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59B1 - 선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59B1
KR102650259B1 KR1020217010384A KR20217010384A KR102650259B1 KR 102650259 B1 KR102650259 B1 KR 102650259B1 KR 1020217010384 A KR1020217010384 A KR 1020217010384A KR 20217010384 A KR20217010384 A KR 20217010384A KR 102650259 B1 KR102650259 B1 KR 10265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tern
bow
connection
hu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879A (ko
Inventor
히로후미 츠카모토
겐지 츠무라
히로시 다무라
신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의 제조 방법은, 선수미 방향 (Da) 으로 탱크 (3) 가 복수 배열된 선체 (2) 를 갖는 기존 선박 (1) 으로부터, 일부의 탱크 (3) 및, 일부의 탱크 (3) 가 형성되어 있는 선수미 방향 (Da) 의 일부의 선체 (2) 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하는 공정과,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수 (2a)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수측 선체부 (5A) 와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미 (2r)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미측 선체부 (5B) 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선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0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9205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액화 천연 가스 (LNG : Liquefied Natural Gas) 등을 운반하는 선박은, 선체와 복수의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탱크는, 선체의 선수미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각에 LNG 등의 적재물을 수용한다.
이러한 선박은, 예를 들면 20 년 이상과 같은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된다.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선박은, 시대와 함께 대형화가 도모되거나, 추진 기관의 진보에 의해, 항행시의 연료 소비율이 향상되거나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구형의 선박은, 아직 사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가동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노후 탱커나 유휴 탱커를 활용하기 위해 2 척의 탱커를 연결형 운반선 겸 부양식 도크로 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선미부를 절단하여 제거한 일방의 탱커와, 선수부를 절단하여 제거한 타방의 탱커를, 연결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8480호
그런데, LNG 등을 운반하는 선박의 경우, 탱크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부식되기 어려운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 가치가 높다. 그 때문에, 선체나 추진 기관이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선박을 유효 활용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기존 선박을 유효 이용할 수 있는 선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탱크가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된 선체를 갖는 기존 선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탱크 중 일부의 탱크 및, 상기 선체 중 상기 일부의 탱크가 형성되어 있는 선수미 방향의 일부의 선체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를 절제하는 절제 공정과, 상기 선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선체부보다 선수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수측 선체부와, 상기 선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선체부보다 선미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미측 선체부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기존 선박으로부터, 일부의 탱크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를 절제하고,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접합함으로써, 기존 선박보다 선수미 방향 길이가 짧고, 탱크수가 적은 선박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은, 탱크에 수용하는 적재물의 적재량도 적고, 좁은 데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형의 선박에서는 효율이 나쁘거나, 항행하기 어렵거나 하는 항만이나 항로라도, 선박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 선박보다 총 중량이 작아지는 점에서, 항행을 위한 추진 기관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율도 향상된다. 따라서,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기존 선박을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접합 공정에서, 상기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상기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 사이에, 상기 선수측 선체부와 상기 선미측 선체부를 접속하는 접속용 선체부를 추가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접속용 선체부를 개재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의 선체 단면 형상이 크게 상이한 경우 등에, 접속용 선체부에 의해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양호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설치한 접속용 선체부에, 각종 기기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에 관련된 접속용 선체부는,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이 상기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동일 형상인 선수측 접속부와,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이 상기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과 동일 형상인 선미측 접속부와, 상기 선수측 접속부와 상기 선미측 접속부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중간 접속부를 일체로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용 선체부의 선수측 접속부는,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용 선체부의 선미측 접속부는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의 선체 단면 형상이 상이해도, 접속용 선체부에 의해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2 또는 제 3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용 선체부는, 상기 선수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과, 상기 선미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선수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과, 선미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을,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을 개재하여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상기 중간 선체부는,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탱크 중, 선수미 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된 상기 일부의 탱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수부와 선미부에 있어서, 선체 단면 형상이 선수미 방향에서 크게 변화하고, 선수미 방향 중간부에서는, 선체 단면 형상의 변화가 작다. 그 때문에, 선수미 방향 중간부에 배치된 탱크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를 절제함으로써,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의 선체 단면 형상의 차이가 작아진다. 이로써,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기존 선박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선박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기존 선박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박의 중간 선체부를 절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박의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박의 선수측 선체부와 선미측 선체부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선박의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7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제조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의 선박의 제조 방법은, 기존 선박을 이용하여, 선박을 제조한다.
