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83B1 -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83B1
KR102162083B1 KR1020200017068A KR20200017068A KR102162083B1 KR 102162083 B1 KR102162083 B1 KR 102162083B1 KR 1020200017068 A KR1020200017068 A KR 1020200017068A KR 20200017068 A KR20200017068 A KR 20200017068A KR 102162083 B1 KR102162083 B1 KR 10216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opening
closing plate
coupled
ir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해
윤석윤
Original Assignee
이성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해 filed Critical 이성해
Priority to KR102020001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4Magnetic plugs and dipsticks with associated cleaning means, e.g. retractable non-magnetic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분말원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신속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철가루를 쉽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투입관이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전단부에 결합되는 모터베이스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중앙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베어링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전단부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1회전원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타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판과, 상기 모터지지판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축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유닛;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후단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베어링과,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후단부 내측에서 로테이션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원판과, 상기 제2회전원판의 일면에 봉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철가루를 포집하는 마그네틱봉을 포함하는 피동부 유닛;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부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측에 볼베어링이 내장된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에 관통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외측테두리에 고정되어 개폐판을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Magnet Device for removal of iron dust}
본 발명은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분말원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신속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철가루를 쉽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원재료, 기타식품류 등과 같은 가루형태의 원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건조된 원재료를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파쇄 스크류의 사이에 투입한 후, 파쇄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쇄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쇄날과 패쇄날이 건조된 원재료를 부수고 찢어내어 고운 가루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파쇄 스크류를 이용하여 건조된 원재료를 분쇄 시 상기 파쇄 스크류의 파쇄날과 파쇄날이 상호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철가루가 파쇄된 가루형태의 원재료와 함께 배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철가루 등과 같은 금속 이물질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여 원재료에 혼입된 상태로 상품제조시에 제품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분쇄기의 하단 배출구에 마그넷 롤러를 설치하여, 원재료와 함께 배출되는 철가루 등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상기 마그넷 롤러와 접촉하면서 배출시, 철가루가 상기 마그넷 롤러에 달라붙게 되어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는 쇳가루 선별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제10-0698974호에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쇳가루 선별장치의 경우, 분쇄기 배출대에 설치되는 마그넷 롤러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되는 고춧가루와 접촉하면서, 쇳가루가 달라붙도록 하는 것이나, 다량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는 고춧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 마그넷 롤러에 달라붙은 쇳가루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청소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8974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배터리 분말형태의 원재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회전형 마그넷 유닛을 통해 신속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철가루를 쉽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투입관이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전단부에 결합되는 모터베이스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중앙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베어링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전단부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1회전원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타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판과, 상기 모터지지판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축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유닛;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후단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베어링과,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후단부 내측에서 로테이션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원판과, 상기 제2회전원판의 일면에 봉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철가루를 포집하는 마그네틱봉을 포함하는 피동부 유닛;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부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측에 볼베어링이 내장된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에 관통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외측테두리에 고정되어 개폐판을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봉결합수단은 상기 제2회전원판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마그네틱봉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부 유닛은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고정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일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일단부는 상기 개폐판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회전편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는 회전편에 형성된 핀홀에 삽탈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편; 및 상기 개폐판의 양단부 외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일단부는 상기 고정편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편에 구비된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형성된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양단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부 유닛은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결합되어 개폐판을 오픈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마그네틱봉에 포집되어있던 철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받아주는 오물받이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테이션수단은 상기 제1회전원판의 일면에 상하 및 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과, 상기 마그네틱봉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일면에 밀착되는 로테이션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본체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분말형태의 원재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원재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자력으로 포집하는 마그네틱봉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시킴으로써, 본체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어 배출되는 원재료의 흐름성을 향상시켜줌은 물론 마그네틱봉의 외표면에 골고루 철가루가 포집될 수 있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개폐판이 회전고정수단에 의해 회전 및 고정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마그네틱봉에 포집된 철가루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봉이 봉결합수단에 의해 제2회전원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마그네틱봉이 마모되거나 파손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마그네틱봉을 탈리시켜 마그네틱봉에 포집된 철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모터지지판에 구동모터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인 볼트의 외측에 방진고무를 장착시킴으로써, 구동모터 및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켜주어 진동에 의한 구동모터의 충격 및 소음을 최소화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구동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피동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개폐판이 본체하우징에서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개폐판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구동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피동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개폐판이 본체하우징에서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개폐판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분말형태의 원재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신속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철가루를 쉽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10)는 크게 본체하우징(100), 구동부 유닛(200), 피동부 유닛(300) 및 이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투입관(11)이 연결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배출관(12)이 연결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투입구(110)와 배출관(120)은 원형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볼트체결공(130)이 형성된다.
