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337A -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 Google Patents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337A
KR20160137337A KR1020150191180A KR20150191180A KR20160137337A KR 20160137337 A KR20160137337 A KR 20160137337A KR 1020150191180 A KR1020150191180 A KR 1020150191180A KR 20150191180 A KR20150191180 A KR 20150191180A KR 20160137337 A KR20160137337 A KR 20160137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outlet
opening
lid
fix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태
Original Assignee
유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태 filed Critical 유승태
Priority to KR102015019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337A/ko
Publication of KR2016013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Abstract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가 제공된다. 제공된 개폐커버는 고정몸체, 뚜껑 및 상기 고정몸체와 뚜껑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물티슈 인출구가 마련된 물티슈 용기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착층과,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통공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통공에는 상기 인출구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과인출 방지편을 구비하되, 이 과인출 방지편에는 상기 인출구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부위에 맞닿는 다수의 밀착돌기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된 물티슈를 낱장씩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 용기는 합성수지 필름지로 제조되어 물티슈를 내장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상부면에 마련된 인출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인출구는 직사각형태로 내장되어 있는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도록 타원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용기 본체에는 물티슈가 서로 한 장씩 포개어진 상태로 내장되어 한 장의 물티슈를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는 경우에는 다음 장의 물티슈가 함께 인출되는 도중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된다. 다음으로, 다시 물티슈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출구에 걸려 정지되어 있는 물티슈를 인출하면, 그 다음 장의 물티슈가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에 걸려 다시 정지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물티슈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물티슈 용기에 형성된 인출구에서 물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물티슈는 수분(휘발성 물질을 포함한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 수분이 증발해 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필름, 예컨대 탈착 및 재접착이 가능한 스티커형태의 덮개필름을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물티슈 용기의 인출구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가해 물티슈를 인출할 때, 인출구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필름을 한 손으로 개방한 후 다른 한 손으로 물티슈를 인출할 때, 물티슈 용기에 물티슈가 소량으로 남아 있을 때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물티슈 용기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이러한 물티슈 용기에 형성되는 인출구는 직사각형태로 내장된 물티슈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타원형태로 구성되는데, 물티슈를 인출할 때 인출구가 벌어지게 되므로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75626호(2008년 8월 19일 공개)에서는 물티슈 용기의 용기 뚜껑 부재에 형성된 타원형 개구에 부착되는 가요성 고무 시트에 물결 모양의 인출 슬릿이 형성된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75626호(2008년 8월 19일 공개)에 개시된 물티슈 용기는 고무 시트에 물결 모양은 물론 일자형 또는 십자형 인출 슬릿을 형성하여 고무 시트의 자체 탄성에 의해 인출되는 물티슈에 최대한 밀착되게 함으로써 물티슈의 인출시 물티슈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75626호(2008년 8월 19일 공개)는 물티슈 용기와 재질이 상이한 가요성 고무 시트를 부착해야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고, 단순히 물티슈의 인출시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0-0007208호(2010년 7월 14일 공개)로 선 공개된 '물티슈 용기'에서는 상부면 중앙에 물티슈가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의 외측 테두리 주변에 형성된 보호비닐과, 상기 인출구와 보호비닐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제1금속판으로 구성된 용기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자기력을 갖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뚜껑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부재가 상기 제1금속판이 설치되는 위치의 보호비닐 또는 용기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뚜껑부재에 형성된 자석으로 인하여 금속재로 구성되는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낮으며, 사용이 끝난 물티슈 용기는 몸체와 뚜껑부재가 자석에 의하여 분리가 가능하여 항상 재활용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0-0007208호(2010년 7월 14일 공개)는 용기 몸체 상부에 설치된 금속판에 의하여 물티슈가 소량 남게 되어도 물티슈 용기 몸체가 구겨지거나 접히지 않아 물티슈를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위한 구성요소로써 자력을 얻기 위한 제1금속판과 결합수단을 포함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사용자가 재활용할 때 물티슈용기에서 설치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소정의 점착성을 지닌 접착층을 고정몸체의 하부면에 단순구성하여 물티슈 용기몸체에 탈,부착식으로 접착고정하여 밀폐기능을 수행하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가 제안된 바 있는데, 도 1은 종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200)는 고정몸체(210), 뚜껑(220) 및 상기 고정몸체(210)와 뚜껑(220)의 연결부(도면에 미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210)는 물티슈의 인출구(110)가 마련된 물티슈 용기(100)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착층(도면에 미 도시됨.)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몸체(210)에는 뚜껑(220)의 개방시 상기 인출구(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통공(210a)이 구비된다.
