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946B1 - 냉온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냉온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946B1
KR102191946B1 KR1020180140007A KR20180140007A KR102191946B1 KR 102191946 B1 KR102191946 B1 KR 102191946B1 KR 1020180140007 A KR1020180140007 A KR 1020180140007A KR 20180140007 A KR20180140007 A KR 20180140007A KR 102191946 B1 KR102191946 B1 KR 10219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ld
auxiliary tank
accommodation spac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097A (ko
Inventor
노형상
Original Assignee
노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상 filed Critical 노형상
Priority to KR102018014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를 비롯한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냉온풍 건조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전방에 개폐식 도어(M)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며 외부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110);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측면부에 다수의 공기분사부(125, 135)를 구비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건조실(120, 130); 상기 건조실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로부(X1~X3); 상기 건조실(120, 1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냉각부(140); 상기 제습냉각부(140)를 경유한 공기의 흐름을 유동하여 대류시키는 팬유닛(150); 상기 팬유닛(150)을 경유하는 공기를 제어부의 전원인가에 의해 가열시키는 가열부(160);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는 진공 보조 탱크(210);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보조 탱크(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온풍 건조장치{LOW AND HIGH TEMPERATUR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한 냉온풍 건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식품의 원재료로 이용되는 각종 채소나 과일 또는 해초류 등도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건조시키면 위생적인 처리와 생산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곡물의 경우 배아의 손상이 전혀 없이 건조시킴으로써 곡물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의 파괴가 전혀 없고, 장시간 동안 보관이 가능하며, 배아의 손상이 없기 때문에 종자로 이용시에도 발아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식재료 중 특히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류는 특유의 제품 특성으로 인해 건조의 조건과 과정이 매우 까다로우며, 온도와 습도, 건조 조건에 따라 차의 색상이나 성분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이에,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냉풍이나 온풍의 변경을 통한 건조 조건의 제어, 진공조건의 형성 및 가스 충진과 배출의 제어가 복합적으로 가능한 건조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989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수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를 마련하되,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하나의 장치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며, 농수산물의 특성에 맞는 건조 방식과 조건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농수산물의 상품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진공 보조 탱크와 진공 펌프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신속한 진공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질소 보조 탱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신속하게 질소 가스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건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현함과 동시에, 질소가스와 같은 가스를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녹차 건조의 경우에는 가바(GABA) 성분을 함유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건조용 대차를 수용공간에 바로 수용하여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전방에 개폐식 도어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며 외부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측면부에 다수의 공기분사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로부; 상기 건조실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냉각부; 상기 제습냉각부를 경유한 공기의 흐름을 유동하여 대류시키는 팬유닛; 상기 팬유닛을 경유하는 공기를 제어부의 전원인가에 의해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는 진공 보조 탱크; 상기 장치 하우징과 진공 보조 탱크 간에 설치되는 연결 배관을 개폐하는 제1 전자 밸브; 상기 진공 보조 탱크 내에 흡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펌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보조 탱크; 상기 장치 하우징과 질소 보조 탱크 간에 설치되는 연결 배관을 개폐하는 제2 전자 밸브; 및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는 제어반과 연동하며, 상기 제습냉각부, 팬유닛, 가열부, 제1전자 밸브 및 제2 전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 밸브를 열어 상기 진공 보조 탱크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며, 상기 진공 보조 탱크 내로의 가스 흡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전자 밸브를 닫아 상기 진공 펌프를 통해 상기 진공 보조 탱크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2 전자 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압력을 2km/cm2로 유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온풍 건조장치는 하부에 구동바퀴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바퀴부재 상에 다수의 선반부를 구비하여 이동 가능한 건조용 대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용 대차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수용되어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농수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를 마련하되,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하나의 장치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며, 농수산물의 특성에 맞는 건조 방식과 조건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농수산물의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진공 보조 탱크와 진공 펌프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신속한 진공 처리가 가능하며, 질소 보조 탱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신속하게 질소 가스의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건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현함과 동시에, 질소가스와 같은 가스를 인입할 수 있도록 하여, 녹차 건조의 경우에는 가바(GABA) 성분을 함유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건조용 대차를 수용공간에 바로 수용하여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의 내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의 