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87B1 -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87B1
KR101806787B1 KR1020177001063A KR20177001063A KR101806787B1 KR 101806787 B1 KR101806787 B1 KR 101806787B1 KR 1020177001063 A KR1020177001063 A KR 1020177001063A KR 20177001063 A KR20177001063 A KR 20177001063A KR 101806787 B1 KR101806787 B1 KR 10180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riangular
bust
pad
horizonta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921A (ko
Inventor
아키요 히라쿠보
Original Assignee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35Brassier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살도 포함하여 거의 볼륨을 바랄 수 없는 사람이나, 특히 바스트의 명치부에 볼륨이 없고, 게다가 처진 중년인 자라도 바스트에 가슴 골은 물론, 바스트를 자연스럽게 밀어올려서 가슴에 아름다운 데콜테를 나타낼 수 있는 브래지어를 제공한다.
바스트(B)를 덮는 한 쌍의 컵(20)과, 컵(20)이 마련되어 있는 앞판(31)과, 앞판(31)의 겨드랑이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사이드 패널(40)과, 컵(20)의 상단부터 사이드 패널(40)에 걸쳐서 마련된 어깨 끈(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컵(20)의 명치부(20a)에서의 솟아오른 부분(28)과 명치부(20a)에서의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7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삼각 패드(70)의 2변(70b, 70c)이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봉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래지어{BRASSIERE}
본 발명은 특히 중년의 여성이나 가슴이 빈약한 사람의 바스트에 매력적인 골과 볼륨 업된 아름다운 데콜테(decollete)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래지어는 유방 형상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에 더해, 금속제 와이어 등을 구비하여 바스트를 아름답게 감싸는 보정 기능을 구비한 브래지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최근 브래지어를 착용할 때, 컵 내에 수용한 바스트를 컵으로 약간 끌어올리고, 또한 쌍구의 바스트에 의한 골을 컵 사이에 드러내게 하여, 아름다운 바스트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유행하게 되었다. 다만, 컵의 끌어올림에 의해 금속제의 와이어가 바스트의 하부에 강하게 접촉하여, 장기간의 착용에서는 불쾌감을 주는 것이 지적되고 있었다.
따라서, 컵 자체를 개량하여 매력적인 골이 나타나는 동시에 노 와이어가 되도록 연구를 한 브래지어가 개발되고 있다. 그 컵의 개량예로서, 컵을 구성하는 상측 패널과 하측 패널과 가슴측 패널의 합계 3장의 패널을 이어서 일체화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로써, 컵 내에 수용한 바스트를 컵으로 약간 끌어올렸을 때에, 내측으로 모인 어느 정도 볼륨이 있는 군살도 포함한 바스트를 가슴측 패널로 받쳐서, 가슴측에 가슴이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하여 골을 컵 사이에 드러내게 하여, 아름다운 바스트 라인을 형성하도록 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바스트의 볼륨은 천차만별로, 볼륨이 부족한 경우에도 바스트 라인을 보다 강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2를 개량한 브래지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브래지어는 바스트의 상측을 덮는 동시에 그 옆구리측 단부에 어깨 끈이 부착되는 상측 바스트 유지면부와, 바스트의 하측을 덮는 하측 바스트 유지면부와, 바스트의 가슴측을 덮는 가슴측 바스트 유지면부로 구성하고, 상기 가슴측 바스트 유지면부의 내면에 융기부를 형성한, 발포 원단을 몰드 성형으로 컵 형상으로 성형한 브래지어의 컵을 사용하여, 어깨 끈의 끌어올림에 의해 컵 내에 수납된 바스트(옆구리나 등으로부터 바스트측에 모아진 군살도 포함함)를 융기부 방향으로 압압하고, 이것이 융기부의 내주면의 벽에 압압되어, 더욱 가슴측으로 밀어 올려져서 아름다운 데콜테를 가슴에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7075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보 제4943965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보 제5520421호
인용문헌 3에서는 상기와 같이 군살도 포함하여, 바스트에 어느 정도 볼륨이 있는 경우에는 상당히 유효한 브래지어이지만, 융기부가 컵의 가슴측 바스트 유지면부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융기부를 향해 모인 바스트를 수동적으로 위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바스트 업을 도모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중년인 자나 군살도 포함하여, 거의 가슴에 볼륨이 없는 경우에는 융기부의 내주면의 벽으로 밀어올리는 볼륨 그 자체가 거의 없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군살도 포함하여 거의 볼륨을 바랄 수 없는 사람이나, 특히 바스트의 명치 부분에 볼륨이 없고, 게다가 처진 중년인 자라도 바스트에 가슴 골은 물론, 바스트를 자연스럽게 밀어올려서 가슴에 아름다운 데콜테를 나타낼 수 있는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바스트(B)를 덮는 한 쌍의 컵(20)과,
컵(20)의 겨드랑이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사이드 패널(40)과,
컵(20)의 상단부터 사이드 패널(40)에 걸쳐서 마련된 어깨 끈(50)으로 구성된 브래지어(10)로서,
좌우의 컵(20)이, 상기 컵(20)의 인접한 명치부(20a)에서 위를 향해 만곡된 컵(20)의 상변(20d)의 솟아오른 부분(28)과 명치부(20a)에서 컵(20)의 하변(20p)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70)를 배치하고, 삼각 패드(70)의 2변(70b, 70c)을 상기 솟아오른 부분(28)과 상기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취착(取着, fit)하고, 남는 1변(70a)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바스트(B)를 덮는 한 쌍의 컵(20)과,
컵(20)이 마련되어 있는 앞판(31)과,
앞판(31)의 겨드랑이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사이드 패널(40)과,
컵(20)의 상단부터 사이드 패널(40)에 걸쳐서 마련된 어깨 끈(50)으로 구성된 브래지어(10)로서,
좌우의 컵(20)이, 상기 컵(20)의 인접한 명치부(20a)에서 위를 향해 만곡된 컵(20)의 상변(20d)의 솟아오른 부분(28)과 명치부(20a)에서 컵(20)의 하변(20p)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70)를 배치하고, 삼각 패드(70)의 2변(70b, 70c)을 상기 솟아오른 부분(28)과 상기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취착하고, 남은 1변(70a)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컵(20)에 관해서,
