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585B1 - 축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축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585B1
KR102180585B1 KR1020190015170A KR20190015170A KR102180585B1 KR 102180585 B1 KR102180585 B1 KR 102180585B1 KR 1020190015170 A KR1020190015170 A KR 1020190015170A KR 20190015170 A KR20190015170 A KR 20190015170A KR 102180585 B1 KR102180585 B1 KR 10218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astic fixing
elastic
fixing part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587A (ko
Inventor
성기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5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etallic, e.g. in the form of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5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metal lamellae, elastic rods, or the like, e.g. arranged radially or parallel to the axis, the members being shear-loaded collectively by the total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축 연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밑면 중앙에 제1 축과 제2 축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축수용부와 제2 축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옆면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만입된 적어도 하나의 만입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링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만입홈에 삽입되어 몸체부를 가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 연결 커넥터{Shaft connector}
본 발명은 축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두 축의 연결이 용이하고, 회전력의 전달 시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축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 연결 커넥터라 함은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의 회전력을 피동축에 전달하는 것으로, 양단에 각각 구동축과 피동축이 결합된다.
한편, 축 연결 커넥터는 양단에 각각 구동축과 피동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축 및 피동축과 일체로 고속 회전한다. 따라서, 축 연결 커넥터와 구동축 사이, 및 축 연결 커넥터와 피동축 사이에 고속 회전에 따른 진동 및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이 유발되고 고장도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진동 및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축 연결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도 커 좁은 공간에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피도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두 축의 연결이 용이하고, 회전력의 전달 시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축 연결 커넥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906호 (2001. 09. 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좁은 공간에서도 두 축의 연결이 용이하고, 회전력의 전달 시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축 연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밑면 중앙에 제1 축과 제2 축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축수용부와 제2 축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옆면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만입된 적어도 하나의 만입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링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만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는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탄성고정부와 제2 탄성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 탄성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 탄성고정부는 탄성계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는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밑면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고정부가 몸체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몸체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축과 제2 축을 가압하므로, 회전력의 전달 시 몸체부와 제1 축 사이, 및 몸체부와 제2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고정부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탄성력을 가하므로, 어느 한 쪽으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아 몸체부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가 밑면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납작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제1 축과 제2 축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축의 직경, 구동축 여부, 진동 특성 등에 대응하여 제1 탄성고정부와 제2 탄성고정부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몸체부와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 연결 커넥터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탄성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축 연결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는 축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축 연결 커넥터는 탄성고정부가 몸체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몸체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축과 제2 축을 가압하므로, 회전력의 전달 시 몸체부와 제1 축 사이, 및 몸체부와 제2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고정부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탄성력을 가하므로, 어느 한 쪽으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아 몸체부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가 밑면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납작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제1 축과 제2 축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축의 직경, 구동축 여부, 진동 특성 등에 대응하여 제1 탄성고정부와 제2 탄성고정부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몸체부와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축 연결 커넥터(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축 연결 커넥터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탄성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1)는 몸체부(10)와 탄성고정부(2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양 밑면(A1, A2) 중앙에 각각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A1, A2)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납작한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측 밑면(A1) 중앙에 제1 축(S1)이 삽입되는 제1 축수용부(10a)가 형성되고 타 측 밑면(A2) 중앙에 제2 축(S2)이 삽입되는 제2 축수용부(10b)가 형성된다. 여기서, 밑면(A1, A2)이라 함은, 원기둥 형상인 몸체부(10)가 직립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한 두 면, 즉, 단면(斷面)이 원형(圓形)인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0)가 밑면(A1, A2)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납작한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몸체부(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는 각각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며, 몸체부(10)의 중심축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길이 만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의 횡단면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의 횡단면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의 횡단면 형상이 제1 축(S1)과 제2 축(S2)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의 횡단면 형상 및 크기는 제1 축(S1)과 제2 축(S2)의 횡단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양 밑면(A1, A2) 중앙에 각각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가 형성됨으로써, 제1 축(S1)과 제2 축(S2)이 몸체부(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축(S1)에서 제2 축(S2)으로 또는 제2 축(S2)에서 제1 축(S1)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S1)이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연결된 구동축이고, 제2 축(S2)이 피동축인 경우, 제1 축(S1)에서 제2 축(S2)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축(S2)이 구동축이고 제1 축(S1)이 피동축인 경우, 제2 축(S2)에서 제1 축(S1)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깊이만큼 링 형상으로 만입된 적어도 하나의 만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옆면(A3)이라 함은, 원기둥 형상인 몸체부(10)의 양 밑면(A1, A2)을 제외한 나머지 면, 즉, 밑면(A1, A2)의 둘레를 따라 둥글게 말아진 직사각형 형태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만입홈(11)은 후술할 탄성고정부(20)가 삽입되는 홈으로,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만입홈(11)은 복수 개가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몸체부(10)에 2개의 만입홈(1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만입홈(1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이하, 몸체부(10)의 옆면에 제1 만입홈(11a)과 제2 만입홈(11b)이 형성된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만입홈(11a)은 제1 축수용부(10a)의 외측에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만입되고, 제2 만입홈(11b)은 제2 축수용부(10b)의 외측에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만입된다. 이 때, 제1 만입홈(11a)과 제2 만입홈(11b)은 동일한 깊이로 만입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깊이로 만입될 수도 있다.
