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187B1 - 브레지어 - Google Patents

브레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187B1
KR102171187B1 KR1020197026343A KR20197026343A KR102171187B1 KR 102171187 B1 KR102171187 B1 KR 102171187B1 KR 1020197026343 A KR1020197026343 A KR 1020197026343A KR 20197026343 A KR20197026343 A KR 20197026343A KR 102171187 B1 KR102171187 B1 KR 10217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ase portion
skin
wire
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124A (ko
Inventor
카즈코 노가와
마유미 나카무라
메이세이 타케이시
Original Assignee
아보와르 인터내셔널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보와르 인터내셔널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아보와르 인터내셔널 컴퍼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3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5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C3/0064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dical use 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35Brassier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8Brassieres with size and configuration adjust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2Stiffen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8Prosthetic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유방 재건 후의 경과에 따라서 와이어를 조정하는 것, 또, 좌우 유방의 크기 및 언더 위치를 조정하는 것, 또한, 그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압박감이나 피부감촉이 부드럽고, 착용감이 좋은 브레지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좌우 한 쌍의 컵부와, 상기 컵부를 지지하는 토대부와, 백부와, 스트랩을 구비하는 브레지어로서, 상기 컵부는 그 이면에, 앞 중심 정상부로부터 컵 아래 엣지를 따라서 겨드랑이부에 이르는 언더 조정 포켓과, 컵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볼륨 조정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토대부는 상기 컵부와 연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컵부의 컵 아래 엣지부와 거의 동일한 곡선을 가지는 와이어 삽입부를 표면에 구비한 표면측 토대부가 포개어져 있고, 상기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표면측 토대부는 앞 중심 정상부, 사이드 엣지부, 하단부에서 서로 고정되고, 동시에, 피부측 토대부의 컵 아래 엣지부 및 표면측 토대부의 와이어 삽입부는 그 양단을 제외하고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브레지어이다.

Description

브레지어
본 발명은 좌우의 유방 위치나 크기의 차이를 조정하고, 또 그것들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브레지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이유에 의해 좌우의 유방 위치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유방의 좌우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신체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것, 또, 외견상의 좌우 차이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브레지어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좌우의 컵의 한쪽에, 유방의 크기 차이를 보충하기 위한 패드가 고정된 브레지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브레지어에 있어서, 패드는 유방의 verge's line 을 따른 엣지의 중도로부터 컵부의 겨드랑이 엣지부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특허문헌 1의 브레지어는 패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를 장착하는 등의 시간이 경감된다. 한편으로, 바스트의 크기나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는 좌우의 유방 크기 차이를 보정하는 패드를 삽입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한 브레지어로서, 컵 본체와 내피재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고, 내피재에는 포켓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있고, 당해 개구부의 엣지가 서로 포개지고, 포켓의 개구에 뚜껑이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내피재로서, 보습기능이 있는 니트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쾌적한 입는 기분을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좌우의 유방에 차이가 있어도, 신체에 핏팅하고, 파운데이션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3은 컵의 주위를 신축성 직물로 구성한 파운데이션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파운데이션은 바스트 컵을 형성하는 반원 형상부를 형성한 밀착부의 이면에, 당해 이면과 동일 형상으로 바스트 컵을 재봉한 신축 직물을 중첩시키고, 신축 직물의 사이드 엣지 및 아래 엣지를 밀착부에 재봉하는 동시에, 바스트 컵의 앞 중심을 신축 직물과 함께 밀착부에 재봉한 것이다.
또, 압박감이나 컨디션에 따라서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브레지어가 공지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는 브레지어의 컵부 이면에, 와이어 장착용 튜뷸러 패브릭이 설치되어 와이어가 삽입되고 있고, 당해 와이어 장착용 튜뷸러 패브릭의 적어도 한 끝이 와이어의 제거구로가 되고, 와이어 제거구로부터, 와이어를 삽입하고 제거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브레지어는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제거구의 튜뷸러 패브릭 내부에 와이어 빠짐 방지 부재가 설치되고, 추가로 고정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빠짐이 방지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213340호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8563공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S56-122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H11-12808호
전술한 바와 같이, 유방의 좌우 차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브레지어가 공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브레지어가 사용되는 경우의 하나로서, 유방암 등의 치료에 있어서 유방을 절제한 후에, 유방재건을 했을 경우가 있다. 유방재건의 방법으로는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자가 조직의 이식에 의한 방법 등이 있지만, 어느 쪽의 경우에도 가료 중, 또, 수술부가 안정될 때까지, 추가로 그 후에도, 수술부위를 보호하고, 수술부위와 건강한 부위의 좌우 차이의 조정을 실시하면서, 좌우 균등한 외견을 얻는 것이 소망된다.
