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282B1 -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 Google Patents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282B1
KR102022282B1 KR1020190044423A KR20190044423A KR102022282B1 KR 102022282 B1 KR102022282 B1 KR 102022282B1 KR 1020190044423 A KR1020190044423 A KR 1020190044423A KR 20190044423 A KR20190044423 A KR 20190044423A KR 102022282 B1 KR102022282 B1 KR 10202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elastic
wet tissue
elastic piece
tissu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수
Original Assignee
(주)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로우 filed Critical (주)그로우
Priority to KR102019004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는 물티슈 용기에 적용되며 한 번의 누름 동작에 의해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탄성이 유지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5)이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멍이 노출되도록 하며 물티슈 용기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관통홀(15)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뚜껑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와; 상기 뚜껑부(20)가 연결되는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20)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탄성부(40)와, 상기 뚜껑부(20)가 닫힘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뚜껑부(20)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록킹부(50)를 포함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0)는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편(41)과;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아래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편(4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탄성편(41)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탄성편(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티슈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는 물티슈 용기에 적용되며 한 번의 누름 동작에 의해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탄성이 유지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휴지의 일종으로, 제작 과정에서 제품에 수분을 함유시켜 물기를 머금은 축축한 휴지를 의미하며,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닦거나 얼룩을 지우고 먼지를 닦는데 쓰이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되고 있는데, 합성섬유나 비스코스 섬유, 면 섬유, 셀룰로즈 섬유 및 천연 식물성 섬유 등을 얇은 조직화하여 티슈(tissue)로 만들고, 여기에 물을 첨가하고 살균하여 제조하고 있다. 물티슈는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손과 얼굴을 닦을 수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영유아의 기저귀 교체 시 영유아의 피부를 닦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물티슈는 통상적으로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비닐팩과 같은 용기 내에 보관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물티슈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 구멍(1a)이 형성된 컨테이너(1)와; 상기 인출구멍(1a)을 개폐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지(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접착시트지(3)는 반복해서 개폐를 하는 경우 접착력이 약해지면서 인출 구멍(1a)을 제대로 닫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접착시트지를 당겨 개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컨테이너(1)의 상부에 부착하여 인출구멍(1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의 일측을 별도로 개폐하는 뚜껑부(2a)가 구비된 덮개(2)가 더 부착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물티슈 용기에 구비된 덮개는, 뚜껑을 고정하는 록킹부로 인해 한 손으로는 뚜껑을 개방하기 어렵고 양손을 사용해야만 뚜껑을 쉽게 개방할 수 있어, 아이를 안고 있는 상황과 같이 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뚜껑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타입의 물티슈용 덮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실용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반자동 타입의 물티슈용 덮개는 2피스(piece) 타입으로서 베이스부와 커버부가 별개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베이스부와 커버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별개 구조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커버부를 조립해야 함에 따라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물티슈 용기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뚜껑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가공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별도의 조립 공정이 생략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실용화가 용이한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를 개발하여 특허 제10-2017-0054011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특허는, 물티슈 용기의 인출 구멍이 노출되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뚜껑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뚜껑부를 연결하며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뚜껑부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뚜껑부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뚜껑부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연결부 사이가 절개된 후 뚜껑부 방향으로 절곡된 제1탄성편과 상기 연결부 사이의 앞쪽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후 관통홀 방향으로 절곡된 제2탄성편과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향 절곡된 형태의 제3탄성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특허는 물티슈 용기에 적용했을 때 뚜껑을 닫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탄성부를 형성하는 탄성편들의 탄성력이 약해져 버튼을 누르더라도 뚜껑이 열리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물티슈의 인출구가 상부면에 구비된 용기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이 고정몸체에 연결된 뚜껑과, 상기 고정몸체와 뚜껑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물티슈용기 개폐커버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용기몸체와 결합되는 하부면 테두리에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기 개폐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물티슈 포장용기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토출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토출구가 노출되는 