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96B1 - 경막외 카테터 - Google Patents

경막외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96B1
KR102190496B1 KR1020180122387A KR20180122387A KR102190496B1 KR 102190496 B1 KR102190496 B1 KR 102190496B1 KR 1020180122387 A KR1020180122387 A KR 1020180122387A KR 20180122387 A KR20180122387 A KR 20180122387A KR 102190496 B1 KR102190496 B1 KR 102190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catheter body
flow path
locking part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69A (ko
Inventor
강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2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7Epidura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술이 매우 간편하며 시술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고, 2중으로 락킹부재가 플렉시블튜브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튜브가 빠지는 것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 시술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약액이 누수 되지 않아 약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약액이 투입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꼬리뼈를 통과해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되는 플렉시블튜브(200);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플렉시블튜브(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튜브(200)를 수용하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유로(110)를 통과한 플렉시블튜브(200)가 상기 유로(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본테(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 락킹부(120)와,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 락킹부(130)가 구성되어,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카테터 본체 후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막외 카테터{Epidural catheter}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술이 매우 간편하며 시술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고, 2중으로 락킹부재가 플렉시블튜브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튜브가 빠지는 것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 시술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약액이 누수 되지 않아 약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약액이 투입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이른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하여, 척추 경막외강의 통증부위에 카테터의 단부를 접근시키고 외부에서 카테터를 통해 특수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다스리는 치료법이다. 이는 척추 신경주위의 염증과 부종 또는 신경주변의 불필요한 흉터 조직 등을 없애는 비수술적 요법이다.
상기 경막외 카테터는 대략 30cm 내지 60cm의 얇은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주사기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플렉시블튜브로 유도하는 유로가 내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에 끼워지는 가이드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플렉시블튜브에 스티프니스(stiffness)를 보강하기 위한 얇은 금속선이다.
상기 플렉시블튜브는 가이드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로, 꼬리뼈의 열린구멍을 통과해 그 선단부가 경막외강의 유착부위 또는 흉터부위에 도달된 상태로 해당 부위에 약액을 도포한다.
도 1은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속이 비어있는 플렉시블튜브(15)와, 상기 플렉시블튜브(15)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를 통해 플렉시블튜브(15)의 내부로 삽입되어 플렉시블튜브(15)를 지지하는 가이드와이어(17)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3)는, 플렉시블튜브(15)의 단부를 끼우거나 빼기 위해 상호 분해 조립되는 전방본체편(13a)과 후방 본체편(13b)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유로(미도시)를 갖는다. 상기 유로는 삽입구(13c)와 주사기고정부(13d)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이 몸체(13)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고정부(13d)에 주사기(21)의 주둥이(21a)를 결합한 상태로, 주사기 실린더 내부의 약액을 플렉시블튜브(15)로 주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와이어(17)는, 플렉시블튜브(15)를 체내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튜브(15)의 내부에 미리 삽입되어, 플렉시블튜브(15)가 과도히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플렉시블튜브에 스티프니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와이어(17)의 후단부에는 손잡이(19)가 고정된다. 시술자는 상기 손잡이(19)를 잡고, 가이드와이어(17)를 플렉시블튜브(15)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빼낸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이드와이어를 플렉시블튜브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와이어(17)가 본체(13)를 통과하여 플렉시블튜브(15)에 삽입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로 플렉시블튜브(15)를 체내에 삽입한 후 가이드와이어(17)를 빼내고, 상기 주사기고정부(13d)에 주사기(21)를 물린 후 약액을 주입한다.
도 3은 상기 본체(13)에 주사기(21)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3)의 주사기고정부(13d)에 주사기의 주둥이(21a)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 주사기 내부의 약액(미도시)을 짜내면 약액은 본체(13)와 플렉시블튜브(15)를 거쳐 목표지점에 도달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1)는 그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전 경막외 카테터(11)를 이용하여 통증부위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렉시블튜브(15)에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한 상태로, 플렉시블튜브(15)를 경막외강의 통증부위에 도달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삽입 과정 중 (가령, 중력의 영향에 의해) 가이드와이어(17)가 플렉시블튜브로부터 약간씩 뒤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가이드와이어가 아무 곳에도 고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플렉시블튜브를 삽입하는 내내 가이드와이어의 위치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정작 중요한 시술에 집중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1)는, 플렉시블튜브(15)가 목표지점에 도달한 후 약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가이드와이어(17)를 먼저 빼내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가이드와이어(17)를 빼내어야 주사기고정부(13d) 주사기(21)를 물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경막외강에 약액을 공급해야하는 통증부위가 여러 군데 분포하여, 플렉시블튜브(15)를 이동시키면서 약액을 주입해야 할 때 매우 큰 불편으로 다가온다.
