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54B1 -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654B1
KR102180654B1 KR1020187028443A KR20187028443A KR102180654B1 KR 102180654 B1 KR102180654 B1 KR 102180654B1 KR 1020187028443 A KR1020187028443 A KR 1020187028443A KR 20187028443 A KR20187028443 A KR 20187028443A KR 102180654 B1 KR102180654 B1 KR 10218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setting data
power tool
information record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069A (ko
Inventor
쇼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machining or material parameters, pocket machining
    • G05B19/40938Tool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2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i.e. in which the programme is recorded from a cycle of operations, e.g. the cycle of operations being manually controlled, after which this record is played back on the sam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과제)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전동 공구에 보다 간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전동 드라이버 (100) 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142) 와, 메모리 (142) 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 (140') 의 메모리 (142') 에 기록하기 위해서, 다른 제어 회로 (140') 에 대해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갖는 통신부 (144) 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CONTROL CIRCUIT OF ELECTRIC POWER TOOL HAVING SETTING DATA TRANSMITTING FUNCTION, ELECTRIC POWER TOOL,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TOOL SYSTEM}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 회로, 그 제어 회로를 구비한 전동 공구 및 제어 장치, 그리고 복수의 제어 회로로 구성되는 전동 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드라이버나 전동 드릴 등의 여러 가지 전동 공구에 있어서는, 그 사용 상황에 맞추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전동 드라이버의 경우에는, 체결하는 나사의 종류에 따라, 드라이버 비트를 회전 구동하는 시간이나 구동 속도, 체결시의 토크의 크기, 적정한 나사 체결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 등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설정의 변경은, 통상, 전동 드라이버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직접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원격 조작기 (리모컨) 를 통하여 전동 드라이버에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여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21494호
예를 들어 생산 라인에 있어서 어느 전동 공구가 고장나서 그것을 새로운 전동 공구로 교체하려고 할 때나, 기존의 전동 공구와 동일한 설정의 전동 공구를 추가하려고 할 때에는, 원래의 전동 공구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직접 참조하거나 또는 미리 어딘가에 기록해 둔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새로운 전동 공구의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전동 공구의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설정 항목은 서서히 많아지고 있으며, 또 1 대의 제어 장치로 복수 대의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는 전동 공구에 있어서는, 설정 항목은 더욱 증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대한 수의 설정 항목의 설정 데이터를 하나씩 입력하는 것은 번잡하고, 또 입력 미스도 일어나기 쉽다. 또, 컴퓨터나 리모컨 등으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여 전동 공구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직접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의 번잡함은 해소되지만, 컴퓨터나 리모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가 원하는 전동 공구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임의 확인을 할 필요가 생긴다. 전동 공구는 통상 그것 자신에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 등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와는 상이한 설정으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은 원래의 전동 공구의 설정과 새로운 전동 공구의 설정을 하나하나 비교하여 설정에 차이가 없는 것의 확인해야 하게 되어, 역시 번잡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어느 전동 공구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전동 공구에 보다 신속히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그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 및 제어 장치, 그리고 서로 통신 접속되는 복수의 제어 회로로 구성되는 전동 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 회로로서,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수단과,
그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다른 제어 회로의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기 위해서,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그 다른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갖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당해 제어 회로에 있어서는,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신측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작업자가 설정 데이터를 하나씩 입력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당해 제어 회로로부터 다른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에 직접 송신하도록 하면,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리모컨 등의 다른 장치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다른 제어 회로에 대한 설정 데이터의 설정을 보다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설정 데이터의 인위적인 입력 미스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리모컨 등을 통하여 설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제어 회로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리모컨 등에 송신하여, 그 설정 데이터를 리모컨 등에 의해 다른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에 송신하도록 하면, 제어 회로 사이에서의 설정의 동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송신 후에 설정 데이터에 차이가 없는 것의 확인을 하나하나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 회로」에는,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리모컨 등의, 전동 공구의 설정이나 관리를 실시하는 기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 중에서 그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송신 데이터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통신 수단이, 그 송신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수신측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의 설정 항목 중 일부만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통신 수단은, 다른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동 공구 본체와,
