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257B1 -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 Google Patents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257B1
KR102164257B1 KR1020190123927A KR20190123927A KR102164257B1 KR 102164257 B1 KR102164257 B1 KR 102164257B1 KR 1020190123927 A KR1020190123927 A KR 1020190123927A KR 20190123927 A KR20190123927 A KR 20190123927A KR 102164257 B1 KR102164257 B1 KR 10216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opening
wet
passage hole
withdraw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수
Original Assignee
노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대수 filed Critical 노대수
Priority to KR102019012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는, 물티슈가 내장되는 용기 본체의 인출구가 형성된 상부면에 결합되며, 인출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 개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힌지홈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티슈를 낱장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물티슈 통과홀이 형성된 인출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티슈 통과홀은 양측에 물티슈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절첩시 내구성 향상을 위해 타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을 반복하는 인출 안내부의 힌지홈에 타공홀을 형성하여 절첩 과정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지지돌기에 형성된 절단공을 통해 다량의 물티슈가 인출되는 경우 지지돌기가 절단되면서 물티슈의 빠짐이 수월하며, 물티슈 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인출 안내부를 부분 절개하여 절개된 양단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효가 있다.

Description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티슈를 낱장씩 인출 가능하도록 한 용기 개폐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 용기는 합성수지 필름지로 제조되어 물티슈를 내장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상부면에 마련된 인출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인출구는 직사각형태로 내장되어 있는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도록 타원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용기 본체에는 물티슈가 서로 한 장씩 포개어진 상태로 내장되어 한 장의 물티슈를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는 경우에는 다음 장의 물티슈가 함께 인출되는 도중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된다.
다시 물티슈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되어 있는 물티슈를 인출하면, 그 다음 장의 물티슈가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에 걸려 다시 정지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물티슈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물티슈 용기에 형성된 인출구에서 물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물티슈 용기는 물티슈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시마다 보호커버를 개방하여 물티슈를 인출하여야 하고, 이와 같은 형태의 사용이 지속되다 보면, 자연스럽게 보호커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물티슈 몸체와 보호커버 사이의 접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가 유입되거나, 접착제층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물티슈 몸체와 보호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티슈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몸체의 원형이 변형되고 특히 인출구 주변이 보호커버와 밀착되지 못하게 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가속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유입된 공기가 물티슈를 건조시켜 물티슈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판매되고 있는 물티슈 용기는 몸체에 마련된 물티슈 인출구 상단에 개폐커버가 일체로 고정설치된 물티슈 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폐커버는 소정의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인데, 몸체에 초음파접착방식 또는 열용착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고정몸체와 연결된 뚜껑 및 고정몸체와 뚜껑에 마련되어 뚜껑을 고정몸체에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물티슈 용기는 몸체에 개폐커버가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서 공기가 유입되어 물티슈가 건조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커버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5110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개구부의 일단에 힌지 기능을 하는 절첩홈에 의해 인출 안내부가 절첩되는데 반복되는 과정에서 절첩홈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5110호(2019.06.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절첩을 반복하는 인출 안내부의 힌지홈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다량의 물티슈 인출시 인출 용이를 위해 지지돌기가 절단되도록 하며, 물티슈 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인출 안내부를 부분 절개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는, 물티슈가 내장되는 용기 본체의 인출구가 형성된 상부면에 결합되며, 인출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 개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힌지홈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티슈를 낱장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물티슈 통과홀이 형성된 인출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티슈 통과홀은 양측에 물티슈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절첩시 내구성 향상을 위해 타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물티슈 통과홀의 양측 중앙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연장부에 다량의 물티슈가 동시에 인출되는 경우 일정 당김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절단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 안내부는 상기 물티슈 통과홀과 이웃한 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을 반복하는 인출 안내부의 힌지홈에 타공홀을 형성하여 절첩 과정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지지돌기에 형성된 절단공을 통해 다량의 물티슈가 인출되는 경우 지지돌기가 절단되면서 물티슈의 빠짐이 수월하며, 물티슈 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인출 안내부를 부분 절개하여 절개된 양단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효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가 개폐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고정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지지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에 절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가 개폐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고정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지지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서 인출 안내부에 절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100)는 물티슈가 내장된 용기 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110)와, 고정 몸체(110)의 후방에 연결되어 고정 몸체(110)의 상부에서 여닫이식으로 작동되는 커버(120), 및 고정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112)에 연결되어 물티슈 통과홀(132)이 형성된 인출 안내부(130)를 포함한다.
