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768B1 -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768B1
KR102171768B1 KR1020180122054A KR20180122054A KR102171768B1 KR 102171768 B1 KR102171768 B1 KR 102171768B1 KR 1020180122054 A KR1020180122054 A KR 1020180122054A KR 20180122054 A KR20180122054 A KR 20180122054A KR 102171768 B1 KR102171768 B1 KR 10217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film
metal material
nozzle
mel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672A (ko
Inventor
김성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2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768B1/ko
Priority to PCT/KR2019/013322 priority patent/WO2020076107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1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single casting wheel, e.g. for casting amorphous metal strip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소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 용융물을 응고시켜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각롤; 및 상기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금속 소재 제조 중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고물에 의해 금속 소재에 갈라짐, 긁힘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metal materi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노즐에 응고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정질 금속 소재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결정질 합금(이하 비정질 합금이라 한다)은 용융상태의 용강을 급속 냉각시켜 제조된다. 이에 용강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결정질을 형성하지 못하고 유리질과 같은 상태, 즉 비결정질 상태로 응고된다.
비정질 금속은 통상적인 결정질 금속과는 달리 원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함으로써 결정성을 갖지 않는 액상과 유사한 유리질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비정질 금속은 결정질 금속의 특징인 결정입계(grain boundary)가 없고, 전위(dislocation) 등과 같은 결정결함(crystalline imperfection)이 존재하지 않으며, 같은 조성의 결정질 금속에 비해 우수한 연자성, 강인성, 내식성, 초전도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비정질 금속의 제조 방법은 다이캐스팅/영구주형주조법(die casting/permanent mold casting)과 멜트 스피닝법(melt spinning) 등이 있으며, 그 중 멜트 스피닝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멜트 스피닝법은 PFC(Planar Flow Casting)이라 불리우기도 하며, 용융물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냉각롤에 공급하여 급속 냉각 및 응고시킴으로써 리본이나 스트립 등과 같은 비정질 금속 소재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한편, 멜트 스피닝법을 이용하여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경우, 금속 소재의 제조가 시작되면, 용기, 예컨대 턴디쉬에 수용되어 있는 용강은 턴디쉬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냉각롤으로 배출된다. 이때, 냉각롤로 배출된 용강은 냉각롤의 회전 방향(downstream) 및 역회전 방향(upstream)으로 넓게 퍼지면서 불안정한 상태의 퍼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짧은 시간 내에 불안정한 상태의 퍼들은 냉각롤의 회전 및 용강의 장력에 의해 다시 노즐 하부로 모이면서 안정적인 상태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의 비정질 소재, 예컨대 리본으로 주조될 수 있다. 이때, 퍼들은 노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기준으로 역회전 방향에서는 노즐의 저면과 냉각롤 사이에 충진되고, 회전 방향에서는 노즐의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런데 주조 초기, 냉각롤으로 배출된 용강이 안정된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노즐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특히, 토출구를 기준으로 냉각롤의 회전 방향에 배치되는 노즐의 저면에 용강이 접촉하는 경우,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응고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응고물은 퍼들과 접촉하면서 점차 성장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 소재와 접촉하여 금속 소재에 갈라짐, 긁힘 등의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525189 B KR 2014-0123125 A
본 발명은 노즐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장치는,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 용융물을 응고시켜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각롤; 및 상기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차단막; 및 상기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종이, 저융점 섬유, Si계 내화물 및 SiO2계 내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의 두께는 상기 노즐의 저면과 상기 냉각롤의 외주면까지 거리를 1이라 할 때, 0.1 내지 0.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냉각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 몸체; 및 상기 용융물을 상기 냉각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노즐 몸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냉각롤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노즐 몸체의 저면을 상기 차단막으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분리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분리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1롤; 상기 용기의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2롤;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저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에 부착되는 응고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롤과 상기 가이드 롤의 사이 및 상기 제2롤과 상기 가이드 롤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단막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방법은, 용기 내부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과정;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각롤을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냉각롤에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 및 상기 냉각롤에 배출된 용융물을 응고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롤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노즐의 저면을 상기 차단막으로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을 용융 또는 연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과 분리되도록 상기 노즐의 외측으로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저면을 따라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을 상기 냉각롤에 배출시키는 과정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차단막에 부착된 응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속 소재 제조 시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막을 이용하여 노즐, 예컨대 배출구를 중심으로 냉각롤의 회전 방향에 배치되는 노즐의 저면에 용강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소재 제조 중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고물에 의해 금속 소재에 갈라짐, 긁힘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되는 금속 소재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차단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차단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차단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은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단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차단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차단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는,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100)와,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110)과, 회전 가능하고 용융물을 응고시켜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노즐(110)의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냉각롤(120) 및 노즐(110)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소재 제조 장치는 금속 소재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미도시)와, 측정된 금속 소재의 두께에 따라 차단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융물은 용강을 포함할 수 있고, 용기(100)는 턴디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는, 용융물이 결정질을 형성하기 전에 급속하게 냉각시켜 유리질과 같은 상태로 응고되는 비정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정질 제품은 15 내지 40㎛ 정도의 두께와, 수 mm에서 수백 mm 정도의 폭을 가지며, 리본, 스트립 등과 같은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내부에 용융물을 장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의 하부, 예컨대 바닥에는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롤(120)은 용기(100)의 하부에 용기(100)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각롤(120)은 일방향, 예컨대 금속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롤(120)이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냉각롤(120)이 연장되는 방향, 즉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서 냉각롤(120)의 회전 방향은 냉각롤(12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이라 한다.