그 전동 공구 본체 내에 내장된, 상기 기재된 제어 회로를 구비한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제어 회로를 갖는 제어 장치로서, 당해 제어 장치와는 별체로 된 전동 공구 본체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되어, 통신 접속된 전동 공구 본체를 그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하도록 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되어, 통신 접속된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 제어 회로의 그 정보 기록 수단이 통신 접속된 그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의 각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 통신 수단이, 그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의 각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에 송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제어 장치에 대해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설정 데이터는 각 전동 공구 본체의 분만큼 필요해지기 때문에, 그 양은 전동 공구 본체의 수에 비례하여 많아진다. 당해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에 대한 각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설정 데이터를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다른 제어 회로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제어 장치와,
그 제어 장치에 통신 접속된 전동 공구 본체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 1 제어 회로로서, 제 1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정보 기록 수단과, 그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갖는 제 1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제어 회로와,
제 2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 2 제어 회로로서, 제 2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정보 기록 수단과, 그 제 1 제어 회로에 대해 그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요구 기능, 및 그 제 1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갖는 제 2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그 제 1 통신 수단은, 그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고,
그 제 1 제어 회로는, 그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그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그 제 2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고, 그 제 2 제어 회로는, 그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한 설정 데이터를 그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전동 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제 2 제어 회로가, 그 수신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그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수신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그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그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필요한 설정 데이터만을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여, 필요한 설정 항목만을 송신측의 제어 회로와 동일한 설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송신 요구 신호가, 그 제 1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을 요구하는 설정 데이터를 지정하는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그 제 1 제어 회로는, 그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그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제 1 통신 수단은, 그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그 제 2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신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의 외관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동 드라이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동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 송수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 1 플로차트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동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 송수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 2 플로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의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 (전동 공구) (10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되는 전동 모터 (112) 및 이 전동 모터 (112) 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비트 홀더 (114) 를 갖는 전동 드라이버 본체 (전동 공구 본체) (110), 및 비트 홀더 (114) 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 (120) 를 구비한다. 비트 홀더 (114) 에는, 대상이 되는 나사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된 드라이버 비트 (116) 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에는, 표시부 (132) 와 입력 버튼 (134) 을 갖는 입력 인터페이스 (130) 와, 전원 코드 (118) 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전동 드라이버는 추가로,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140) 를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내에 구비한다.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의 모터 구동 회로 (120) 는, 드라이버 비트 (116) 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 (112), 전동 모터 (112) 를 구동하는 모터 제어부 (122), 전동 모터 (112) 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홀 센서 (124), 그리고 이들 모터 제어부 (122) 및 홀 센서 (124) 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 (126) 를 구비한다. 또, 전원 코드 (118) 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모터 제어부 (122) 용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128), 및 중앙 제어부 (126) 용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129) 를 구비한다.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 회로 (140) 는,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112) 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 나사의 체결 토크, 정상적인 나사 체결의 판정 기준 등의 각종 설정 항목에 대한 각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정보 기록 수단) (142) 와, 다른 전동 드라이버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부 (통신 수단) (144) 와, 이들 메모리 (142) 와 통신부 (144) 를 제어함과 함께,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의 모터 구동 회로 (120) 를 메모리 (142) 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146) 를 구비한다. 또, 중앙 제어부 (146) 는, 입력 인터페이스 (130) 에 접속되어 있고, 입력 인터페이스 (130) 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데이터의 변경이나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실시한다. 제어 회로 (140) 는 추가로 버저 (148) 를 가지며, 소정 동작의 완료 또는 에러를 소리로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동 드라이버 (100) 와 통신 접속되는 다른 하나의 전동 드라이버 (100') 는, 상기 전동 드라이버 (100) 와 동일한 것이며,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이들 전동 드라이버 (100, 100') 에 의해, 각각의 통신부 (144, 144') 에서 서로 통신 접속된 전동 드라이버 시스템 (전동 공구 시스템) 이 구성된다.