좌우의 컵(20)의 상변(20d)의 솟아오른 부분(28)과 명치부(20a)의 하단에서 컵(20)의 하변(20p)의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을 컵(20)의 나머지 부분(T)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래지어(10)에 있어서,
삼각 패드(70)는 연질 발포 수지제 또는 연질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취착된 2변(70b, 70c)이 얇고, 중앙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쿠션 형상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래지어(10)에 있어서,
컵(20)의 내측을 덮는 보조 패드의 수납용 포켓(8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고, 삼각 패드(70)는 상기 포켓(80)의, 컵(20)의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에 대응하는 부분에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래지어(10)에 있어서,
삼각 패드(70)의 상기 2변(70b, 70c)이 면 지퍼(71a, 71b)로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측에 반구상으로 부푼 컵(20)의 내측에서, V형으로 배치된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70)를 배치하고, 삼각 패드(70)의 2변(70b, 70c)을 컵(20)의 대략 삼각형 부분(S)의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취착하고, 삼각 패드(70)의 남은 1변(개방변(70a))을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장착 시에는, 개방변(70a)과 그 근방 부분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컵(20)과 반대 방향으로 팽출하여 붕 뜬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브래지어(10)를 장착하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삼각 패드(70), 특히 개방변(70a)과 그 근방 부분(도 4의 격자의 부분)이 도 12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륨이 없는 바스트(B)의 명치 부분을 채우는 동시에, 컵(20)과 반대 방향으로의 삼각 패드(70)의 팽출력(F)이 이 부분의 바스트(B)의 상당 부분을 컵(20) 내의 대략 삼각형 부분(S)의 외측으로 능동적으로 밀어내어, 바스트(B) 전체의 볼륨을 높인다. 그리고, 어깨 끈(50)에 의해 명치부(20a)를 중심으로 하여 컵(20)의 측연(側緣)(25)측이 끌어 올려지면, 볼륨 업된 바스트(B)는 컵(20)의 하변(20p)으로 전체로 끌어 올려져서, 가슴에 아름다운 데콜테를 형성한다.
청구항 3에서는, 컵(20)의 대략 삼각형 부분(S)이 컵(20)의 남은 다른 부분(T)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삼각 패드(70)가 이 두꺼운 부분(S)에 밀려나서, 삼각 패드(70)의 팽출력(F)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더욱 볼륨 업과 데콜테 형성이 보다 용이해 진다.
청구항 4에서는, 삼각 패드(70)가 연질 발포 수지제 또는 연질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취착된 2변(70b, 70c)이 얇고, 중앙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쿠션 형상인 것이므로, 브래지어(10)를 착용했을 때, 삼각 패드(70)의 두꺼운 중앙 부분이 컵(20)의 내면에 눌려 바스트(B)측으로 밀려나서, 볼륨 업과 데콜테 형성 효과를 조장한다.
청구항 5에서는, 포켓(8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별도로 준비된 보조 패드를 포켓(80)에 삽입함으로써, 부족한 볼륨을 보조할 수도 있다.
청구항 6에서는, 면 지퍼(71a, 71b)를 마련해 둠으로써, 삼각 패드(70)를 컵(20)의 2변(70b, 70c)에 착탈할 수 있고, 수 종류의 삼각 패드(70)를 준비해 두면, 최적의 삼각 패드(7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다른 브래지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포켓이 없는 경우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X2-X2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컵 본체가 2부재로 구성된 경우의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컵 본체 전체가 균등한 두께로 구성되고, 보다 두꺼운 삼각 패드가 마련된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컵 본체 전체 및 삼각 패드가 균등한 두께로 구성된 경우의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 삼각 패드가 연질 주머니 형상으로 마련된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 있어서, 삼각 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장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3-X3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Y-Y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브래지어(10)의 제 1 실시예는, 도 1의 (a) (b)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컵(20)과, 앞판(31)없이 컵(20)의 옆구리측 단부에서 직접 연장되는 사이드 패널(40), 혹은 컵(20)이 부착된 앞판(31)의 옆구리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패널(40)과, 어깨 끈(50)과, 컵(20)이 부착된 앞판(31)과, 컵(20) 내면의 가슴측 삼각형 부분(S)의 2변(70b, 70c)에 봉착된 삼각 패드(70)와, 컵(20)의 하변(20p)에 봉착되어 이것들을 연결하는 연결 테이프(30)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물론, 앞판(31)을 사이드 패널(40)에 포함시켜, 컵(20)의 양 겨드랑이 부분에서 사이드 패널(40)을 마련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컵(20)은 바스트(B)를 덮는 밥공기 형상의 부재로, 컵 본체(20h)와 컵 본체(20h)의 표리 양면을 필요에 따라 덮는 외장용 천(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컵 본체(20h)는 예를 들면 표면에 얇은 보호포가 점착되고, 소정의 발포 배율로 발포되고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의 우레탄 발포 원단을 컵 형상으로 몰드 성형하고, 이것을 소정 컵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발포 원단에는 발포 배율이 다른 것, 즉, 경도가 다른 것, 혹은 이것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통기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천설(穿設)되어 있는 것 등 다양한 것이 있어,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정된다.
