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182B1 - 화장판 이송기 - Google Patents

화장판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182B1
KR102177182B1 KR1020190069153A KR20190069153A KR102177182B1 KR 102177182 B1 KR102177182 B1 KR 102177182B1 KR 1020190069153 A KR1020190069153 A KR 1020190069153A KR 20190069153 A KR20190069153 A KR 20190069153A KR 102177182 B1 KR102177182 B1 KR 10217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decorative plate
cylinder
plat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 훈 이
Original Assignee
대 훈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 훈 이 filed Critical 대 훈 이
Priority to KR102019006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2Wooden articles, e.g. logs, trunk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판재의 표면에 멜라민 함침지, 비닐시트 등의 모양지와 베이스지를 압착하여 제조된 각종 화장판을 절단톱 테이블 등 작업 테이블에 에 이송하여 절단 가공하는 등 후속작업을 위하여 화장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장판 이송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적층된 원하는 매수의 화장판을 일시에 그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이송중인 화장판의 상승시에 직하방에 위치한 화장판이 밀착되어 함께 상승되더라도 즉시 대기위치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여러장의 화장판을 일시에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직하방의 화장판이 동반 상승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원활한 공정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판 이송기{Transfer Apparatus for Decorative Sheet Board}
본 발명은 화장판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기재로서 합판, 파이버보드, 파티클보드 등 각종 판재의 표면에 멜라민 함침지, 비닐시트 등의 모양지와 베이스지를 압착하여 제조된 각종 화장판을 절단톱 테이블에 이송하여 절단 가공하는 등 후속작업을 위하여 화장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장판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장판을 이송하기 위하여 진공 흡착판이 구비된 공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유압실린더가 진공 흡착판이 하단에 설치된 피스톤을 하강시켜 이송 대상 화장판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진공펌프에 의하여 진공이 흡착판에 공급되어 화장판이 흡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압실린더가 피스톤을 상승시킴으로써 그 하단의 진공 흡착판에 흡착된 화장판을 상승시킨 후 다른 공압실린더의 동력으로 화장판을 이송하도록 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6397(고안의 명칭: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의 선행기술로 도시된 을 도1, 2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의 선행기술에서는 항상 하나의 화장판만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을 뿐이며, 여러장의 화장판을 일시에 이동시킬 수는 없는 것이어서 작업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적층되어 있는 화장판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화장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승시키는 경우 들어 올려진 화장판과 직하방의 화장판 사이에는 제조공정에서 발생된 열이 식으면서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가 되므로 화장판과 화장판 사이에 진공이 발생하면서 들어 올려진 화장판과 그 직하방의 화장판이 함께 상승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동작이 실시되는 경우 직하방의 화장판이 자중에 의하여 중간에 탈락되면서 작업자를 덮치거나 장비 부품에 타격을 가하여 화장판의 손상 뿐만 아니라 인명이 손상되는 중대 사고가 발생하거나 설비의 파손으로 공정 진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6397(고안의 명칭: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판 이상의 적층된 원하는 매수의 화장판을 일시에 그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장판 이송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특히 이송을 위해 화장판의 상승시에 직하방에 위치한 화장판이 밀착되어 함께 상승되더라도 즉시 대기위치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여러장의 화장판을 일시에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직하방의 화장판이 동반 상승하여도 함께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원활한 공정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화장판 이송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 내부에 리프터가 장착되도록 하고, 승강판이 승강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판 및 승강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한 이동체가 습동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동력으로 작업테이블이 위치하는 연장프레임까지 왕복 습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리프터 상방 일측 공간에 고정크램프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1실린더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동크램프가 구비된 회동프레임과,
상기 리프터에 의하여 상승하는 화장판을 설정된 높이에서 설정된 매수만큼 밀어 내기 위한 푸쉬실린더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전방에 제2실린더의 피스톤이 고정되고, 회동프레임의 후방에 고정축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와 고정축이 상기 승강판의 전,후방에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원하는 매수의 화장판을 일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낱장씩 이송시키는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려니와 그립된 화장판 직 하방의 화장판이 붙어 올라오는 경우에 즉시 낙하시킴으로써 화장판이 공정중 설비에 낙하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의 위협을 해소하고 설비가 손상됨을 방지하여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를 보인 평면도.