도 1 은, 이 실시형태의 선박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기존 선박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존 선박 (1) 은, 선체 (2) 와, 복수의 탱크 (3) 를 구비한다. 선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현측 (舷側) (2s) 과, 선저 (船底) (2b) 를 갖는다. 선체 (2) 는, 선저 (2b) 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갑판 (2t) 을 구비한다. 선체 (2) 는, 선수미 방향 (Da) 의 선미 (2r) 측에 상부 구조 (2h) 를 갖는다. 선체 (2) 는, 상부 구조 (2h) 보다 선수미 방향 (Da) 의 선수 (2a) 측에 화물 탑재 구획 (홀드) (2k) 을 구비하고 있다.
상갑판 (2t) 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통 (全通) 노출 갑판으로, 화물 탑재 구획 (2k) 의 상방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탱크 (3) 는, 각각 독립 탱크로서, 그 내부에, 적재물인 LNG 등의 액화 가스를 수용한다. 탱크 (3) 는, 저온 분위기에 있어서의 인성이나, 내부식성을 담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3) 는, 선체 (2) 내의 화물 탑재 구획 (2k) 에, 선수미 방향 (Da) 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존 선박 (1) 은, 모스형의 독립 구형 탱크인 5 개의 탱크 (3) 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들 탱크 (3) 의 상부 (3a) 는, 상갑판 (2t) 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박의 중간 선체부를 절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존 선박 (1) 을 이용한 선박의 제조 방법은, 절제 공정 (S1) 과, 접합 공정 (S2) 을 포함한다.
절제 공정 (S1) 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존 선박 (1) 으로부터, 선수미 방향 (Da) 의 중간부인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한다. 여기서, 중간 선체부 (5C) 란, 복수의 탱크 (3) 중 일부의 탱크 (3) 와, 기존 선박 (1) 의 선체 (2) 중, 상기 일부의 탱크 (3) 가 형성되어 있는 선수미 방향 (Da) 의 일부의 선체 (2) 를 포함한 부분이다.
상기 절제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존 선박 (1) 의 선체 (2) 를, 선수 (2a) 측에서부터 선수미 방향 (Da) 으로 소정 치수의 위치 (P1) 와, 선미 (2r) 측에서부터 선수미 방향 (Da) 으로 소정 치수의 위치 (P2) 의 위치에서, 각각 절단한다. 이들 위치 (P1, P2) 는, 선수미 방향 (Da) 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탱크 (3) 끼리의 사이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치 (P1) 와 위치 (P2) 에서 선체 (2) 를 절단함으로써, 기존 선박 (1) 은, 선수미 방향 (Da) 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던 중간 선체부 (5C) 와,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수 (2a)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수측 선체부 (5A) 와,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미 (2r)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미측 선체부 (5B) 로 분단되기 때문에, 중간 선체부 (5C) 만을 제거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선수 (2a) 측에서부터 1 번째의 탱크 (3A) 와 2 번째의 탱크 (3B) 사이에 설정한 위치 (P1) 와, 선수 (2a) 측에서부터 3 번째의 탱크 (3C) 와 4 번째의 탱크 (3D) 사이에 설정한 위치 (P2) 에서, 각각 선체 (2) 를 절단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선체부 (5C) 는, 선수미 방향 (Da) 의 중간부의 일부인 위치 (P1) 와 위치 (P2) 사이의 선체 (2C) 와, 선수 (2a) 측에서부터 2 번째의 탱크 (3B) 와, 3 번째의 탱크 (3C)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중간 선체부 (5C) 는, 복수의 탱크 (3) 중, 선수미 방향 (Da) 의 중간부에 배치된 탱크 (3B, 3C) 를 포함한다.
접합 공정 (S2) 에서는,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을 접합한다.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은, 주로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에 있어서, 선체 (2) 의 절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경우,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의 사이에, 선수미 방향 (Da) 과 교차하는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판 (8) (도 5 참조) 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존 선박 (1) 에 형성되어 있던 매니폴드 (23) 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간 선체부 (5C) 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매니폴드 (23) 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선수측 선체부 (5A) 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카고 펌프 등의 카고 기기 (24) 는, 기존 선박 (1) 의 선미측 선체부 (5B)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의 위치에 형성해 두면 된다.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을 접합한 후,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의 사이에서, 각종 배관, 배선류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선박 (10A) 이 제조된다.