도 3의 컵 본체(20h)는 1장인 것으로, 그 상변(20d)은 좌우의 컵(20)이 인접한 명치부(20a)에서 위를 향해 커브하면서 급격히 솟아오르고, 상변(20d)의, 명치부(20a)의 하단으로부터 1/3 정도(2/5 내지 3/7)인 곳(이 부분을 솟아오른 부분(28)이라고 함)에서 크게 만곡하여 대각선 위로 늘어나고, 종단(20e)에 이른다. 바꿔말하면, 이 경우, 명치부(20a)의 하단으로부터 1/3 정도까지 솟아오른 부분(28)의 반경보다 1/3 정도를 넘어서, 종단(20e)에 이르는 부분의 반경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컵 본체(20h)의 하변(20p)은 명치부(20a)의 하단으로부터 1/3 정도(2/5 내지 3/7)인 곳(이 부분을 수평 가장자리부(29)라고 함)까지 대략 수평으로 늘어나고, 이 수평 가장자리부(29)에서 위쪽으로 만곡하여 종단(20q)에 이른다. 그리고 후술하는 도 7 내지 9의 경우를 제외하고, 컵 본체(20h)의 몰드 성형 시에 이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 부분(S)을 컵(20)의 나머지 부분(T)(즉, 대략 삼각형 부분(S)을 제외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 도면에서는 솟아오른 부분(28)의 길이보다 수평 가장자리부(29)의 길이가 약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대략 삼각형 부분(S)의 두께의 변화는 컵 본체(20h)의 내면에서, 솟아오른 부분(28), 수평 가장자리부(29) 및 상기 나머지 부분(T)과의 경계선(t)에서 대략 삼각형 부분(S)의 중앙 부분을 향해 두께가 점증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컵 본체(20h)의 외면에는 이음매나 단차 등 부자연스러운 라인이 생기지 않는 완만한 볼록 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경계선(t)의 형상은 직선상, 또는 두꺼운 부분이 나머지 부분(T)측에 약간 부푼 원호 형상, 혹은 반대로 명치부(20a)측에 약간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솟아오른 부분(28)의 단(端)(P1)부터 수평 가장자리부(29)의 단(P2)까지를 연결하는, 대략 삼각형 부분(S)과 나머지 부분(T)과의 경계선(t)은 직선 또는 조금 나머지 부분(T)측에 만곡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명치부(20a)측에 만곡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컵(20)에 통기성을 추구한다면, 안팎으로 관통한 통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원단이나 연속 기포의 발포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형성된 컵 본체(20h)에서,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의 몰드 성형에 의한 압축률은 나머지 부분(T)에 비해 작으므로, 신축성이나 유연성은 남지만,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에서 벗어난 나머지 부분(T)은 크게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에 비해 딱딱해지고, 신축성은 작다. 따라서, 도 1(b)에서는 상변(20d)의 종단(20e)과 하변(20p)의 종단(20q) 사이의 부분에 어깨 끈(50)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a)에서는 앞판(31)의 상단 부분에 어깨 끈(50)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컵 본체(20h)는 도 3이나 도 5와 같이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을 나머지 부분(T)에 비해 그 압축률을 작게 해도 좋지만, 도 6 내지 9와 같이,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S)에 상당하는 삼각 상당 부분(20h1)도 나머지 부분(T)과 동일한 두께로 하고, 상기 삼각 상당 부분(20h1)에 별도로 준비한 본체 패드(20h2)를 몰딩에 의한 열착, 점착 혹은 그 전주를 봉착하여 일체화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본체 패드(20h2)의 2변을 삼각 상당 부분(20h1)의 2변(솟아오른 부분(28) 및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열착, 점착 혹은 봉착해도 좋고, 그 경우는, 삼각 상당 부분(20h1)의 남은 1변은 개방 상태가 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측의 삼각 패드(70)에서 이중이 된다.