탄성고정부(20)는 링 형상의 탄성체로, 만입홈(11)에 삽입되어 몸체부(10)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어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축(S1)과 제2 축(S2)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고정부(20)가 만입홈(11)에 삽입되어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몸체부(10), 및 제1 축(S1)과 제2 축(S2)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회전력의 전달 시 몸체부(10)와 제1 축(S1) 사이 또는 몸체부(10)와 제2 축(S2)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고정부(20)가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느 한 쪽으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몸체부(10)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축 연결 커넥터(1)를 통한 회전력의 전달이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고정부(20)가 탄력적으로 이완 및 압축될 수 있어 만입홈(11)에 삽입하거나 몸체부(10)를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며, 필요 시 만입홈(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탄성고정부(20)는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를 포함한다.
제1 탄성고정부(20a)는 제1 만입홈(11a)에 삽입되어 제1 축수용부(10a)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축(S1)을 가압한다. 제2 탄성고정부(20b)는 제2 만입홈(11b)에 삽입되어 제2 축수용부(10b)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축(S2)을 가압한다. 제1 탄성고정부(20a)가 제1 만입홈(11a)에 삽입되어 제1 축(S1)을 가압하고, 제2 탄성고정부(20b)가 제2 만입홈(11b)에 삽입되어 제2 축(S2)을 가압함으로써, 몸체부(10)와 제1 축(S1)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과, 몸체부(10)와 제2 축(S2)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동시에 완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는 탄성계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S1)의 직경이 제2 축(S2)의 직경보다 큰 경우, 제1 탄성고정부(20a)의 탄성계수를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S1)이 구동축이고 제2 축(S2)이 피동축인 경우, 제1 탄성고정부(20a)의 탄성계수를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S1)의 진동 특성이 제2 축(S2)의 진동 특성보다 큰 경우, 제1 탄성고정부(20a)의 탄성계수를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축의 직경, 구동축 여부, 진동특성 등에 대응하여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를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몸체부(10)와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의 전달 시 축 연결 커넥터(1)의 진동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에 근접해지지 않게 되어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량체가 회전하면 특정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특정 진동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면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질량체가 회전할 때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질량체를 추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질량체인 몸체부(10)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고정부(20)가 결합되어 축 연결 커넥터(1)의 고유 진동 주파수가 변하게 되므로, 공진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고정부(20a) 또는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를 다르게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 연결 커넥터(1)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바꿀 수 있어 간단하게 공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는 일 측이 서로 연통되어 제1 축(S1)의 단부와 제2 축(S2)의 단부가 서로 접할 수 있다.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가 연통되는 부분의 외측에 하나의 만입홈(11)을 형성하고 탄성고정부(2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몸체부(10)와 제1 축(S1) 및 제2 축(S2) 사이의 진동 및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의 일 측이 서로 연통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축수용부(10a)와 제2 축수용부(10b)는 서로 연통되지 않고 구획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축 연결 커넥터(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축 연결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 연결 커넥터(1)는 탄성고정부(20)가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몸체부(1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축(S1)과 제2 축(S2)을 가압하므로, 회전력의 전달 시 몸체부(10)와 제1 축(S1) 사이, 및 몸체부(10)와 제2 축(S2)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고정부(2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탄성력을 가하므로, 어느 한 쪽으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아 몸체부(10)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가 밑면(A1, A2)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납작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제1 축(S1)과 제2 축(S2)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축의 직경, 구동축 여부, 진동 특성 등에 대응하여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몸체부(10)와 축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축(S1)은 몸체부(10)의 일 측 밑면(A1) 중앙에 형성된 제1 축수용부(10a)에 삽입되고, 제2 축(S2)은 몸체부(10)의 타 측 밑면(A2) 중앙에 형성된 제2 축수용부(10b)에 삽입된다. 