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33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33B1
KR102164733B1 KR1020197029027A KR20197029027A KR102164733B1 KR 102164733 B1 KR102164733 B1 KR 102164733B1 KR 1020197029027 A KR1020197029027 A KR 1020197029027A KR 20197029027 A KR20197029027 A KR 20197029027A KR 102164733 B1 KR102164733 B1 KR 10216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curved member
cargo tank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648A (ko
Inventor
데츠야 도다
사토시 안도
고헤이 사이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2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카고 탱크의 측벽(40)은, 상판부(60), 그 상판부(60)의 하방에 배치된 하판부(70), 및 상기 상판부(60)와 상기 하판부(70)의 사이에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카고 탱크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을 이루고, 그 원호상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각각 상기 상판부(60) 및 상기 하판부(70)가 접속되는 만곡 부재(80)를 갖는 측판 유닛(50)을 가지며, 상기 만곡 부재(80)는, 상기 측판 유닛(50)의 상기 선수미 방향의 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원호상의 곡률 반경이 서서히 커지면서, 상기 상판부(60)와 상기 하판부(70)에 걸치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확경부(82)를 갖는다.

Description

선박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4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8135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선박으로서, LNG나 LPG 등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카고 탱크가 선수미(船首尾)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운반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카고 탱크 중, 이른바 방형 탱크는, 판 부재를 상하, 선수미 방향 및 선폭 방향으로 서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카고 탱크는, 선체의 현측(舷側) 외판 및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 내에 배치되어 있다. 카고 탱크의 측벽은, 현측 외판의 내면에 대향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79704호
그런데, 상기 운반선에서는, 규칙에 의하여 카고 탱크의 측벽과 선체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소정의 값 이상으로 확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카고 탱크의 측벽의 형상이 상기의 규칙을 부분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탱크 전체의 형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특히, 판 부재끼리를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접속 부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당해 만곡 개소가 탱크의 외방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하여, 규칙대로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카고 탱크로서는, 액체 가스 등의 화물을 보다 많이 적재하기 위하여, 용적을 가능한 한 확보할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상기 규칙에 의하여 카고 탱크의 측벽과 선체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확보하면, 그 카고 탱크의 용적을 감소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카고 탱크의 측벽과 선체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의 요구 값을 충족시키면서 카고 탱크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선박은, 현측 외판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를 갖는 선체와, 상기 카고 홀드에 수용되어 상기 현측 외판에 대향하는 측벽을 가짐과 함께, 내부에 화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고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은,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방에 배치된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사이에서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카고 탱크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원호상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각각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가 접속되는 만곡 부재를 갖는 측판 유닛을 갖고,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측판 유닛의 상기 선수미 방향의 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원호상의 곡률 반경이 서서히 커지면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에 걸치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확경부(擴徑部)를 갖는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측판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의 곡률 반경이 상기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 커진다. 이로 인하여, 단부에 있어서의 상판부와 하판부와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측판 유닛의 단부의 상기 접속 개소가 현측 외판에 대하여 근접하는 경우이더라도, 당해 접속 개소와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만약, 만곡 부재의 원호상의 곡률 반경을 상기 만곡 부재의 연장 방향 전역에서 일정하게 한 경우에는, 측판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의 돌출량은 크다. 이로 인하여,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확보하고자 하면, 측판 유닛마다 카고 탱크의 내방으로 후퇴시키도록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수용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상판부 및 하판부를 카고 탱크의 내방에 위치시키게 되기 때문에, 카고 탱크의 용적이 감소해 버린다.
본 양태에서는, 상판부 및 하판부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측판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고 탱크의 용적을 확보하면서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확경부로부터 상기 단부 측과는 반대 측으로 연속하여 뻗도록 상기 확경부에 접속되고, 상기 원호상의 곡률 반경 및 상기 폭 치수가 일정하게 뻗는 정경부(定徑部)를 갖는다.