유방재건을 실시했을 경우, 수술 후 당분간은 논와이어의 브레지어를 착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또, 와이어를 넣은 브레지어를 사용하게 된 후에도, 압박감이 적고 피부감촉이 부드러운 브레지어가 소망되는 경우가 많다. 또 한편으로 수술 후의 경과나 컨디션에 따라서 수술부위의 유방은 경시적으로 변화되고, 추가로, 건강한 부위의 유방도 체중의 증감 등에 의해서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좌우의 유방에 차이가 발생하고, 또 그 차이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 유방의 좌우 차이는 그 볼륨이나 형상뿐만 아니라, 좌우의 언더 위치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좌우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언더 위치(상하 차이)를 조정하는 것도 소망된다.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유방재건 후의 경과에 따라서, 와이어를 조정하는 것, 좌우 유방의 볼륨 및 언더 위치를 조정하는 것, 추가로, 경시적인 좌우 차이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압박감이 작고, 피부감촉이 부드럽고, 장기적인 합병증을 방지하고, 대칭성이 있는 유방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브레지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검토를 거듭한 바, 컵의 내측에 패드 삽입용 포켓을 구비하는 동시에, 브레지어의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 또, 와이어 삽입부를 브레지어의 표면에 설치하고, 피부에 접하는 측의 요철을 적게 하는 것에 의해서, 유방의 볼륨 및 언더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와이어 교환이 용이하고, 피부감촉이 좋아지는 것을 발견했다. 또, 브레지어의 토대부를, 와이어 삽입부를 구비한 표면측 토대부와, 컵을 구비하고, 컵 주위부를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한 피부측 토대부의 이중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서, 와이어의 유무나 사이즈와 관계 없이 유방에 핏팅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언더 조정 패드로 언더 위치를 조절하면서 유방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좌우 차이를 해소하고, 유방의 상태 변화에도 대응 가능해서, 착용감이 좋은 브레지어를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다음 구성을 갖는다.
[1] 좌우 한 쌍의 컵부와, 상기 컵부를 지지하는 토대부와, 백부와, 스트랩을 구비하는 브레지어로서,
상기 컵부는 그 이면에, 앞 중심 정상부로부터 컵 아래 엣지를 따라서 겨드랑이부 정점에 이르는 언더 조정 포켓과, 컵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볼륨 조정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토대부는 상기 컵부와 연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컵부의 컵 아래 엣지와 거의 동일한 곡선을 가지는 와이어 삽입부를 표면에 구비한 표면측 토대부가 포개어져 있고,
상기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표면측 토대부는 앞 중심 정상부, 사이드 엣지부, 하단부에서 서로 고정되고,
상기 피부측 토대부의 컵 아래 엣지와 상기 표면측 토대부의 와이어 삽입부는 그 양단을 제외하고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브레지어.
[2] 상기 [1]에서, 상기 컵부에 있어서, 상기 언더 조정 포켓은 상기 볼륨 조정 포켓보다도 피부측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언더 조정 포켓의 개구는 상기 브레지어의 표면측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브레지어.
[3] 상기 [1] 또는 [2]에서, 상기 컵부에 있어서, 상기 언더 조정 포켓에, 상기 컵부의 앞 중심 정상부로부터 컵 아래 엣지를 따라서 겨드랑이부에 이르는 라인을 따른 곡선을 가지는 바나나형 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브레지어.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피부측 토대부는 신축성 레이스와 파워네트가 포개어져 이루어지는 것인 브레지어.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표면측 토대부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부의 적어도 한쪽 끝에 와이어 삽입ㆍ제거구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와이어 삽입ㆍ제거구는 그 표면측에, 와이어의 빠짐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브레지어.
[6] 상기 [5]에서, 상기 와이어 삽입ㆍ제거구를 통해서 와이어가 삽입ㆍ제거가 자유롭고, 와이어 삽입의 유무, 및, 삽입하는 와이어의 형상이 선택 가능한 브레지어.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컵부의 적어도 윗 엣지에 신축성 레이스가 장착되고, 당해 신축성 레이스의 엣지에는 신축 테이프 또는 평 고무가 장착되고, 당해 신축 테이프 또는 평 고무와 상기 스트랩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브레지어.