선박 (10A) 은, 기존 선박 (1) (도 1 참조) 보다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가 짧은 선체 (2X)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선박 (10A) 은, 기존 선박 (1) 보다 적은 수의 탱크 (3) 를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선박 (10A) 의 제조 방법에서는, 2 개의 탱크 (3) 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하고,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를 접합하고 있다. 이로써, 기존 선박 (1) 보다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가 짧은 선체 (2X) 와, 기존 선박 (1) 보다 적은 수의 탱크 (3) 를 가진 선박 (10A) 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 (10A) 은, 탱크 (3) 에 수용하는 적재물의 적재량도 적고, 좁은 데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형의 기존 선박 (1) 에서는 효율이 나쁘거나, 항행하기 어려운 항만이나 항로이거나 하는 경우에, 유리해진다. 또한, 선박 (10A) 은, 기존 선박 (1) 보다도 총 중량이 작아지는 점에서, 항행을 위한 추진 기관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율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탱크 (3) 를 구비한 기존 선박 (1) 을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선박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접속용 선체부 (20) 의 구성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선박의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7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존 선박 (1) 을 이용한 선박의 제조 방법은, 절제 공정 (S11) 과, 접속용 선체 삽입 공정 (S12) 과, 접합 공정 (S13) 을 포함한다.
절제 공정 (S11) 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기존 선박 (1) 으로부터,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한다 (도 3 참조).
접속용 선체 삽입 공정 (S12) 에서는,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제된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수 (2a)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중간 선체부 (5C) 보다 선미 (2r) 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사이에, 접속용 선체부 (20) 를 삽입한다.
접속용 선체부 (20) 는, 후술하는 접합 공정 (S13) 에서,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에 각각 접속된다.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수측 접속부 (20a) 와, 선미측 접속부 (20r) 와, 중간 접속부 (20c) 를 일체로 갖는다. 선수미 방향 (Da) 에서 본 선수측 접속부 (20a) 의 단면 윤곽, 바꿔 말하면, 선수측 접속부 (20a) 의 선수미 방향 (Da) 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은,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의 절단면의 윤곽과 동일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선수미 방향 (Da) 에서 본 선미측 접속부 (20r) 의 단면 윤곽, 바꿔 말하면, 선미측 접속부 (20r) 의 선수미 방향 (Da) 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은,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의 절단면의 윤곽과 동일 형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 접속부 (20c) 는, 선수측 접속부 (20a) 와 선미측 접속부 (20r) 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의 사이에서, 선체 (2Y) 의 외면이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 (L) 를, 탱크 (3) 의 1 개분의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보다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선박 (10B) 에 있어서의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현측 (20s) 과, 선저 (20b) 를 갖는다.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저 (20b) 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갑판 (20t) 을 구비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용 선체부 (20) 는, 그 내부에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을 구비한다.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은, 선수측 선체부 (5A) 내에 형성된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6) 과, 선미측 선체부 (5B) 내에 형성된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7) 을 접속한다.
접합 공정 (S13) 에서는,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를 접속용 선체부 (20) 를 개재하여 접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접속용 선체부 (20) 의 선수측 접속부 (20a) 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과 접속용 선체부 (20) 의 선미측 접속부 (20r) 를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접합 공정 (S13) 에서는, 또한, 접속용 선체부 (20) 의 상갑판 (20t) 과, 선수측 선체부 (5A) 및 선미측 선체부 (5B) 의 상갑판 (2t) 을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접합 공정 (S13) 에서는, 또한, 접속용 선체부 (20) 내에서,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에,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6) 과,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7) 을 각각 접속한다.