2 개의 전동 드라이버 (100, 100') 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동 드라이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동 드라이버 (100, 100') 사이에서의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시의 동작을 도 3 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송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전원을 켜서 제어를 개시하고 (S100), 입력 인터페이스 (130) 를 조작하거나 하여 전동 드라이버 (100) 를 송신 모드로 이행시킨다 (S112). 송신 모드로 이행되면, 설정 데이터의 변경이나 전동 모터 (112) 의 구동은 일시적으로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송신하는 상대가 되는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기종을 선택한다 (S114). 기종에 따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기종을 미리 선택해 두고,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에 맞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도록 해 둔다. 또한, 전동 드라이버의 기종은 새로운 전동 드라이버가 개발될 때마다 증가되어 가게 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 회로 (140) 에 설정되어 있는 선택 가능한 전동 드라이버의 기종을 수시로 갱신하여, 새로운 기종에 대해서도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송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제 1 전동 공구 본체) (110) 의 제어 회로 (제 1 제어 회로) (140) 의 메모리 (제 1 정보 기록 수단) (142) 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판독한다 (S116).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입력 인터페이스 (130) 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판독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 (송신 데이터 선택 수단) 을 갖고 있으며, 설정 데이터의 일부만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여기서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한다 (S118). 또한,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가 송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와는 상이한 기종인 경우에는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에는 설정할 수 없는 설정 데이터가 송신측의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러한 수신측에서 설정할 수 없는 설정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송신의 대상이 되는 설정 데이터로부터 제외된다.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의 선택이 완료되면,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송신하는 상대가 되는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기종에 대응하도록 설정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S120), 설정 데이터를 통신부 (제 1 통신 수단) (144) 에 의해 송신한다 (S122).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에 있어서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의 설정 데이터의 송신 (S122) 이 개시되기 전에, 전원을 켜서 제어를 개시하고 (S150), 입력 인터페이스 (130') 를 조작하거나 하여 전동 드라이버 (100') 를 수신 모드로 이행시켜 둔다 (S152). 수신 모드로 이행되면, 설정 데이터의 변경이나 전동 모터 (112') 의 구동은 일시적으로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수신 모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가 도착하면, 수신측의 드라이버는, 전동 드라이버 본체 (제 2 전동 공구 본체) 내에 내장된 제어 회로 (제 2 제어 회로) (140') 의 통신부 (제 2 통신 수단) (144') 에 의해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S154).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설정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S156), 수신한 설정 데이터를 통신부 (144') 로부터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대해 반송한다 (S158).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설정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후 (S124),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 반송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S126). 반송된 설정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S128),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송신한 설정 데이터와 반송된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적정하게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130). 즉, 송신한 설정 데이터와 반송된 설정 데이터에 차이가 없으면,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적정하게 설정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적정한 설정 데이터의 통신이 실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OK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S132), 그것을 나타내는 소리를 버저 (148) 에 의해 울려 사용자에게 적정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 것을 알린다 (S134). 한편, 적정한 설정 데이터의 통신이 실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NG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S136), 그것을 나타내는 소리를 버저 (148) 에 의해 울려 사용자에게 적정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을 알린다 (S138). 이것으로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 송신에 관한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S140).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는, 설정 데이터의 반송이 완료된 후 (S160),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 송신된 OK 신호 또는 NG 신호를 수신한다 (S162). OK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소리를 버저 (148') 에 의해 울리고 (S164), 수신한 설정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S166).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입력 인터페이스 (130') 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수신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메모리 (제 2 정보 기록 수단) (142') 에 기록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 을 갖고 있으며, 수신한 설정 데이터의 일부만을 메모리 (142') 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여기서 기록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한다 (S168). 다음으로, 선택된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 (142') 에 기록하고 (S170), 기록이 완료되면 그것을 나타내는 소리를 부저 (148') 에 의해 울린다 (S174). 한편 NG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소리를 버저 (148') 에 의해 울린다 (S172). 