[8] 상기 [1]에서, 상기 토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부 및 상기 컵부의 최하부에서 상기 토대부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2∼3cm인 브레지어.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 의하면, 와이어의 유무나 형상, 또, 언더 조정 패드 및 볼륨 조정 패드의 유무나 형상을 선택할 수 있고, 좌우의 유방 상태나 밸런스가 변화되어도, 그때마다의 상태에 따라서, 수술부를 보호하고, 핏팅감이 뛰어나고, 좌우 균등한 외견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토대부가 이중 구조로 되어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피부측 토대부가 신축성을 가지고, 동시에, 표면측 토대부에 와이어 삽입부가 설치된다는 구성에 의해서, 유방 특히 유방의 하부로의 압박을 저감시키면서도 유방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에 의해서, 유방재건 후의 창상 치유과정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고, 장기적인 유방의 형태변화에도 대응 가능하고, 동시에, 피부감촉이 부드럽고, 장기적인 합병증을 방지하고, 대칭성이 있는 유방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항 브레지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 컵부에 구비되는 포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 한쪽 컵에, 언더 조정 패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에 사용하는 언더 조정 패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 표면측 토대부 및 피부측 토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브레지어 와이어 삽입ㆍ제거구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나타난 실시예는 일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인 브레지어(1)의 표면(의복측)의 전체를 나타낸다. 브레지어(1)는 좌우 한 쌍의 컵부(2)와, 컵부(2)를 지지하는 토대부(3)와, 토대부(3)와 연결되어 있는 백부(4)와, 컵부(2)와 백부(4)를 연결하는 스트랩(5)을 구비한다. 백부(4)의 끝에는 후크(6)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백부(4)는 후크(6)에 의해, 서로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다.
토대부(3)는 서로 거의 동일한 형상인 표면측 토대부와 피부측 토대부가 포개어져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표면측 토대부(31)만이 나타나 있다. 표면측 토대부(31)는 그 표면에 와이어 삽입부(7)가 설치되고 있다. 와이어 삽입부(7)의 곡선은 컵부(2)의 컵 아래 엣지의 곡선과 거의 동일하다. 표면측 토대부(31)는 컵부(2)에 대응하는 부분이 움푹 들어가게 되어 있다. 토대부(3)와 백부(4)의 접합부(8)는 재봉되어 있다. 와이어 삽입부(7)의 최하부에서 토대부(3)의 하단까지의 길이(L)는 도 1의 예에서는 약 2.3cm이다. 길이(L)는 2∼3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삽입부(7)의 최하부에서 토대부(3)의 하단까지의 길이(L)를 2∼3cm 정도로 하는 것에 의해서, 피부측 토대부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표면측 토대부와 피부측 토대부의 사이의 어긋남이나 주름의 발생이 적고, 유방의 지지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브레지어가 수득된다.
또,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토대부(3)의 하단은 직선형상이지만, 직선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토대부의 하단에 있어서, 앞 중심이 양 겨드랑이보다도 위로 위치하도록, 토대부(3)의 하단을, 앞 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삽입부(7)가 컵부(2)에 대응하는 움푹한 곡선 부분의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실시형태로서, 와이어 삽입부를 컵부에 대응하는 움푹한 곡선부분의 일부에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삽입부를 앞 중심 정상부까지 연장시키지 않고, 앞 중심 정상부보다도 1∼2cm 정도 아래까지로 종지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백부(4)는 공지의 소재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파워네트나 면 니트 등의,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백부(4)의 상단 내지 하단은 예를 들면 바이어스 테이프 등의 스트레치 테이프 등,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높은 소재로 보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트레치 테이프를 구비하는 경우, 스트레치 테이프는, 백부(4)의 표면측, 피부측의 어느 쪽에 배치되어도 좋지만, 표면측에 스트레치 테이프를 붙이면, 피부측의 요철이 적어지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후크(6)는 4단이지만, 후크의 단 수는 적어도(2단, 3단), 더 많아도(6단, 8단) 좋다. 