여기서, 기존 선박 (1) 에 형성되어 있던 매니폴드 (23) 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간 선체부 (5C) 에 형성되어 있던 경우, 접속용 선체부 (20) 에 매니폴드 (23)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선박 (10B) 은, 접속용 선체부 (20) 내에,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한 것으로 인한 선박 (10B) 의 밸런스를 개선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 (25) 등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속용 선체부 (20) 에는, 재가스화 장치나 밸러스트 처리 장치 (모두 도시 생략) 등의 각종 기기, 물품 수용 공간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사이에, 접속용 선체부 (20) 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선박 (10B) 이 제조된다. 접속용 선체부 (20) 를 형성함으로써, 선박 (10B) 의 흘수를 얕게 할 수 있어, 수심이 얕은 LNG 기지에서의 LNG 수송이 대응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선박 (10B) 의 제조 방법에서는, 2 개의 탱크 (3) 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 (5C) 를 절제하고,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사이에 접속용 선체부 (20) 를 추가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기존 선박 (1) 보다도 선수미 방향 (Da) 의 길이가 짧은 선체 (2Y) 와, 수가 적은 탱크 (3) 를 가진 선박 (10B) 을, 기존 선박 (1) 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탱크 (3) 를 구비한 기존 선박 (1) 을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접속용 선체부 (20) 에 의해, 선수측 선체부 (5A) 의 후단 (5r) 과 선미측 선체부 (5B) 의 전단 (5f) 의 선체 단면 형상이 크게 상이한 경우 등에도,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를 접속용 선체부 (20) 를 개재하여 양호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설치한 접속용 선체부에, 각종 기기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용 선체부 (20) 는, 선수측 접속부 (20a) 와 선미측 접속부 (20r)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를 연속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접속용 선체부 (20) 는,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선수측 선체부 (5A) 내에 형성된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6) 과, 선미측 선체부 (5B) 내에 형성된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7) 을,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을 개재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선수측 선체부 (5A) 와 선미측 선체부 (5B) 는, 동일한 기존 선박 (1) 의 일부이기 때문에,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6) 과,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7) 은, 선수미 방향 (Da) 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6) 과,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7) 을,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1) 을 개재하여 특히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기타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선체부 (5C) 는, 선수 (2a) 측에서부터 2 번째의 탱크 (3B) 와, 3 번째의 탱크 (3C) 를 포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 선체부 (5C) 는, 복수의 탱크 (3) 중, 선수미 방향 (Da) 의 중간부에 배치된 탱크 (3)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선수미 방향 (Da) 의 선수측, 선미측의 탱크 (3)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존 선박 (1) 의 탱크 (3) 의 수, 기존 선박 (1) 으로부터 절제하는 탱크 (3) 의 수, 선박 (10A, 10B) 의 탱크 (3) 의 수, 탱크 (3) 의 형상은, 어떠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탱크 (3) 는 LNG 를 수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화 석유 가스 (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 다른 적재물을 수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선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기존 선박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1 : 기존 선박
2 : 선체
2C : 선체
2X : 선체
2Y : 선체
2a : 선수
2b : 선저
2h : 상부 구조
2k : 화물 탑재 구획
2r : 선미
2s : 현측
2t : 상갑판
3, 3A, 3B, 3C, 3D : 탱크
3a : 상부
5A : 선수측 선체부
5B : 선미측 선체부
5C : 중간 선체부
5f : 전단
5r : 후단
6 :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
7 :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
8 : 접속판
10A, 10B : 선박
20 : 접속용 선체부
20a : 선수측 접속부
20r : 선미측 접속부
20c : 중간 접속부
20s : 현측
20b : 선저
20t : 상갑판
21 :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
23 : 매니폴드
24 : 카고 기기
25 : 밸러스트 탱크
Da : 선수미 방향
S1, S11 : 절제 공정
S2, S13 : 접합 공정
S12 : 접속용 선체 삽입 공정

Claims (5)

  1. 복수의 탱크가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된 선체를 갖는 기존 선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탱크 중 일부의 탱크 및, 상기 선체 중 상기 일부의 탱크가 형성되어 있는 선수미 방향의 일부의 선체를 포함하는 중간 선체부를 절제하는 절제 공정과,
    상기 중간 선체부보다 선수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상기 중간 선체부보다 선미측에 배치되어 있던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을 각각 상기 선수측 선체부와 상기 선미측 선체부를 접속하는 접속용 선체부에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선체부는,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이 상기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과 동일 형상인 선수측 접속부와,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선체 단면 형상이 상기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과 동일 형상인 선미측 접속부와,
