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74B1 -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74B1
KR101915674B1 KR1020170081750A KR20170081750A KR101915674B1 KR 101915674 B1 KR101915674 B1 KR 101915674B1 KR 1020170081750 A KR1020170081750 A KR 1020170081750A KR 20170081750 A KR20170081750 A KR 20170081750A KR 101915674 B1 KR101915674 B1 KR 101915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unit
crushing
bracket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진
강수민
Original Assignee
강석진
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진, 강수민 filed Critical 강석진
Priority to KR102017008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8Ventilating, or influencing air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09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통유닛의 배출부와 대면하는 송풍기하우징의 후방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송풍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팰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미세분쇄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송풍기부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송풍기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미세 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2) 상의 분쇄통지지대(3)에 설치되는 분쇄통유닛(10)과, 프레임(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10) 내측의 분쇄물체를 분쇄하는 분쇄구동부(20)와, 분쇄통유닛(10)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10)에서 분쇄된 분체를 임팰러(34)에 의해 배출하는 송풍기부(30)가 설치된 미세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가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부(30)는 분쇄통유닛(10)의 배출구와 대면하는 후방이나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일측에 토출부(32)가 형성된 송풍기하우징(33)이 설치되며, 송풍기하우징(33)의 전면에는 송풍기브래킷(31)이 설치되고, 송풍기브래킷(31)의 전면에는 모터축(35a)이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35a)에는 임팰러(3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하우징(33) 내측으로 삽입 관통된 모터축(35a)에는 내주연에 암나사부(37b)가 구비되고 외부면에 보스걸림부(37a)가 형성된 임팰러회전체(37)가 고정나사(36)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임팰러회전체(37)의 외부에는 내부에 보스걸림부(37a)에 대응되는 회전체걸림부(34c)가 형성되는 보스부(34a) 외주연에 수개의 임팰러날개(34b)가 설치된 임팰러(34)가 삽입 설치되며, 임팰러회전체(37)의 암나사부(37b)에는 보스부커버부(38a)를 구비한 임팰러볼트(38)가 임팰러(34)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분쇄통유닛(10)은 프레임(2) 상에 설치되는 분쇄통지지대(3)에 송풍기부(30) 쪽의 내경이 작고 분쇄구동부(20) 쪽의 내경이 큰 테이퍼홀(11)을 구비한 배출관(12)이 설치되고, 배출관(12)의 후면에는 내경이 큰 쪽의 테이퍼홀(11) 보다 내경이 크며 내주면에 내면커터부(13)가 구비된 커터하우징(14)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Powdering apparatus in which an blower equipped with an opening is provided}
본 발명은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통유닛의 배출부와 대면하는 송풍기하우징의 후방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송풍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팰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미세분쇄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송풍기부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송풍기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미세 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한약재나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식용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10-2009-0073824호(발명의 명칭 : 입자선별부를 구비한 분쇄기)의 종래발명과, 실용신안등록 제20-0459155호(고안의 명칭 : 분쇄기 분쇄통의 초경바이트 설치구조)의 종래고안을 비롯한 다수의 분쇄장치에 대하여 특허 및 실용신안을 출원한 바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제작하는 분쇄장치는 한약재나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식용물을 분쇄하는 것이므로 위생적이어야 하고, 고가의 한약재를 분쇄하므로 분쇄장치 내에 분쇄된 입자(분체)가 남는 것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생적이면서 잔존입자가 최소화되는 분쇄장치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개발하였는데,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종래발명과 종래고안에서의 분쇄장치의 구조는 분쇄통이 개방되는 구조로 개발하여 분쇄통 내부를 비롯한 커터들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발명과 종래고안에서의 분쇄통을 개방하는 구조는 커터장치가 분쇄통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쇄통만 개방되도록 되어서 육안으로 보아 노출되는 부분만 청소를 할 수 있지만, 커터장치의 뒤쪽은 청소가 어려워 분쇄통 내부의 커터장치 후방측에는 분쇄입자가 남아있게 되는 문제와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분쇄통 내부의 커터장치 후방측에 남아있는 분쇄입자는 그 만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오래시간이 경과하면 그 것이 부패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또 다른 종류의 한약재를 분쇄할 때 먼저 남아있었던 한약재 입자와 섞여서 한약재의 약효를 저하시키는 문제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9-0073824호(발명의 명칭 : 입자선별부를 구비한 