관통홀을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닫힘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로킹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부의 결합 해제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관통홀이 노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개방부를 포함하며,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티슈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물티슈 캡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고정몸체, 뚜껑 및 상기 고정몸체와 뚜껑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물티슈 인출구가 마련된 물티슈 용기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착층과,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통공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통공에는 상기 인출구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과인출 방지편을 구비하되, 이 과인출 방지편에는 상기 인출구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부위에 맞닿는 다수의 밀착돌기가 구비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KR 20-2012-0005569 U KR 20-2015-0002211 U KR 10-2016-0137337 A KR 10-1898089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티슈 용기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뚜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한 번의 가공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뚜껑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뚜껑부가 닫힌 상태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탄성부의 탄성이 유지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멍이 노출되도록 하며 물티슈 용기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뚜껑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뚜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뚜껑부가 연결되는 베이스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탄성부와, 상기 뚜껑부가 닫힘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뚜껑부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측에 아래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편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탄성편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상기 제2탄성편은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를 닫았을 때 절곡되어 제2탄성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면에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상기 제1탄성편은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면 형태로 형성된 중심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제1탄성편의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방측과 후방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고 양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가 닫혔을 때 뚜껑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3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베이스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선단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 변형되고 배면에 걸림부가 구비된 누름버튼과, 상기 뚜껑부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와 베이스부 중 어느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 결합되는 돌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가 닫혔을 때 상기 돌기부와 돌기홈이 요철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는, 물티슈 용기에 장착되어 누름버튼을 누를 경우 뚜껑부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베이스부의 관통공을 개방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러 탄성부를 구성하는 제1탄성편과 제2탄성편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뚜껑부를 장시간동안 닫아두더라도 탄성력의 저하가 최소화되어 뚜껑부의 원터치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는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할 뿐 아니라 베이스부와 뚜껑부 및 연결부가 한 번의 성형 작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작 단가가 절감되어 실용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제2탄성편에 노치부가 구비되어 뚜껑부를 닫았을 때 제2탄성편이 노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제2탄성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뚜껑부가 원활하게 개폐되는 효과가 았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제1탄성편이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두꺼워져 가장자리 부분이 탄성 변형되기가 용이해지고 중심부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어 스토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제1탄성편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탄성력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따르면, 제1탄성편의 후방측에 제3탄성편이 더 구비됨에 따라 탄성력이 작용하는 개소가 증가하여 탄성력 저하로 인한 기능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물티슈 용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수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결합 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탄성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탄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2탄성편의 변형전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2탄성편의 변형후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수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탄성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탄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2탄성편의 변형전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2탄성편의 변형후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 연결부(30), 탄성부(40) 및 록킹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 및 연결부(30)는 PP 재질로 형성되고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번의 성형 작업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 연결부(30), 탄성부(40) 및 록킹부(5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물티슈 용기의 상면에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5)이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멍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벽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5)은 도면에 도시된 사각형 형상은 물론, 물티슈 용기의 인출 구멍을 충분히 노출시킬수만 있다면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0)는 베이스부(10)의 후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를 개폐하여 상기 