고정 몸체(110)는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가 형성된 상부면에 결합되며, 인출구(12)와 연통되도록 사각 형상의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개구부(112)는 물티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0)는 고정 몸체(110)의 후단 중앙부와 인접한 단부 중앙부를 연질의 연결부(122)로 연결하며, 개구부(112)를 개폐하게 된다. 연결부(122)는 커버(120) 및 고정 몸체(1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연결부(122)에는 중앙에 장공 형상인 결합홀(122b)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 몸체(110)의 후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22a)와 결합되면서 커버(120)를 고정 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이렇게, 커버(120)를 고정 몸체(110)에 폐쇄시키면 결합홀(122b)이 결합돌기(122a)에 결합되면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한다.
커버(120)와 고정 몸체(110)를 연결한 연결부(122)의 대향면에는 결속돌기와 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의 일단은 고정 몸체(110)의 일단과 연결부(122)를 통해 연결되고, 커버(120)의 타단은 고정 몸체(110)의 타단과 결속돌기와 결속홈에 의해 결속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인출 안내부(130)는 개구부(112)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힌지 기능을 하는 힌지홈(131)에 의해 회전(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에서 인출된 물티슈가 낱장씩 통과하도록 물티슈 통과홀(132)이 커버(120) 방향인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인출 안내부(130)의 개방 방향은 커버(120)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인출 안내부(130)는 고정 몸체(110) 및 커버(120)와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 안내부(130)는 개구부(112)와 대응되는 사각형 등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120)와 함께 이중으로 밀폐시켜 물티슈의 수분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안내부(130)는 개구부(112)와의 연결 위치가 커버(120)와 고정 몸체(110)와의 연결 위치와 반대로 연결된다. 인출 안내부(130)가 개구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틈 발생을 억제하여 수분 증발을 최소화시킨다.
인출 안내부(130)에는 힌지홈(131)을 중심으로 대향된 위치에 인출 안내부(130)의 회전각도를 제한(예를 들면 90°)할 수 있도록 회전 각도 제한부(131a')가 돌기 형태로 각각 구비된다.
즉, 회전 각도 제한부(131a')는 인출 안내부(130)가 예를 들어 90°정도 회전하게 되면 물티슈 통과홀(132) 방향인 힌지홈(131)의 바깥쪽과, 힌지홈(131)의 안쪽에 각각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어 바깥쪽 부분이 안쪽 부분에 밀착되면서 인출 안내부(13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힌지홈(131)은 인출 안내부(130)의 절첩시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홈으로, 반복 절첩시 부러짐 방지 등과 같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설정 간격마다 타공홀(131a)이 형성된다. 이때, 타공홀(131a)은 원형 또는 장공 형태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물티슈 통과홀(132)은 개구부(112) 폐쇄시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와 약간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물티슈의 인출시 인출 안내부(130)가 원위치에서 회전되면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수월하게 물티슈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더욱이, 물티슈 통과홀(132)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지지돌기(134)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돌기(134)는 인출될 물티슈를 양쪽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물티슈 통과홀(132)의 양측 중앙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4a)와, 연장부(134a)에서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34b)를 포함한다.
이때, 연장부(134a)는 대향면이 곡선의 홈 형태로 대칭 형성되고, 확장부(134b)는 연장부(134a)의 폭보다 넓은 길이를 갖으면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지지돌기(134)가 도 4 기준 "ㅓ" 및 "ㅏ"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티슈에 넓은 면적을 지지하면서 인출 안내부(130)와 연결된 연장부(134a)를 감소시켜 절단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연장부(134a)에는 다량의 물티슈가 동시에 인출되는 경우 일정 당김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절단공(134a')이 형성된다.
연장부(134a)는 확장부(134b) 대비 폭이 좁아 그 부위에 절단공(134a')을 형성하면서 지지돌기(134)의 절단이 가능케 한다.
절단공(134a')은 물티슈가 뭉치 형태로 인출되면 그 상태에서는 물티슈가 안 빠지게 되는데 이 경우 물티슈를 더 당겨 지지돌기(134)가 일정한 힘을 받았을 때 부러지게 한다. 한편, 물티슈가 뭉치 형태로 인출되는 경우는 용기 본체(10) 내부에 소량의 물티슈가 남아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지지돌기(134)가 절단되어도 나머지 물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돌기(134)인 연장부(134a)와 확장부(134b)의 사이 상면에 접힘홈(134c)을 형성하고, 연장부(134a)측 상면에 토션 스프링(S)의 권취부에 결합되는 축 양단이 지지가이드(135)에 의해 고정되며, 토션 스프링(S)의 일단은 연장부(134a)에 지지되고, 타단은 확장부(134b)에 지지된다.
이렇게, 물티슈가 뭉치 형태로 인출되는 경우 물티슈를 더 당겨 확장부(134b)가 일정한 힘을 받으면 절단공(134a') 대신 확장부(134b)가 접힘홈(134c)을 기점으로 회전되면서 접히면서 물티슈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물티슈가 인출 가능하다. 그리고 물티슈 인출 후에는 토션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직립된 확장부(134b)가 원위치도 회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출 안내부(130)는 물티슈 통과홀(132)의 단부 중앙에서부터 힌지홈(131)의 반대측인 단부 중앙까지 절개하는 절개부(131b)가 구비 가능하다. 절개부(131b)는 인출 안내부(130)의 선단 양쪽을 좌우로 탄력성을 갖게 하므로 인출되는 물티슈를 양쪽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100)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기 위해 커버(120)를 고정 몸체(110)에서 개방하면 결속돌기와 결속홈이 분리되며, 커버(120)의 개방 상태에서 인출 안내부(130)의 물티슈 통과홀(132)을 통해 일부 노출된 물티슈를 잡아당기면 인출 안내부(130)가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따라 회전되면서 인출 안내부(130)의 최대 회전 기점까지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에서 물티슈가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 인출 안내부(130)의 절첩 기점이 되는 힌지홈(131)에 설정 간격마다 타공홀(131a)이 형성되므로 응력 집중에 의한 힌지홈(131)의 부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출 안내부(130)의 물티슈 통과홀(132)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기(134)가 후속으로 부분 인출된 물티슈의 단부를 간섭하여 후속의 물티슈가 딸려오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물티슈가 뭉치 형태로 인출되면 그 상태에서는 물티슈가 지지돌기(134)에 걸려 안 빠지게 되는데 이 경우 물티슈를 더 당기면 지지돌기(134)의 절단공(134a')이 파손되면서 확장부(134b) 및 연장부(134a) 일부가 절단된다.
더욱이, 물티슈 통과홀(132)의 단부와 인출 안내부(130)의 변을 잇는 절개부(131b)가 형성되어 물티슈의 인출시 물티슈를 양쪽에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물티슈가 낱장 인출된 후 직립된 인출 안내부(13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에서부터 물티슈 통과홀(132)까지 인출된 물티슈의 일부가 용기 본체(10)의 인출구(12)와 원 위치된 인출 안내부(130)의 사이 공간 내로 들어가도록 하여 물티슈를 뽑은 다음 인출구(12)에서 인출된 후속 물티슈를 인출된 부위만큼 손으로 매번 밀어넣어야 하는 기존 제품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용기 본체 12: 인출구
100: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110: 고정 몸체
112: 개구부 120: 커버
122: 연결부 130: 인출 안내부
131: 힌지홈 131a: 타공홀
131a': 회전 각도 제한부 131b: 절개부
132: 물티슈 통과홀 134: 지지돌기
134a': 절단공