분쇄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59155호(고안의 명칭 : 분쇄기 분쇄통의 초경바이트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쇄통유닛의 배출부와 대면하는 송풍기하우징은 후방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송풍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팰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미세분쇄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송풍기부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송풍기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미세 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의 분쇄통지지대에 설치되는 분쇄통유닛과,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 내측의 분쇄물체를 분쇄하는 분쇄구동부와, 분쇄통유닛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에서 분쇄된 분체를 임팰러에 의해 배출하는 송풍기부가 설치된 미세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유닛과 송풍기부가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부는 분쇄통유닛의 배출구와 대면하는 후방이나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일측에 토출부가 형성된 송풍기하우징이 설치되며, 송풍기하우징의 전면에는 송풍기브래킷이 설치되고, 송풍기브래킷의 전면에는 모터축이 송풍기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에는 임팰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하우징 내측으로 삽입 관통된 모터축에는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구비되고 외부면에 보스걸림부가 형성된 임팰러회전체가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임팰러회전체의 외부에는 내부에 보스걸림부에 대응되는 회전체걸림부가 형성되는 보스부 외주연에 수개의 임팰러날개가 설치된 임팰러가 삽입 설치되며, 임팰러회전체의 암나사부에는 보스부커버부를 구비한 임팰러볼트가 임팰러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분쇄통유닛은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분쇄통지지대에 송풍기부 쪽의 내경이 작고 분쇄구동부 쪽의 내경이 큰 테이퍼홀을 구비한 배출관이 설치되고, 배출관의 후면에는 내경이 큰 쪽의 테이퍼홀 보다 내경이 크며 내주면에 내면커터부가 구비된 커터하우징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는, 분쇄통유닛의 배출부와 대면하는 송풍기하우징의 후방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송풍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팰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미세분쇄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송풍기부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송풍기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미세 분체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분쇄구동부가 보이도록 본 발명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분쇄통유닛과 송풍기부가 보이도록 본 발명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가)(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송풍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송풍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나)는 도 7의 (가)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8의 (가)(나)는 이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분쇄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통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쇄물체가 분쇄구동부(20)의 커터유닛(25)에 의해 분쇄되고, 분쇄통유닛(10)의 타측에는 분쇄통유닛(10)에서 분쇄된 분체가 임팰러(34)를 구비한 송풍기부(30)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가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상기 송풍기부(30)는 도 3 및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통유닛(10)의 배출구와 대면하는 후방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며 일측에 토출부(32)가 형성된 송풍기하우징(33)이 설치되며, 송풍기하우징(33)의 전면에는 송풍기브래킷(31)이 설치되고, 송풍기브래킷(31)의 전면에는 모터축(35a)이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35a)에는 임팰러(3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위에서 언급한 분쇄통유닛(10)의 배출구는 배출관(12)의 테이퍼홀(11)의 내경이 작은 쪽을 칭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하우징(33) 내측으로 삽입 관통된 모터축(35a)에는 내주연에 모터축(35a)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암나사부(37b)가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하는 임팰러볼트(38)가 풀리지 않게 하고 외부면에 보스걸림부(37a)가 형성된 임팰러회전체(37)가 고정나사(36)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임팰러회전체(37)의 외부에는 내부에 임팰러회전체(37)의 보스걸림부(37a)에 대응되는 회전체걸림부(34c)가 형성되는 보스부(34a) 외주연에 수개의 임팰러날개(34b)가 설치된 임팰러(34)가 삽입 설치되며, 임팰러회전체(37)의 암나사부(37b)에는 보스부커버부(38a)를 구비한 임팰러볼트(38)가 임팰러(34)의 이탈을 차단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보스걸림부(37a)와 그에 대응되는 회전체걸림부(34c)는 임팰러회전체(37)가 회전할 때, 각각의 걸림부(37a,34c)가 서로 걸려서 공회전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평면이나 키홈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시에는 일예로 키홈형태로 형성되어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빼내면 분리도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통유닛(10)은 프레임(2) 상에 설치되는 분쇄통지지대(3)에 송풍기부(30) 쪽의 내경이 작고 분쇄구동부(20) 쪽의 내경이 큰 테이퍼홀(11)을 구비한 배출관(12)이 설치되고, 배출관(12)의 후면에는 내경이 큰 쪽의 테이퍼홀(11) 보다 내경이 크며 내주면에 내면커터부(13)가 구비된 커터하우징(14)이 설치된다.