관통홀(15)이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20)의 가장자리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돌기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는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단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의 중앙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의 돌출부(35)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와 베이스부(10) 중 어느 일측에 돌기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돌기부(11)가 삽입 결합되는 돌기홈(31)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0)부가 닫혔을 때 상기 돌기부(11)와 돌기홈(31)이 요철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40)는 뚜껑부(20)가 연결되는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20)의 록킹이 해제될 경우 탄성에 의해 상기 뚜껑부(20)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편(41)과;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아래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편(4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탄성편(41)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탄성편(43); 및 상기 제1탄성편(41)의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방측과 후방측이 상기 베이스부(10)와 이격되고 양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20)가 닫혔을 때 뚜껑부(20)를 탄성 지지하는 제3탄성편(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편(41)은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뚜껑부(20)의 닫힘과 열림이 반복되는 동안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편(41)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중심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기(42)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편(41)에 구비된 돌기(42)는 뚜껑부(20)가 닫혔을 때 상하 양단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뚜껑부(20)가 과다하게 하강하여 상기 제1탄성편(41)의 탄성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편(43)은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20)를 닫았을 때 절곡되어 제2탄성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면에 노치부(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부(20)가 접히지 않은 성형 초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편(43)은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제1탄성편(41)을 탄성 지지하게 되지만, 상기 뚜껑부(20)를 닫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편(43)이 뚜껑부(20)에 의해 상기 노치부(44)를 중심으로 접혀져 제2탄성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탄성편(43)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제1탄성편(41)이 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탄성편(43)이 노치부(44)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에 의해 제2탄성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뚜껑부(20)가 장시간 닫힘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 탄성력이 유지되어 원터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록킹부(50)는 뚜껑부(2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뚜껑부(20)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선단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 변형되고 배면에 걸림부(53)가 구비된 누름버튼(51)과, 상기 뚜껑부(2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51)의 걸림부에(53)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돌기(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3)의 상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52)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53)의 하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52)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51)의 걸림부(53)에 상기 뚜껑부(20)의 록킹돌기(52)가 걸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부(2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51)을 누르게 되면 상기 록킹돌기(52)가 누름버튼(51)의 걸림부(53)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상기 뚜껑부(20)가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관통홀(15)이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는 베이스부에 구비된 누름버튼을 누를 경우 뚜껑부의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뚜껑부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베이스부의 관통홀을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뚜껑부를 누를 경우 뚜껑부의 록킹돌기가 베이스부에 형성된 누름버튼의 걸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뚜껑부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하게 된다.
록킹부(50)에 의해 뚜껑부(20)가 베이스부(10)에 록킹된 상태에서 물티슈를 사용하기 위하여 누름버튼(51)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51)이 일정 정도 회전하면서 뚜껑부(20)의 록킹돌기(52)가 상기 누름버튼(51)의 걸림부(53)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뚜껑부(2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부(20)가 연결부(30) 근처에 형성된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전개된 형태의 제1탄성편(41)이 만곡된 초기 형태로 복원되고, 접혀 있던 제2탄성편(43)이 탄성에 의해 펼쳐지며, 아래로 하강되어 있던 제3탄성편(45)이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됨으로써, 상기 뚜껑부(20)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물티슈가 보관된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멍이 개방되고, 사용자는 물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티슈의 인출이 완료된 후 상기 뚜껑부(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뚜껑부(20)가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을 덮어주고, 상기 뚜껑부(20)의 록킹돌기(52)가 상기 누름버튼(51)의 걸림부(53)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뚜껑부(20)가 열리지 않도록 록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40)의 제1탄성편(41)은 양측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제2탄성편(43)은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접혀진 상태로 탄성 변형되며, 제3탄성편(45)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록킹부(50)에 의한 뚜껑부(20)의 록킹이 해제될 경우 강력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베이스부
11...돌기부
15...관통홀
20...뚜껑부
30...연결부
31...돌기홈
35...돌출부
40...탄성부
41...제1탄성편
42...돌기
43...제2탄성편
44...노치부
45...제3탄성편
50...록킹부
51...누름버튼
52...걸림돌기
53...걸림부

Claims (5)