냉각롤(120)은 내부에 냉각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냉각롤(120)은 냉각매체에 의해 비교적 저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롤(120)은 고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각롤(120)은 시간당 90 내지 110㎞ 정도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냉각롤(120)은 용융물을 외주면에 부착시켜 급속 냉각, 응고시킴으로써 리본이나 스트립 등과 같은 얇은 두께의 금속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110)은 용기(100)의 하부, 즉 저면에 구비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물을 냉각롤(120)에 공급할 수 있다. 노즐(110)은 노즐 몸체(110a, 110b)와, 배출구와 연통되고 노즐 몸체(110a, 110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토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몸체(110a, 110b)는 냉각롤(12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냉각롤(12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토출구(112)는 노즐 몸체(110a, 110b)를 따라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노즐(110)은 토출구(112)를 통해 냉각롤(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몸체(110a, 110b)는 냉각롤(12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냉각롤(120)과의 사이에 용융물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냉각롤(120)으로 배출된 용융물은 계면 장력에 의해 용융물 풀, 일명 퍼들(puddle)을 형성할 수 있다. 퍼들은 용융물의 자체 점성에 의한 유동과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서 계면 장력으로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융물의 점성에 의한 유동은 용융물의 온도와 냉각롤(120)의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기 때문에, 퍼들의 거동 안정성과 퍼들의 길이는 용융물과 공기의 계면 장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퍼들은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서 토출구(112)를 기준으로 냉각롤(120)의 회전방향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리본이나 스트립 등과 같은 금속 소재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구(112)를 기준으로 후방, 예컨대 역회전 방향에 배치되는 퍼들은 후단부라 하고, 전방, 예컨대 회전 방향에 배치되는 퍼들은 전단부라 한다. 그리고 토출구(112)를 기준으로 냉각롤(1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 몸체를 후방 노즐 몸체(110a)라 하고, 전방에 위치하는 노즐 몸체를 전방 노즐 몸체(110b)라 한다.
그런데 토출구(112)를 통해 냉각롤(120)으로 배출된 용융물은 안정적인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기 이전에,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2)를 기준으로 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퍼지면서 노즐(110)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용융물은 용융물 자체 점성에 의한 유동과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서 계면 장력에 의해 안정적인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퍼들의 후단부는 냉각롤(120)과 후방 노즐 몸체(110a) 사이를 충진한 상태를 유지하고, 퍼들의 전단부는 냉각롤(120)과 접촉하고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퍼들의 전단부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과 이격되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접촉했던 용융물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서 응고되어 응고물을 형성하게 된다.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부착된 응고물은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퍼들과 접촉하면서 성장하게 된다. 이에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퍼들이나 냉각롤(120)에 의해 응고된 금속 소재와 접촉하여 금속 소재에 갈라짐이나 긁힘 등의 결함을 유발하게 된다.