이때, 커터하우징(14)은 내면커터부(13)가 내치기어형태로 다수의 커터부가 커터하우징(14)의 내주연에 기어형태로 형성되면서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커터하우징 지지수단에 의해 분리결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터하우징 지지수단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통지지대(3)의 후면 하측에 짧은 관형태로 형성된 커터하우징(14)이 얹히는 커터하우징 설치대(17)가 설치되는데, 이 커터하우징 설치대(17)가 설치되는 위치는 배출관(12)과 커터하우징(14)의 중심선이 일치했을 때 커터하우징(14)의 하부측 외주면과 커터하우징 설치대(17)의 상면이 동일한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봉형으로 형성된 2개의 커터하우징 설치대(17)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였다.
이는 커터하우징 설치대(17)에 커터하우징(14)을 설치했을 때, 배출관(12)과 커터하우징(14)의 중심선이 일치하게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터하우징(14)의 전후방 내주연 전둘레에는 내면커터부(13) 보다 낮게 단턱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2)의 후면에는 외주연이 단턱부(15)에 끼워져 걸리는 면커터부(16)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짧은 관 형태로 형성된 커터하우징(14)을 배출관(12) 후면에 설치할 때, 단턱부(15)를 면커터부(16)에 끼우면 커터하우징(14)의 단턱부(15)가 면커터부(16)의 후면에 간편하게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은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 분쇄구동부(20), 이들 3개의 장치부를 필요에 따라 결합하고, 또 다른 목적에 따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를 칭한 것이다.
상기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의 일실시예는 도 1, 2 및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통지지대(3)의 하단부가 프레임(2) 상에 고정 설치되고, 분쇄통지지대(3)의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가이드바(6)가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양측에는 가이드바(6)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안내구(31a,21a)가 각각 슬라이딩 안내되게 설치되며,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양측에는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잠금 및 해제구(7)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 및 해제구(7)는 분쇄통유닛(10)을 사이에 두고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거나, 또는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틈새 없이 밀착 결합되게 잠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 5는 잠금 및 해제구(7)를 실린더로 도시하였고, 도 4에서는 잠금 및 해제구(7)를 클램프로 도시하였는데, 잠금 및 해제구(7)는 실린더나 클램프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위에서 설명한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의 일실시예는 분쇄통지지대(3) 하나만을 프레임(2) 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구동부(20)가 설치되는 후방측의 프레임(2) 상에 또 다른 후방지지대(4)를 설치한 뒤에, 가이드바(6)의 후방을 지지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미세분쇄장치(1)의 내구성이 증대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의 일실시예는 가운데의 분쇄통유닛(10)이 분쇄통지지대(3)에 의해 프레임(2) 상에 고정되고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분쇄통유닛(1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분리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쇄통유닛(10)에 분쇄통지지대(3)를 설치하고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을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하며, 이들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 그리고 분쇄통지지대(3) 중의 어느 하나를 프레임(2)에 고정 설치한 뒤에,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 그리고 분쇄통지지대(3)의 양측에 가이드바(6)를 관통되게 설치하며,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양측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통유닛(10), 분쇄구동부(20)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잠금 및 해제구(7)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기본 구성이 되는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 분쇄구동부(20)의 구조는 동일하나, 일실시예에서는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을 슬라이드방식으로 분리 결합하도록 했던 것을 이실시예에서는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을 힌지식으로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 분쇄구동부(20)가 분리 결합되는 것이다.
즉, 힌지식으로 분리 결합되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상기 분쇄통지지대(3)의 양측에 힌지대(40)와 잠금몸체(41)가 각각 설치되고,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일측단부는 힌지대(40)의 전후방 단부에 힌지(42)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타측 단부는 잠금몸체(41)의 각각의 단부에 잠금구(43)에 의해 착탈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 이실시예 모두 분쇄구동부(20)에 커터유닛(25)이 설치되고 이 커터유닛(25)이 모터(22)에 의해 구동되며, 송풍기부(30)에 임팰러(34)가 설치되고 그 임팰러(34)가 모터(35)에 의해 구동되는 것, 그리고, 분쇄구동부(20)의 상부에 호퍼(5)가 설치되며 호퍼(5)에 담긴 분쇄물체가 투입구(5a)를 통하여 분쇄통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구성은 공지된 것임에 따라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9"는 밀폐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세분쇄장치(1)를 이용하여 분쇄물체를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설치된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를 분쇄통유닛(10) 측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송풍기부(30)와 분쇄통유닛(10), 분쇄구동부(20) 이렇게 3개의 장치부를 도 3의 (나)와 도 4의 (나)와 같이 닫는다.