후크의 단수가 많으면 컨디션이나 체형의 변화에 따라서 압박 정도를 조정하기 쉬워지는 것 이외에, 1개의 사이즈로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2는 브레지어(1)의 이면(피부측)을 나타낸다. 컵부(2)는 언더 조정 포켓(21)과, 볼륨 조정 포켓(22)을 구비한다. 언더 조정 포켓(21)은 컵부(2)의 앞 중심 정점(CT)으로부터 컵부(2)의 아래 엣지(CU)를 따라서 연장되고, 겨드랑이부 정점(ST)에 이르고 있다. 도 2의 예에서, 언더 조정 포켓(21)의 상하 폭은 컵의 하측 절반을 덮는 정도이지만, 상하 폭이 더욱 좁은 포켓으로 할 수도 있다. 언더 조정 포켓(21)의 개구는 내측에 설치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언더 조정 포켓(21)은 브레지어의 표면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고, 피부측에 요철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피부측의 요철을 적게 하는 것에 의해서, 브레지어의 직물이 국소적으로 유방에 접촉해서 피부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컵부(2)와 연속해서 피부측 토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컵부(2)와 피부측 토대부(32)의 연결부(23)(즉, 컵부(2)의 아래 엣(지CU))는 비신축성 테이프로 붙여져 있고, 와이어는 삽입되지 않고 있다. 피부측 토대부(32)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특히, 종횡 양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파워네트, 신축성 레이스, 니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피부측 토대부(32)는 파워네트와 신축성 레이스가 포개어져서 이루어질 수 있다. 피부측 토대부(32)의 하단은 신축성 테이프로 보강되고 있어. 컵부(2)의 아래 엣지(CU)의 최하부에서 피부측 토대부(32)의 하단까지의 길이(L)는 표면측과 동일하고, 도 2의 예에서는 약 2.3cm이고, 2∼3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방재건 후의 창상치유 과정은 6개월에서 1년 이상에 걸치는 긴 경과가 되는 바, 특히 자가조직 이식을 받았을 경우에는 이식된 조직에 혈관 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이 있다. 이 과정에서 혈관 신생이 저해되면, 생착한 조직의 변성을 발생하는, 반흔이 발생하는 등의, 후발적인 사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피부측 토대부(32)가 신축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압박이 특히 발생하기 쉬운 유방 하부로의 압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피부측 토대부(32)에 종횡 양방향으로 신축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브레지어의 직물이 국소적으로 유방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방 하부의 전체를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신생을 저해하는 것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컵부(2)의 소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컵 본체는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컵부(2)의 이면은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피부 감촉이 좋은 소재, 예를 들면, 면 니트, 폴리에스테르 소재, 폴리우레탄 소재, 면과 폴리에스테르의 혼방소재, 면과 폴리우레탄의 혼방소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컵부(2)의 표면에는 신축성 레이스가 장착되어 있고, 장착된 신축성 레이스(9)의 이면 상단에는, 평 고무(10)가 장착되어 있다. 컵부(2)의 상단에 신축성 레이스(9) 및 평 고무(10)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유방의 상부를 과도하게 압박 하지 않고 핏팅되기 때문에 지지성과 착용감이 향상한다. 평 고무 대신에 신축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평 고무(10)의 폭은 5mm이지만, 디자인이나 목적에 따라서 4∼8mm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레이스(9) 및 평 고무(10)에, 스트랩(5)이 연결되어 있다. 즉, 스트랩(5)과 컵부(2)는 신축성의 부재인 신축성 레이스(9) 및 평 고무(1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유방의 상태나 볼륨에 의하지 않고 핏팅감이 수득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도 2의 예에서는 신축성 레이스(9)가 사용되고 있지만, 신축성 레이스 대신에, 신축성을 가지는 니트 소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별도의 실시예로서, 스트랩과 컵부를 비신축성의 부재를 통해서 연결하는 것, 스트랩과 컵부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 2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측 토대부(32)의 표면에 배치되는 신축성 레이스와, 컵부(2)의 표면에 장착되는 신축성 레이스는 서로 분리된 부재이다. 