하지만, 도 1의 종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200)는 인출구(110)를 밀폐하여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 인출구(110)에서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현상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물티슈 용기에서 물티슈를 인출할 때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 예컨대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순구조로써 낱장씩 물티슈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티슈 인출구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동시에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가이드)하고, 물티슈를 인출할 때 인출구가 형태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낱장씩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고정몸체, 뚜껑 및 상기 고정몸체와 뚜껑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물티슈 인출구가 마련된 물티슈 용기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착층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통공이 구비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통공에는 상기 인출구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과인출 방지편을 구비하되, 이 과인출 방지편에는 상기 인출구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부위에 맞닿는 다수의 밀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과인출 방지편은 상기 통공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호 대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과인출 방지편 및 제2과인출 방지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는 과인출 방지편이 물티슈 인출구의 일부분을 가려서 인출공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동시에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고, 과인출 방지편의 하부면에 마련된 밀착돌기가 인출구의 테두리부위에 점접촉되어 인출구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순구조로 물티슈의 과인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있어, 과인출 방지편을 설명하기 위한 고정몸체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2a)는 합성수지재를 구성재질로 하는 고정몸체(21)와, 뚜껑(22)과, 연결부(23)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몸체(21)의 통공(211)에 마련되는 과인출 방지편(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커버(2a)를 구성요소인 고정몸체(21)와, 뚜껑(22) 및 연결부(23)는 기존에 제안된 것들의 구성과 상이함이 없다.
즉, 상기 고정몸체(21)는 물티슈 용기(100 : 도 1 참조)에 있어, 인출구(110 : 도 1 참조)가 마련되는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출구(11)와 대응하는 통공(21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통공(211)은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와 대응하는 타원형태로 형성되는데, 인출구(110 : 도 1 참조)를 통해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10 : 도 1 참조)보다 넓게 구성된다.
상기 뚜껑(22)은 유연한 연결부(23)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21)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몸체(21)의 상부에서 여닫이식으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21)와 상기 뚜껑(22)에는 여닫는 작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및 밀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24)가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고정부는 걸림돌기(241) 및 고정구(242)와, 상기 고정몸체(21)에 마련되는 끼움홈(243) 및 상기 뚜껑(22)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상기 끼움홈(243)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끼움돌기(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몸체(21)의 하부면, 즉 상기 물티슈 용기(100)의 상부면과 맞닿게 되는 고정몸체(21)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접착층(도면에 미 도시됨.)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착층은 바람직하게 젤 타입의 우레탄을 적용하여 띠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21)보다 부드러운 연성(軟性)이면서 또한 끈적거리는 점착성(粘着性) 재질이면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몸체(21)의 통공(211)에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기 위한 과인출 방지편(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인출 방지편(25)은 상기 개폐커버(2)를 물티슈 용기의 상부면에 설치할 때,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공(211)의 내면에서 연장형성되는데, 이러한 과인출 방지편(25)은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에서 인출되는 물티슈와 맞닿은 상태에서 물티슈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211)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호 대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과인출 방지편(251) 및 제2과인출 방지편(252)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2a)의 과인출 방지편(25)은 물티슈의 인출구(110 : 도 1 참조)가 위치하는 통공(211)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제1과인출 방지편(251) 및 제2과인출 방지편(252)을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시킴으로써 통공(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즉,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일부를 가려서 상부에서 볼 때 인출구(110 : 도 1 참조)가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함과 동시에 인출구(110 : 도 1 참조)에서 인출되는 물티슈가 제1과인출 방지편(251)과 제2과인출 방지편(252)의 사이에서 안내되며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과인출 방지편(25)은 개폐커버(2a)의 구성재질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함과 아울러 얇은 두께로 상기 통공(211)에서 연장형성함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티슈와의 접촉시 물티슈가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인출되도록 모서리부위를 라운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인출 방지편(25)에는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테두리부위에 맞닿는 다수의 밀착돌기(29)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밀착돌기(29)는 