도 3은 노즐(110)의 저면, 예컨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면,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응고물이 성장하여 냉각롤(120)에 부착된 퍼들이나 냉각롤(120)에 의해 응고된 금속 소재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제조된 금속 소재에 갈라짐이나 긁힘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를 이용하여 전방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응고물에 의해 금속 소재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부(200)는 차단막(220)과, 노즐(11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차단막(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하는 것이란,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차단막(220)과 전방 노즐 몸체(110b) 사이로 용융물이 유입되지 않을 정도로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차단막(220)을 이격 배치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220)은 종이, 200℃ 이하의 융점을 갖는 저융점 섬유, Si계 내화물 및 SiO2계 내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220)으로 종이나 저융점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 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면 연소 또는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다. 차단막(220)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으로부터 제거되지만, 용융물과 접촉된 이후 제거되기 때문에 용융물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220)으로 내화물을 이용하는 경우, 차단막(220)은 용융물과 접촉하더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물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차단막(220)의 두께는 용융물이 배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 위치에서 노즐(110)의 저면과 냉각롤(12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d)를 1이라 할 때, 약 0.1 내지 0.5 정도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용융물이 배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 위치에서 노즐(110)의 저면과 냉각롤(12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1000㎛ 이하, 예컨대 100 내지 600㎛ 정도이다. 이때, 차단막(220)의 두께를 제시된 범위보다 얇게 형성하는 경우, 차단막(220)을 핸들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차단막(220)의 두께를 제시된 범위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단막(220)이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지나치게 많은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퍼들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단막(220)을 제시된 범위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차단막(220)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막(220)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110)의 외측에서 지지유닛(2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전방 노즐 몸체(110b)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유닛(21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용기(100)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12)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프레임(212)에 연결되는 지지로드(214) 및 지지로드(214)에 연결되고 차단막(220)을 분리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로드(214)는 지지프레임(212)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지지유닛(210)은 지지로드(21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지유닛(210)은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차단막(220)이 종이나 저융점 섬유로 형성된 경우, 차단막(220)은 용융물과 접촉하면 연소되거나 용융되기 때문에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반면, 차단막(220)이 내화물로 형성된 경우, 차단막(220)은 용융물과 접촉하더라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차단막(220)이 용융물과 접촉하면, 차단막(220)에 용융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차단막(220)에 부착된 용융물이 응고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막(220)이 용융물과 접촉한 이후에는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응고물에 의해 금속 소재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유닛(210)이 지지프레임(212), 지지로드(214) 및 클램프(2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지지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변형 예처럼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230a, 23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클램프(230a, 230b)는 용기(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막(220)은 용융물과 접촉했을 때 연소되거나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차단막(220)은 용융물과 접촉하면 제거되기 때문에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클램프(230a, 230b)는 차단막(220)을 분리 가능하도록 지지 또는 파지할 수 있으면 된다.
도 5는 차단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차단부는 스트립 형상의 차단막(2400)과,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따라 차단막(24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유닛(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2000)은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차단막(2400)을 제공하기 위한 제1롤(2100)과, 용기(100)의 타측에 구비되고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제공되는 차단막(2400)을 회수하기 위한 제2롤(2200) 및 전방 노즐 몸체의 저면을 커버 또는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막(2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2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2300)은 제1롤(2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롤(2300a)과, 제2롤(2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롤(2300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롤(2100), 제2롤(2200) 및 가이드 롤(2300)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롤(2100)에는 차단막(2400)이 감겨 있으며,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으로 차단막(2400)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롤(2200)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통과한 차단막(2400)을 감아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 롤(2300a)과 제2가이드 롤(2300b)은 차단막(2400)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하거나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스트립 형상의 차단막(2400)은 제1롤(2100)과 제2롤(2200)의 회전에 의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했던 차단막(2400)에는 용융물 또는 응고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후 폐기 처리될 수 있다.
