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239B1 -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239B1
KR102170239B1 KR1020190048544A KR20190048544A KR102170239B1 KR 102170239 B1 KR102170239 B1 KR 102170239B1 KR 1020190048544 A KR1020190048544 A KR 1020190048544A KR 20190048544 A KR20190048544 A KR 20190048544A KR 102170239 B1 KR102170239 B1 KR 10217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onnection frame
coupling hole
frame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래
백서하
오정석
김문주
오원호
윙천 쳉 카멜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10Emergenc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6Wheels with more than one rim mounted on a single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힌치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간격을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힌지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프런트 휠 및 상기 제2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런트 휠과 밀착되는 제2 프런트 휠을 포함하는 프런트 휠; 및 상기 프런트 휠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SEPARATING APPARATUS FOR MOTORCYCLE WHEEL}
본 발명은 충돌 사고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휠을 분리하여 노면에 대한 접지점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motorcycle)은 원동기를 달아 이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이륜차를 말한다. 흔히 '오토바이'라고 말한다. 모터사이클은 각각 배기량이 25~250cc 범위에 해당되는 공냉식 모터를 장착한다. 그러나 다기통 모터사이클 가운데에는 배기량이 1,300cc를 넘는 것도 있다. 유럽식 엔진 평가방법은 피스톤 배기량을 cm3 단위로 나타내는 데 반해, 미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서는 HP(마력)을 사용하는데, 대략 100cc가 8~10HP에 해당한다. 1901년 이전의 베르너 제품은 기관을 앞바퀴 위에 부착했지만, 그 이후에는 두 바퀴 중간의 아래쪽에 기관을 달아 벨트나 체인을 이용해서 뒷바퀴에 연결하는 형태가 개발되었다.
한편 주행도중 모터사이클을 급격히 멈추도록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휠의 잠김 현상(Brake lock)이 발생하게 된다. 바퀴 잠김 현상현상은 브레이크를 작동하였을 때 휠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모터사이클이 미끄러지거나 옆으로 밀려나게 되며 운전자의 제어에서 벗어나 그 방향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사고를 피하기 위해 운전자가 핸들링을 하여도 효과적인 모터사이클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사이클에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ABS : Anti-lock Brake System)가 장착되고 있다. 배기량이 125cc를 초과하거나 최고출력이 11kW를 초과하는 모터사이클과 같은 이륜차에 바퀴잠김방지식 주제동장치(ABS)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모터사이클 사고예방 및 피해 감소를 위해 안전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125cc를 초과하거나 최고출력이 11kW를 초과하는 고가의 모터사이클의 경우에 ABS 장치가 설치되나 이러한 장치를 통해 휠 잠김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과 달리 모터사이클의 경우에는 2개의 휠만으로 모든 무게를 지탱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ABS 장착 이후에도 여전히 차량에 비해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25cc 미만의 소형 오토바이에 ABS를 장착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ABS 기술로 해결할 수 없는 모터사이클의 구조적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터사이클과 같이 프런트 휠과 리어 휠 2개 노면 접지점을 가지는 경우 2개의 접지점을 축으로 하는 토크에 저항할 수 없는 구조로 인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점에 착안하여 사고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밀착되어 있던 2개의 프런트 휠을 분리하여 2개의 프런트 휠과 1개의 리어 휠 등 총 3개의 노면 접지점을 통해 사고 발생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48289호(2006.09.21.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돌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 프런트 휠이 분리되어 최초 2개 휠에서 3개 휠로 노면 지지점을 증가시킴으로써,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힌치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간격을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힌지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프런트 휠 및 상기 제2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런트 휠과 밀착되는 제2 프런트 휠을 포함하는 프런트 휠; 및 상기 프런트 휠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1 포크와 제2 포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져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1 프런트 휠과 제2 프런트 휠이 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포크에 연결되고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1 연결프레임;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포크에 연결되고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2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일치되며,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 잠금장치의 키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프레임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서 상기 키가 분리되면 신장되면서 압축하던 연결프레임을 외측으로 밀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연결장치가 삽입되는 작동공간이 구비하며 하부에 상기 키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신축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 하부는 상기 잠금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부 양측에 상기 잠금장치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가이드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공간을 따라 상기 로드와 연결된 상기 잠금장치가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차체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작동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가 신축 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실린더 또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제2 연결프레임은 하향으로 볼록한 곡선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충돌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 밀착되어 있던 2개의 프런트 휠을 분리하여 2개의 프런트 휠과 1개의 리어 휠 등 총 3개의 노면 접지점을 통해 사고 발생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키가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키가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이 제2 연결프레임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크와 제2 포크가 벌어짐에 따라 제1 프런트 휠과 제2 프런트 휠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량과 달리 모터사이클의 경우 2개의 휠만으로 모든 무게를 지탱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차량에 비해 미끄러지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의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자 사고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밀착되어 있던 2개프런트 휠을 분리하여 2개의 프런트 휠 및 1개의 리어 휠 등 총 3개의 노면 접지점을 통해 사고 발생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에 있어 휠을 노면으로 누르는 것은 서스펜션이다. 