 윗면편(260, 270, 280, 290)은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 각각에 그 일단이 절곡라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특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100)의 윗면을 이루는 부분인 4개의 윗면편(260, 270, 280, 290)이 삽입되는 날개부와 삽입될 수 있는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히 접어서 삽입하는 조립 동작만으로 상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4개의 윗면편은, 2개의 긴 윗면편인 지지편(270, 290) 및 2개의 짧은 윗면편인 날개편(260, 280)으로 구성된다. 2개의 지지편(270, 290)은 서로 동일한 형태를 하며 서로 마주보게 접혀진다. 2개의 날개편(260, 280)도 역시 서로 동일한 형태를 하며 서로 마주보게 접혀진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지지편(270, 290) 각각에는 그 긴 방향(즉, 도 2에서 X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에 대한 수직선(즉, 도 2에서 Y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된 2개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가 구비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지지편(270, 290)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의 형태는 경사진 삼각형 또는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경사진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272, 274, 292, 294)에 삽입된 판지 부분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가압력이 작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삽입부(272, 274, 292, 294)는 서로 거울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단순히 직선 형태의 삽입부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포장 마감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72, 274, 292, 294)에 삽입될 부분으로서, 상기 날개편(260, 280) 각각의 자유단은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양측의 긴 날개부(264, 268, 284, 288)와 중앙의 짧은 날개부(266, 28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편(260, 280)의 상기 긴 날개부(264, 268, 284, 288)가 상기 지지편(270, 290)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짧은 날개부(266, 286)는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더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자 윗면의 삽입부 사이로 상자 윗면의 안쪽으로는 긴 날개부가 위치되고 상자 윗면의 바깥에는 짧은 날개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견고한 형태의 입체적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동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편(260, 280)의 상기 긴 날개부(264, 268, 284, 288)와 상기 날개편(260, 280)의 그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절곡선(262, 28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도시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비록 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정육면체의 포장용 상자도 역시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도시되고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아래에 청구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예컨대 택배 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로서, 특히 포장 마감을 위한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이 단순히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포장 마감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4)

  1. 일체로 형성된 판지를 접어 입체적 형상을 이루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100)로서, 상기 판지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의 4 측면을 이루는,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과; 상기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을 그 양단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편(110)과; 상기 직육면체 상자의 밑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상기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4개의 밑면편(160, 170, 180, 190); 및 상기 직육면체 상자의 윗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상기 4개의 측면편(120, 130, 140, 150)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4개의 윗면편(260, 270, 280, 290)을 포함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100)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윗면편은, 2개의 긴 윗면편인 지지편(270, 290) 및 2개의 짧은 윗면편인 날개편(260, 28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편(270, 290) 각각에는 그 긴 방향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된 2개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편(260, 280) 각각의 자유단은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양측의 긴 날개부(264, 268, 284, 288)와 중앙의 짧은 날개부(266, 286)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편(260, 280)의 상기 긴 날개부(264, 268, 284, 288)가 상기 지지편(270, 290)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자(100)의 입체적 형상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70, 290)의 경사 삽입부(272, 274, 292, 294)의 형태는 경사진 삼각형 또는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260, 280)의 상기 긴 날개부(264, 268, 284, 288)와 상기 날개편(260, 280)의 그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절곡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100)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는 골판지 형태의 종이 또는 판지 형태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20-2004-0031363U 2004-11-05 2004-11-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200373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63U KR200373837Y1 (ko) 2004-11-05 2004-11-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63U KR200373837Y1 (ko) 2004-11-05 2004-11-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837Y1 true KR200373837Y1 (ko) 2005-01-21

Family

ID=4935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363U KR200373837Y1 (ko) 2004-11-05 2004-11-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09B1 (ko) * 2019-07-05 2020-09-09 주식회사 비오엑스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09B1 (ko) * 2019-07-05 2020-09-09 주식회사 비오엑스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920B1 (ko) 권취롤용 단부벽
KR101532108B1 (ko) 중심잡기용 탭을 갖는 패킹 케이스, 절결부 세트 및 그러한 케이스를 구현하는 방법
CN201761701U (zh) 折叠纸盒
KR20210008765A (ko)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KR101357156B1 (ko) 하니콤박스 제조방법
US20110127318A1 (en) Interleaved spine container
JP5600495B2 (ja) 包装部材
KR200373837Y1 (ko)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101692832B1 (ko)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JPH0322106Y2 (ko)
KR200395089Y1 (ko) 포장박스의 조립구조
JP5388501B2 (ja) 梱包用部材
US4272208A (en) Connector device
US20180296937A1 (en) Modular unit for forming constructions for toy use
JP2015229513A (ja) 輸送用梱包容器
KR200373838Y1 (ko) 회전 조립식 포장용 상자
CN220096941U (zh) 支撑枕和纸板结构
KR200483615Y1 (ko) 수납상자
KR100360465B1 (ko) 다각형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7188699B2 (ja) 梱包体
KR100345477B1 (ko) 다각형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H0650336Y2 (ja) 包装用箱
JP7021830B2 (ja) 包装箱
JP3204901U (ja) パックの宙吊り包装箱及びその仕切板
JP3096921U (ja) 表皮を有する紙状板材の組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