필요 부분을 초과하여 확경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만곡 부재의 원호상의 대경 부분이 증가하는 분만큼 카고 탱크의 용적을 침식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만곡 부재 중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개소는, 확경부의 소경 측에 연속하여 일정한 곡률 반경 및 폭 치수로 신장하는 정경부로 한다. 이로써, 카고 탱크의 용적의 부주의한 감소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측판 유닛은 한 쌍이 마련되고, 이들 측판 유닛은, 상기 카고 탱크의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또한 상기 상판부끼리, 상기 하판부끼리, 및 상기 만곡 부재의 상기 확경부끼리가 접속되도록, 상기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측판 유닛이 상기와 같이 접합되어 있는 경우, 한 쌍의 상판부 및 한 쌍의 하판부가 집합하는 부분이 가장 현측 외판에 근접한다. 본 양태에서는, 당해 부분이 확경부로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현측 외판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측벽과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하면서, 카고 탱크의 용적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측벽 중, 상기 만곡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측판 유닛의 단부에 해당하는 개소가, 상기 현측 외판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측벽과 현측 외판과의 거리를 소정의 값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카고 탱크의 용적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원호상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는 직선부를 갖고,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는, 각각 상기 직선부를 통하여 상기 만곡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선박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측벽과 선체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의 요구 값을 충족시키면서 카고 탱크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 측벽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며,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비교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선박(100)은, 액화 가스로서 액화 석유 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수송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은, 선체(10), 브리지(20), 주기(主機)(25) 및 카고 탱크(30A)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10)는, 현측(11), 선저(12) 및 상갑판(13)을 갖고 있다. 현측(11)은, 좌우의 현측(11)을 각각 구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1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저(12)는, 이들 좌우의 현측(11)끼리를 하부에서 접속하는 선저 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갑판(13)은, 선저(12)보다 상방에서 좌우 한 쌍의 현측(11)을 접속하고 있다. 상갑판(13)은, 선수로부터 선미에 걸쳐 뻗는 전통(全通) 갑판으로서의 건현 갑판이다. 상갑판(13)은,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선체(10)는, 이들 현측(11), 선저(12) 및 상갑판(13)에 의하여,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선미 측의 부분은, 기관실(14)로 되어 있다.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기관실(14)보다 선수 측의 부분은, 기관실(14)과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15)로 되어 있다. 카고 홀드(15)는, 선폭 방향 양측이 좌우의 현측 외판(11a)에 의하여 구획형성되어 있다.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선미 측에 마련되어 있고, 기관실(14)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복수 계층을 이루고 있다. 브리지(20)의 상층에는, 선박(100)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실(21)이 마련되어 있다. 그 조종실(21)은, 선박(100)의 전방을 높은 곳으로부터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기(25)는, 선체(10) 내의 기관실(14)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기(25)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LPG를 연료로 하여 구동된다. 여기에서, 주기(25)의 연료는, LPG에만 한정되지 않고, LPG와 다른 연료와의 병용(바이 퓨얼)이나, 혼합(듀얼 퓨얼) 등이어도 된다. 주기(25)의 구동에 의하여, 선체(10)의 선미의 하방에 마련된 스크루(26)가 회전한다.
카고 탱크(30(30A, 30B, 30C))는, 선체(10)의 카고 홀드(15) 내에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접하는 카고 탱크(30)끼리의 사이의 부분은, 각 카고 탱크(30)가 수용되는 구획을 분리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카고 탱크(30)는, 평판상의 판 부재를 접합함으로서 구성된 방형 탱크이다. 카고 탱크의 내부는,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인 LPG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카고 탱크(30) 중 가장 선수 측의 카고 탱크(30A)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고 홀드(15)는, 선체(10)의 선폭 방향의 치수가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선수 측만큼 선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가장 선수 측의 카고 탱크(30A)는,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선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끝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가장 선수 측의 카고 탱크(30A)는, 상벽(31), 바닥벽(33), 단벽(端壁)(35) 및 측벽(40)을 갖는다. 상판, 바닥판, 한 쌍의 단벽(35) 및 한 쌍의 측벽(40)에 의하여, 카고 탱크(30A)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30A)의 수용 공간의 용적은, 이들 상벽(31), 바닥벽(33), 한 쌍의 단벽(35) 및 한 쌍의 측벽(40)의 배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벽(31), 바닥벽(33), 단벽(35) 및 측벽(40)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단열재가 마련된다.