  1.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5)이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멍이 노출되도록 하며 물티슈 용기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관통홀(15)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뚜껑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와 뚜껑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와; 상기 뚜껑부(20)가 연결되는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20)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탄성부(40)와, 상기 뚜껑부(20)가 닫힘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뚜껑부(20)가 탄성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록킹부(50)를 포함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0)는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편(41)과;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방측에 아래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편(4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탄성편(41)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탄성편(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편(43)은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20)를 닫았을 때 절곡되어 제2탄성부를 형성하도록 내측면에 노치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편(41)은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면 형태로 형성된 중심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기(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0)는 제1탄성편(41)의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방측과 후방측이 상기 베이스부(10)와 이격되고 양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20)가 닫혔을 때 뚜껑부(20)를 탄성 지지하는 제3탄성편(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50)는 베이스부(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선단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 변형되고 배면에 걸림부(53)가 구비된 누름버튼(51)과, 상기 뚜껑부(2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51)의 걸림부에(53)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20190044423A 2019-04-16 2019-04-16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202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23A KR102022282B1 (ko) 2019-04-16 2019-04-16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23A KR102022282B1 (ko) 2019-04-16 2019-04-16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282B1 true KR102022282B1 (ko) 2019-09-18

Family

ID=6807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423A KR102022282B1 (ko) 2019-04-16 2019-04-16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2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12Y1 (ko) * 2019-10-01 2020-02-06 장준호 물티슈 캡
KR102102373B1 (ko) * 2019-12-30 2020-04-20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20210002305U (ko) 2020-04-08 2021-10-18 박태극 개선된 밀폐력을 갖는 물티슈 케이스용 커버
KR102322394B1 (ko) * 2021-02-19 2021-11-0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WO2022177336A1 (ko) * 2021-02-19 2022-08-2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569U (ko) 2011-01-25 2012-08-02 유승태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KR20150002211U (ko) 2013-12-03 2015-06-11 장준호 물티슈 캡
KR200478494Y1 (ko) * 2015-06-23 2015-10-14 박진성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KR20160137337A (ko) 2015-12-31 2016-11-30 유승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1770727B1 (ko) * 2016-12-16 2017-09-05 주식회사 하임 물티슈 용기의 개폐장치
KR101898089B1 (ko) 2017-04-27 2018-09-12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569U (ko) 2011-01-25 2012-08-02 유승태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KR20150002211U (ko) 2013-12-03 2015-06-11 장준호 물티슈 캡
KR200478494Y1 (ko) * 2015-06-23 2015-10-14 박진성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KR20160137337A (ko) 2015-12-31 2016-11-30 유승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1770727B1 (ko) * 2016-12-16 2017-09-05 주식회사 하임 물티슈 용기의 개폐장치
KR101898089B1 (ko) 2017-04-27 2018-09-12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12Y1 (ko) * 2019-10-01 2020-02-06 장준호 물티슈 캡
KR102102373B1 (ko) * 2019-12-30 2020-04-20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20210002305U (ko) 2020-04-08 2021-10-18 박태극 개선된 밀폐력을 갖는 물티슈 케이스용 커버
KR102322394B1 (ko) * 2021-02-19 2021-11-0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WO2022177336A1 (ko) * 2021-02-19 2022-08-2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82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US3972459A (en) Tape dispenser having snap lock core members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KR200477982Y1 (ko) 물티슈 캡
US20060180596A1 (en) Wipe dispensing system
US6942118B2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US20050205593A1 (en) Wipe dispensing system
CN109715524A (zh) 盖机构、包装体及分配容器
KR101898089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CN109715515A (zh) 盖机构、包装体及分配容器
KR102102373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1831794B1 (ko)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JP3502117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US20060027468A1 (en) Sliding cover for moist wipes dispenser
KR20090003714U (ko) 화장품용기의 브러시기구
KR102459342B1 (ko) 물티슈 마름 방지 자동 닫힘 캡
KR102556204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1496838B1 (ko)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KR102013532B1 (ko) 구조 역학적 탄성력을 통한 포장팩 개폐구 자동 개방장치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JP4377461B2 (ja) 開閉自在容器
JP3875376B2 (ja) 蓋装置
KR102418181B1 (ko) 밀폐유지기능을 갖는 물티슈 포장용기용 덮개구조
JPS6030188Y2 (ja) ウエツトペ−パ等の紙収納容器
KR102333154B1 (ko) 덮개부 교체형 물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