Claims (4)

  1. 물티슈가 내장되는 용기 본체의 인출구가 형성된 상부면에 결합되며, 인출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 개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힌지홈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티슈를 낱장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물티슈 통과홀이 형성된 인출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티슈 통과홀은 양측에 물티슈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절첩시 내구성 향상을 위해 타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물티슈 통과홀의 양측 중앙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연장부에 다량의 물티슈가 동시에 인출되는 경우 일정 당김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절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안내부는 상기 물티슈 통과홀과 이웃한 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20190123927A 2019-10-07 2019-10-07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216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27A KR102164257B1 (ko) 2019-10-07 2019-10-07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27A KR102164257B1 (ko) 2019-10-07 2019-10-07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257B1 true KR102164257B1 (ko) 2020-10-12

Family

ID=7288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927A KR102164257B1 (ko) 2019-10-07 2019-10-07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49B1 (ko) * 2023-03-21 2024-05-03 방승민 티슈 수납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091A (ja) * 1998-05-29 1999-12-14 Pigeon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2008074457A (ja) * 2006-09-22 2008-04-03 Toppan Printing Co Ltd 易着脱及び切断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パッキン
KR20130016886A (ko) * 2011-08-09 2013-02-19 이승현 티슈 용 포장팩
KR20190065110A (ko) 2017-12-01 2019-06-11 김병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091A (ja) * 1998-05-29 1999-12-14 Pigeon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2008074457A (ja) * 2006-09-22 2008-04-03 Toppan Printing Co Ltd 易着脱及び切断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パッキン
KR20130016886A (ko) * 2011-08-09 2013-02-19 이승현 티슈 용 포장팩
KR20190065110A (ko) 2017-12-01 2019-06-11 김병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49B1 (ko) * 2023-03-21 2024-05-03 방승민 티슈 수납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2088B1 (en) Freely openable container
US3982659A (en) Bulk package for substantially wet sheets and dispensing device therefor
JP4229592B2 (ja) テイシュ・ぺーパー箱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JPH0958725A (ja) 蓋装置
US20120103842A1 (en) Cigarette paper pack
JP2005532875A (ja) 縫合糸保持パッケージ
KR102164257B1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2022282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US6619476B2 (en) Needle package
JP3502117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KR20190065110A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JP4921111B2 (ja) 保湿容器
KR20110002426U (ko) 물티슈와 마른티슈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티슈케이스
JPH0814307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JP4847276B2 (ja) 保湿容器
JP2004018010A (ja) 衛生薄葉紙収納箱
JP3967432B2 (ja) 蓋装置
JP4431206B2 (ja) 開閉自在容器
JPH11193044A (ja) 容 器
JP3690549B2 (ja) ロール状シート収納箱
JP3675588B2 (ja) ロール状シート収納箱
JPH11165776A (ja) シート部材取り出し口付き蓋体及びシート部材取り出し口付き蓋体を有する容器
KR102418181B1 (ko) 밀폐유지기능을 갖는 물티슈 포장용기용 덮개구조
JPH08230871A (ja) ペーパーロール用容器及びペーパーロール包装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