상벽(31)은, 카고 탱크(30A)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벽(31)은, 선수미 방향 및 선폭 방향으로 뻗어 있고, 즉,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벽(31)에는, 트렁크 톱(도 2에서 도시 생략)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바닥벽(33)은, 카고 탱크(30A)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바닥벽(33)은, 상벽(31)과 평행하게, 선수미 방향 및 선폭 방향으로 뻗어 있고, 즉,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바닥벽(33)의 선폭 방향의 치수는 상벽(31)의 선폭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이들 상벽(31) 및 바닥벽(33)은, 평판상을 이루는 판 부재(32, 34)를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 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단벽(35)은 카고 탱크(30A)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를 형성한다. 단벽(35)은, 선미 측 및 선수 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하 방향 및 선폭 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단벽(35)은,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연직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단벽(35)은, 상벽(31)과 바닥벽(33)을 상하로 접속한다. 선수 측의 단벽(35)은, 상부보다 하부가 선폭 방향의 치수가 작다.
그리고, 측벽(40)은, 카고 탱크(30A)의 측부를 형성한다. 측벽(40)은, 상벽(31)과 바닥벽(33)을 상하로 접속하도록, 또한 한 쌍의 단벽(35)를 선수미 방향으로 접속하도록 뻗어 있다. 즉, 측벽(40)은, 상하 방향 및 선수미 방향으로 뻗어 있다. 측벽(40)은, 카고 탱크(30A)를 선폭 방향으로부터 구획형성하는 좌우의 현측 외판(11a)에 선폭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측벽(40)은,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측판 유닛(50)을 갖고 있다. 측벽(40)은, 복수의 측판 유닛(50)이 서로 선수미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판 유닛(50)은, 상판부(60), 하판부(70) 및 만곡 부재(80)를 갖는다.
상판부(60)는, 평판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측판 유닛(50)의 상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판부(70)는, 상판부(60)와 마찬가지로, 평판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측판 유닛(50)의 하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상판부(60) 및 하판부(7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측판 유닛(50)이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볼록해지도록, 서로 근접함에 따라 카고 탱크(30A)의 외방을 향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상판부(60)의 하단(61) 및 하판부(70)의 상단(71)은, 서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당해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판부(60)의 가상 연장선과 하판부(70)의 가상 연장선은, 이들 상판부(60) 및 하판부(70)의 배치 개소보다 카고 탱크(30A)의 외방 측, 즉, 현측 외판(11a) 측에서 서로 교차한다.
만곡 부재(80)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과의 사이에서,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만곡 부재(80)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을 선수미 방향에 걸쳐 접속하고 있다. 만곡 부재(80)와 상판부(60), 하판부(70)는 각각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만곡 부재(80)는, 그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을 이루고 있다. 즉, 만곡 부재(80)는, 당해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볼록해지는 원호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만곡 부재(80)에 있어서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은, 그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의 각 위치에서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만곡 부재(80)는,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판부(60) 및 하판부(70)가 만곡 부재(80)의 원호상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이들 상판부(60) 및 하판부(70)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 부재(80)는, 상기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판부(60) 및 하판부(70)에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만곡 부재(8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경부(81)와 확경부(82)가 그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정경부(81)는, 측판 유닛(5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 부근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판부(60)와 하판부(70)를 연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확경부(82)는, 측판 유닛(5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 부근의 영역에서 상판부(60)와 하판부(70)를 연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정경부(8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이, 연장 방향 전역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정경부(81)는, 상판부(60)와 하판부(70)에 걸치는 치수인 폭 치수(서로 대향하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치수)가 연장 방향 전역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정경부(81)에 접속되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은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 중, 서로 평행으로 신장하는 부분을 평행부(62, 72)로 한다. 상판부(60) 및 하판부(70)는, 정경부(81)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양단으로부터, 상기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접속되어 있다.
확경부(82)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경부(81)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그 정경부(81)의 단부로부터 측판 유닛(50)의 단부에 걸쳐 뻗어 있다. 환언하면, 정경부(81)는, 확경부(82)로부터 측판 유닛(50)의 단부 측과는 반대 측으로 뻗어 있다.