이것으로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 수신에 관한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S176).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는, 메모리 (142') 에 기록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하게 되고,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와 동일한 설정에 의해 전동 드라이버 본체를 구동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2 개의 전동 드라이버 (100, 100') 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동 드라이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동 드라이버 (100, 100') 사이에서의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시의 다른 동작에 대해, 도 4 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동작에 있어서는, 먼저, 송신측의 전동 드라이버와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의 전원을 함께 켜서 제어를 개시하고 (S200, S250),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를 수신 모드로 이행시킨다 (S252).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의 통신부 (144') 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대해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 (송신 요구 기능) 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수신 모드로 이행한 후에 그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기기 정보와 함께 송신한다 (S253).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의 송신 요구 신호와 기기 정보를 수신하면 (S211), 자동적으로 송신 모드로 이행된다 (S212). 다음으로 수신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의 기종을 판별한다 (S214).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대해 송신을 요구하는 설정 데이터를 지정하는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를 송신 요구 신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송신 요구 신호에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는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 (142) 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송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데이터만을 통신부 (144) 에 의해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대해 송신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송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의 S216 ∼ S240 의 스텝, 및 수신측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의 S254 ∼ S276 의 스텝은, 도 3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할 때에, 송신측의 전동 드라이버 (100) 를 검색하고,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100) 가 검색된 경우에는 그 중에서 하나의 전동 드라이버 (100) 를 선택하여, 그 전동 드라이버 (100) 에 대해서만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 (20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와,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와는 별체로 된 제어 장치 (250) 로 이루어진다. 제어 장치 (250) 에는, 표시부 (232) 와 입력 버튼 (234) 을 갖는 입력 인터페이스 (230) 가 배치되고, 또 그 내부에는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140) (도 2) 가 내장되어 있다. 이 전동 드라이버 (200) 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 (140) 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 (100) 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제어 장치 (250) 와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는, 케이블 (252) 에 의해 통신 접속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 (250) 에 1 개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만이 접속되어 있지만, 제어 장치 (250) 는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통신 접속된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제어 장치 (250) 내의 제어 회로 (140) 에 있어서의 메모리 (142) 에는,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에 대한 각 설정 데이터가 기록된다. 당해 제어 장치 (250) 는,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에 대한 각 설정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다른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 회로 (140) 를 전동 드라이버 본체 (110) 내에 내장하는 전동 드라이버 (100) 에 대해서는, 복수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중 1 개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 (210) 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설정 데이터만을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제어 회로에 있어서는,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전동 공구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이미 설정되어 있는 전동 공구와 동일한 설정의 다른 새로운 전동 공구를 준비하려고 할 때에, 기존의 전동 공구에 있어서의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신규의 전동 공구에 설정 데이터를 하나씩 입력하는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 설정 데이터를 제어 회로로부터 직접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리모컨 등의 다른 장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당해 제어 회로에 있어서는, 전동 공구의 설정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설정 데이터의 인위적인 입력 미스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공구를 전동 드라이버 (100, 200) 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전동 드릴 등의 전동 드라이버 이외의 다른 전동 공구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회로 (140, 140') 사이의 통신을 무선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제어 회로 (140, 140') 의 통신부 (144, 144') 끼리를 케이블로 접속하여 설정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 회로 (140, 140') 사이의 통신은 반드시 1 대 1 의 통신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제어 회로 (140) 로부터 복수의 제어 회로에 설정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제어 회로 (140) 로부터, 전동 공구의 설정 데이터의 관리나 설정을 실시하기 위한 컴퓨터나 리모컨 등에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 (140) 의 통신부 (144) 는, 다른 제어 회로 (140) 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종래부터 있는 리모컨 등의 다른 기기도 포함하는 다른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도 수신 가능하게 해도 된다.