이것과는 다른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피부측 토대부의 표면 및 컵부의 표면을 덮는, 일련의 신축성 부재(예를 들면 신축성 레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피부측 토대부로부터 컵부까지를 일련의 신축성 부재로 덮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볼륨이 큰 유방에 대해서도 신축성 부재가 늘어나는 것에 의해서 유방을 지지할 수 있고, 피트성이 더욱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컵부(2)의 포켓 부분을 특히 나타내고, 컵부(2)에 설치된 2개의 포켓의 사이를 넓힌 상태에서, 컵의 이면, 위쪽에서 내려다 보는 도면이다. 컵부(2)에는 그 피부측에 언더 조정 포켓(21)이 설치되고, 언더 조정 포켓(21)은 그 내측에, 패드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25)가 설치되고 있다. 또, 컵부(2)의 이면, 또한 언더 조정 포켓(21)보다도 표면측에, 볼륨 조정 포켓(22)이 설치되어 있다. 볼륨 조정 포켓(22)은 컵부(2)의 거의 전체를 차지하는 크기의 포켓으로, 좌우의 유방 볼륨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임의의 패드를 삽입할 수 있다. 또, 볼륨 조정 포켓(22)은 도시된 예 이외에도, 컵의 겨드랑이부나 컵의 상반부, 혹은 다른 부분 등, 임의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포켓으로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볼륨 조정 포켓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볼륨 조정 포켓(22)은 그 내측에, 패드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볼륨 조정 포켓(22)은 브레지어의 피부측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컵의 한쪽(우측)의 언더 조정 포켓(21)에, 언더 조정 패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쪽의 컵(좌측)에는 패드는 삽입되어 있지 않다. 언더 조정 패드를 삽입하면, 컵 아래 엣지의 전체가 패드로 보충된다. 사용자의 좌우 유방 언더 위치가 다른 경우, 언더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측의 컵에 언더 조정 패드를 넣는 것에 의해서, 외견 상의 언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좌우의 유방 언더 위치가 다른 경우, 브레지어를 착용해도 브레지어가 기우는, 양복의 라인이 비뚤어지는, 브레지어의 착용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언더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이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유방 언더 위치가 다르면, 언더 위치가 낮은 측의 어깨만으로 브레지어를 지지하는 것이 되어, 어깨 결림을 발생하는 등 신체에 대한 부담이 컸던바, 언더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신체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언더 조정 포켓(21)을 피부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언더 조정 패드가 위쪽으로 어긋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언더 조정 패드가 유방의 토대로서 유효하게 기능한다. 특히, 임플란트 시술을 한 유방은 생체의 유방과 비교해서 유연성이 낮고, 자세에 대한 추종성도 낮기 때문에, 브레지어 착용 중에 패드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전술한 구성에 의해, 브레지어를 장시간에 걸쳐서 착용하는 경우에도 언더 조정 패드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서는 언더 조정 포켓(21)과 볼륨 조정 포켓(22)이 따로따로 설치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언더 위치만을 조정하고 싶을 경우, 볼륨 만을 조정하고 싶을 경우 등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서는 언더 조정 포켓을 구비하는 동시에, 피부측 토대부가 신축성을 가진다는 구성에 의해서, 언더 조정 패드를 사용해서 좌우의 언더 위치를 조정할 때에, 피부측 토대부가 적당하게 신축하고, 핏팅감이 좋고, 신체에 대한 부담도 적고, 언더 위치를 갖출 수 있다.
도 5는 언더 조정 패드(51)를 나타낸다. 언더 조정 패드(51)의 아래 엣지(PU)의 커브는 컵부(2)의 아래 엣지(CU)(도 4 참조)를 대체로 따르는 형상으로, 앞 중심 정상부(PCT)는 컵부(2)의 앞 중심 정상부(CT)에, 겨드랑이측 정상부(PST)는 컵부(2)의 겨드랑이측 정상부(ST)에, 각각 대체 대응한다. 언더 조정 패드(51)는 verge's line의 최하부 근방의 폭이 3.5cm 정도로 가장 폭이 넓고, 겨드랑이 방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조형된 바나나형의 패드이다. 언더 조정 패드(51)의 두께는 약 1cm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자연스러운 verge's line가 형성되고, 좌우의 언더 위치의 조정 효과가 우수하다. 언더 조정 패드(51)는 도 5에 나타난 예 이외에도, 폭이나 두께가 다른 것, 둥그스런 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을 1cm∼4cm 정도로 하고, 두께를 0.5cm∼3cm 정도로 할 수도 있다.