확경부(82)는, 측판 유닛(50)의 단부로부터 이간한 정경부(81)와의 접속 개소로부터 측판 유닛(50)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이 서서히 커지도록 확경하고 있다. 확경부(82)는, 상판부(60)와 하판부(70)에 걸치는 치수인 폭 치수(서로 대향하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치수)가 정경부(81)와의 접속 개소로부터 측판 유닛(50)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즉, 확경부(82)의 폭 치수는, 측판 유닛(50)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확대된다. 확경부(82)에 있어서의 정경부(81)와의 접속 개소에서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 및 폭 치수는, 정경부(81)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확경부(82)의 폭 치수의 확대에 따라, 당해 확경부(82)에 의하여 접속되는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은, 각각 서로 이간하도록 후퇴하고 있다. 상판부(60)의 하단(61)과 하판부(70)의 상단(71)에 있어서의 이와 같이 후퇴하는 부분을 후퇴부(63, 73)로 한다. 후퇴부(63, 73)는 상기 평행부(62, 72)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상판부(60) 및 하판부(70)는, 확경부(82)의 연장 방향 전역에서, 상기 확경부(82)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양단으로부터 그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수의 측판 유닛(50)은, 서로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끼리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측판 유닛(50)은,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측판 유닛(50)은, 각각 서로 근접함에 따라 카고 탱크(30A)의 외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즉, 서로 접합되는 측판 유닛(50)의 자세는, 측판 유닛(50)이 접합됨으로써 구성되는 측벽(40)이,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볼록해지는 자세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측판 유닛(50)은, 서로의 상판부(6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끼리가 상하 방향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또, 서로의 하판부(7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끼리가 상하 방향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만곡 부재(80)에 있어서의 확경부(82)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끼리가 상하 방향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측판 유닛(50)은, 상판부(60)끼리, 하판부(70)끼리, 확경부(82)끼리가 대응하도록 서로 접합되어 있다.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볼록해지는 측판 유닛(50)끼리가,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볼록해지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측벽(40)은 일부가 돌출부(P)로서 카고 탱크(30A)의 외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당해 돌출부(P)는, 각 측판 유닛(50)의 확경부(82)의 개소와 다름없다. 당해 돌출부(P)는, 카고 탱크(30A)를 구획형성하는 현측 외판(11a)에 가장 근접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선박(100)에서는, 규칙에 의하여 카고 탱크(30A)의 측벽(40)과 선체(10)의 현측 외판(11a)과의 거리를 소정의 값 이상으로 확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카고 탱크(30A)의 측벽(40)은, 현측 외판(11a)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카고 탱크(30A) 측으로 떨어진 기준선(S)(도 6 참조)보다 현측 외판(11a) 측으로 침입해서는 안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판 유닛(5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80)의 곡률 반경(R)(확경부(82)의 곡률 반경(R))이 그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 커진다. 또, 아울러 만곡 부재(80)의 폭 치수도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고, 당해 폭 치수의 확대에 따라 상판부(60)의 하단(61) 및 하판부(70)의 상단(71)이 후퇴한다. 이로 인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 부재(80)에 의하여 상판부(60)와 하판부(70)를 그 만곡 부재(80)의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매끄럽게 접속하면서, 측판 유닛(50)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80)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측판 유닛(50)의 단부의 만곡 부재(80)의 개소가 현측 외판(11a)에 대하여 근접하는 경우이더라도, 당해 만곡 부재(80)와 현측 외판(11a)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고 탱크(30A)의 측벽(40)이 기준선(S)을 넘어 현측 외판(11a)에 근접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만약, 만곡 부재(80)의 원호상의 곡률 반경(R)을 그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 전역에서 일정하게 한 경우에는, 측판 유닛(50)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80)의 돌출량은 크다. 즉, 만곡 부재(80)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이 확경되는 일 없이 일정하면, 도 6에 나타내는 2점 쇄선과 같이, 측판 유닛(50)의 단부에 있어서의 만곡 부재(80)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없다. 그 결과, 카고 탱크(30A)의 측벽(40)이 기준선(S)을 넘어 버리게 된다.