즉, 플렉시블튜브(15)에 가이드와이어(17)를 삽입하고 플렉시블튜브(15)의 단부를 필요한 지점에 이동시킨 후, 가이드와이어(17)를 빼고 본체(13)에 주사기(21)를 연결하여 약액을 주입하고, 다시 주사기를 분리한 후 가이드와이어(17)를 삽입하여 플렉시블튜브를 다음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가이드와이어를 빼고 주사기를 다시 연결하여 약액을 주입하고, 다시 주사기를 분리한 후 가이드와이어를 삽입 후 플렉시블튜브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몇 번이고 반복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약액 주입 시 완벽한 밀폐가 되지 않아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시술의 정밀도를 낮춤, 약액의 낭비는 물론 시술시간을 매우 연장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정량의 약액이 치료부위에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095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술이 매우 간편하며 시술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고, 2중으로 락킹부재가 플렉시블튜브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튜브가 빠지는 것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 시술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약액이 누수 되지 않아 약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약액이 투입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경막외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꼬리뼈를 통과해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되는 플렉시블튜브(200);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플렉시블튜브(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튜브(200)를 수용하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유로(110)를 통과한 플렉시블튜브(200)가 상기 유로(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본테(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 락킹부(120)와,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 락킹부(130)가 구성되어,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카테터 본체 후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120)는 중간부가 개방되어 상기 플렉시블튜브(200)가 관통되며,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 내측에는 중간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리콘 튜브(140)가 내재되어, 상기 제1 락킹부(120)를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 튜브(140)가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중심부의 관통공의 직경이 작아져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130)는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유로(110)의 중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락킹부(120)를 통해 플렉시블튜브(200)가 1차적으로 고정되면, 상기 제2 락킹부(130)를 유로(110)를 향해 덮어 카테터 본체(100)를 2차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130)는, 그 내측면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돌기(131) 및 상기 가압돌기(131)의 후방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감싸면서 가압하는 제2 가압돌기(132)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제1 락킹부(120)를 기준으로 두 갈래로 분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막외 카테터에 의하면, 약액이 누수 되지 않아 약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약액이 투입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2중으로 락킹부재가 플렉시블튜브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튜브가 빠지는 것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 시술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이드와이어를 플렉시블튜브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막외 카테터의 본체에 주사기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락킹부가 상부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의
도 6은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막외 카테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는 플렉시블튜브(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플렉시블튜브(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튜브(200)를 수용하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100)로 구성된다. 상기한 플렉시블튜브(200)는 꼬리뼈를 통과해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된다. 이러한 플렉시블튜브(200)가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튜브(200)의 내측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의 끝부분을 소정각도로 구부린 뒤 내시경을 통하여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의 끝부분을 구부리는 이유는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될 시 플렉시블튜브(200)가 통증부위 외 다른 부위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와이어의 끝부분이 곧게 펴져있을 경우 통증부위로 진입될 시 척추는 곧게 펴져 있는 것이 아니고 휘어져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계속적으로 플렉시블튜브(200)를 회전시켜가면서 통증부위로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와이어의 끝단부 구부림 및 와이어를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막외 카테터의 시술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 및 설명은 공지의 기술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유로(110)를 통과한 플렉시블튜브(200)가 상기 유로(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본테(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 락킹부(120)와,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 락킹부(130)가 구성되어,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카테터 본체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로(110)는 연성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제1 락킹부(120)와 제2 락킹부(130)를 통하여 유로(110)를 가압하였을 시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유로(110) 내측에 수용되는 플렉시블튜브(200)를 가압력을 통해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 락킹부(120)는, 중간부가 개방되어 상기 플렉시블튜브(200)가 관통되며,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 락킹부(120)가 카테터 본체(100)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된다. 