도2는 종래의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를 보인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판 이송기의 대기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크램프 열림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리프터에 의한 적층된 화장판 상승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푸쉬실린더가 적층된 화장판의 상측을 밀어 내기 시작하는 작동을 보인 우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푸쉬실린더에 의하여 적층된 복수의 화장판을 밀어 낸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서 푸쉬실린더의 복귀와 회동크램프의 그립 후 리프터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 저면에 밀착되었다가 기울게 한 동작으로 점선의 화장판이 낙하하는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이 연장프레임측으로 이동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이는 우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을 연장프레임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습동동력제공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이 연장프레임 선단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13은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을 90°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회동프레임 회동 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승강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회동프레임이 하강 후 회동크램프가 열려 화장판이 회전톱 테이블 위에 놓여 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승강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회동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16은 본 발명에서 회동프레임이 대기위치로의 복귀를 위하여 90° 역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도3 내지 도16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 내부에 리프터(200)가 장착되도록 하되, 리프터(200) 상방 일측 공간에 고정크램프(301)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1실린더(303)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동크램프(302)가 구비된 회동프레임(300)과, 리프터(200)에 의하여 상승하는 화장판을 설정된 높이에서 설정된 매수(枚數)만큼 밀어 내기 위한 푸쉬실린더(400)와,
상기 회동프레임(300)의 전방에 제2실린더(500)의 제2실린더 피스톤(502)이 고정되고, 회동프레임(300)의 후방에 고정축(50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500)와 고정축(501)이 전,후방에 고정되는 승강판(600)과, 상기 승강판(600)이 승강동력제공수단(70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판(600) 및 승강동력제공수단(700)을 포함한 이동체(101)가 습동동력제공수단(8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802)의 회전으로 연장프레임(900)에 설치된 래크기어(803)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회동프레임(300)의 90° 회전 동작 및 복귀 동작을 위하여 회동수단(602)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작동이 개시되면 제1실린더(303)의 작동으로 피스톤 선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인 회동크램프(302)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는 리프터(200)에 적층된 화장판이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도4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5으로 보인 바와 같이, 리프터(200)에 의한 적층된 화장판의 상승이 실시되는 것이며, 이때의 상승 높이는 화장판 두께 단위로 리프터(200)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보편화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와 같이 리프터(200)가 상승한 후에는 도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실린더의 피스톤 단부(401)가 돌출되면서 적층된 화장판의 상부 일측을 밀어 내기 시작한다.
이러한 푸쉬실린더 피스톤단부(400)는 화장판의 길이 중앙에 오도록 배치된 것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1매(枚) 이상의 화장판이 뒤틀림 없이 밀려나기 시작하며, 이러한 푸쉬실린더 피스톤 단부(401)에 의한 밀어내는 동작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판 반대편이 고정크램프(301)에 닿는 순간까지 지속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화장판의 일측이 고정크램프(301)에 닿게 되며 이어서 제1실린더(303)가 작동하여 피스톤이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회동프레임(300) 양측의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가 동시에 화장판을 그립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화장판은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 되어 정렬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푸쉬실린더 피스톤 단부(401)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고 리프터(200) 역시 대기 위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8로 보였다. 반면에 이와 같이 화장판이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에 의하여 그립된 후 리프터(200)가 원위치로 하강하였을 시 적층되어 있는 화장판과 화장판의 사이에 제조공정 중 가열된 공기가 냉각되면서 진공이 걸리거나 정전기 등에 의한 밀착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7로 보인 푸쉬실린더(400)의 밀어냄 동작만으로는 분리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그대로 방치하면 후속 공정 진행 중 밀착되어 있던 화장판이 낙하하여 작업자를 덮치거나 설비에 낙하되어 장비의 손상 및 공정 중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제2실린더 피스톤(502)을 하강시킴에 따라 승강판(600)에 고정된 고정축(501)을 중심으로 회동프레임(300)의 일측이 하강하여 도9으로 보인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에 의하여 그립 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화장판이 θ°만큼 기울어 지게 된다. 그러므로 그립 상태의 화장판과 밀착되어 상승된 화장판이 있는 경우 기울어짐에 따른 부분적 편하중이 가하여져 낙하되는 것이다.