위의 3개의 장치부를 닫을 때는 도 1, 2의 경우는 잠금 및 해제구(7)를 실린더로 설치하여 실린더를 닫으면, 송풍기부(30)의 송풍기브래킷(31)과 분쇄구동부(20)의 구동브래킷(21) 사이에 실린더로 된 잠금 및 해제구(7)가 설치되어서 가운데의 분쇄통유닛(10)측으로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양측 가이드바(6)에 안내되면서 닫히게 된다.
상기 잠금 및 해제구(7)를 도 3 및 도 4와 같이 클램프를 설치한 경우에는 클램프의 걸이구(7b) 선단부가 걸림부(7a)에서 걸림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송풍기부(30)는 분쇄통유닛(1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분쇄구동부(20)도 분쇄통유닛(1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가운데의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걸이구(7b) 선단부가 걸림부(7a)에 걸리도록 한 뒤에 레버(7c)를 젖히면, 클램프로 된 잠금 및 해제구(7)가 도 3의 (나)와 도 4의 (나)와 같이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밀착 결합하게 된다.
이때,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임에 따라 송풍기부(30)의 송풍기하우징(33)이 밀착되는데, 배출관(12)과 대면하는 송풍기하우징(33)의 후방은 개방되어서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공간과 배출관(12)의 테이퍼홀(11)이 통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분쇄구동부(20)의 커터유닛(25)은 분쇄통유닛(10)의 커터하우징(14)을 향하고 있으면서 커터유닛(25)을 구성하는 회전커터(26)와 해머커터(27)가 커터하우징(14)의 내부공간과 테이퍼홀(1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전방측으로는 커터유닛(25)이 설치되고 후방측에는 모터(22)가 설치되는 구동브래킷(21)이 커터하우징(14)의 후방을 막아서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공간에서부터 테이퍼홀(11)과 커터하우징(14) 내부가 막힌 공간을 형성하고, 호퍼(5)의 투입구(5a)가 도 3에서와 같이 커터하우징(14)의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호퍼(5)에 담겨진 분쇄물체를 투입구(5a)를 통하여 커터하우징(14)으로 투입시킨 상태에서 분쇄구동부(20)의 모터(22)와 송풍기부(30)의 모터(35)를 구동시키게 되면, 분쇄구동부(20)에 설치된 모터(22)의 회전에 의해 커터유닛(25)이 회전하면서 커터하우징(14)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분쇄물체를 타격하는데, 상기 분쇄물체는 회전커터(26)와 해머커터(27)에 부딪치면서 파쇄되고, 회전커터(26)와 해머커터(27)에 부딪친 분쇄물체는 내치기어형태로 다수의 커터부가 기어형태로 형성된 내면커터부(13)에 부딪치면서 미세하게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와 더불어 커터하우징(14) 내측의 배출관(12) 후면에 환형 면커터부(16)가 구비되어서 커터하우징(14) 내에서 분쇄되는 분쇄물체가 면커터부(16)에도 부딪치면서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가 이루어질 때, 회전커터(26)가 1차적으로 타격하여 분쇄하고, 입자의 크기가 커서 회전커터(26)에 의해 분쇄되지 아니한 입자(작은 덩어리)는 해머커터(27)가 재차 타격하면서 내면커터부(13)에 계속적으로 부딪치게 하여 미세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관(12)의 전방측에 설치된 송풍기부(30)에서는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에서 임팰러(34)가 회전하여서 서로 통하는 분쇄통유닛(10)과 커터하우징(14)의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체를 흡입하여 송풍기하우징(33)의 토출부(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려는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분쇄통유닛(10)의 내부공간에서 분쇄되고 있는 분쇄물체의 분쇄되는 입자가 테이퍼홀(11)과 그에 대응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된 회전커터(26) 사이의 틈새보다 작으면 테이퍼홀(11)을 통하여 송풍기하우징(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나, 테이퍼홀(11)과 회전커터(26)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분쇄입자는 출구측의 내경이 작게 테이퍼진 배출관(12)의 테이퍼홀(11) 내면에 부딪치면서 다시 회전커터(26)측으로 튕겨나와 회전커터(26)가 다시 타격하여 미세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미세하게 분쇄되는 분체는 테이퍼홀(11)과 회전커터(26)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뒤이어 송풍기하우징(33)의 토출부(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분쇄물체에 대한 분쇄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분쇄구동부(20)의 모터(22)와 송풍기부(30)의 모터(35)를 정지시킨 뒤에, 미세분쇄장치(1)의 내부공간을 청소를 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를 결합시켰을 때와 반대로 송풍기부(30)와 분쇄통유닛(10), 그리고 분쇄구동부(20)를 도 3의 (가)와 도 4의 (가)와 같이 개방시키면 가운데의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 그리고 분쇄구동부(20)가 각각 간격을 두고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가운데의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 