특히, 상기한 제1 락킹부(120)와 결합되는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내측에는 실리콘 튜브(140)가 구비된다. 상기한 제1 락킹부(120)의 플렉시블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은 부수적인 기능이며, 주된 기능은 외측으로 약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락킹부(120)를 카테터 본체(100)의 후단부 쪽으로 돌려서 가압하게 되면 중심부가 상기 실리콘 튜브(140)와 밀착되면서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는 밀폐되어 내부의 약액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락킹부(120)를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 튜브(140)가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중심부의 관통공의 직경이 작아져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락킹부(130)는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유로(110)의 중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락킹부(120)를 통해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가 밀폐되면, 상기 제2 락킹부(130)를 유로(110)를 향해 덮어 카테터 본체(100)를 고정하여 견고하게 플렉시블튜브(200)가 유로 내측에 위치되어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실수로 카테터 본체(100)를 잘못 파지하거나 과한 힘이 가해져 카테터 본체(100)와 플렉시블튜브(20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락킹부(130)는, 그 내측면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돌기(131) 및 상기 가압돌기(131)의 후방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감싸면서 가압하는 제2 가압돌기(132)가 유로(110)를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압돌기(131)는 유로를 향하여 길이방향의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가압돌기(132)는 측면 및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110)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락킹부(130)의 단부와 카테터 본체(100)는 서로 단턱(133, 103)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락킹부(130)를 덮었을 시 각각의 단턱(133, 10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속되어 제2 락킹부(13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락킹부(120)를 기준으로 두 갈래로 분지되어 형성되어 제2 락킹부(130)가 둘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에는 척추내 경막외강의 협착된 디스크의 간격을 벌리는 풍선이 들어가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약액이 들어갈 수 있도록 분지형성된다. 즉, 척추내 경막외강의 협착된 디스크의 간격을 벌리기 위한 풍선이 들어가서 풍선에 공기가 공급되면 풍선이 부풀게 되며, 필요에 따라 약액 도포가 필요한 치료 부위가 있게 되면 약액을 주입함으로써 치료부위를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서는 상기 제1 락킹부(120)를 기준으로 두 갈래로 분지되어 형성되어 제2 락킹부(130)가 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락킹부(120)는 한 개 혹은 다수의 형태로 가지며, 카테터 본체(100) 또한 한 개 혹은 다수의 형태로 분지 형성되어, 다갈래로 분지된 경로를 통해 약액 및 공기 등을 주입하여 풍선확장 및 약물주입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다갈래로 분지되지 않고, 도 4와 같은 형태의 경막외 카테터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경막외 카테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시술자는 내측에 와이어가 내재된 플렉시블튜브(200)의 끝단부를 소정각도로 구부린 뒤 내시경을 통하여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하게 된다. 이후 내시경을 통하여 통증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여 빼내고, 신체 외측으로 돌출된 플렉시블튜브(200)를 별도의 수단을 통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뒤 본 발명의 경막외 카테터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 락킹부(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이 플렉시블튜브(200)가 유로(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플렉시블튜브(2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10)의 후방까지 도달하게 되면 제1 락킹부재(120)를 회전하여 실리콘 튜브(140)가 눌려서 밀착 될 때까지 가압하여 1차적으로 고정한다. 이러면 제1 락킹부재(120)에 의해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는 밀폐되어 약액이 누수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락킹부(120)를 통해 1차적으로 플렉시블튜브(200)를 1차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2 락킹부(13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고 제1락킹부(120)를 통해 2차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락킹부재(130)를 덮어 제1 및 제2 가압돌기(131, 132)가 유로(110)를 눌러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가압돌기(131, 132)에 의해 플렉시블튜브(200)가 유로 내측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제2 락킹부(130)를 닫게 되면 1차적으로 제2 가압돌기(132)가 유로(110)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고정되고, 2차적으로 제1 가압돌기(131)가 유로(110)를 가압하여 플렉시블튜브(200)가 유로 내측에 고정시킨다.
이후 카테터 본체(100)의 후단부에 약액 주입장치를 결합한 뒤 약액을 주입함으로써 통증부위를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약액이 유로(110)의 내부에서 유로(110)의 외측으로 다소 누수될 수 있지만, 유로(110)와 플렉시블튜브(200)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으로 누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제1 락킹부재(120)에 의해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으로 누수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경막외 카테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카테터 본체 103 : 단턱
110 : 유로 120 : 제1 락킹부
130 : 제2 락킹부 131 : 제1 가압돌기
132 : 제2 가압돌기 133 : 단턱
140 : 실리콘 튜브 200 : 플렉시블튜브

Claims (5)

  1. 꼬리뼈를 통과해 척추내 경막외강의 통증부위로 삽입되는 플렉시블튜브(200);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플렉시블튜브(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튜브(200)를 수용하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100)로 구성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유로(110)를 통과한 플렉시블튜브(200)가 상기 유로(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 락킹부(120)와,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 락킹부(130)가 구성되어, 카테터 본체(100)의 후단부에 약액 주입장치를 결합하여 카테터 본체의 외부로부터 약액을 주입하되,
