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50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502A
KR20200113502A KR1020190033755A KR20190033755A KR20200113502A KR 20200113502 A KR20200113502 A KR 20200113502A KR 1020190033755 A KR1020190033755 A KR 1020190033755A KR 20190033755 A KR20190033755 A KR 20190033755A KR 20200113502 A KR20200113502 A KR 2020011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hull
supported
de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934B1 (ko
Inventor
김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63B2701/1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갑판을 지지하며 상기 선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의 격벽에 직접 접하여 지지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추진력을 발생시켜 해상을 항해할 수 있다.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일반적으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전기 또는 가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일 수 있다.
한편, 액화천연가스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선박은 환경오염에 대한 국제 제한 규율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LNG 탱크를 데크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LNG 탱크는 지지수단에 지지되어 데크에 설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756호 (2017.06.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갑판을 지지하며 상기 선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의 격벽에 직접 접하여 지지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탱크는 일측으로 긴 형상을 갖고, 적어도 2개의 격벽에 지지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가 격벽에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복수의 연료 탱크를 구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가 격벽에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100), 격벽(210, 220), 갑판(300) 및 연료 탱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210, 220)은 선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선체(100)의 강성을 보강하고, 갑판(300)을 지지하며 선체(1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 격벽(210, 220)은 선체(100)의 내부 공간을 선수측 공간과 선미측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격벽(210, 220)은 일측면이 선수를 향하고 반대측면이 선미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양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는 선체(100)의 내측면에 밀착하고, 상측 가장자리는 갑판(300)에 밀착할 수 있다.
이하, 선수에서 선미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선체(100)의 양측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격벽(210, 22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격벽(210, 220)이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는 선체(100)를 추진시키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체(100)는 추진을 위한 추진기(미도시)를 포함하는데, 해당 추진기는 연료 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선체(100)를 추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400)에 수용된 연료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일 수 있다. 추진기는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선체(100)를 추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료 탱크(400)에 수용되는 연료가 액화천연가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오일이 연료 탱크(400)에 수용되어 추진기의 추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연료 탱크(400)는 격벽(210)에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210, 2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연료 탱크(400)는 적어도 일부의 격벽(210)에 직접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와 격벽(210)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위하여 갑판(300)에는 관통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연료 탱크(400)의 일부는 갑판(300)의 상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선체(1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선체(100)의 내부에 포함된 연료 탱크(400)의 일부가 격벽(210)에 직접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료 탱크(400)는 일측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격벽(210)에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는 길이 방향이 제3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400)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길이 방향이 제1 방향에 평행한 연료 탱크(4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2개 이상의 격벽(210)이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연료 탱크(40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료 탱크(400)의 측면은 갑판(3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갑판(300)은 연료 탱크(400)를 관통시키는 관통홀(H)을 구비하는데, 관통홀(H)의 측면에 연료 탱크(400)가 지지될 수 있다.
수직 방향 즉, 제3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연료 탱크(400)의 하중이 격벽(2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발생되는 연료 탱크(400)의 움직임이 갑판(30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연료 탱크(40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연료 탱크(400)는 원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400)의 외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연료 탱크(400)를 지지하는 격벽(210)은 연료 탱크(40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 홈(GR)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홈(GR)이 연료 탱크(400)에 접하게 됨에 따라 격벽(210)과 연료 탱크(400)는 충분한 접촉 면적을 갖고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격벽(210)과 연료 탱크(40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가 격벽에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료 탱크(400)는 복수의 격벽(210)에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를 지지하는 격벽(210)의 상측면은 연료 탱크(400)에 접하고, 하측면은 선체(100)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격벽(210)에 작용하는 연료 탱크(400)의 하중은 격벽(210)에서 선체(100)로 전달되어 선체(100)의 다른 부분으로 분배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격벽(210)에 의하여 연료 탱크(400)가 지지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보다 넓은 선체(100)의 범위에 걸쳐 연료 탱크(400)의 하중이 분배될 수 있게 된다.
선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화물창(510, 520)이 구비될 수 있다. 화물창(510, 520)은 인접한 격벽(210, 2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선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화물창(이하, 제1 화물창이라 한다)(510)은 다른 화물창(이하, 제2 화물창이라 한다)(520)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연료 탱크(400)가 갑판(300)의 내부로 관입된 깊이만큼 제1 화물창(510)의 높이가 제2 화물창(520)에 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제1 화물창(510)은 갑판(300)의 내부로 관입된 연료 탱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물창(510)의 용적은 해당 홈에 대응하는 용적만큼만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화물창(510)에 홈이 형성된 경우 연료 탱크(400)는 해당 홈에 밀착하여 제1 화물창(510)에도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복수의 연료 탱크를 구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0)은 복수의 연료 탱크(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탱크(400)는 갑판(3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격벽(210)에 지지될 수 있다.
선체(100)는 선수 및 선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격벽(21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400)는 갑판(3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400)의 크기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격벽(210)에 연료 탱크(400)가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가 격벽에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20)은 선체(600), 격벽(710, 720), 갑판(800) 및 연료 탱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710, 720)은 선체(6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선체(600)의 강성을 보강하고, 갑판(800)을 지지하며 선체(6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료 탱크(900)는 선체(600)를 추진시키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체(600), 격벽(710, 720), 갑판(800) 및 연료 탱크(90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선체(100), 격벽(210, 220), 갑판(300) 및 연료 탱크(40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료 탱크(900)는 격벽(710)에 지지될 수 있다. 선체(6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710, 7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연료 탱크(900)는 적어도 일부의 격벽(710)에 직접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900)와 격벽(710)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위하여 갑판(800)에는 관통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연료 탱크(900)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연료 탱크(900)의 일부는 갑판(800)의 상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선체(6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선체(600)의 내부에 포함된 연료 탱크(900)의 일부가 격벽(710)에 직접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900)는 일측이 평면(910)인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평면(이하, 결합 평면이라 한다)(910)이 격벽(7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료 탱크(900)의 결합 평면(910)이 격벽(710)에 지지됨에 따라 격벽(710)은 전술한 곡면 홈(GR)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연료 탱크(900)를 지지하는 격벽(710)이 곡면 홈(GR)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격벽(710)은 다른 격벽(720)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연료 탱크(900)와 함께 갑판(8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900)의 결합 평면(910)이 격벽(710)에 지지됨에 따라 연료 탱크(900)의 일부가 선체(600)의 내부 공간으로 관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연료 탱크(900)를 지지하는 격벽(710)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의 화물창(1010)도 다른 화물창(1020)과 마찬가지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선박 100, 600: 선체
210, 220, 710, 720: 격벽 300, 800: 갑판
400, 900: 연료 탱크 510, 520, 1010, 1020: 화물창