구동부 유닛(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술한 본체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모터베이스판(210)이 구비된다.
또한, 모터베이스판(210)의 중앙에 관통 구비되어 구동모터(270)의 회전축(281)과 커플링(221)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는 구동축(220)이 구비된다.
한편, 커플링(221)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축(22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베어링(230)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제1베어링(230)은 볼베어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베어링(230)은 모터베이스판(210)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 제1베어링하우징(231)의 내측에 내설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제1베어링하우징(231)과 모터베이스판(210)의 사이에는 구동축(220)의 표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밀봉접촉되어 구동축(220)에 대한 긴박력(緊迫力 : straining force)을 유지하는 제1원동립씰(240)이 구비된다. 이때, 제1원동립씰(240)의 외측에는 제1원동립씰(240)을 보호하기 위한 제1원동립씰하우징(241)이 감싸진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구동축(22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100)의 전단부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회전원판(250)이 구비된다.
또한, 모터베이스판(210)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구동모터(270)가 볼트 결합되어 구동모터(270)를 본체하우징(100)상에 지지해주는 모터지지판(260)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모터지지판(26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금속원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지지판(260)의 타단부에 볼트(261)와 너트(262)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술한 구동축(220)과 커플링(221)에 의해 축 연결되는 회전축(271)이 형성되는 구동모터(2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커플링(221)을 통해 축 연결된 구동축(220)을 회전시켜준다.
이때, 결합수단인 볼트(261)의 외측에는 구동모터(27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후술되는 진동발생부(9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켜주는 방진고무(263)가 장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70) 및 진동발생부(90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켜준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 유닛(200)은 구동모터(270)가 작동됨에 따라 커플링(221)를 통해 구동모터(270)의 회전축(271)과 연결된 구동축(220)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축(220)에 결합된 제1회전원판(260)을 회전시킨다.
피동부 유닛(3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체하우징(100)의 개방된 후단부에 고정수단(5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310)이 구비된다.
고정수단(500)은 개폐판(310)의 양단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510)와, 본체하우징(100)의 양단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클램프(520)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클램프(5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토글클램프(toggle-clamp)로 이루어진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510)를 후술되는 회전고정수단(800)의 회전편(820)의 양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클램프(520)도 본체하우징(100)의 양단부 외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개폐판(3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동축(320)이 구비된다.
또한, 피동축(32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베어링(330)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제2베어링(330)은 볼베어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베어링(330)은 개폐판(310)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 제2베어링하우징(331)의 내측에 내설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제2베어링하우징(331)과 개폐판(310)의 사이에는 피동축(320)의 표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밀봉접촉되어 피동축(320)에 대한 긴박력(緊迫力 : straining force)을 유지하는 제2원동립씰(340)이 구비된다. 이때, 제2원동립씰(340)의 외측에는 제2원동립씰(340)을 보호하기 위한 제2원동립씰하우징(341)이 감싸진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피동축(32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100)의 후단부 내측에서 로테이션수단(600)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원판(350)이 구비된다.
이때, 로테이션수단(600)은 제1회전원판(250)의 일면에 상하 및 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610)과, 후술되는 마그네틱봉(36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로테이션블록(610)의 일면에 밀착되는 로테이션캡(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로테이션수단(600)은 구동모터(270)의 구동에 의해 제1회전원판(250)이 회전됨에 따라 로테이션블록(610)에 로테이션캡(620)을 통해 일단부가 밀착된 마그네틱봉(360)을 회전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피동축(320)을 기준으로 제2회전원판(350)이 회전함에 따라 마그네틱봉(360)을 본체하우징(100) 내에서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준다.
또한, 제2회전원판(350)의 일면에 봉결합수단(7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재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자력으로 포집하는 마그네틱봉(360)이 구비된다.
한편, 마그네틱봉(36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봉결합수단(700)은 제2회전원판(350)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볼트부(710)와, 이 볼트부(7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도록 마그네틱봉(36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720)을 포함한다.