언더 조정 패드 및 볼륨 조정 패드의 소재는 공지의 소재를 목적이나 디자인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의 면, 우레탄계의 발포성 수지, 실리콘 등의 탄력성과 성형성이 있는 소재를, 트리코 등의 직물로 싼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브레지어(1)의 표면측으로부터, 피부측 토대부(32)가 일부 보이도록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부측 토대부(32)는 파워네트와 신축성 레이스가 포개어진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6에는 피부측 토대부(32)의 표면측에 배치된 신축성 레이스가 나타나 있다. 표면측 토대부(31)와 피부측 토대부(32)는 컵 앞 중심 정상부(CT), 토대부(3)의 하단, 및, 토대부의 사이드 엣지(8)에서 서로 고정되고 있다. 컵부(2)의 아래 엣지와 와이어 삽입부(7)는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양단(앞 중심 정점(CT) 및 겨드랑이부 정점(ST))을 제외하고, 서로 고정되지 않고 있다. 고정 방법은 재봉 이외에, 접착이나 클립 형상의 걸어맞춤 부재를 사용하는 등,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서는 토대부(3)에 있어서, 표면측 토대부(31)와 피부측 토대부(32)를 중첩시키고, 그것들의 일부만을 고정한다고 하는 구조에 의해서, 유방의 크기에 맞추어서 컵 주위가 신축해서 유방에 핏팅시키기 때문에, 와이어 없이 브레지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지지성이 수득된다. 또, 와이어가 있는 브레지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와이어에 의해서 유방이 과도하게 압박받는 경우가 없다. 또, 컵과 와이어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삽입하는 와이어의 형상을 변경해도 컵이 변형하지 않고, 컨디션이나 수술 후의 경과, 체형의 변화 등에 따라서 삽입하는 와이어를 선택 내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에서 다른 와이어를 사용할 경우도, 피부측 토대부가 신축하는 것에 의해서 좌우 각각의 컵이 유방에 핏팅되는 동시에, 와이어로 유방 주위가 지지된다.
와이어는 컵부(2)의 아래 엣지와 거의 동일한 곡선을 가지는 기본형의 와이어 이외에, verge's line의 넓이(피치)나 커브가 다른 것, 더 부드러운 재질의 와이어 등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는 컵의 컵 앞 중심 정점(CT)으로부터 겨드랑이측 정점(ST)까지 연장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보다 짧고, verge's line의 일부분에만 대응하는 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와이어의 소재는 플래스틱이나 금속 와이어 등, 공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에 의한 유방재건 후에는, 체내에 끼워 넣어진 임플란트의 주위에 피막이 형성되는 곳, 와이어가 국소적인 접촉이나 압박이 있으면, 피막 수축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서는 와이어의 유무나 와이어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고, 또, 와이어가 브레지어 표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압박이 적고, 또, 피부측 토대부가 신축하는 것에 의해서 유방 하부가 적절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부적절한 배치에 의한 압박이 회피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유방 절제의 형태에 따라서는, 유방재건 후에도 액와(겨드랑이) 주변 조직이 얇아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겨드랑이부의 와이어의 접촉에 의해서 피부를 손상시킬는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브레지어에 의하면, 와이어의 유무나 형상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후발적인 사상을 발생하는 원인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7은 컵(2) 및 와이어 삽입부(7)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통상 시, 도 7의 B는 와이어 삽입하거나 제거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와이어 삽입부(7)는 적어도 그 한쪽 끝에 와이어 삽입ㆍ제거구가 설치되고, 그 표면측에 커버 부재(71)가 구비된다. 와이어 삽입부(7)의 끝은 밀봉되어 있지 않고, 와이어 삽입ㆍ제거구(72)가 되고 있다. 와이어를 삽입, 혹은 꺼낼 때는 커버 부재(71) 아래에 위치하는 와이어 삽입ㆍ제거구(72)로부터, 와이(73)을 넣거나 뺄 수 있다. 표면측에 커버 부재(7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와이어의 빠짐이 방지되는 동시에, 와이어의 넣고, 빼기가 용이하고, 또, 이면의 요철이 적어지기 때문에 피부감촉이 좋다. 도 7의 예에서는 커버 부재(71)는 와이어 삽입부(7)의 말단 3cm 정도를 커버하고 있지만, 디자인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와이어를 삽입, 제거가 자유롭게 하는 것에 의해서, 수술 후의 경과나 수술부의 상태 등에 따라 좌우 각각의 와이어 유무, 또, 와이어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와이어를 삽입, 제거를 자유롭게 하고, 동시에 와이어 삽입부와 컵부를 분리하고, 컵부의 토대부(피부측 토대부)를 신축성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좌우 한쪽에만 와이어를 넣는 경우, 혹은 좌우에서 다른 와이어를 사용하느 경우라 해도, 피부측 토대부의 신축성으로 그 차이를 조정하고, 핏팅감이 좋고, 자연스러운 외견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지어는 유방에 좌우 차이가 있는, 특히, 유방재건의 경험자에게 유용하고, 유방재건 후의 좌우 언더 위치의 차이, 크기의 차이, 또, 브레지어의 와이어 유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브레지어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브레지어에 한하지 않고, 브레지어가 달린 슬립, 브레지어 캐미솔 등 일 수도 있다.