바람직하게, 과인출 방지편(25)을 구성하는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의 하부면 끝단에 다수개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테두리부위에 점(SPOT)접촉될 수 있도록 원뿔형태, 삼각뿔형태, 사각뿔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2a)의 과인출 방지편(25)은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이 물티슈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일부분을 가려서 인출구(110 : 도 1 참조)를 통해 인출되는 물티슈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의 사이로 안내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의 하부면에 마련된 밀착돌기(29)가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테두리부위에 점접촉되어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물티슈의 과인출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인출 방지편(25)은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에 의해 인출구(110 : 도 1 참조)의 외부 노출면적을 줄여서 물티슈가 낱장씩만 인출되도록 한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의 사이로 물티슈가 안내되도록 하고, 여기에 더해 제1, 제2과인출 방지편(251,252)의 하부면에 마련된 밀착돌기(29)는 인출구(110 : 도 1 참조)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여러 장의 물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a : 개폐커버 21 : 고정몸체
22 : 뚜껑 23 : 연결부
24 : 고정부 25 : 과인출 방지편
29 : 밀착돌기 211 : 통공
241 : 걸림돌기 242 : 고정구
243 : 끼움홈 244 : 끼움돌기
251 : 제1과인출 방지편
252 : 제2과인출 방지편
100 : 물티슈 용기
110 : 인출구

Claims (1)

  1. 고정몸체, 뚜껑 및 상기 고정몸체와 뚜껑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물티슈 인출구가 마련된 물티슈 용기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착층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통공이 구비된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통공에는 상기 인출구의 외부 노출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인출되는 물티슈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과인출 방지편을 구비하되, 상기 과인출 방지편은 상기 통공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호 대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과인출 방지편 및 제2과인출 방지편으로 구성되고, 이 과인출 방지편에는 상기 인출구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부위에 맞닿는 다수의 밀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20150191180A 2015-12-31 2015-12-31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20160137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80A KR20160137337A (ko) 2015-12-31 2015-12-31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80A KR20160137337A (ko) 2015-12-31 2015-12-31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87 Division 2015-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337A true KR20160137337A (ko) 2016-11-30

Family

ID=5770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80A KR20160137337A (ko) 2015-12-31 2015-12-31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3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89B1 (ko) 2017-04-27 2018-09-12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2022282B1 (ko) 2019-04-16 2019-09-18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2102373B1 (ko) 2019-12-30 2020-04-20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200491952Y1 (ko) 2019-08-23 2020-07-08 에이제이 주식회사 물티슈 포장팩용 캡
KR20210031106A (ko) * 2019-09-11 2021-03-19 여동수 포장팩 커버 및 그 제조금형
KR20220138668A (ko) 2021-04-06 2022-10-13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89B1 (ko) 2017-04-27 2018-09-12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102022282B1 (ko) 2019-04-16 2019-09-18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200491952Y1 (ko) 2019-08-23 2020-07-08 에이제이 주식회사 물티슈 포장팩용 캡
KR20210031106A (ko) * 2019-09-11 2021-03-19 여동수 포장팩 커버 및 그 제조금형
KR102102373B1 (ko) 2019-12-30 2020-04-20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KR20220138668A (ko) 2021-04-06 2022-10-13 (주)그로우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337A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KR100354923B1 (ko) 패키지와,이패키지에사용하기위한분배장치및가요성주머니
US7416083B2 (en) Container for housing wet sheet package
US5704471A (en) Packet for wet tissue
JP2780931B2 (ja) 包装体
US6786329B2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03602B2 (en) Easy-open encasement
US6206221B1 (en) Covering device
US20050189367A1 (en) Closure unit, mold for producing same, and dispenser-container incorporating a closure unit
KR20170015026A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TW201817656A (zh) 蓋機構、包裝體以及分配容器
TW201817659A (zh) 蓋機構、包裝體以及分配容器
KR200471314Y1 (ko)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JP2013060228A (ja) 包装体及び包装体の開閉蓋
US8701975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 self-attaching container
EP3318506B1 (en) Dispensing container
KR20150070644A (ko) 물티슈 케이스
JPH1024972A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JP3207763U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用の蓋部材
JP2003312757A (ja) 携帯用シート材包装具
KR20190065110A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JP3827813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11568764B2 (en) Resealable reclosure label with integral hinge
GB2105681A (en) Photographic laboratory work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