그리고 분쇄구동부(20)가 각각 간격을 두고 분리되게 되면, 분쇄통유닛(10)의 전후면 전체와 송풍기부(30)의 송풍기하우징(33) 내부, 송풍기하우징(33)에 설치된 임팰러(34), 그리고 분쇄구동부(20)의 커터유닛(25)이 모두 육안으로 보이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송풍기부(30)는 모터(35)의 회전력이 모터축(35a)을 통하여 임팰러회전체(37)를 회전시키는데, 이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팰러회전체(37)가 모터축(35a)에 고정나사(36)로 고정되어 있고 임팰러회전체(37)의 보스걸림부(37a)와 임팰러(34)의 회전체걸림부(34c)가 헛돌지 않는 키홈이나 평면 대응되게 삽입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임팰러(34)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임팰러볼트(38)는 모터축(35a)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암나사부(37b)와 체결되어서 임팰러(34)가 회전할 때 임팰러볼트(38)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임팰러볼트(38)에 플랜지형태로 형성된 보스부커버부(38a)가 임팰러(34)의 보스부(34a) 전면을 커버하여 임팰러(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송풍기부(30)는 송풍기하우징(33)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임팰러볼트(38)만 풀기만하면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에 설치된 임팰러(34) 까지 간편하게 분리되어 분쇄작업을 마친 송풍기부(30)를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분체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8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는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만 구성을 달리 하였으므로 달라진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의 작용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이 힌지식으로 설치된 이실시예는, 힌지대(40)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분쇄구동부(20)와 송풍기부(30)를 힌지식으로 닫으면 각각의 구동브래킷(21,31)이 힌지(42)를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브래킷(21,31)의 자유단부가 잠금몸체(41)의 단부에 각각 접근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구동브래킷(21,31)의 자유단부를 잠금몸체(41)의 단부에서 클램프나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이 되는 잠금구(43)를 잠그면, 분쇄구동부(20)는 커터유닛(25)이 커터하우징(14)측으로 삽입되며 닫히게 되고, 송풍기부(30)에 설치된 송풍기하우징(33)의 개구부는 배출관(12)의 출구측과 연결되며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분쇄통유닛(10)의 양측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닫힌 뒤에는 필요로 하는 분쇄작업을 실행하고, 분쇄작업이 완료되고 미세분쇄장치(1)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유지보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닫을 때와 반대로 잠금구(43)를 해제한 뒤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를 힌지식으로 개방하면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과 송풍기부(30)의 송풍기하우징(33), 분쇄구동부(20)의 커터유닛(25)가 육안으로 볼 수 있게 개방되어 청소나 유지 보수 등의 목적한 바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 : 미세분쇄장치 2 : 프레임 3 : 분쇄통지지대
4 : 후방지지대 5 : 호퍼 6 : 가이드바
7 : 잠금 및 해제구 10 : 분쇄통유닛 11 : 테이퍼홀
12 : 배출관 13 : 내면커터부 14 : 커터하우징
15 : 단턱부 16 : 면커터부 17 : 커터하우징 설치대
20 : 분쇄구동부 21 : 구동브래킷 22 : 모터
23 : 모터축 24 : 축설치대 25 : 커터유닛
26 : 회전커터 27 : 해머커터 30 : 송풍기부
31 : 송풍기브래킷 32 : 토출부 33 : 송풍기하우징
34 : 임팰러 35 : 모터 36 : 고정나사
37 : 임팰러회전체 38 : 임팰러볼트 40 : 힌지대
41 : 잠금몸체 42 : 힌지 43 : 잠금구

Claims (5)

  1. 프레임(2) 상의 분쇄통지지대(3)에 설치되는 분쇄통유닛(10)과, 프레임(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10) 내측의 분쇄물체를 분쇄하는 분쇄구동부(20)와, 분쇄통유닛(10)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분쇄통유닛(10)에서 분쇄된 분체를 임팰러(34)에 의해 배출하는 송풍기부(30)가 설치된 미세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유닛(10)과 송풍기부(30)가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부(30)는 분쇄통유닛(10)의 배출구와 대면하는 후방이나 또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일측에 토출부(32)가 형성된 송풍기하우징(33)이 설치되며, 송풍기하우징(33)의 전면에는 송풍기브래킷(31)이 설치되고, 송풍기브래킷(31)의 전면에는 모터축(35a)이 송풍기하우징(33)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35a)에는 임팰러(3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하우징(33) 내측으로 삽입 관통된 