좋은 서스펜션은 모터사이클의 제동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서스펜션은 휠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모터사이클의 휠을 노면에 계속적으로 밀착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터사이클에 있어 앞쪽 서스펜션은 '포크', 뒤쪽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라 부른다. 앞쪽 포크는 프런트 휠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프런트 휠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구조이다.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의 앞쪽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포크가 사고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2개로 구성되는 프런트 휠을 분리하여 2개의 프런트 휠과 1개의 리어 휠이 노면에 접지되도록 노면에 대한 접지점을 증가시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크를 포함한다. 포크는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를 포함한다.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는 프런트 휠(40)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프런트 휠(4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포크(11)와 이에 대향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제2 포크(12)는 연결장치(3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는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 상단은 차체 프레임(1)과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상단은 힌지축(20)에 의해 모터사이클의 차체 프레임(1)과 연결될 수 있다. 위급 상황시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는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상부에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래칫(ratchet)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하단 부위에는 기존 모터사이클과 같이 프런트 휠(4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프런트 휠(40)은 제1 프런트 휠(41) 및 제2 프런트 휠(42)의 2개의 휠로 구성된다.
제1 프런트 휠(41) 및 제2 프런트 휠(42)은 연결장치(30)의 작동전 도 1과 같이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휠로 작동하다가 위급 상황시 도 7과 같이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와 함께 벌어지면서 분리될 수 있다.
연결장치(30)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 연결프레임(31) 및 제2 연결프레임(32)을 포함한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 중 어느 한쪽 연결프레임은 상대 연결프레임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일예로서, 제1 연결프레임(31)은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1 연결프레임(31)이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은 환봉 형태일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은 프런트 휠(40)과 일정 간격 떨어져 프런트 휠(40) 상부의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에 장착된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 폭은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 사이에 프런트 휠(40)을 장착하여 프런트 휠(40)이 작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폭이면 된다.
제1 연결프레임(31)의 일측 단부는 제1 포크(11)와 연결된다. 제2 연결프레임(32)의 일측 단부는 제2 포크(12)와 연결된다. 제1 연결프레임(31)의 타측 단부는 제2 연결프레임(32)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은 회전 작동시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곡선 형태인 것인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은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이 곡선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 3과 같이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31) 외측 하부의 대략 중단 부위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결합공(311)이 구비된다. 제2 연결프레임(32) 외측 하부의 대략 중단 부위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결합공(321)이 구비된다. 제1 연결프레임(31)을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 결합시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은 일치한다.
도 2와 같이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잠금장치(50)의 키(51)가 결합된다.
잠금장치(50)는 내부에 작동공간(52)이 구비되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잠금장치(50)는 내부에 작동공간(52)이 형성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50) 하부에 구비되는 키(51)가 제1 결합공(311) 및 제2 결합공(321)에 대응 결합된다. 키(51)는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공간(52)은 연결장치(30)의 승강 작동이 자유롭도록 제1 연결프레임(31) 또는 제2 연결프레임(32)의 보다 더 큰 공간으로 형성된다. 연결장치(30)는 잠금장치(50)의 작동공간(52)에 위치한다.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이 결합되어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잠금장치(50)의 상승 작동에 의해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대응 결합된다.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의 작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진다.
위급 상황 발생시 잠금장치(50)의 하강 작동에 의해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되어 있던 키(51)가 분리된다. 이로 인해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있던 제1 연결프레임(31)이 외측으로 인출되고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벌어짐에 따라 밀착되어 있던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이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와 함께 벌어진다.
제1 연결프레임(31)의 인출을 돕기 위해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9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31)을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 삽입하면 탄성부재(90)가 제1 연결프레임(31)의 타단에 의해 가압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키(51)를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한다.
위급 상황시 키(51)를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서 분리하여 키(51)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의 결합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90)가 신장되면서 제1 연결프레임(31)을 외측으로 민다. 이로 인해 제1 연결프레임(31)이 제2 연결프레임(32) 외측으로 인출된다.
본 발명은 승강장치(60)를 더 포함한다. 승강장치(60)는 잠금장치(50)의 승강을 위한 장치이다. 승강장치(60) 하부는 잠금장치(50) 상부와 연결된다. 승강장치(60)는 다양한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승강장치(60)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 또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승강장치(60)는 신축 가능한 로드(61)를 포함한다. 로드(61)는 승강장치(60) 하부에 구비된다. 승강장치(60)는 잠금장치(50) 상부에 위치한다.