외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식 대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의 내부 단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의 외부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식 대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전방에 개폐식 도어(M)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며 외부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110),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측면부에 다수의 공기분사부(125, 135)를 구비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건조실(120, 130), 상기 건조실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로부(F1~F4), 상기 건조실(120, 1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냉각부(140), 상기 제습냉각부(140)를 경유한 공기의 흐름을 유동하여 대류시키는 팬유닛(150), 상기 팬유닛(150)을 경유하는 공기를 제어부의 전원인가에 의해 가열시키는 가열부(160),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는 진공 보조 탱크(210)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보조 탱크(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상기 제습냉각부(140), 상기 팬유닛(150), 상기 가열부(160) 및 상기 가스인입유닛(G)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110) 외부에 마련되는 제어반과 연동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온도와 압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구성부분을 가동하는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냉풍과 온풍의 전환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의 수용공간에 진공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가스 충진을 통해 가압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정면부에는 개폐식 도어(M)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며 외부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110)의 경우, 전방의 도어(M)를 제외하고는 완전한 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실(120, 1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조실(120, 130)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동안 건조실 내부로 분사식으로 공기가 출사할 수 있도록, 건조실의 측벽부에 공기분사부(125, 135)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분사부(125, 135)는 도 3에서 후술하는 건조용 대차 구조물에 적층식으로 구비되는 건조 대상물을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에는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유닛(150)을 구비하며, 상기 팬유닛(150)은 밀폐된 수용공간 내부의 가스나 공기를 유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자연스럽게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제습냉각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팬유닛(150)에서 시작되는 공기의 흐름(유로)가 경유하도록 하여,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와 냉각기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습기와 냉각기는 공지의 제습장치의 제습필터와 냉매를 구비한 냉각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의 경우, 공기의 흐름에 따른 유로의 경유지에 전열히터를 포함하는 가열부(16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160)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풍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습냉각부(140)의 구동에 따라 냉각된 공기에 의한 냉풍건조를 수행하다, 온풍건조나 열풍건조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의 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공 보조 탱크(210) 및 질소 보조 탱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공 보조 탱크(210) 측에는 진공 펌프(211) 및 제1 전자 밸브(2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진공 펌프(211)는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에 흡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제1 전자 밸브(212)는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로의 연결 배관을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에 따르면 전자 밸브(212)를 열어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며,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로의 가스의 흡입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밸브를 닫고, 상기 진공 펌프(211)가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수용공간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의 수용공간 내부로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보조 탱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질소 보조 탱크(220)는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제2 전자 밸브(222)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질소 가스를 충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2km/㎠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는 진공 보조 탱크(210)와 진공 펌프(211)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신속한 진공 처리가 가능하며, 질소 보조 탱크(220)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신속한 질소 가스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농수산물의 보존 처리 및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와 상기 질소 보조 탱크(220)에 설치되는 제1 전자 밸브(221)과 제2 전자 밸브(222)는 기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에 적용되는 이동식 대차 구조물(건조용 대차)는 다수의 선반부(350)를 거치대(320)에 거치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하며, 하부에는 구동바퀴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조용 대차는 선반부(350)에 녹차잎과 같은 건조물을 배치한 후, 건조용 대차 자체를 상기 도 1에서의 수용공간으로 직접 집어 넣은 상태에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 이후, 다시 건조용 대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를 적용한 녹차, 홍차, 현미의 냉온풍 건조를 통해 가바(GABA)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는 작용예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1. 가바 ( GABA ) 성분을 함유하는 녹차의 제조공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를 적용하여, 가바 성분을 함유한 녹차를 제조할 수 있다. 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전처리공정
전처리 공정은 가바성분을 함유하는 차(이하, '가바차'라 한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생엽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우선, 가바차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인 찻잎의 1차 채엽시기는 4월 초부터 6월20까지 맑은 날 새싹을 채취하고, 탄방과정, 즉 수분탈취과정을 거친다. 탄방과정은 그늘에서 약2시간~5시간 수분을 탈취하고, 정선(풍력선별- 낱잎을 바람을로 날림)과정에서 정선기에서 풍력으로 낱 잎을 날려 건실한 잎을 선별한다. 이후, 1~5센티 두께로 채반에 펼쳐 널어 이동식 거치대에 배치한다.