모터축(35a)에는 내주연에 암나사부(37b)가 구비되고 외부면에 보스걸림부(37a)가 형성된 임팰러회전체(37)가 고정나사(36)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임팰러회전체(37)의 외부에는 내부에 보스걸림부(37a)에 대응되는 회전체걸림부(34c)가 형성되는 보스부(34a) 외주연에 수개의 임팰러날개(34b)가 설치된 임팰러(34)가 삽입 설치되며, 임팰러회전체(37)의 암나사부(37b)에는 보스부커버부(38a)를 구비한 임팰러볼트(38)가 임팰러(34)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분쇄통유닛(10)은 프레임(2) 상에 설치되는 분쇄통지지대(3)에 송풍기부(30) 쪽의 내경이 작고 분쇄구동부(20) 쪽의 내경이 큰 테이퍼홀(11)을 구비한 배출관(12)이 설치되고, 배출관(12)의 후면에는 내경이 큰 쪽의 테이퍼홀(11) 보다 내경이 크며 내주면에 내면커터부(13)가 구비된 커터하우징(14)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은,
    상기 분쇄통지지대(3)의 하단부가 프레임(2) 상에 고정 설치되고, 분쇄통지지대(3)의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가이드바(6)가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양측에는 가이드바(6)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안내구(31a,21a)가 각각 슬라이딩 안내되게 설치되며,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양측에는 분쇄통유닛(10)의 전후방에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잠금 및 해제구(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 분리결합수단은,
    상기 분쇄통지지대(3)의 양측에 힌지대(40)와 잠금몸체(41)가 각각 설치되고,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에는 송풍기부(30)와 분쇄구동부(20)가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일측단부는 힌지대(40)의 전후방측 단부에 힌지(42)에 힌지식으로 각각 설치되며, 송풍기브래킷(31)과 구동브래킷(21)의 타측 단부는 잠금몸체(41)의 각각의 단부에 잠금구(43)에 의해 착탈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KR1020170081750A 2017-06-28 2017-06-28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KR101915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50A KR101915674B1 (ko) 2017-06-28 2017-06-28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50A KR101915674B1 (ko) 2017-06-28 2017-06-28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74B1 true KR101915674B1 (ko) 2018-11-08

Family

ID=6432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50A KR101915674B1 (ko) 2017-06-28 2017-06-28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5920U1 (ru) * 2023-11-21 2024-05-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урят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В.Р. Филиппова" Цилиндрический рабочий орган ротора измельчител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5920U1 (ru) * 2023-11-21 2024-05-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урят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В.Р. Филиппова" Цилиндрический рабочий орган ротора измельчител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358B1 (ko) 분쇄기의 망체 설치구조
WO2017049979A1 (zh) 塑料专用粉碎机
KR101971644B1 (ko) 분쇄장치부가 완전 분리되는 미세분쇄장치
KR20190001739A (ko) 전후방이 개방되는 분쇄통유닛이 구비된 미세분쇄장치
KR101915674B1 (ko) 개구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설치되는 미세분쇄장치
EP2065091B1 (de) Materialzerkleinerer
CN214159902U (zh) 一种多级粉碎机
HU214070B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utting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wastes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212764218U (zh) 一种塑料生产用粉碎机
JP2001334158A (ja) 粉砕機
CN210386099U (zh) 一种粉碎和风机同轴的自动粉粹机
JP3443774B2 (ja) クリーンボックス用材料供給装置
JP5872242B2 (ja) 粉砕機
CN216025256U (zh) 一种医用胶囊药粉冲击式粉碎机
CN211678108U (zh) 一种锁紧效果好的万能粉碎机
KR200445378Y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기
JP2005066459A (ja) 粉砕機
JP4402476B2 (ja) 粉砕機
JP2012110808A (ja) 粉砕機
CN211586926U (zh) 一种便于清理的啃齿式慢速破碎机
KR20100080291A (ko) 입자선별부를 구비한 분쇄기
CN212215709U (zh) 一种便于清洗的自清理粉碎机
JP3475395B2 (ja) 粉粒体処理装置
CA2482235A1 (en) Ice-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