도9에는 본 발명에서 그립된 화장판 저면에 밀착되었다가 기울게 한 동작으로 점선의 화장판이 낙하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이 하여 밀착된 화장판이 낙하된 후에는 제2실린더 피스톤(502)을 상승시켜 승강판(600)과 회동프레임(300)이 수평상태로 되도록 하여 그립된 화장판이 연장프레임(900)측으로 이동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를 도10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습동동력제공수단(800)이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습동동력제공수단(800)은 도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01) 상방에 설치된 모터 및 감속기(801)에 의하여 피니언(802)을 회전시키며 이러한 피니언(802)은 연장프레임(900)의 상방에 래크기어(803)가 단부 부위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 및 감속기(801)에 의한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802)이 래크기어(803)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이동체(101)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도12에 보인 바와 같이 그립된 화장판을 연장프레임(900)측 하방의 절단톱 테이블로 대표되는 작업대 상방에 도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그립된 화장판을 90°만큼 회전시켜야 할 경우가 있으며 회전시켜야 할 경우에는 공압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는 회동수단(602)을 작동시켜 회동프레임(300)이 90°만큼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11, 도12으로 보인 바와 같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스톤이 신장 상태에서 수축함으로써 승강판(600)이 중심의 중심축(60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회전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된 상태를 도13으로 도시하였으며, 이에는 정면에서 관찰할 때 길이가 노출되어 보이던 회동수단(602)이 승강판(600)의 중심축(60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단부 부분만이 노출된 상태임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대 상방에 필요한 방향으로 그립된 화장판이 정렬된 상태에서 승강동력제공수단(700)이 작동함으로써, 승강판(600)이 하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터 및 감속기(701)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프로켓(702)과, 상기 스프로켓(702)에 감겨진 체인(703)의 일단에 승강판(600)이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 및 감속기(701)에 의한 스프로켓(702)의 회전에 따라 감겨진 체인(703)이 풀리면서 승강판(60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승강판(600)이 하강하여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 사이에 그립된 화장판이 절단톱 테이블로 대표되는 작업테이블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4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운반된 화장판을 작업테이블에 재치한 후에는 제1실린더(303)의 작동으로 피스톤이 몰입되면서 회동크램프(302)가 벌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동력제공수단(700)인 모터 및 감속기(701)의 동력으로 스프로켓(702)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체인(703)이 감겨지면서 승강판(60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300)도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제1실린더(303)가 작동되어 그 피스톤에 의하여 회동크램프(302)가 원위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5로 도시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된 회동수단(602)의 작동으로 그 피스톤이 신장되면서 도11, 도12으로 보인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300)이 당초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하면서 회동수단(602)이 정면으로 노출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6으로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습동동력제공수단(800)인 모터 및 감속기(801)의 동력으로 피니언(802)이 회전함에 따라 래크기어(803) 위에서 이동체(101)가 이동하여 도16로 보인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3으로 보인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리프터(200)에서 필요한 매수의 화장판을 고정크램프(301)와 회동크램프(302)에 의하여 그립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립된 화장판의 가장 밑판에 의도하지 않은 화장판이 밀착되어 함께 들려지는 경우 제2실린더(500)에 의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각도 θ°로 흔들어 주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필요한 매수의 화장판만이 원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를 보호하고 화장판에 의한 설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1실린더(303)와 제2실린더(500) 그리고 회동수단(602)을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로 할 수 있으며 기타 리니어모터 등 다른 구조의 액튜에이터( Actuator )라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연장프레임(900)의 길이가 수미터에 달하므로 이러한 거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습동동력제공수단(800)으로 모터 및 감속기(801)에 의하여 피니언(802)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래크기어(803) 위에서 이동체(101)를 이동시키고 있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모터 및 감속기(801)에 의하여 스프로켓을 회동시키고 체인을 걸어 이동체(101)를 이동시키는 구조로도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며, 규격이 장대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습동시킬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구동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동력제공수단(700)으로 모터 및 감속기(701) 그리고 스프로켓(702) 및 체인(703)을 걸어 체인(703)의 단부에 연결된 이동체(101)인 승강판(600)이 승강되도록 하였으나, 이외에도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이동체(101)인 승강판(600)이 승강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구조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메인프레임 101 : 이동체 200 : 리프터