즉, 봉결합수단(700)을 통하여 제2회전원판(350)에 마그네틱봉(36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되는 철가루를 제거하기 위해 제2회전원판(350)에서 마그네틱봉(360)을 쉽고 간편하게 탈리시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피동부 유닛(300)은 상술한 개폐판(310)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고정수단(800)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은 회전고정수단(800)은 후술되는 가이드바(420)의 일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일단부는 개폐판(310)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회전편(820)에 힌지(811)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전편(820)에 형성된 핀홀(821)에 삽탈되는 고정핀(812)이 구비되는 고정편(810) 및 개폐판(310)의 양단부 외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일단부는 고정편(810)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811)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고정편(810)에 구비된 고정핀(812)이 삽입되는 핀홀(821)이 형성된 회전편(820)이 포함된다.
즉, 회전고정수단(800)은 개폐판(310)을 본체하우징(100)에서 탈리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된 철가루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피동부 유닛(300)은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개폐판(310)을 오픈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되어있던 철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받아주는 오물받이판(3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오물받이판(370)의 내측에는 철가루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71)가 형성된다.
또한, 피동부 유닛(300)은 본체하우징(10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구비되어 본체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분말형태의 원재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하여 충격을 가하는 진동발생부(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부(900)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에어노커(AIR KNOCKER)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에어노커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동수단(400)은 상술한 본체하우징(10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피동부 유닛(3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이동수단(400)은 본체하우징(100)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측에 볼베어링(411)이 내장된 가이드편(410)과, 상기 가이드편(410)의 내측에 관통된 상태로 일단부가 개폐판(310)의 외측테두리에 고정되어 개폐판(310)을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바(420)의 타단부에는 지속적으로 가이드바(420)가 후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편(410)에 걸리는 걸림부재(421)가 구비된다.
즉, 이동수단(400)은 개폐판(31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여 본체하우징(100)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체하우징(100)의 내부청소 및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된 철가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높여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10)는 본체하우징(100)의 내부에 원재료에 포함된 철가루를 자력으로 포집하는 마그네틱봉(36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시킴으로써, 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투입되어 배출되는 원재료의 흐름성을 향상시켜줌은 물론 마그네틱봉(360)의 외표면에 골고루 철가루가 포집될 수 있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개폐판(310)이 회전고정수단(800)에 의해 회전 및 고정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된 철가루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봉(360)이 봉결합수단(700)에 의해 제2회전원판(3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마그네틱봉(360)이 마모되거나 파손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마그네틱봉(360)을 탈리시켜 마그네틱봉(360)에 포집된 철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모터지지판(260)에 구동모터(27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인 볼트(261)의 외측에 방진고무(263)를 장착시킴으로써, 구동모터(270) 및 진동발생부(9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켜주어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켜준다.
10 :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100 : 본체하우징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130 : 볼트체결공
200 : 구동부 유닛
210 : 모터베이스판 220 : 구동축 230 : 제1베어링
240 : 제1원동립씰 250 : 제1회전원판 260 : 모터지지판
270 : 구동모터
300 : 피동부 유닛
310 : 계폐판 320 : 피동축 330 : 제2베어링
340 : 제2원동립씰 350 : 제2회전원판 360 : 마그네틱봉
370 : 오물받이판
400 : 이동수단
410 : 가이드편 420 : 가이드바
500 : 고정수단
510 : 걸림부 520 : 고정클램프
600 : 로테이션수단
610 : 로테이션블록 620 : 로테이션캡
700 : 봉결합수단
710 : 볼트부 720 : 볼트체결홀
800 : 회전고정수단
810 : 고정편 811 : 힌지 812 : 고정핀
820 : 회전편 821 : 핀홀
900 : 진동발생부

Claims (7)

  1.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는 투입관이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전단부에 결합되는 모터베이스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중앙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베어링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전단부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1회전원판과, 상기 모터베이스판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타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판과, 상기 모터지지판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축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유닛;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후단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베어링과,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어 본체하우징의 후단부 내측에서 로테이션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원판과, 상기 제2회전원판의 일면에 봉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철가루를 포집하는 마그네틱봉을 포함하는 피동부 유닛;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부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측에 볼베어링이 내장된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에 관통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외측테두리에 고정되어 개폐판을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가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션수단은 상기 제1회전원판의 일면에 상하 및 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과, 상기 마그네틱봉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일면에 밀착되는 로테이션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수단은,