또, 이와 같이 만곡 부재(80)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을 일정하게 하면서, 현측 외판(11a)과의 거리를 확보하고자 하면, 예를 들면 비교예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 유닛(50)마다 현측 외판(11a)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하여, 그 측판 유닛(50)을 카고 탱크(30A)의 내방으로 후퇴시키는 재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즉, 도 7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라인으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라인으로 재설계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카고 탱크(30A)의 수용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상판부(60) 및 하판부(70)를 카고 탱크(30A)의 내방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카고 탱크(30A)의 수용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P)를 구성하는 만곡 부재(80)에 있어서의 선수미 방향의 단부만의 곡률 반경(R) 및 폭 치수를 크게 하는 것만을 갖고 기준선(S)의 침입을 회피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상판부(60) 및 하판부(70)의 위치를 카고 탱크(30A)의 내방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이로 인하여, 카고 탱크(30A)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요 부분을 초과하여 확경부(82)를 마련한 경우나, 단순히 만곡 부재(80)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곡률 반경(R)을 전역에 걸쳐 크게 한 경우에는, 만곡 부재(80)의 원호상의 대경 부분이 증가하는 분만큼 카고 탱크(30A)의 용적을 불필요하게 침식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 부재(80) 중 현측 외판(11a)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개소는, 확경부(82)의 소경 측에 연속하여 일정한 곡률 반경(R) 및 폭 치수로 신장하는 정경부(81)로 함으로써, 카고 탱크(30A)의 용적의 부주의한 감소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판 유닛(50)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상판부(60) 및 한 쌍의 하판부(70)가 집합하는 부분이 돌출부(P)로서 가장 현측 외판(11a)에 근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돌출부(P)가 만곡 부재(80)의 확경부(82)에서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현측 외판(11a)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측벽(40)과 현측 외판(11a)과의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하면서, 카고 탱크(30A)의 용적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측판 유닛(50)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P)에서의 돌출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당해 돌출부(P)를 형성하는 만곡 부재(80)의 단부를 확경부(82)로 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측판 유닛(50)과 단벽(35)을 서로 접합함으로서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즉, 만곡 부재(80)의 단부가 확경되는 측판 유닛(50)은, 반드시 한 쌍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 그 외, 측판 유닛(50)의 단부가 접합되는 개소이면, 어느 개소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만곡 부재(80)가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을 이루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만곡 부재(80)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양단에 그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는 직선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판부(60) 및 하판부(70)는, 그 직선부에 연속하여 접합된다. 이 경우도, 상판부(60) 및 하판부(70)는, 만곡 부재(80)의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인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그 만곡 부재(80)에 접합되어 있다.
만곡 부재(80)의 연장 방향은, 선수미 방향과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선수미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서로 인접하는 측판 유닛(50)끼리의 접합선도, 상하 방향과 일치할 필요는 없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카고 탱크(30A)의 형상은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선수 측의 카고 탱크(30A)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카고 탱크(30B, 30C)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카고 탱크(30)를, LPG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LNG 등의 다른 액화 가스를 수용해도 되고, 다른 액체를 수용해도 된다. 또, 카고 탱크(30)가 액체 이외의 다른 물자를 수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 선박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측벽과 선체의 현측 외판과의 거리의 요구 값을 충족시키면서 카고 탱크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100 선박
10 선체
11 현측
11a 현측 외판
12 선저
13 상갑판
14 기관실
15 카고 홀드
20 브리지
21 조종실
25 주기
26 스크루
30 카고 탱크
30A 카고 탱크
30B 카고 탱크
30C 카고 탱크
31 상벽
32 판 부재
33 바닥벽
34 판 부재
35 단벽
40 측벽
50 측판 유닛
60 상판부
61 하단
62 평행부
63 후퇴부
70 하판부
71 상단
72 평행부
73 후퇴부
80 만곡 부재
81 정경부
82 확경부
P 돌출부
S 기준선

Claims (5)

  1. 현측 외판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를 갖는 선체와,
    상기 카고 홀드에 수용되어 상기 현측 외판에 대향하는 측벽을 가짐과 함께, 내부에 화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고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은,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방에 배치된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사이에서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카고 탱크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원호상의 접선 방향으로 뻗도록 각각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가 접속되는 만곡 부재를 갖는 측판 유닛을 갖고,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측판 유닛의 상기 선수미 방향의 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원호상의 곡률 반경이 서서히 커지면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에 걸치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확경부를 갖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확경부로부터 상기 단부 측과는 반대 측으로 연속하여 뻗도록 상기 확경부에 접속되고, 상기 원호상의 곡률 반경 및 상기 폭 치수가 일정하게 뻗는 정경부를 갖는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 유닛은 한 쌍이 마련되고,
    이들 측판 유닛은, 상기 카고 탱크의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또한 상기 상판부끼리, 상기 하판부끼리, 및 상기 만곡 부재의 상기 확경부끼리가 접속되도록, 상기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선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 중, 상기 만곡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측판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확경부의 개소가, 상기 현측 외판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선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 부재는, 상기 원호상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양단의 접선 방향으로 뻗는 직선부를 갖고,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는, 각각 상기 직선부를 통하여 상기 만곡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선박.