    상기 선수측 접속부와 상기 선미측 접속부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중간 접속부와,
    상기 선수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과, 상기 선미측 선체부 내에 형성된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을 갖고,
    상기 접속용 선체부의 선수미 방향의 길이는, 상기 탱크의 1 개분의 선수미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접합 공정에서는,
    상기 선수측 접속부와 상기 선수측 선체부의 후단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상기 선미측 접속부와 상기 선미측 선체부의 전단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상기 접속용 선체부에 미리 장착된 상기 접속용 배관 및 접속용 배선에, 상기 선수측 배관 및 선수측 배선과, 상기 선미측 배관 및 선미측 배선을 각각 접속하는, 선박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선체부는,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탱크 중, 선수미 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된 상기 일부의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7010384A 2018-10-10 2019-10-04 선박의 제조 방법 KR102650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2053 2018-10-10
JP2018192053A JP7442965B2 (ja) 2018-10-10 2018-10-10 船舶の製造方法
PCT/JP2019/039292 WO2020075641A1 (ja) 2018-10-10 2019-10-04 船舶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79A KR20210058879A (ko) 2021-05-24
KR102650259B1 true KR102650259B1 (ko) 2024-03-21

Family

ID=701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84A KR102650259B1 (ko) 2018-10-10 2019-10-04 선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42965B2 (ko)
KR (1) KR102650259B1 (ko)
CN (1) CN112805217A (ko)
SG (1) SG11202103580VA (ko)
WO (1) WO2020075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730A (zh) * 2020-09-18 2021-03-30 上海蓝魂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弃船舶改造的lng船舶结构及其改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7915A1 (en) * 2013-01-29 2015-12-2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Lng carrier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087A (en) * 1980-08-19 1982-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Hull's length reduction remodeling method
JPS6018480A (ja) 1983-07-08 1985-01-30 Hitachi Zosen Corp 2隻のタンカを連結型運搬船兼浮ドツクに改造する方法
JPS61146697A (ja) * 1984-12-20 1986-07-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内仕切室
JP5403900B2 (ja) * 2007-11-16 2014-01-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US7823524B2 (en) 2008-02-20 2010-11-02 Single Buoy Moorings, Inc. Construction of FPDSO vessel
JP2010269673A (ja) 2009-05-20 2010-12-02 Uzushio Electric Co Ltd 船舶の配線方法及び接続用スリーブ
JP2012056429A (ja) * 2010-09-08 2012-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化ガス運搬船
JP5737087B2 (ja) 2011-09-05 2015-06-17 富士通株式会社 仮想マシン制御装置,仮想マシ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マシン制御方法
JP6184688B2 (ja) * 2012-12-20 2017-08-23 三井造船株式会社 船形構造物の建造方法
JP6304558B2 (ja) * 2015-02-27 2018-04-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搬船
JP6337213B1 (ja) * 2016-10-24 2018-06-06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浮体式液化炭化水素ガスプラン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7915A1 (en) * 2013-01-29 2015-12-2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Lng carrier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05217A (zh) 2021-05-14
JP7442965B2 (ja) 2024-03-05
SG11202103580VA (en) 2021-05-28
KR20210058879A (ko) 2021-05-24
WO2020075641A1 (ja) 2020-04-16
JP2020059396A (ja)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8606B (zh) 具备液化气体储存设备的浮体构造物及其设计方法
CN105916763B (zh) 破冰船舶
KR100827398B1 (ko) 혼합 형태 화물창을 갖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JP6589210B2 (ja) 燃料タンクのイナーティング方法及び浮体
JP2014500179A (ja) 船舶による液体のコンテナ輸送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193250B2 (ja) 船舶
WO2014168204A1 (ja) Lng船またはlpg船
CN104853982A (zh) 船形构造物的建造方法和船形构造物的设计方法,以及在这些方法中使用的分割构造体和移动构造体
KR102650259B1 (ko) 선박의 제조 방법
CN102145742B (zh) 具有方位角推进装置的船舶结构
KR20210137882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101551791B1 (ko) Lng 연료 선박
KR102299355B1 (ko) Lng 운반선 겸용 저속비대선형 lng fsru
CN109415108A (zh) 具有多个流体输送用储藏罐的船舶
KR20150139886A (ko) Lng 선
JP5863900B2 (ja) 液化ガス輸送船、及び、液化ガス輸送船の設計方法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20230145217A (ko) 기존 선박의 이용 방법
KR102434966B1 (ko) 선박
KR200340531Y1 (ko)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의 저장탱크 구조
KR20200031948A (ko) 저속비대선형 fsru 전용선
WO2020075633A1 (ja) 既存船舶の利用方法、浮体式貯留設備の製造方法、浮体式貯留設備
KR101815313B1 (ko) 선박용 발라스트 탱크 배치구조
CN215399177U (zh) 液化气运输船
KR20130128872A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0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21

Effective date: 2024010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