Claims (2)

  1. 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갑판을 지지하며 상기 선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의 격벽에 직접 접하여 지지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일측으로 긴 형상을 갖고, 적어도 2개의 격벽에 지지되는 선박.
KR1020190033755A 2019-03-25 2019-03-25 선박 KR10257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55A KR102572934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55A KR102572934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02A true KR20200113502A (ko) 2020-10-07
KR102572934B1 KR102572934B1 (ko) 2023-08-30

Family

ID=7288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55A KR102572934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69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력식 해양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20160084199A (ko) * 2015-01-05 2016-07-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101742756B1 (ko) 2015-07-15 2017-06-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Lng탱크용 분리방지 서포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고정형 lng탱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69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력식 해양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20160084199A (ko) * 2015-01-05 2016-07-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101742756B1 (ko) 2015-07-15 2017-06-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Lng탱크용 분리방지 서포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고정형 lng탱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934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US20180281901A1 (en) Marine surface vessel
WO2019146087A1 (ja) 船舶用のlng燃料モジュールと該lng燃料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船舶
JP2019188984A (ja) 船舶
SG173942A1 (en) Marine structure having azimuth propulsion devices
KR102010226B1 (ko) H빔을 이용한 조립식 쌍동선
KR101985451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20200113502A (ko) 선박
CN109070973B (zh) 大型排水型船体船
JP7297690B2 (ja) 船舶
KR102010227B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립식 쌍동선
NO851979L (no) Flerskrog-fartoey.
CN113428293A (zh) 油船船舱布置系统
JP7074276B2 (ja) 船舶
JP7442965B2 (ja) 船舶の製造方法
KR102028832B1 (ko) 선박
JP5190367B2 (ja) 船舶
WO2023199859A1 (ja) 船舶
KR102164733B1 (ko) 선박
US3919960A (en) Converted ship and method of converting
JP2002316688A (ja) 貨物船
WO2023199864A1 (ja) 船舶
JP2005219559A (ja) 貨物船
JP6486851B2 (ja) 船舶
JP2023112446A (ja) 貨物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