도 1(a)의 실시예에서는 컵 본체(20h)의 표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용 천(11)을 붙여서, 컵(20)의 하변(20p) 전체, 즉, 컵(20)의 수평 가장자리부(29)에서 측연(25)에 걸쳐서 연결 테이프(30)와 앞판(31)이 배치되고, 연결 테이프(30)를 따라 이것들이 봉착되어 있다. 또한, 컵(20)의 하변 부분을 덮도록 장식용 벨트(12)를 배치하고, 그리고, 컵(20)의 양 사이드 표면 및 장식용 벨트(12)의 양 사이드, 앞판(31)을 덮도록 레이스 원단(23)이 배치되고, 연결 테이프(30)를 따라 봉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장용 천(11)은 무지 혹은 장식 원단(특히 외표면)을 사용해도 좋고, 이런 것들은 없어도 좋다. 장식용 벨트(12)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나타내는 스판덱스 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b)의 경우는 앞판(31)없이 연결 테이프(30) 및 컵(20)의 명치부(20a)에서 직접 연결된다. 도 1(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삼각 패드(7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본체(20h)의 내면측에 마련된 포켓(80)에 부착되는 경우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80)을 설치하지 않고, 단독으로 부착되는 경우로 나뉜다. 또한, 단독인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꿰매 붙인 것이 아니라, 면 지퍼(71a, 71b)에 의해 붙인 경우도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중공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도 있다. 여기서는, 도 3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포켓(80)은 컵 본체(20h)의 거의 전면에 걸쳐서 마련된 얇은 천으로, 컵 본체(20h)의 상변(20d) 거의 전체 및 하변(20p)의 대부분(수평 가장자리부(29)의 전체와 측연(25)의 수평 가장자리부(29)쪽 부분)에 봉착되고, 상변(20d)의 종단(20e) 근방에서와 하변(20p)의 종단(20q)을 포함한 측연(25)의 상부에 개구(80a)가 마련되어 있다. 필요하면, 이 개구(80a)를 이용하여 별도로 준비한 보조 패드를 수납하여 바스트(B)의 볼륨 업을 도모할 수 있다.
삼각 패드(70)는 컵 본체(20h)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표면에 얇은 보호포가 점착되고, 소정의 발포 배율로 발포되어,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의 발포 폴리우레탄 원단을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고, 컵 본체(20h)의 대략 삼각형 부분(S)과 동일한 크기(혹은 닮은꼴)로 몰드 형성된다. 물론, 단순히 컵 본체(20h)의 대략 삼각형 부분(S)과 동일한 크기(혹은 닮은꼴)로 재단하여, 이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질 발포 수지제가 통상 사용되지만, 2장의 연질 시트의 주위를 용착하고, 또한 내부에 공기를 채운 주머니 형상이라도 좋다(도 9).
이렇게 형성된 삼각 패드(70)는 포켓(80)의 삼각형 부분 대응 부분에 우선 봉착되고, 다음으로, 삼각 패드(70)가 컵 본체(20h)의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 사이의 삼각형 부분(S)에 오도록 배치되고, 포켓(80)과 함께 삼각 패드(70)가 컵 본체(20h)에 봉착된다. 따라서, 삼각 패드(70)의 취착변(70b, 70c)은 컵 본체(20h)의 V형을 형성하는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봉착된다. 그리고, 이 취착변(70b, 70c)에 끼이는 봉착되지 않은 남은 1변(개방변(70a))은 컵 본체(20h)의 두껍게 형성된 삼각형 부분(S)(도 7의 경우에는, 삼각형 부분(S)은 같은 두께)과 얇은 나머지 부분(T)과의 경계선(t)과 동일, 직선상 또는 외측으로 약간 부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삼각 패드(70)에서는 개방변(70a)을 내측을 향해 오목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삼각 패드(70)는 주위를 몰드 성형에 의해(혹은 삼각형의 전 주위를 봉착에 의해) 압축하고, 중앙을 향해 그 두께를 점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마치 쿠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삼각 패드(70)의 발포 원단은 원칙적으로 컵 본체(20h)와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다른 것, 컵 본체(20h)보다 발포 배율이 높은 것(소프트한 것), 반대로 낮은 것(딱딱한 것)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연결 테이프(30)는 좌우 한 쌍의 컵(20)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테이프(30)로서 와이어리스(컵(20)의 하변(20p)에 와이어 본(wire bone)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것)이고, 두꺼운 기모 소재를 테이프 형상으로 한 비신축성의 것이 채용되고 있고, 이 테이프 형상의 연결 테이프(30)를 각 컵(20)의 명치부(20a)의 하단에서 하변(20p)의 종단(20q)에 이르는 하변(20p) 전체에 앞판(31)과 함께 봉착 혹은 접착되고, 이에 따라 컵(20)끼리가 연결되어 있다(도 1(a)). 도 1(b)의 경우는, 앞판(31)없이 적어도 연결 테이프(30)로 접속된다.