1: 브레지어
2: 컵부
3: 토대부
31: 표면측 토대부
32: 피부측 토대부
4: 백부
5: 스트랩
6: 후크
7: 와이어 삽입부
8: 토대부의 사이드 엣지
9: 신축성 레이스
10: 평 고무
21: 언더 조정 포켓
22: 볼륨 조정 포켓
23: 컵부와 피부측 토대부의 연결부
25: 언더 조정 포켓의 개구
26: 볼륨 조정 포켓의 개구
51: 언더 조정 패드
71: 커버 부재
72: 와이어 삽입ㆍ제거구
73: 와이어

Claims (8)

  1. 좌우 한 쌍의 컵부와, 상기 컵부를 지지하는 토대부와, 백부와, 스트랩을 구비하는 브레지어로서,
    상기 컵부는 그 이면에, 앞 중심 정상부로부터 컵 아래 엣지를 따라서 겨드랑이부에 이르는 언더 조정 포켓과, 컵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볼륨 조정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토대부는 상기 컵부와 연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컵부의 컵 아래 엣지부와 거의 동일한 곡선을 가지는 와이어 삽입부를 표면에 구비한 표면측 토대부가 포개어져 있고,
    상기 피부측 토대부와 상기 표면측 토대부는 앞 중심 정상부, 사이드 엣지부, 하단부에서 서로 고정되고,
    상기 피부측 토대부의 컵 아래 엣지부와 상기 표면측 토대부의 와이어 삽입부는 그 양단을 제외하고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브레지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에 있어서, 상기 언더 조정 포켓은 상기 볼륨 조정 포켓보다도 피부측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언더 조정 포켓의 개구는 상기 브레지어의 표면측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브레지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에 있어서, 상기 언더 조정 포켓에, 상기 컵부의 앞 중심 정상부로부터 컵 아래 엣지를 따라서 겨드랑이부에 이르는 라인을 따른 곡선을 가지는 바나나형 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브레지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 토대부는 신축성 레이스와 파워네트가 포개어져 이루어지는 것인 브레지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토대부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부의 적어도 한쪽 끝에 와이어 삽입ㆍ제거구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와이어 삽입ㆍ제거구는 그 표면측에, 와이어의 빠짐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브레지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ㆍ제거구로부터 와이어가 삽입ㆍ제거가 자유롭고, 와이어 삽입의 유무, 및, 삽입하는 와이어의 형상이 선택 가능한 브레지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적어도 윗 엣지에 신축성 레이스가 장착되고, 당해 신축성 레이스의 엣지에는 신축 테이프 또는 평 고무가 장착되고, 당해 신축 테이프 또는 평 고무와 상기 스트랩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브레지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부 및 상기 컵부의 최하부에서 상기 토대부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2∼3cm인 브레지어.
KR1020197026343A 2018-09-26 2019-05-21 브레지어 KR102171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0409A JP6507299B1 (ja) 2018-09-26 2018-09-26 ブラジャー
JPJP-P-2018-180409 2018-09-26
PCT/JP2019/020023 WO2020066119A1 (ja) 2018-09-26 2019-05-21 ブラジャ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24A KR20200037124A (ko) 2020-04-08
KR102171187B1 true KR102171187B1 (ko) 2020-10-28

Family

ID=6632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343A KR102171187B1 (ko) 2018-09-26 2019-05-21 브레지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1057B2 (ko)
JP (1) JP6507299B1 (ko)
KR (1) KR102171187B1 (ko)
CN (1) CN110946344B (ko)
SG (1) SG11202008193XA (ko)
TW (1) TWI711391B (ko)
WO (1) WO2020066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1454B2 (ja) 2020-01-21 2024-03-01 アボワ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ブラジャー
US11771146B2 (en) * 2020-08-28 2023-10-03 Helena Gallegos O'Neill Brassiere adapted to prevent undesired movement when worn
US20230309630A1 (en) * 2022-03-31 2023-10-05 Artesha McBride Padded balancing brassiere device
KR20240001340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해청테크 육상 김 양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양식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750B2 (ja) 1991-12-24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JP2001295108A (ja) 2000-04-06 2001-10-26 Wacoal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3306803A (ja) 2002-04-15 2003-10-31 Wacoal Corp パッド及び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4169208A (ja) 2002-11-19 2004-06-17 Pigeon Corp 授乳用ブラジャー