(2) 진공가압공정(냉온풍 건조장치를 적용)
위 전처리 공정을 거친 찻잎은 1~5센티 두께로 채반에 펼쳐 널어 이동식 거치대(도 3 참조)에 배치한 후, 이동식 거치대를 도 4에 도시된 냉온풍 건조장치에 바로 입고하게 된다. 이동식 거치대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선반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부에 이동식 바퀴가 달린 구조로 찻잎을 배치한 선반을 다수개 적층하고, 바로 도 1 내지 도 3의 냉온풍 건조장치(이하, '건조장치')에 입고하여 냉온풍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 내에서 진공가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진공가압 건조가 가능한 건조장치에 정선된 찻잎을 입고하여, 진공 상태에서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가압하는 과정을 거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공가압공정은, a1) 밀폐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건조장치 내의 수용공간을 진공상태로 구현하는 단계, a2) 상기 수용공간에 진공가스를 충진하여 2~3시간 찻잎을 정치시키는 단계, a3)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a4) 상기 수용공간에 질소가스를 재충전하여 3~10시간 찻잎을 정치시키는 단계로 수행한다. 이후, 상기 a1)~a4) 단계의 과정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진공상태로 구현하는 진공처리공정은, 진공(10hg/20m~50mg/30m)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시켜 내부에 충진되는 질소가스 밀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후, 질소가스를 충진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질소가스의 충진(10kg/Cm)이 이루어지게 된후, 입고된 찻잎을 2~3시간 정도 질소가스 충진환경에 정치시키고, 이후 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가스의 배출은 찻잎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제거하고, 생엽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 내에 질소가스를 충진하고, 3~10시간 동안 찻잎을 정치시킨다.
이상의 진공가압공정은 적어도 2회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진공, 즉 혐기 상태에서 생엽에 대해 질소 분위기에서 가압이 수행하며, 생엽에 냉온풍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바, 가바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생엽의 온도가 23도를 초과하여 5시간이상 초과하게 되면, 생엽 발열에 의해 갈변되거나 부패되어 상품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바, 본 냉온풍의 조절이 가능한 건조장치 내에서 이러한 온도 조건을 이용하여 냉풍과 온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3) 중간처리공정
이후, 본 발명의 냉온풍 건조장치에서 진공가압처리를 거친 찻잎을 건조장치 외부로 축고하고, 찻잎속의 산화효소의 산화를 억제하고 녹색의 고유의 색을 유지하기 위해 150~250도의 범위에서 살청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신속하게 상온에서 냉각을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처리공정은 상기 건조장치에서 축고 후, 찻잎을 교반하고, 150도~250도 범위에서 살청과정을 구현한 후, 상온에서 15도 이하의 냉풍으로 냉각하고, 1차유념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냉풍으로 신속하게 살청처리를 거친 찻잎을 냉각하는 것은 찻잎의 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발휘한다.
(4) 후처리공정(냉온풍건조장치 적용)
중간처리를 거친 찻잎은 후처리 공정을 통해 수분함유율을 조절하게 된다.
본 후처리 공정은 b1) 상기 건조장치에 찻잎을 입고하고, 진공상태에서 수분함유율 70% 범위까지 10도~15도의 냉풍건조를 수행하는 1차 건조단계, b2) 살청기에서 150~170도의 온도로 수분함유율 50~60%까지 온풍건조를 수행하는 2차 건조단계, b3) 상기 찻잎의 형태를 체적이 작게 말아주는 2차 유념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b4) 상기 찻잎을 120~150도의 범위에서 수분함유율 30~40%로 건조하는 단계, b5) 10~15도의 냉풍으로 식히며 3차 유념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b6) 살청기에서 수분함유율 10~30%까지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2차 유념의 과정은 찻잎의 형태를 작게 말아주는 과정으로 유념의 강도에 따라서 찻잎의 채염시기에 따라 차의 우러나오는 용량을 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악, 3차건조와 4차 건조의 사이에도 냉풍으로 식히는 과정에서 유념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찻잎의 형태를 작고 곱게 잡아주게 된다.
(5) 선별처리 공정(냉온풍 건조장치 적용)
상술한 후처리공정 이후에 선별처리 공정이 수행된다. 이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 찻잎을 다시 입고하여 냉퐁 건조를 수행하고, 이후 굴림통 살청기에서 회전 교반하여 수분함유율을 낮추거 제품으로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c1) 건조장치에 찻잎을 입고하여 10~15도의 범위로 냉풍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c2) 굴림통 살청기에서 회전속도 5~20m/s로 수분함유율 5~7% 범위까지 건조하는 단계, c3) 열원을 인가해 수분함유율 5% 이내까지 찻잎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과 같이, 가바 성분을 함유한 녹차의 제조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냉풍과 온풍, 진공과 가압, 가스 충전의 환경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제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 가바 ( GABA ) 성분을 함유한 홍차의 제조공정
가바 성분을 함유하는 홍차의 제조공정도 상술한 녹차의 제조공정과 거의 유사하며, 일부 공정 조건의 차이가 적용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1) 전처리 공정
우선, 채엽을 수행하며, 1차 채엽시기는 4월 초부터 6월20까지 맑은 날 새싹을 채취하고, 탄방(수분탈취)과정으로 통해 그늘에서 약2시간~5시간 수분을 탈취하하며, 정선(풍력선별- 낱잎을 바람을로 날림)을 위해 정선기에서 풍력으로 낱 잎을 날려 선별한다.