또한, 도 1(a) (b)의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컵(20)의 솟아오른 부분(28)의 인접 부분인 컵(20)의 명치부(20a)도 봉착 일체화되어 있다. 명치부(20a)에서 위 부분(상변(20d))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연결 테이프(30)에 사용되는 기모 소재의 구체예로서는 면벨벳, 코튼 플란넬, 벨벳, 비로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테이프(30)에 두꺼운 기모 소재를 채용하고 있는 것은 와이어리스임에도 불구하고 연결 테이프(30) 자체의 기재 강도를 높여서 컵(20)의 하측에서 바스트(B)를 단단히 서포트하는 동시에, 연결 테이프(30)가 피부에 닿았을 때의 착용감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드 패널(40)은 앞판(31)의 양 겨드랑이에 봉착된 스판덱스와 같은 강한 신축성의 섬유 소재에 의해 형성된 띠 형상 부재이다. 그리고, 한쪽의 사이드 패널(40)의 선단부에는 피계지구(被係止具)(26)가 부착되어 있고(도 1 참조), 다른 쪽의 사이드 패널(40)의 선단부에는 피계지구(26)에 계지되는 후크(27)가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도 1(a)에서는 양 사이드 패널(40) 및 앞판(31)의 하변 부분에는 가늘게 길이 방향으로 강한 신축성을 가진, 신축 벨트(41)가 전장에 걸쳐서 봉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1(b)에서는 좌우 컵(20)의 수평 가장자리부(29)를 따라 신축 벨트(41)가 봉착되어 있다.
어깨 끈(50)은 컵(2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동시에 컵(20)에 수납된 바스트(B)를 들어올려서 유지하는 것이고, 어깨 끈(50)의 일단이 앞판(31)의 상단(도 1(a)) 또는 컵(20)의 상변(20d)의 종단(20e)(도 1(b))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단이 등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4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삼각 패드(7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컵(20)의 대략 삼각형 부분(S)은 도 7, 8 이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삼각 패드(70)도 마찬가지로 중앙에 갈수록 두껍게 형성된 쿠션 형상으로, 그 취착변(70b, 70c)은 컵(20)의 솟아오른 부분(28)과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취착(봉착)되어 있고, 남은 1변(70a)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다. 그 결과, 도 4의 격자 모양으로 나타내는 개방변(70a)과 그 근방 부분이 도 3과 같이 컵 본체(20h)로부터 떨어져서 밖으로 부풀고, 이 부분은 바스트 방향(즉, 이간 방향)에 대한 반발력을 갖고 있다. 바꿔말하면, 삼각 패드(70)의 개방변(70a)이 봉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취착 일체화된 주변이 중앙 부분에 대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반발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착용에 의해 컵(20)의 내면측에 휜 삼각 패드(70)의 부푼 중앙 부분이 컵(20)의 대략 삼각형 부분(S)의 부푼 중앙 부분에 눌려져서 반발하고, 삼각 패드(70)를 바스트(B)측으로 되돌아 오게 하도록 작용한다.
다음으로, 삼각 패드(70)와 컵 본체(20h)의 삼각형 부분(S)과의 관계인데, 기본적으로는 삼각 패드(70)와 컵 본체(20h)의 삼각형 부분(S)과는 동일한 형상이고, 삼각 패드(70)의 개방변(70a)과 삼각형 부분(S)의 경계선(t)과는 직선상이다. 따라서, 착용 시에는, 착용 상태에 따라 변하지만, 어느 정도의 이간 공간(D)을 갖는 상태로 겹친다. 삼각 패드(70)의 개방변(70a)이 외측으로 볼록 만곡하여 삼각형 부분(S)의 경계선(t)보다 외측으로 내뻗는 경우에는, 개방변(70a)이 삼각형 부분(S)의 경계선(t)을 덮는 것 같은 형태가 되어, 바스트(B)에 완만하게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브래지어(10)의 착용 시에서의 삼각 패드(70)의 작용을 도 11 내지 13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10)는 바스트(B)의 볼륨 업과 아름다운 데콜테의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지만, 특히 군살도 포함하여 상기 볼륨이 불충분한 경우에 매우 유효하다는 점이다. 브래지어(10)를 착용하면, 사이드 패널(40)의 조임에 의해 연결 테이프(30)에는 수평 방향의 장력과 어깨 끈(50)의 끌어올림에 의한 끌어올림 방향의 장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연결 테이프(30)에 봉착되어 있는 컵(20)에 동일한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즉, 컵(20)에 어깨 끈(50)의 끌어올림에 의해 격자 모양으로 나타내는 하연(下緣) 부분(K)에 명치부(20a)를 중심으로 바스트(B)의 끌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사이드 패널(40)의 조임에 의한 수평 방향의 힘에 의해, 컵(20)에 바스트(B)를 가볍게 누르는 것과 같은 죔 방향의 장력이 더해진다.
그리고 착용에 있어서는, 바스트(B)는 물론, 나아가서는 겨드랑이에서 등에 걸친 군살을 컵(20)의 가슴측으로 모아서 컵(20) 내에 수납하도록 하여, 가능한 한 바스트(B)의 볼륨을 높이도록 한다. 컵(20)에 수납된 바스트(B)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죔 방향의 장력에 의해 컵(20)이 바스트(B)를 가볍게 누르게 되지만, 컵(20)의 삼각형 부분(S)이 삼각 패드(70)를 위에서 억누르기 때문에, 삼각 패드(70)는 거의 볼륨이 없는 착용자의 명치 부분부터 가슴 부분을 채우고 또한, 삼각 패드(70)의 반발력에 의해 삼각 패드(70)에 접하는 바스트(B)의 가슴 부분의 약간의 볼륨의 일부는 외측으로 밀려난다.