    상기 제1 락킹부(120)는
    중간부가 개방되어 상기 플렉시블튜브(200)가 관통되며,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 내측에는 중간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리콘 튜브(140)가 내재되어,
    상기 제1 락킹부(120)를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 튜브(140)가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중심부의 관통공의 직경이 작아져 상기 플렉시블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락킹부(130)는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외부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유로(110)의 중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내측면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돌기(131) 및 상기 가압돌기(131)의 후방에 상기 유로(110)를 외측면에서 감싸면서 가압하는 제2 가압돌기(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락킹부(120)를 통해 플렉시블튜브(200)가 1차적으로 고정되면, 상기 제2 락킹부(130)로 유로(110)를 향해 덮어 카테터 본체(100)를 2차적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제2 락킹부(130)로 유로(110)를 덮어 1차적으로 고정하면, 상기 제1 락킹부(120)를 통해 플렉시블튜브(200)를 2차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1 락킹부는 카테터 본체(100)의 후단부 쪽으로 돌려서 가압하면 플렉시블 튜브(200)의 외주연을 가압함과 동시에 제1 락킹부의 중심부가 상기 실리콘 튜브(140)과 밀착되면서 카테터 본체(100)의 전단부가 밀폐되어 내부의 약액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돌기(131)는 유로를 향하여 길이방향의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돌기(132)는 측면 및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130)의 단부와 카케터 본체(100)는 서로 단턱(133, 103)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상기 제1 락킹부(120)를 기준으로 두 갈래로 분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KR1020180122387A 2018-10-15 2018-10-15 경막외 카테터 KR102190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87A KR102190496B1 (ko) 2018-10-15 2018-10-15 경막외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87A KR102190496B1 (ko) 2018-10-15 2018-10-15 경막외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69A KR20200042169A (ko) 2020-04-23
KR102190496B1 true KR102190496B1 (ko) 2020-12-14

Family

ID=7047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387A KR102190496B1 (ko) 2018-10-15 2018-10-15 경막외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53A (ko) 2021-03-24 2022-10-05 (주)글로벌메디칼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25B1 (ko) * 2021-10-12 2024-05-08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척추협착증 치료용 니들 카테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534A (ja) 1997-05-31 2002-01-08 フォン カジミール ヴォルフ 挿入ルーメンを液密にクランプ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カテーテル挿入装置
JP2006507859A (ja) * 2002-08-21 2006-03-09 アロウ・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ボットレバーばねラッチを有するカテーテルコネクタ
JP2014155625A (ja) 2013-02-16 2014-08-28 Hakko Co Ltd カテーテルコネクタ
JP2015524720A (ja) * 2012-08-17 2015-08-27 ラウメディック アーゲー カテーテル連結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574A (ko)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경막외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534A (ja) 1997-05-31 2002-01-08 フォン カジミール ヴォルフ 挿入ルーメンを液密にクランプ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カテーテル挿入装置
JP2006507859A (ja) * 2002-08-21 2006-03-09 アロウ・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ボットレバーばねラッチを有するカテーテルコネクタ
JP2015524720A (ja) * 2012-08-17 2015-08-27 ラウメディック アーゲー カテーテル連結器
JP2014155625A (ja) 2013-02-16 2014-08-28 Hakko Co Ltd カテーテル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53A (ko) 2021-03-24 2022-10-05 (주)글로벌메디칼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69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496B1 (ko) 경막외 카테터
US20170120013A1 (en) Extension tubing strain relief
US9463314B2 (en) Delivery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s
TW200821002A (en) Indwelling catheter, hollow needle, and indwelling needle assembly
US20110202065A1 (en) Bone cement injection needle
CN109310274B (zh) 丝锁定组件
JP2009529936A (ja) 流体コネクター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開放可能な埋め込み型ハウジングを備えた流体供給装置
US10251998B2 (en) Stem cell delivery system
JPWO2018043427A1 (ja) イントロデューサー用シース
JP2000245850A (ja) カテーテル連結器
JP2016539765A (ja) 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と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を含む注射器
JP6932837B2 (ja) 内視鏡バスケット送達カテーテル
TWI644645B (zh) 埋線刺入器
US8512293B2 (en) Valves and hubs for tubula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KR101590769B1 (ko) 카테터 연결용 멀티캡
WO2015022972A1 (ja) 側孔付き導入補助器具
JP2018527131A (ja) 尿道から膀胱へのカテーテル不要の薬剤注入用アダプタ及び器具製作方法
KR101927843B1 (ko) 정맥 카테터 조립체
KR101351822B1 (ko) 카테터
JPH0194863A (ja) カテーテル導入具
JP2022094560A (ja) カテーテルコネクタ
US20100292681A1 (en) Device for the use, also single use, of an optical fiber for invasive surgical laser treatment in the human body
JP7108396B2 (ja) カテーテルおよびマニホールド
JP6831955B2 (ja) 分岐管
JPH11347131A (ja) カテーテルイントロデュ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