(2) 진공가압처리 공정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의 이동식 대차 구조물의 선반에 1~5센티 두께로 펼쳐 널어 이동식 거치대에 적재 후 밀폐된 건조장치의 수용공간에 입고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100)의 진공펌프 유닛을 통해 진공 10hg/20m~50mg/30로 진공을 구현하고, 가스인입유닛을 이용하여 질소가스 충전(10kg/Cm)한다. 질소가스 환경에서 찻잎을 2시간 정도 정치 후, 다시 가스배출 및 진공상태의 구현을 시행한다. 이는 생엽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 배출하는 과정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다시 수용공간 내부에 질소가스를 충전한다. 이후, 질소가스 충전 공간에 3~20 시간 정도 정치시킨다.
일예로, 제어부의 설정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가 섭씨 22~30도를 초과하면 냉각기 가동하고, 섭씨 10도 이하로 내려가면 전열기 가동한다.
위의 공정을 반복하여 혐기상태에서 생엽을 10~30도 사이에서 5~13시간 정치하면서 가압, 진공 냉, 온풍을 이용하여 생엽에 자극을 주어 가바 생성을 유도하면 생엽에 가바 성분이 발현을 촉진 시킬 수 있다.
(3) 실내에서 2~4시간 정치 후 실외 햇볕 위조 (시들리기)
단맛과 감칠맛 발현 유도하기 위해 위조 공정을 수행하고, 이 경우, 실내 위조 1시간 전후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유념공정으로, 찻잎을 50~70분간 유념하면서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발효 유도시킨다.
(4) 발효
이후 찻잎을 발효실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에서 8~12시간 발효시키며, 이 경우, 쌓아두기 내부온도 40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5) 건조공정
이후, 찻잎을 교반 후 펼쳐 널어 건조를 수행하며, 이 때 발효 상태에 따라 교반 횟수 조절할 수 있다.
찻잎이 홍색으로 갈변되었음이 확인되면 상술한 본 발명의 냉온풍 건조장치에 입고하여, 수분함수율 20%까지 10~15도의 온도로 냉풍건조를 수행한다.
냉온풍 건조기 출고 후 펼쳐 널어 40~50분간 정치시키고, 다시 굴림통 건조기에서 회전속도 5~20/M 로 수분함수율 5~7% 범위까지 건조시키며, 이후 출고후 40~ 50분간 펼쳐 널기를 수행한다.
이후, 전기홍배기& 숯불홍배기에서 수분 함수율 5% 이하까지 건조가향하며, 거친 잎 선별 후 포장을 통해 가바 성분이 함유된 홍차를 제조할 수 있다.
3. 가바 ( GABA ) 성분을 함유한 발아 가바현미의 제조공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는 가바(GABA) 성분을 함유한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도 있다.
우선, 현미를 흐르는 물에 가볍게 세척 후 섭씨 10~20℃ 맑은 물에 8~12시간 불린다.
이후, 시야(한복안감) 자루에 담아 소쿠리에 참숯 깔고 올려 물을 빼고 자루위에 참숯 3~7센티를 덮어서 5시간 주기로 물을 부려 발아 유도한다. (참숯을 아래위로 깔아서 덮는 것은 수분조절과 발아과정에서 발아 열에 의한 변질을 막고 시큼한 잡냄새 발생 억제효과)
다음으로, 밀폐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장치에 넣고 진공 후 질소 가스를 충전하여 10~24시간 정치 하여 가바 발현을 유도하는 과정에 온도를 영상 2도에서 23도 까지 편차를 주어 발아 현미쌀에 자극을 가해 가바 발현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가바 발현 과정에서에서 현미 쌀 겉 표면에 존재하는 피트산이 분해되어 식감이 백미처럼 부드럽고 소화 흡수가 잘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발아 현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냉온풍 건조 장치에서 영상 18~23도 범위 내에서 수분 함수율 14%까지 건조 후 출고하여 제품제조를 완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냉온풍 건조장치
110: 하우징
120, 130: 건조실
140: 제습냉각부
150: 팬유닛
160: 가열부
210: 진공 보조 탱크
211: 진공 펌프
212: 제1 전자 밸브
220: 질소 보조 탱크
222: 제2 전자 밸브
X1~X4: 유로부

Claims (5)

  1. 전방에 개폐식 도어(M)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며 외부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110);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측면부에 다수의 공기분사부(125, 135)를 구비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건조실(120, 130);
    상기 건조실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로부(X1~X3);
    상기 건조실(120, 1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냉각부(140);
    상기 제습냉각부(140)를 경유한 공기의 흐름을 유동하여 대류시키는 팬유닛(150);
    상기 팬유닛(150)을 경유하는 공기를 제어부의 전원인가에 의해 가열시키는 가열부(160);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는 진공 보조 탱크(210);
    상기 장치 하우징(110)과 진공 보조 탱크(210) 간에 설치되는 연결 배관을 개폐하는 제1 전자 밸브(212);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에 흡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펌프(211);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보조 탱크(220);