100 : 전동 드라이버 (전동 공구) ;
110 : 전동 드라이버 본체 (전동 공구 본체) ;
112 : 전동 모터 ;
114 : 비트 홀더 ;
116 : 드라이버 비트 ;
118 : 전원 코드 ;
120 : 모터 구동 회로 ;
122 : 모터 제어부 ;
124 : 홀 센서 ;
126 : 중앙 제어부 ;
128 : AC/DC 변환부 ;
129 : AC/DC 변환부 ;
130 : 입력 인터페이스 ;
132 : 표시부 ;
134 : 입력 버튼 ;
140 : 제어 회로 ;
142 : 메모리 (정보 기록 수단) ;
144 : 통신부 (통신 수단) ;
146 : 중앙 제어부 ;
148 : 버저 ;
200 : 전동 드라이버 ;
210 : 전동 드라이버 본체 ;
230 : 입력 인터페이스 ;
232 : 표시부 ;
234 : 입력 버튼 ;
250 : 제어 장치 ;
252 : 케이블 ;

Claims (10)

  1.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 회로로서,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다른 제어 회로의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기 위해서,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다른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갖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 중에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송신 데이터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송신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송신하도록 된, 제어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다른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 회로.
  4. 전동 공구 본체와,
    상기 전동 공구 본체 내에 내장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회로를 구비한, 전동 공구.
  5. 제 1 항에 기재된 제어 회로를 갖는 제어 장치로서, 당해 제어 장치와는 별체로 된 전동 공구 본체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되어, 통신 접속된 전동 공구 본체를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하도록 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되어, 통신 접속된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회로의 상기 정보 기록 수단이 통신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의 각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복수의 전동 공구 본체의 각 설정 데이터를 다른 제어 회로에 송신 가능하게 된, 제어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에 통신 접속된 전동 공구 본체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
  8. 제 1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 1 제어 회로로서, 제 1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갖는 제 1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제어 회로와,
    제 2 전동 공구 본체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 2 제어 회로로서, 제 2 전동 공구 본체의 설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제 1 제어 회로에 대해 상기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요구 기능, 및 상기 제 1 제어 회로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갖는 제 2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신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 1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를 상기 제 2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고, 상기 제 2 제어 회로는, 상기 송신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설정 데이터를 상기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전동 공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회로가, 상기 수신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신한 설정 데이터 중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상기 제 2 정보 기록 수단에 기록하도록 된, 전동 공구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신호가, 상기 제 1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을 요구하는 설정 데이터를 지정하는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송신 데이터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통신 수단은, 상기 선택된 설정 데이터만을 상기 제 2 제어 회로에 대해 송신하도록 된, 전동 공구 시스템.
KR1020187028443A 2016-03-29 2017-03-29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 KR102180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4922 2016-03-29
JP2016064922 2016-03-29
PCT/JP2017/012825 WO2017170648A1 (ja) 2016-03-29 2017-03-29 設定データ送信機能を有する電動工具の制御回路、電動工具、制御装置、および電動工具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069A KR20180123069A (ko) 2018-11-14
KR102180654B1 true KR102180654B1 (ko) 2020-11-19

Family

ID=5996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443A KR102180654B1 (ko) 2016-03-29 2017-03-29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576543B2 (ko)
KR (1) KR102180654B1 (ko)
CN (1) CN108883527B (ko)
DE (1) DE112017001750B4 (ko)
TW (1) TWI622466B (ko)
WO (1) WO201717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009A1 (ja) 2017-12-18 2019-06-27 日東工器株式会社 工具並びに工具の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CN111491763B (zh) * 2017-12-18 2023-04-07 日东工器株式会社 电动工具、电动工具的控制电路及控制方法
US10747205B2 (en) * 2018-05-18 2020-08-18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Electronic tool and method for copying a plurality of settings from a mechanical tool to another mechanical tool
TWI676348B (zh) * 2018-05-25 2019-11-01 車王電子股份有限公司 電動工具
JP7196329B2 (ja) * 2019-09-27 2022-12-26 日東工器株式会社 電動工具の制御回路、制御装置、および電動工具
CN113400237A (zh) * 2021-07-19 2021-09-17 南昌博格技术有限公司 一种可防错的电动螺丝刀、控制器和计算机拧紧系统