특히, 상술한 삼각형 부분(S)은 그 중앙 부분을 향할수록 그 두께를 크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삼각 패드(70)는 그 2변(70b, 70c)이 컵(20)의 솟아오른 부분(28) 및 수평 가장자리부(29)에 봉착 일체화되어, 마찬가지로 그 중앙 부분을 향할수록 그 두께를 크게 하는 쿠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남는 1변이 개방변(70a)으로 되어 있으므로, 두꺼운 부분끼리가 서로 눌러서 삼각 패드(70), 특히 사선(도 12)으로 나타내는 개방변(70a)의 중심 부분이 컵(20)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밀려나서 바스트(B)의 가슴 부분에 강하게 눌러진다. 이에 의해 바스트(B)의 해당 부분은 외측으로 밀려난다.
이 밀려난 부분은 컵(20)에 수납된 부분과 합류하여 볼륨을 더하고, 컵(20)의 연결 테이프(30)의 작용에 의해 바스트(B)의 하연을 들어올려서 어깨 끈(50)의 끌어올림력에 의해 가슴측으로 모인다. 이렇게 효과적으로 밀려나서 부피를 늘린 바스트(B)는 상기와 같이 명치부(20a)를 중심으로 하여 컵(20)의 사이드 부분이 어깨 끈(50)으로 끌어 올려지고, 이로써 부피가 늘어난 바스트(B)는 겨드랑이 방향에서 명치측으로 모아져 가슴에 아름다운 데콜테를 나타낸다. 이때, 연결 테이프(30)에는 종래와 같은 와이어 본이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파고드는 것이 없고, 소프트하게 불쾌감없이 접촉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포켓(80)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개구(80a)에서 별도로 준비한 보조 패드를 포켓(80)에 수납함으로써, 한층 더 볼륨 업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도 4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는 포켓(80)을 마련하지 않고, 삼각 패드(70)를 직접 컵 본체(20h)의 상기 장소에 봉착하여 사용한다.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컵 본체(20h)가 삼각 상당 부분(20h1)과 이에 이은 나머지 부분(T) 및 별체의 본체 패드(20h2)로 구성되고, 삼각 상당 부분(20h1)과 이에 이은 나머지 부분(T)의 두께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패드(20h2)는 제 1 실시예의 삼각형 부분(S)과 동일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쿠션 형상으로 형성된 삼각 상당 부분(20h1)에 접착, 봉착 혹은 몰드 일체 성형으로 형성된다. 그 밖의 점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체 패드(20h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접착 혹은 전주 봉착이어도 좋지만, 본체 패드(20h2)의 2변을 컵(20)의 솟아오른 부분(28) 및 수평 가장자리부(29)에 취착하고, 남은 변을 개방해도 좋으나, 이 경우는, 본체 패드(20h2)와 삼각 패드(70)가 2중으로 작용하여, 추가적인 볼륨 업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제 3 실시예로, 컵 본체(20h)는 전체가 동일한 두께로 몰드 형성되고, 삼각 패드(70)가 컵 본체(20h)의 삼각형 부분(S)(혹은 도 6의 삼각 상당 부분(20h1)) 배치되고, 그 2변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봉착된다. 이 경우는 컵 본체(20h)의 삼각형 부분(S)에 두께가 없으므로, 그만큼 삼각 패드(70)의 두께가 증가된다.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으로, 컵 본체(20h) 및 삼각 패드(70)가 전체가 동일한 두께로 몰드 형성되고, 컵 본체(20h)의 삼각 상당 부분(20h1)에 동일한 두께의 삼각 패드(70)가 배치되고, 그 2변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봉착된다. 외측에 반구상으로 팽출한 컵(20)의 반력과 이 봉착에 의해 얇은 삼각 패드(70)는 상기 동일하게 바스트(B)측으로 휜다. 단, 컵 본체(20h) 및 삼각 패드(70)가 전체가 동일한 두께로 얇기 때문에, 상기의 볼륨 업 효과는 도 7에 비해 약하다. 컵 본체(20h)와 삼각 패드(70)의 사이에 보조 패드를 삽입하면 그 보강이 된다.
도 9는 삼각 패드(70)를 중공 주머니 형상으로 한 경우로, 장착이나 나타내는 작용은 스폰지제의 삼각 패드(70)와 동일하다.