도 6은 차단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차단부는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폐루프를 형성하는 차단막(2400a)과,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따라 차단막(2400a)을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유닛(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2000)은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1롤(2100)과, 용기(100)의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2롤(2200) 및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막(2400a)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2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2300)은 제1롤(2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롤(2300a)과, 제2롤(2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롤(2300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롤(2100), 제2롤(2200) 및 가이드 롤(2300)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차단막(2400a)은 제1롤(2100), 제2롤(2200) 및 가이드 롤(230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롤(2100)과 제2롤(2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을 회전시켜 차단막(2400a)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이때, 차단막(2400a)에서 전방 노즐 몸체(110b)를 통과한 영역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다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2400a)에 부착된 용융물이나 응고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기(30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거기(3000)는 차단막(2400a)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롤(2100)과 제1가이드 롤(2300a) 사이 및 제2롤(2200)과 제2가이드 롤(2300b)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거기(3000)는 차단막(2400a)에서 적어도 용융물과 접촉한 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단막(2400a)에 부착된 용융물이나 응고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제공되었던 차단막(2400a)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으로 다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차단막(2400a)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소재 제조방법은, 용기(100) 내부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과, 차단막(220)으로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110)의 저면을 커버하는 과정과,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각롤(120)을 회전시키는 과정과, 냉각롤(120)에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 및 용융물을 응고시켜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기(100)에 용융물이 마련되면, 차단부를 이용하여 노즐(110)의 저면, 예컨대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차단막(220)으로 커버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때, 차단막(220)은 지지로드(214)의 하부에 구비되는 클램프(216) 의해 파지된 상태로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로드(214)는 용기(1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용기(100)에 용융물을 마련한 이후에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차단막(220)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후, 용기(100) 하부에 구비되는 냉각롤(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0)에 수용된 용융물을 노즐(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냉각롤(120)으로 배출시키면서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금속 소재를 목표로 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도록 용융물의 배출량이나 냉각롤(1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용기(100)에서 배출된 용융물은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서 퍼들을 형성할 수 있다. 용융물은 안정된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기 이전, 노즐(110)과 냉각롤(120)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차단막(220)에 의해 노즐(110)의 저면, 즉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용융물과 접촉한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기를 이용하여 지지로드(214)를 노즐(110)의 외측, 예컨대 냉각롤(12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전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단막(220)을 전방 노즐 몸체(110b)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융물은 냉각롤(120)에 배출된 이후, 짧은 시간, 예컨대 1초 이내에 안정된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기 때문에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거의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금속 소재의 제조 초기, 예컨대 냉각롤(120)에 배출된 용융물이 안정된 형태의 퍼들을 형성하기 전까지 차단막(220)을 이용하여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방지함으로써 금속 소재에 갈라짐, 긁힘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0)에 수용된 용융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금속 소재의 제조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차단부를 이용하여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차단막(220)은 냉각롤(120)에 배출된 용융물과 접촉하면 연소 또는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소재의 제조가 완료되면, 후속 공정을 위해 클램프(230a, 230b)에 새로운 차단막(22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차단부를 이용하여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 냉각롤(120)에 용융물이 배출된 이후 차단막(2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동안 차단막(240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차단막(2400)을 단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차단막(2400) 중 적어도 전방 노즐 몸체(110b)를 커버하고 있던 영역이 전방 노즐 몸체(110b)와 냉각롤(120) 사이를 빠져나가고, 새로운 영역이 전방 노즐 몸체(110b)와 냉각롤(120) 사이로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단막(2400) 중 용융물과 접촉한 영역이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을 커버하는 경우, 차단막(2400)에 부착된 용융물이 응고물을 형성하여 퍼들이나 금속 소재와 접촉함으로써 금속 소재에 결함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차단부를 이용하여 전방 노즐 몸체(110b)의 저면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 냉각롤(120)에 용융물이 배출된 이후 차단막(2400a)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차단막(2400a)은 폐루프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방 노즐 몸체(110b)을 커버했던 영역이 노즐(110)과 다시 접촉하게 된다. 이에 차단막(2400a)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차단막(2400a)을 제거기(3000)에 접촉시켜 차단막(2400a)에 부착된 응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차단막(2400a)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단막(2400a)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금속 소재를 제조하면, 노즐의 저면에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응고물에 의해 금속 소재에 갈라짐, 긁힘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 110: 노즐
120: 냉각롤 200: 차단부
210, 2000: 지지유닛 220, 2400, 2400a: 차단막
3000: 제거기

Claims (18)

  1.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
    용융물을 응고시켜 금속 소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각롤; 및
    상기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에 용융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차단막; 및
    상기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종이, 저융점 섬유, Si계 내화물 및 SiO2계 내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두께는 상기 노즐의 저면과 상기 냉각롤의 외주면까지 거리를 1이라 할 때, 0.1 내지 0.5로 형성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냉각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 몸체; 및
    상기 용융물을 상기 냉각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노즐 몸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냉각롤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노즐 몸체의 저면을 상기 차단막으로 커버할 수 있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분리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분리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1롤;
    상기 용기의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2롤;
    상기 제1롤과 상기 제2롤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저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에 부착되는 응고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롤과 상기 가이드 롤의 사이 및 상기 제2롤과 상기 가이드 롤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단막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거기;를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장치.