일예로서, 승강장치(60)는 지지프레임(7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70)은 하부 양측에 잠금장치(50)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71)와 제2 가이드(72)가 구비된다. 제1 가이드(71)와 제2 가이드(72) 사이에는 가이드 공간(73)이 구비된다. 가이드 공간(73)을 따라 로드(61)와 연결된 잠금장치(50)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프레임(70)의 상단 또는 적어도 일부가 모터사이클의 차체 프레임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모터사이클 주행시 제1 포크(11), 제2 포크(12), 승강장치(60), 잠금장치(5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체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프레임(70)이 승강장치(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승강장치(60)는 잠금장치(50)를 지지하고, 잠금장치(50)는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와 연결된 연결장치(30)를 지지하기 때문에 주행중 제1 포크(11)과 제2 포크(12)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3과 같이 승강장치(60)는 작동버튼(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사이클 탑승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작동버튼(80)은 모터사이클 탑승자가 조작하기 쉬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예컨대, 작동버튼(80)은 모터사이클의 핸들, 대시보드 등과 같은 탑승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부위에 위치하여야 한다.
위급 상황시 탑승자가 작동버튼(80)를 누르면 전기 신호가 승강장치(60)에 전달되어 로드(61)가 아래 방향으로 신장한다. 로드(61)가 신장함에 따라 잠금장치(50)가 하강하고 이로 인해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서 분리된다. 키(51) 결합 상태 해제와 동시에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벌어지고 이에 서로 밀착되어 있던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이 분리되면서 노면 접지점이 제1 프런트 휠(41), 제2 프런트 휠(42), 리어 휠(미도시) 총 3개의 접지점을 통해 사고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제1 프런트 휠과 제2 프런트 휠의 분리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2와 같이 모터사이클의 주행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이 일치하도록 제1 연결프레임(31)이 제2 연결프레임(32)에 삽입 결합되고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잠금장치(50)의 키(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키가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잠금장치(50)의 키(51)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사이클 주행중 사고 등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모터사이클 탑승자가 작동버튼(80)을 누르면 전기 신호가 승강장치(60)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키가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작동버튼(80) 조작에 의한 신호에 의해 승강장치(60)가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승강장치(60)의 로드(61)가 하강 신장한다. 로드(61)가 신장됨에 따라 로드(61)와 연결된 잠금장치(50)가 하강한다. 잠금장치(50)의 하강과 동시에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되어 있던 키(51)가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프레임이 제2 연결프레임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제1 연결프레임(31)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의 탄성부재(90)가 원상태로 신장되면서 제1 연결프레임(31)을 제2 연결프레임(32)의 바깥쪽으로 민다.
탄성부재(90)의 신장에 의해 제1 연결프레임(31)이 제2 연결프레임(32)의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결프레임(31)과 제2 연결프레임(32)이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힌지축(20)에 결합된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의 하단은 양측으로 벌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크와 제2 포크가 벌어짐에 따라 제1 프런트 휠과 제2 프런트 휠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되어 있던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은 제1 포크(11) 및 제2 포크(12)가 벌어짐에 따라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서로 멀어지도록 분리된다.
밀착되어 있던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노면 접지점이 제1 프런트 휠(41), 제2 프런트 휠(42), 모터사이클 뒤쪽의 리어 휠 등 3개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는 파손되지 않는 이상 인출되었던 제1 연결프레임(31)을 다시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에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프레임(32)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제1 연결프레임(31)을 제2 연결프레임(32) 내부로 밀어 넣는다. 제1 연결프레임(31)의 제1 결합공(311)과 제2 연결프레임(32)의 제2 결합공(32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작동버튼(80)을 누른다.
작동버튼(80)을 누름과 동시에 신호가 승장장치(60)로 전달되어 로드(61)가 축소된다. 로드(61)가 축소됨에 따라 잠금장치(50)가 상승한다. 이로 인해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된다.