도 10은 제 4 실시예로, 삼각 패드(70)가 면 지퍼(71a, 71b)로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면 지퍼(71b)의 한쪽은 컵(20)의 솟아오른 부분(28) 및 컵(20)의 하변(20p)의 수평 가장자리부(29)를 따라 부착되고, 면 지퍼(71a)의 다른 쪽은 이것들에 상당하는 삼각 패드(70)의 2변에 부착된다. 면 지퍼(71a, 71b)를 이용함으로써, 삼각 패드(70)를 수 종류 마련하여,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점과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6 내지 10의 실시예에서, 포켓(80)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삼각 패드(70)는 포켓(80)에 붙여도 좋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F)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10: 브래지어
11: 외장용 천
12: 장식용 벨트
20: 컵
20a: 명치부
20d: 컵의 상변
20e: 상변의 종단
20h: 컵 본체
20h1: 삼각 상당 부분
20h2: 본체 패드
20p: 컵의 하변
20q: 하변의 종단
23: 레이스 원단
25: 컵의 측연
26: 피계지구
27: 후크
28: 컵의 솟아오른 부분
29: 컵의 하변의 수평 가장자리부
30: 연결 테이프
31: 앞판
40: 사이드 패널
41: 신축 벨트
50: 어깨 끈
70: 삼각 패드
70a: 개방변(남은 한 변)
70b, 70c: 취착변
71a, 71b: 면 지퍼
80: 포켓
80a: 개구
B: 바스트
K: 하연 부분
D: 이간 공간
F: 팽출력이 가해지는 방향
P1: 솟아오른 부분의 단
P2: 수평 부분의 단
S: 삼각형 부분
T: 나머지 부분
t: 경계선

Claims (6)

  1. 바스트를 덮는 한 쌍의 컵과,
    컵의 겨드랑이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사이드 패널과,
    컵의 상단부터 사이드 패널에 걸쳐서 마련된 어깨 끈으로 구성된 브래지어로서,
    좌우의 컵이, 상기 컵의 인접한 명치부에서 위를 향해 만곡된 컵의 상변의 솟아오른 부분과 명치부에서 컵의 하변의 수평 방향으로 늘어난 수평 가장자리부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의 부분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를 배치하고, 삼각 패드의 2변을 상기 솟아오른 부분과 상기 수평 가장자리부에 취착하고, 남은 1변이 컵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고,
    좌우의 컵의 상변의 솟아오른 부분과 명치부의 하단부터 컵의 하변의 수평 가장자리부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의 부분을 컵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2. 바스트를 덮는 한 쌍의 컵과,
    컵이 마련되어 있는 앞판과,
    앞판의 겨드랑이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사이드 패널과,
    컵의 상단부터 사이드 패널에 걸쳐서 마련된 어깨 끈으로 구성된 브래지어로서,
    좌우의 컵이, 상기 컵의 인접한 명치부에서 위를 향해 만곡된 컵의 상변의 솟아오른 부분과 명치부에서 컵의 하변의 수평 방향으로 늘어난 수평 가장자리부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의 부분에 겹쳐서, 대략 삼각형의 삼각 패드를 배치하고, 삼각 패드의 2변을 상기 솟아오른 부분과 상기 수평 가장자리부에 취착하고, 남은 1변이 컵의 내면에서 이간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고,
    좌우의 컵의 상변의 솟아오른 부분과 명치부의 하단에서 컵의 하변의 수평 가장자리부에 둘러싸인 대략 삼각형의 부분을 컵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삼각 패드는 연질 발포 수지제 또는 연질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취착된 2변이 얇고, 중앙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쿠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컵의 내측을 덮는 보조 패드의 수납용 포켓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고, 삼각 패드는 상기 포켓의, 컵의 상기 대략 삼각형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삼각 패드의 상기 2변이 면 지퍼로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KR1020177001063A 2014-06-18 2014-06-18 브래지어 KR101806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3277 WO2015193932A1 (ja) 2014-06-18 2014-06-18 ブラジャ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921A KR20170018921A (ko) 2017-02-20
KR101806787B1 true KR101806787B1 (ko) 2017-12-08

Family

ID=5493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063A KR101806787B1 (ko) 2014-06-18 2014-06-18 브래지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1773B2 (ko)
EP (1) EP3158885B1 (ko)
JP (1) JP5926861B1 (ko)
KR (1) KR101806787B1 (ko)
CN (1) CN106470564B (ko)
TW (1) TWI584747B (ko)
WO (1) WO2015193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8494A (zh) * 2017-03-28 2017-08-18 广东新怡内衣集团有限公司 一种无钢圈文胸
USD876749S1 (en) * 2017-08-30 2020-03-03 Amanda Natalie Ragosino Cupless underwire bra
CN108371357A (zh) * 2018-04-28 2018-08-07 何丹彤 一种玲珑自动伸缩调节承托带及文胸
JP6507299B1 (ja) * 2018-09-26 2019-04-24 株式会社エレーヌ ブラジャー
JP3224254U (ja) * 2019-09-25 2019-12-05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ブラジャ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00Y1 (ko) 2005-01-06 2005-03-28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해먹시트를 구비하는 기능성 브래지어
JP2008101284A (ja) 2006-10-17 2008-05-01 Wacoal Corp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58747A (ko) * 1950-03-17
CH271095A (de) * 1949-02-03 1950-10-15 Altorfer Lisy Büstenhalter mit auswechselbaren Einlagen.