JP2023180997A (ja) * 2022-06-10 2023-12-21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工具及び電動工具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165A (ja) * 2011-05-20 2012-12-10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865A (ja) * 1994-05-13 1995-11-28 Nissan Motor Co Ltd インパクト式ねじ締め装置
US20030105599A1 (en) * 2001-11-30 2003-06-05 Fisher Craig Brett System for ensuring proper completion of tasks
JP4329369B2 (ja) * 2003-03-20 2009-09-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工具の使用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EP1559511A3 (en) * 2004-01-30 2010-05-05 BLACK & DECKE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power terminals in cordless dc tools
TWI235900B (en) * 2004-03-24 2005-07-11 Charming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s
TWM322861U (en) * 2007-01-09 2007-12-01 Eclatorq Technology Co Ltd Digital torsional wrench
JP4720765B2 (ja) * 2007-03-02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工具制御システム
US20110182278A1 (en) * 2008-10-03 2011-07-28 Leonard Tsai Eui based remote database for dynamic device control
JP5537055B2 (ja) * 2009-03-24 2014-07-02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JP5431006B2 (ja) 2009-04-16 2014-03-05 Tone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TWM378080U (en) * 2009-09-21 2010-04-1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Torque sensing and displaying device for tool
TWM381484U (en) * 2009-11-13 2010-06-0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Torque wrench having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TWM392713U (en) * 2010-07-12 2010-11-2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Wireless torque wrench with angle correction feature
TWM394880U (en) * 2010-07-19 2010-12-2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Multi-functional torque sensor device
TWM395554U (en) * 2010-08-27 2011-01-0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Torque wrench
US20140069672A1 (en) * 2011-05-20 2014-03-13 Hitachi Koki Co., Ltd. Power Tool
DE102012221997A1 (de) 2012-05-25 2013-11-28 Robert Bosch Gmbh Elektrowerkzeug
JP2014021538A (ja) * 2012-07-12 2014-02-03 Hitachi Koki Co Ltd 動力工具の作業状況管理システム
DE102012223007A1 (de) * 2012-12-13 2014-06-18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geführtes oder halbstationäres Werkzeug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Werkzeuggeräts
US9466198B2 (en) * 2013-02-22 2016-10-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ireless tracking of power tools and related devices
WO2015061370A1 (en) * 2013-10-21 2015-04-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power tool devices
TW201533552A (zh) * 2014-02-27 2015-09-01 Hope Ind Corp 資料記錄之監控整合系統
JP6544717B2 (ja) 2014-07-01 2019-07-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工具システム
JP2015221494A (ja) * 2015-09-08 2015-12-10 日東工器株式会社 螺合部材締め付け工具及びカウ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165A (ja) * 2011-05-20 2012-12-10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0648A1 (ja) 2017-10-05
DE112017001750B4 (de) 2022-11-03
CN108883527B (zh) 2021-09-03
TWI622466B (zh) 2018-05-01
CN108883527A (zh) 2018-11-23
KR20180123069A (ko) 2018-11-14
JPWO2017170648A1 (ja) 2018-06-28
JP6576543B2 (ja) 2019-09-18
DE112017001750T5 (de) 2019-01-03
TW201808552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654B1 (ko) 설정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 전동 공구의 제어 회로, 전동 공구, 제어 장치, 및 전동 공구 시스템
US11541521B2 (en) Power tool communication system
US10932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power tool and mobile device
JP7021075B2 (ja) パワーレンチと外部操作部とを備えた工具システム
JP6770400B2 (ja) 車両用負荷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の書き換え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システム
TW20053668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power terminals in DC tools
JP6567805B2 (ja) 電動工具用装置
US20170346324A1 (en) Switchable interface for power tools
JPWO2017043535A1 (ja) 螺合部材締め付け工具及びカウント装置
US20190217459A1 (en) Operational data distribution in a power tool
EP3552768A1 (en) Power to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tool
CN114342206A (zh) 适配器
JP4760738B2 (ja) 電動工具制御システム
JP7196329B2 (ja) 電動工具の制御回路、制御装置、および電動工具
CN107112769B (zh) 用于充电设备的可切换的接口
US20230066755A1 (en) Electric tool syste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21058946A (ja) 電動工具の制御回路、電動工具、及び電動工具システム
JP2016120577A (ja) 電動工具、電動工具用操作機、及び電動工具システム
JP2018158682A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