  11. 용기 내부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과정;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각롤을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냉각롤에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 및
    상기 냉각롤에 배출된 용융물을 응고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는 과정은 종이, 저융점 섬유, Si계 내화물 및 SiO2계 내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단막으로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노즐의 저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롤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노즐의 저면을 상기 차단막으로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용융 또는 연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분리되도록 상기 노즐의 외측으로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저면을 따라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을 상기 냉각롤에 배출시키는 과정 이후에 수행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금속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수행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차단막에 부착된 응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제조방법.
KR1020180122054A 2018-10-12 2018-10-12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17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54A KR102171768B1 (ko) 2018-10-12 2018-10-12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9/013322 WO2020076107A1 (ko) 2018-10-12 2019-10-11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54A KR102171768B1 (ko) 2018-10-12 2018-10-12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72A KR20200041672A (ko) 2020-04-22
KR102171768B1 true KR102171768B1 (ko) 2020-10-29

Family

ID=7016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54A KR102171768B1 (ko) 2018-10-12 2018-10-12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1768B1 (ko)
WO (1) WO202007610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784A (en) 1982-05-04 1985-06-11 Alcan International Limited Casting metals
US5230381A (en) 1991-07-16 1993-07-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hin metal strip by quenching and solidification
US20180221941A1 (en) 2015-08-05 2018-08-09 Jfe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thin stri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731A (ko) * 2012-12-14 201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스트립 제조장치
KR20140085712A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PFC(Planar Flow Casting) 공정 중 발생하는 미세 금속 조각을 회수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PFC 공정 설비
KR20140123125A (ko) 2013-04-1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소재 제조설비의 공기 차단 장치
KR101525189B1 (ko) 2013-12-23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소재 제조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784A (en) 1982-05-04 1985-06-11 Alcan International Limited Casting metals
US5230381A (en) 1991-07-16 1993-07-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hin metal strip by quenching and solidification
US20180221941A1 (en) 2015-08-05 2018-08-09 Jfe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thin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72A (ko) 2020-04-22
WO2020076107A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38226B2 (ja) 金属薄帯の製造装置
NO160288B (no) Apparat for baandstoeping.
KR102171768B1 (ko) 금속 소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US5651412A (en) Strip casting with fluxing agent applied to casting roll
JP2517614B2 (ja) 金属薄帯連続鋳造装置の注湯開始方法
JPH03133552A (ja) 急冷金属薄帯の製造方法
JP6593453B2 (ja) 金属薄帯の製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薄帯の製造方法
JP2517615B2 (ja) 金属薄帯用連続鋳造装置の起動方法
JPH0377751A (ja) 非晶質合金薄帯の製造用ノズル装置
JP2517613B2 (ja) 金属薄帯連続鋳造装置の起動方法
JP2002283008A (ja) 急冷凝固薄帯の鋳造方法
JP4256566B2 (ja) 急冷凝固薄帯の巻取方法および装置
NO161042B (no) Fremgangsmaate og trakt for kontinuerlig stoeping av baandmateriale.
JPS62166061A (ja) 急冷凝固活性金属薄帯の製造方法
JPH08197202A (ja) 急冷凝固薄帯の巻取り方法
JP2005021950A (ja) アモルファス合金薄帯の製造方法
JPH02247306A (ja) Nd合金注湯ノズルの地金除去装置
JP3110614B2 (ja) 金属薄帯の製造方法
JPH01127147A (ja) 溶融金属の鋳造方法
JP5168211B2 (ja) 急冷凝固薄帯鋳造用ノズル
JPH02247304A (ja) Nd合金注湯用ノズル
JPS5935860A (ja) 非晶質金属の製法
JPH07102434B2 (ja) 非晶質合金薄帯の製造方法
JPH02263542A (ja) 単結晶からなる帯状鋳塊の連続鋳造法
JPH04127939A (ja) 急冷金属薄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