US2661470A (en) * 1951-04-20 1953-12-08 Emily N Day Breast pad holding garment
US2875764A (en) * 1957-09-30 1959-03-03 Anna M Benson Brassiere
US3099839A (en) * 1961-05-29 1963-08-06 Margaret K Kester Artificial breast brassiere
US3221748A (en) * 1964-01-03 1965-12-07 Albert A Glasser Padded brassiere
US3247853A (en) * 1964-05-06 1966-04-26 Teenform Inc Foundation garment
FR1400020A (fr) * 1964-06-30 1965-05-21 Coupe de soulèvement de la poitrine
US3568681A (en) * 1968-12-09 1971-03-09 June M Comollo Prosthetic brass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34397A (en) * 1971-10-12 1974-09-10 B Birch Brassiere construction
US5098330A (en) * 1991-03-27 1992-03-24 Bert Greenberg Breast enhancement brassiere
US5334082A (en) * 1993-04-02 1994-08-02 Barker Kathryn Z Brassiere with augmenting bust support
US5868601A (en) * 1997-01-09 1999-02-09 Kelemencky; Monroe R. Cleavage creating and/or enhancing brassiere
US6156065A (en) * 1997-09-10 2000-12-05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Natural fixation of breast prosthesis
US6165047A (en) * 1999-08-27 2000-12-26 Scott; Hester B. Two-in-one brassiere for breast enhancement and support
JP3686812B2 (ja) * 2000-03-09 2005-08-24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3981554B2 (ja) * 2001-12-12 2007-09-26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2003221706A (ja) * 2002-01-23 2003-08-08 Chizuko Yamada パッド及び胸当て部を有する衣類
US7081034B1 (en) * 2005-06-30 2006-07-25 Nicole Zoellner Nursing bra with pocket
TWI283565B (en) * 2006-07-12 2007-07-11 Shian-Yi Lin Inner bra cup
JP2007070753A (ja) 2005-09-06 2007-03-22 L Rose:Kk ブラジャー及び計測機能を備えたブラジャー、並びに体形の計測方法
US20080139085A1 (en) * 2006-12-06 2008-06-12 Shi-Min Wu Hollow bra cup
US8840442B2 (en) * 2007-01-24 2014-09-23 Nicole Linkon Brassiere
JP4943965B2 (ja) 2007-07-28 2012-05-30 ゴールドフラッグ株式会社 ブラジャー
US7753759B2 (en) * 2007-10-22 2010-07-13 Tammy Pintor Article of apparel for concealing objects
US8277276B2 (en) * 2008-07-15 2012-10-0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rassiere cup with a breast enhancement insert and brassiere formed therewith
JP3150793U (ja) * 2009-02-18 2009-06-04 ▲莱▼雅(香港)有限公司Raia(H.K.)Co., Limited ブラジャーその他カップ付きキャミソールなどのファンデーション用のシームレスカップ
US20110237157A1 (en) * 2010-03-24 2011-09-29 Scott Hester B Adjustable multi-cup brassiere
US8657643B2 (en) * 2010-05-19 2014-02-25 Carlos F. Perez Nursing bra
JP5945858B2 (ja) * 2011-03-30 2016-07-05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3171826U (ja) * 2011-09-06 2011-11-17 ▲莱▼雅(香港)有限公司Raia(H.K.)Co., Limited ブラジャーのカップ部やその他キャミソールのカップ部に装着するカップ
JP3180471U (ja) * 2012-10-09 2012-12-20 株式会社アンド・エム 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被服
WO2014122697A1 (ja) * 2013-02-08 2014-08-14 ゴールドフラッグ株式会社 ブラジャーのカップ及びブラジャ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9629753B2 (en) * 2013-04-04 2017-04-25 Milan Golubovic Disposable push-up bra liner
JP6307836B2 (ja) * 2013-11-01 2018-04-11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9687395B2 (en) * 2015-02-20 2017-06-27 Mountain Park Music, Inc. Repositionable moisture management material that creates a barrier to skin-on-skin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00Y1 (ko) 2005-01-06 2005-03-28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해먹시트를 구비하는 기능성 브래지어
JP2008101284A (ja) 2006-10-17 2008-05-01 Wacoal Corp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0564A (zh) 2017-03-01
TWI584747B (zh) 2017-06-01
KR20170018921A (ko) 2017-02-20
JPWO2015193932A1 (ja) 2017-04-20
US20170150759A1 (en) 2017-06-01
EP3158885B1 (en) 2018-08-01
EP3158885A4 (en) 2017-04-26
TW201615107A (zh) 2016-05-01
JP5926861B1 (ja) 2016-05-25
CN106470564B (zh) 2018-11-13
EP3158885A1 (en) 2017-04-26
WO2015193932A1 (ja) 2015-12-23
US10791773B2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787B1 (ko) 브래지어
US7427226B1 (en) Floating cup breast support garment
JP5520421B1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及びブラジャ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200049807A (ko)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KR20190056449A (ko) 여성 속옷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102097938B1 (ko) 여성 속옷
JP6227941B2 (ja) カップ付衣類
KR20060083975A (ko)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JP2009102769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5281621B2 (ja) カップ付き衣類
JP2008069489A (ja) ブラジャ
JPH07300703A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衣類
JP7474014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婦人下着
JP7441454B2 (ja) ブラジャー
JP3704102B2 (ja) ブラジャーなどのバック部補強構造
JP3214014U (ja) カップを有する衣類
CN208446637U (zh) 一种无钢圈弹性全包容聚拢文胸
CN202276839U (zh) 系扣在前的文胸
JP3162398U (ja) ブラジャー装置
JP2024019808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04068207A (ja) ブラジャー
JP2021025180A (ja) 婦人下着
KR20120005237U (ko) 기능성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