KR1020197029027A 2017-04-17 2017-08-25 선박 KR102164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1356 2017-04-17
JP2017081356A JP6613497B2 (ja) 2017-04-17 2017-04-17 船舶
PCT/JP2017/030515 WO2018193645A1 (ja) 2017-04-17 2017-08-25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648A KR20190119648A (ko) 2019-10-22
KR102164733B1 true KR102164733B1 (ko) 2020-10-13

Family

ID=6385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027A KR102164733B1 (ko) 2017-04-17 2017-08-25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3497B2 (ko)
KR (1) KR102164733B1 (ko)
CN (1) CN110546062B (ko)
WO (1) WO20181936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588A (ja) * 1982-09-30 1984-04-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カ−
JPS632695U (ko) * 1986-06-24 1988-01-09
JP2579704B2 (ja) * 1991-04-05 1997-02-1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二重容器
US20080099489A1 (en) * 2006-10-26 2008-05-01 Altair Engineering, Inc. Storage tank containment system
NO333077B1 (no) * 2009-10-29 2013-02-25 Aker Engineering & Technology Tank med skrastilte vegger
JP5879082B2 (ja) * 2011-10-05 2016-03-08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CN103129699B (zh) * 2011-11-29 2015-12-16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货舱结构
KR101853506B1 (ko) * 2012-11-15 2018-04-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구조
WO2015068383A1 (ja) * 2013-11-07 2015-05-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とそれを備えた水上構造物
CN106103264A (zh) * 2014-04-09 2016-11-09 株式会社新来岛造船厂 货船
KR102017907B1 (ko) * 2014-06-24 2019-10-2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탱크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3645A1 (ja) 2018-10-25
JP2018177056A (ja) 2018-11-15
CN110546062A (zh) 2019-12-06
JP6613497B2 (ja) 2019-12-04
KR20190119648A (ko) 2019-10-22
CN110546062B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026B2 (ja) 船舶
KR20130018333A (ko) 선박
JP2019188984A (ja) 船舶
WO2014087722A1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WO2019146087A1 (ja) 船舶用のlng燃料モジュールと該lng燃料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船舶
JP6712569B2 (ja) 船舶
JP2007504051A (ja) コンテナ船
KR102164733B1 (ko) 선박
KR20190113567A (ko) 선박
WO2020195340A1 (ja) 船舶
KR20160147870A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KR20210035329A (ko) 선박
KR101784913B1 (ko) 선박의 액체 저장 탱크
JP7442965B2 (ja) 船舶の製造方法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2014101027A (ja) 燃料タンク
JP7357177B1 (ja) 液化ガス燃料用タンクを備えた船舶
KR102469329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00113502A (ko) 선박
JP6578580B2 (ja) 船舶
WO2023199882A1 (ja) 船舶
KR101762816B1 (ko) 액화가스 운반선
JP2022111653A (ja) 船舶
KR101399629B1 (ko) 액상화물 저장탱크
JP6486851B2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