잠금장치(50)의 키(51)가 제1 결합공(311)과 제2 결합공(321)에 결합됨에 따라 연결장치(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제1 포크(11)와 제2 포크(12)는 평행 상태를 이루고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사이클을 주행한다. 모터사이클을 주행중 사고 발생시 작동버튼(80)을 누르면 밀착되어 있던 제1 프런트 휠(41)과 제2 프런트 휠(42)이 분리되면서 노면 접점이 증가되어 모터사이클의 방향 제어 상실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차체 프레임
11 : 제1 포크
12 : 제2 포크
20 : 힌지축
30 : 연결장치
31 : 제1 연결프레임
32 : 제2 연결프레임
40 : 프런트 휠
41 : 제1 프런트 휠
42 : 제2 프런트 휠
50 : 잠금장치
51 : 키
52 : 작동공간
60 : 승강장치
61 : 로드
70 : 지지프레임
71 : 제1 가이드
72 : 제2 가이드
73 : 가이드 공간
80 : 작동버튼
90 : 탄성부재
311 : 제1 결합공
321 : 제2 결합공

Claims (10)

  1.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힌치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간격을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힌지축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포크;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프런트 휠 및 상기 제2 포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런트 휠과 밀착되는 제2 프런트 휠을 포함하는 프런트 휠; 및
    상기 프런트 휠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크와 제2 포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1 포크와 제2 포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져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1 프런트 휠과 제2 프런트 휠이 떨어지게 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포크에 연결되고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1 연결프레임;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포크에 연결되고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2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일치되며,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 잠금장치의 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프레임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에서 상기 키가 분리되면 신장되면서 압축하던 연결프레임을 외측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연결장치가 삽입되는 작동공간이 구비하며 하부에 상기 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신축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 하부는 상기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부 양측에 상기 잠금장치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가이드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공간을 따라 상기 로드와 연결된 상기 잠금장치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작동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가 신축 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실린더 또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제2 연결프레임은 하향으로 볼록한 곡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KR1020190048544A 2019-04-25 2019-04-25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KR10217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44A KR102170239B1 (ko) 2019-04-25 2019-04-25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44A KR102170239B1 (ko) 2019-04-25 2019-04-25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39B1 true KR102170239B1 (ko) 2020-10-26

Family

ID=7300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44A KR102170239B1 (ko) 2019-04-25 2019-04-25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357A (ja) * 1991-11-19 1993-06-08 Honda Motor Co Ltd 前2輪型車両
JP2005219728A (ja) * 2004-01-06 2005-08-18 Land Walker Ltd 自転車および自転車用の差動装置
JP2006248289A (ja) 2005-03-09 2006-09-21 Koyo Sangyo Kk 二輪車の前輪装置
US20080115994A1 (en) * 2006-10-30 2008-05-22 Federico Martini Rolling vehicle with two front steering wheels and and at least a rear driving wheel
KR20100008136U (ko) * 2009-02-06 2010-08-16 김태중 오토바이
JP2012056503A (ja) * 2010-09-10 2012-03-22 Nagaoka Techno Service:Kk 車体をロールさせる車両
JP6239945B2 (ja) * 2013-11-13 2017-11-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357A (ja) * 1991-11-19 1993-06-08 Honda Motor Co Ltd 前2輪型車両
JP2005219728A (ja) * 2004-01-06 2005-08-18 Land Walker Ltd 自転車および自転車用の差動装置
JP2006248289A (ja) 2005-03-09 2006-09-21 Koyo Sangyo Kk 二輪車の前輪装置
US20080115994A1 (en) * 2006-10-30 2008-05-22 Federico Martini Rolling vehicle with two front steering wheels and and at least a rear driving wheel
KR20100008136U (ko) * 2009-02-06 2010-08-16 김태중 오토바이
JP2012056503A (ja) * 2010-09-10 2012-03-22 Nagaoka Techno Service:Kk 車体をロールさせる車両
JP6239945B2 (ja) * 2013-11-13 2017-11-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66267U (zh) 一种汽车轮胎假轮脱困器
EP2842815B1 (en) Wheel-embracing mechanism and safety vehicle having the wheel-embracing mechanism
KR102170239B1 (ko) 모터사이클 휠 분리장치
CN109334634B (zh) 电动三轮车辅助刹车装置
CN207984469U (zh) 一种车辆爆胎应急的安全辅助装置
CN104670183A (zh) 一种带自锁功能的转运车刹车装置
CN201694005U (zh) 全挂车气动锁紧托钩及全挂车
CN201026993Y (zh) 飞机牵引杆
IL190772A (en) Crash shock absorbing device
CN111580176B (zh) 一种带防冲卡车底安全检查装置
CN110356480B (zh) 一种车辆防侧翻制动装置
CN209851974U (zh) 一种轴头锁、越野底盘行走机构及无动力拖车装置
CN101332801A (zh) 一种车外行人生命保护系统
CN208249752U (zh) 一种带制动结构的汽车行星绞盘
KR200166923Y1 (ko) 관성제동 시스템의 소형 트레일러
CN221835296U (zh) 一种车辆救援拖车用拖车构件
KR100711260B1 (ko) 피견인차량용 안전 브레이크 장치
CN217048583U (zh) 一种车辆防滑刹车设备
CN205131223U (zh) 一种应用于重型半挂车的紧急制动辅助装置
CN220602946U (zh) 用于机动车检测的检测平台
CN205365558U (zh) 车用安全制动装置及汽车制动系统
CN219214928U (zh) 轮胎防护装置及压路机
CN209581321U (zh) 一种悬挂伸缩式消防车踏板
CN208931317U (zh) 一种改进型汽车脱困器
CN209023044U (zh) 一种智能平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