    상기 장치 하우징(110)과 질소 보조 탱크(220) 간에 설치되는 연결 배관을 개폐하는 제2 전자 밸브(222); 및
    상기 장치 하우징(110)의 외부에 마련되는 제어반과 연동하며, 상기 제습냉각부(140), 팬유닛(150), 가열부(160), 제1전자 밸브(212) 및 제2 전자 밸브(2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 밸브(212)를 열어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를 흡입하며,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로의 가스 흡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전자 밸브(212)를 닫아 상기 진공 펌프(211)를 통해 상기 진공 보조 탱크(21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2 전자 밸브(222)를 개폐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압력을 2km/cm2로 유지하는 냉온풍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건조장치는,
    하부에 구동바퀴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바퀴부재 상에 다수의 선반부를 구비하여 이동 가능한 건조용 대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용 대차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수용되어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냉온풍 건조장치.
KR1020180140007A 2018-11-14 2018-11-14 냉온풍 건조장치 KR10219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07A KR102191946B1 (ko) 2018-11-14 2018-11-14 냉온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07A KR102191946B1 (ko) 2018-11-14 2018-11-14 냉온풍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97A KR20200056097A (ko) 2020-05-22
KR102191946B1 true KR102191946B1 (ko) 2020-12-17

Family

ID=7091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07A KR102191946B1 (ko) 2018-11-14 2018-11-14 냉온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9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73A (ja) 2001-05-08 2002-11-22 Tadao Maekawa 豆類の加熱乾燥機と豆類の乾燥装置
KR101741205B1 (ko)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KR200486638Y1 (ko) 2017-10-30 2018-06-15 황상용 농수산물용 제습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9979A1 (en) * 1989-11-16 1991-05-17 Kenneth D. Goebel Polymer blend composition
KR200398959Y1 (ko) 2005-06-14 2005-10-18 (주)동서기술 곡물류 및 채소 과일류의 저온 건조장치
KR101863565B1 (ko) * 2016-10-31 2018-06-01 노형상 가바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73A (ja) 2001-05-08 2002-11-22 Tadao Maekawa 豆類の加熱乾燥機と豆類の乾燥装置
KR101741205B1 (ko)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KR200486638Y1 (ko) 2017-10-30 2018-06-15 황상용 농수산물용 제습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97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389B1 (ko)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EP3335574A1 (en) Device and method of dehydration of biological products
CN103621932A (zh) 一种柿饼的加工方法
KR100970950B1 (ko) 숙성 흑마늘진액 제조방법
KR20120108173A (ko) 녹색 통곡물의 가공 및 대량생산 방법
CN103082039A (zh) 一种提高绿茶干茶绿度的方法
KR100991931B1 (ko) 증감압, 냉온풍 건조 장치
CN102344019A (zh) 生姜恒温恒湿储藏箱
CN105166099A (zh) 绿茶的加工方法
CN109126935A (zh) 一种用于大米的低温处理方法
CN107874298B (zh) 冷热风交替双烤室空气能热泵智能烘干机组与使用方法
KR102471592B1 (ko) 즉석 비빔밥 제조 방법
CN106106869B (zh) 一种花香型功夫红茶自动化生产工艺
JP2014036650A (ja) 乾燥茶葉の製造装置、乾燥茶葉の製造方法及び乾燥茶葉
KR102191946B1 (ko) 냉온풍 건조장치
KR20050000181A (ko) 감압 냉풍건조법에 의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8703225A (zh) 茶叶加工工艺及加工系统
CN103891873A (zh) 一种能保持鲜罗汉果色香味品质的干燥方法
KR101863565B1 (ko) 가바차 제조방법
KR20160118724A (ko) 냉동 군고구마의 제조방법 및 그 냉동 군고구마 말랭이 제조방법
CN210708781U (zh) 食用菌保鲜装置
CN104522199A (zh) 一种鲜叶贮青摊青室
CN113951345A (zh) 具有红茶色、香、味的桑叶红茶的制备方法
KR102001640B1 (ko) 흑우엉 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차 제조방법
JP7424575B2 (ja) 茶葉加工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