300 : 회동프레임 301 : 고정크램프 302 : 회동크램프
303 : 제1실린더 400 : 푸쉬실린더 401 : 피스톤 단부
500 : 제2실린더 501 : 고정축 502 : 제2실린더 피스톤
600 : 승강판 601 : 중심축 602 : 회동수단
700 : 승강동력제공수단 701 : 모터 및 감속기 702 : 스프로켓
703 : 체인 800 : 습동동력제공수단 801 : 모터 및 감속기
802 : 피니언 803 : 래크기어 900 : 연장프레임

Claims (3)

  1. 메인프레임 내부에 리프터가 장착되고, 승강판이 승강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판 및 승강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한 이동체가 습동동력제공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동력으로 작업테이블이 위치하는 연장프레임까지 왕복 습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리프터의 상방 일측 공간에 고정크램프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1실린더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동크램프가 구비된 회동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에 의하여 상승하는 화장판을 설정된 높이에서 설정된 매수만큼 밀어 내기 위한 푸쉬실린더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전방에 제2실린더의 피스톤이 고정되고, 회동프레임의 후방에 고정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와 고정축이 상기 승강판의 전,후방에 고정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이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크램프는 회동프레임 양측에 설치되어 제1실린더의 작동으로 그립과 동시에 화장판을 고정크램프로 밀어 정렬하는 기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이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화장판 폭의 중간에 오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이송기.
KR1020190069153A 2019-06-12 2019-06-12 화장판 이송기 KR10217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53A KR102177182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판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53A KR102177182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판 이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182B1 true KR102177182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53A KR102177182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판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0336A (zh) * 2021-04-28 2021-08-03 广州松兴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环流式储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789A (ja) * 1993-03-05 1994-09-13 Shizuoka Kiko Seisakusho:Kk 重送防止装置と素材投入装置
JPH11292286A (ja) * 1998-04-02 1999-10-26 Ishizu Seisakusho:Kk 積重板材の所定枚数供給装置
KR200316397Y1 (ko) 2003-03-14 2003-06-18 대 훈 이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
KR20130141250A (ko) * 2012-06-15 2013-12-2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922841B1 (ko) * 2018-05-30 2018-11-27 황의표 목재패널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789A (ja) * 1993-03-05 1994-09-13 Shizuoka Kiko Seisakusho:Kk 重送防止装置と素材投入装置
JPH11292286A (ja) * 1998-04-02 1999-10-26 Ishizu Seisakusho:Kk 積重板材の所定枚数供給装置
KR200316397Y1 (ko) 2003-03-14 2003-06-18 대 훈 이 화장합판 제조장치의 함침지 공급기
KR20130141250A (ko) * 2012-06-15 2013-12-2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922841B1 (ko) * 2018-05-30 2018-11-27 황의표 목재패널의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0336A (zh) * 2021-04-28 2021-08-03 广州松兴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环流式储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187B2 (en) Automatic tile cutter
KR101928277B1 (ko) 합판 이송장치
CN106393290A (zh) 一种木材加工辅助处理装置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JP2012046315A (ja) ワーク反転装置
KR102177182B1 (ko) 화장판 이송기
CN220200707U (zh) 一种便于调节的码垛机
US6606531B1 (en) Sheet material loader/unloader for machine tools
KR101621798B1 (ko) 마블칩 파쇄기용 자재시트 투입장치
KR102057571B1 (ko) 플랫보드 그립장치
CN109335702B (zh) 一种板材加工专用堆垛机
US3028979A (en) Sheet pack stacking apparatus
KR101458552B1 (ko) 판재 정렬 및 적재장치 및 그 방법
EP2492224B1 (en) Device for loading flat elements, such as panels or the like, onto a machine tool
JP4014903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CN206032675U (zh) 电视背板自动码垛系统
CN112722427B (zh) 一种电梯防护门用自动堆叠装置
CN211971040U (zh) 一种半自动的纸板码垛机
CN107804666A (zh) 汽车钣金件往复输送设备
CN107283539B (zh) 自动锯板机
KR20220068009A (ko) 코팅 또는 시트가 형성된 보드용 회전장치
CN218987955U (zh) 一种层式炉的运输装置
JP4008269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CN212450351U (zh) 一种带上下料装置的激光切割机
CN211104275U (zh) 全自动v-cut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