JP2008050735A (ja) 2006-08-28 2008-03-06 Triumph Intertrade Ag ブラジャ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67080A (en) 1979-04-24 1980-10-30 Itt Industries, Inc. Article sorter
JPH0444563Y2 (ko) * 1989-06-29 1992-10-21
JPH0440706U (ko) * 1990-08-02 1992-04-07
JP2831989B1 (ja) 1997-06-23 1998-12-02 株式会社カドリールニシダ ブラジャー
JPH11267704A (ja) * 1998-03-18 1999-10-05 Daido Steel Co Ltd 圧延方法
JPH11269704A (ja) * 1998-03-18 1999-10-05 Arco Baleno:Kk ブラジャ
JP4170453B2 (ja) * 1998-07-22 2008-10-22 グンゼ株式会社 ワイヤ入りブラジャー
US6102773A (en) * 1998-11-10 2000-08-15 Wu; Li-Pin Perfumed brassiere
JP3072750U (ja) * 2000-04-24 2000-11-02 株式会社ワコール パッドおよび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TWM291715U (en) * 2005-12-27 2006-06-11 Shang Mei Underwear Co Ltd Brassiere capable of replacing lining
US8808057B2 (en) * 2010-05-18 2014-08-19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reast enhancing brassiere
US8506348B2 (en) * 2010-05-18 2013-08-13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reast enhancing brassiere
JP5545444B2 (ja) * 2010-09-02 2014-07-09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5991797B2 (ja) * 2011-02-09 2016-09-14 トリン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ブラジャー
JP3178563U (ja) 2012-07-09 2012-09-20 由紀 儘田 パッドポケット付きブラジャー
US10582730B2 (en) * 2014-06-04 2020-03-10 Laurie BRAVERMAN Brassiere
CN103610237B (zh) * 2013-07-05 2016-01-06 上海雅荟服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罩杯大小的文胸
US20160360800A1 (en) * 2014-02-25 2016-12-15 Wacoal Corp. Garment provided with cup sections
KR101806787B1 (ko) * 2014-06-18 2017-12-08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브래지어
JP3213340U (ja) 2017-08-23 2017-11-02 株式会社チャイルド カップ部付き衣類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750B2 (ja) 1991-12-24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JP2001295108A (ja) 2000-04-06 2001-10-26 Wacoal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3306803A (ja) 2002-04-15 2003-10-31 Wacoal Corp パッド及び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4169208A (ja) 2002-11-19 2004-06-17 Pigeon Corp 授乳用ブラジャー
JP2008050735A (ja) 2006-08-28 2008-03-06 Triumph Intertrade Ag ブラジャ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07299B1 (ja) 2019-04-24
SG11202008193XA (en) 2020-09-29
JP2020050981A (ja) 2020-04-02
TW202011848A (zh) 2020-04-01
WO2020066119A1 (ja) 2020-04-02
US11311057B2 (en) 2022-04-26
CN110946344A (zh) 2020-04-03
TWI711391B (zh) 2020-12-01
US20210204618A1 (en) 2021-07-08
CN110946344B (zh) 2023-04-11
KR20200037124A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187B1 (ko) 브레지어
US10080389B2 (en) Full torso maternity garment
EP3206519B1 (en) Brassiere adapted for practicing sports
US4816005A (en) Sports bra
US5820444A (en) Post surgical brassiere
US20080113587A1 (en) Bra and system having a bay and a trus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5536650A (ja) 圧迫式婦人用肌着
US20140295735A1 (en) Brassière
US20150072592A1 (en) Wireless bra
US11771146B2 (en) Brassiere adapted to prevent undesired movement when worn
JP7441454B2 (ja) ブラジャー
GB2550025A (en) An improved bra
US20150289571A1 (en) Brassiere
JP2003113504A (ja) パワーネットによる補正機能
JP7037689B1 (ja) ブラジャー
KR101235299B1 (ko) 브래지어 및 그 브래지어가 포함된 올인원
US1978092A (en) Corset
JP2024052974A (ja) カップ付き衣類
JP3137446U (ja) コルセット
US2164136A (en) Foundation garment for women
JP2021042496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2020133039A (ja) ブラジャー
KR20110002552U (ko)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