    상기 제2회전원판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마그네틱봉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 유닛은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고정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일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일단부는 상기 개폐판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회전편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는 회전편에 형성된 핀홀에 삽탈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편; 및
    상기 개폐판의 양단부 외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일단부는 상기 고정편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편에 구비된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형성된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양단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 유닛은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결합되어 개폐판을 오픈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마그네틱봉에 포집되어있던 철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받아주는 오물받이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본체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분말형태의 원재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KR1020200017068A 2020-02-12 2020-02-12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KR10216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68A KR102162083B1 (ko) 2020-02-12 2020-02-12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68A KR102162083B1 (ko) 2020-02-12 2020-02-12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83B1 true KR102162083B1 (ko) 2020-10-06

Family

ID=7282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068A KR102162083B1 (ko) 2020-02-12 2020-02-12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17B1 (ko) * 2021-02-24 2022-01-10 문경희 회전부재를 구비한 레일구조
KR102348821B1 (ko) * 2021-02-24 2022-01-10 문경희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CN114405668A (zh) * 2021-12-20 2022-04-29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5709130A (zh) * 2022-10-21 2023-02-24 苏州弗莱明磁力技术有限公司 粉体金属分离机及分离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136B1 (ko) * 2005-06-17 2006-09-15 백성훈 이물질선별기
KR100698974B1 (ko) 2005-06-17 2007-03-28 백성훈 고추가루전용 이물고자력선별기
KR101349738B1 (ko) * 2013-03-07 2014-01-09 송진환 마그네틱을 이용한 세퍼레이터 내부에 유입되는 분체 분리장치
KR101570415B1 (ko) * 2014-04-18 2015-11-19 우민기술(주) 원료 이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136B1 (ko) * 2005-06-17 2006-09-15 백성훈 이물질선별기
KR100698974B1 (ko) 2005-06-17 2007-03-28 백성훈 고추가루전용 이물고자력선별기
KR101349738B1 (ko) * 2013-03-07 2014-01-09 송진환 마그네틱을 이용한 세퍼레이터 내부에 유입되는 분체 분리장치
KR101570415B1 (ko) * 2014-04-18 2015-11-19 우민기술(주) 원료 이송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17B1 (ko) * 2021-02-24 2022-01-10 문경희 회전부재를 구비한 레일구조
KR102348821B1 (ko) * 2021-02-24 2022-01-10 문경희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CN114405668A (zh) * 2021-12-20 2022-04-29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4405668B (zh) * 2021-12-20 2024-05-24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5709130A (zh) * 2022-10-21 2023-02-24 苏州弗莱明磁力技术有限公司 粉体金属分离机及分离方法
CN115709130B (zh) * 2022-10-21 2023-11-14 苏州弗莱明磁力技术有限公司 粉体金属分离机及分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083B1 (ko)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US3627212A (en) Hammer hog
JP2011131169A (ja) 粉砕機及び粉砕システム
JP2005505416A (ja) 粉砕機ミル
KR101742551B1 (ko) 고무 사상기
KR101883666B1 (ko) 회전 분쇄 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JP3568882B2 (ja) 破砕機
JP2013071046A (ja) 粉砕機及び粉砕システム
KR100768541B1 (ko) 비누 분쇄기
JPH09150068A (ja) 連続粉砕機の粉体捕集機構
KR100923287B1 (ko) 폐타이어 스크랩에서 고무와 철심을 분리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JP5872242B2 (ja) 粉砕機
JP2004181422A (ja) 破砕装置の供給振動フィーダ用シュータ
JP2898458B2 (ja) 粉砕機の粉砕刃
JP2006320815A (ja) 破砕方法と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一軸式破砕装置
JP2008264750A (ja) 粉粒体分級機
JPH0860579A (ja) リファイナ及びリファイナのディスクの着脱方法
KR100659722B1 (ko)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JP4402476B2 (ja) 粉砕機
CN217910932U (zh) 一种卧式离心机
KR101915674B1 (ko)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CN218962850U (zh) 一种粉碎机
CN220177064U (zh) 一种具有降尘结构的球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