제1 축수용부(10a)의 외측에는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만입홈(11a)이 링 형상으로 만입 형성되고, 제1 만입홈(11a)에는 제1 탄성고정부(20a)가 삽입된다. 제2 축수용부(10b)의 외측에는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만입홈(11b)이 링 형상으로 만입 형성되고, 제2 만입홈(11b)에는 제2 탄성고정부(20b)가 삽입된다. 제1 축(S1)과 제2 축(S2)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은 몸체부(10)를 통해 나머지 하나로 전달되며, 이 때,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축(S1)과 제2 축(S2)을 가압한다. 회전력이 전달될 때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가 각각 제1 축(S1)과 제2 축(S2)을 가압함으로써, 몸체부(10)와 제1 축(S1)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과, 몸체부(10)와 제2 축(S2)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마찰을 동시에 완화시킬 수 있어 회전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고정부(20a)와 제2 탄성고정부(20b)가 옆면(A3)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탄성력을 가하므로, 어느 한 쪽으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몸체부(10)의 요동을 최소화하면서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축 연결 커넥터
10: 몸체부 10a: 제1 축수용부
10b: 제2 축수용부 11: 만입홈
11a: 제1 만입홈 11b: 제2 만입홈
20: 탄성고정부 20a: 제1 탄성고정부
20b: 제2 탄성고정부
A1, A2: 밑면 A3: 옆면
S1: 제1 축 S2: 제2 축

Claims (8)

  1.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밑면 중앙에 제1 축과 제2 축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축수용부와 제2 축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옆면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만입된 적어도 하나의 만입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링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만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는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제1 축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축을 가압하는 제1 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2 축을 가압하는 제2 탄성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 탄성고정부는 탄성계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축 연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수용부와 상기 제2 축수용부는 서로 연통된 축 연결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는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인 축 연결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밑면의 지름이 높이보다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 연결 커넥터.
KR1020190015170A 2019-02-08 2019-02-08 축 연결 커넥터 KR10218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70A KR102180585B1 (ko) 2019-02-08 2019-02-08 축 연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70A KR102180585B1 (ko) 2019-02-08 2019-02-08 축 연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87A KR20200097587A (ko) 2020-08-19
KR102180585B1 true KR102180585B1 (ko) 2020-11-18

Family

ID=7229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70A KR102180585B1 (ko) 2019-02-08 2019-02-08 축 연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5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056A (ja) * 1999-09-03 2001-03-23 Nsk Ltd スリット付スライドジョイン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9057848A (ja) * 2007-08-30 2009-03-19 Hitachi Ltd 可変動弁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171A (ja) * 1997-04-10 1998-10-20 Tsubakimoto Chain Co 摩擦式剛性軸継手
KR200249906Y1 (ko) 2001-07-05 2001-11-16 조정응 모터축 연결용 플렉시블 커플링
KR200454571Y1 (ko) * 2009-11-27 2011-07-12 (주) 정우카프링 배관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056A (ja) * 1999-09-03 2001-03-23 Nsk Ltd スリット付スライドジョイン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9057848A (ja) * 2007-08-30 2009-03-19 Hitachi Ltd 可変動弁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87A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6077C (zh) 动力工具
JP6356652B2 (ja) 変動減衰装置
EP2600502B1 (en) Rotor core of motor
JPH0534910B2 (ko)
EP2749788A2 (en) Dual mass flywheel
JP4486491B2 (ja) ねじれ振動ダンパー
JP6756129B2 (ja) ダンパ装置
JP2017145857A (ja) 捩り振動低減装置
KR102180585B1 (ko) 축 연결 커넥터
JP2012229730A (ja) 遠心クラッチ装置
KR20180137162A (ko) 디스크 커플링용 다중판스프링
JP6167839B2 (ja) 車両用ダンパ装置
WO2017154554A1 (ja) ダンパ装置
JPH11236929A (ja) 弾性的なクラッチ
JP2018071558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ダンパー、及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6318746B2 (ja) ダンパ装置
EP3934571B1 (en) Flexible spring and motor assembly
KR101616075B1 (ko) 모터용 댐퍼
JPS61140625A (ja) 遠心クラツチにおける伝動断接装置
CN113309817A (zh) 减振装置
KR101284560B1 (ko) 슬립 기어
TW202027919A (zh) 震動扳手
KR102016134B1 (ko) 기어
JP2000018222A (ja) リベットによる板部材の連結構造
JP3650060B2 (ja) ブラシ装置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