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21B1 -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21B1
KR102348821B1 KR1020210024535A KR20210024535A KR102348821B1 KR 102348821 B1 KR102348821 B1 KR 102348821B1 KR 1020210024535 A KR1020210024535 A KR 1020210024535A KR 20210024535 A KR20210024535 A KR 20210024535A KR 102348821 B1 KR102348821 B1 KR 10234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owder
driving force
attachment member
dr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희
Original Assignee
문경희
형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희, 형성산업(주) filed Critical 문경희
Priority to KR102021002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32Magnetic separation acting on the medium containing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e.g. magneto-gravimetric-, magnetohydrostatic-, or magnetohydrodynam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는, 본체부의 일측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해제시키는 클러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가 작동되는 도중에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클러치부재를 통해 봉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속 분말을 걸러내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에 전달 또는 해제시킴으로써 구동부를 정지시키지 않고 금속 분말 부착부재를 인출시켜 금속 분말의 청소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METAL REMOVAL DEVICE OF CLUTCH TYP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본 발명은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치 방식에 의해 구동력을 금속 분말 부착부재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탈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상태의 원료 또는 분말 상태의 원료, 예컨대 규사, 운모 연마석, 도자기 석분, 내화물, 2차 전지 원료 등의 분말 원료에 포함된 철 성분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원료를 얻기 위해 마그네틱 선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각종 화학 및 식료품 원료로부터 철분을 자력으로 분리하는 회전드럼식 선별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급되는 원료에서 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출구 측에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롤러형 선별기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력 선별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87287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자석봉을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회전시키는데 자석봉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87287호(2005.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구동부의 구동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회전 구동력을 봉자석에 전달 또는 전달 해제시킬 수 있게 한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는, 본체부의 일측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해제시키는 클러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감속된 상태로 출력되는 구동축 단부에 다각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갖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다각 형상의 홈 구조를 갖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접속부와 이웃한 단부 외면을 따라 경사진 면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본체부(110)의 일측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축(134)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해제시키는 클러치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부재(140)는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이 감속된 상태로 출력되는 구동축(134) 단부에 다각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갖는 구동력 전달부(142); 및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다각 형상의 홈 구조를 갖는 접속부(14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는 상기 접속부(144)와 이웃한 단부 외면을 따라 경사진 면취면(142a)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이 감속되되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가 상기 접속부(144)에 내부에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의 외주 단면과 대응되는 내주 단면을 갖는 접속홈(144a)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동력 전달 부(142)의 외면을 따라 결속홈(142b)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방사상의 결속부(12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125)는 "ㄱ" 자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접속부(144)에 구비된 접속홈 (144a)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된 홈(1242) 내에 축(1252)에 의해 수직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평부의 안쪽면에 결속돌기(1254)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125)는 상기 축(1252)에 토션스프링의 권취부가 삽입되면서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수직부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홈(1242)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항시 상기 수평부가 상기 접속홈(144a)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가 작동되는 도중에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클러치부재를 통해 봉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속 분말을 걸러내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에 전달 또는 해제시킴으로써 구동부를 정지시키지 않고 금속 분말 부착부재를 인출시켜 금속 분말의 청소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를 전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에서 구동부의 동력을 클러치부재를 통해 금속 분말 부착부재에 해제 및 전달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재의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재에서 결속부가 접속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를 전체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에서 구동부의 동력을 클러치부재를 통해 금속 분말 부착부재에 해제 및 전달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에서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재에서 결속부가 접속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100)는 본체부(110),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 구동부(130) 및 클러치부재(140)를 포함한다. 이때, 철분제거 대상물은 예컨대, 규사, 운모 연마석, 도자기 석분, 내화물, 2차 전지 원료 등의 분말 원료를 포장하기 전에 그 분말 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철 성분의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으로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철분제거 대상물로서 상기와 같은 분말 원료를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철분제거 대상물이 유체 상태의 원료일 수도 있다.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 및 구동부(130)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부에 받침대(112)가 설치되고, 상부에 분말 원료를 공급하도록 공급구가 형성된 원료 공급부(114)가 설치되며, 하부에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금속 분말이 제거된 원료가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배출구(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개구된 전면에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전후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면에 구동부(130)가 설치된다.
더욱이, 본체부(110)는 인출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하측에 청소를 위해 봉자석(126)에서 탈거된 미세 금속 분말을 수집하는 수집부(118)가 위치된다.
한편, 본체부(110)는 양측면에 전방 방향으로 지지대(111)가 출몰 가능하게 연장되어 지지대(111) 사이에 위치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종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원료 공급부(114)를 통해 낙하하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게 한다.
이때,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킬 때는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본체부(110)의 외부에 위치되어 봉자석(126)에 부착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종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는 본체부(110)의 개구된 전면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도어(122)와, 도어(122)의 후방에서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봉자석(126)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전, 후방 지지구(124a, 124b), 및 전, 후방 지지구(124a, 124b)의 사이에 위치되어 통과하는 분말 원료 중에 미세 금속 분말이 고정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봉자석(126)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122)는 전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으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본체부(110)의 개구된 전면을 폐쇄하게 되고,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본체부(110)의 외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본체부(110)의 개구된 전면을 개방하게 된다.
구동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후면에 설치되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더욱이, 구동부(130)는 감속기(132)가 구비되고, 감속기(132)에서 감속된 상태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134)이 횡방향으로 구비된다.
클러치부재(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의 구동축(134) 단부와, 이와 이웃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구동축(134)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해제시키며, 구동력 전달부(142) 및 접속부(144)를 포함한다.
구동력 전달부(142)는 감속기(132)에 의해 감속비로 구동되는 구동축(134)의 단부에 구비되며, 다각 형상의 돌기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구동력 전달부(142)는 접속부(144)와 이웃한 선단 외면을 따라 각진 부위가 없도록 경사진 면취면(142a)이 형성된다. 즉, 접속부(144)의 후진시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형성된 각진 부위가 구동력 전달부(142)의 각진 부위에 먼저 닿지 않고 먼저 면취면(142a)에 점차 많이 닿게 하면서 구동력 전달부(142)의 각진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접속부(144)는 후방 지지구(124b)의 후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구동력 전달부(142)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다각 형상의 홈 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구동력 전달부(142)는 육각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되고, 접속부(144)는 육각형의 홈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재는 구동력 전달부(142)의 외면을 따라 결속홈(142b)이 형성되고,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방사상의 결속부(12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속부(125)는 "ㄱ" 자로 절곡 형성되되,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된 홈(1242) 내에 축(1252)에 의해 수직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평부의 안쪽면에 결속돌기(1254)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속부(125)는 축(1252)에 토션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의 권취부가 삽입되면서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는 수직부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의 타단부는 홈(1242)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항시 수평부가 접속홈(144a)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접속부(144)가 구동력 전달부(142)에 결합하기 위해 후진하게 되면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결속부(125) 중 경사진 수평부가 구동력 전달부(142)의 면취면(142a)에 의해 점차 접속홈(144a)과 평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수평부에 구비된 결속돌기(1254)가 구동력 전달부(142)의 결속홈(1426)에 걸려 접속부(14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접속부(144)가 구동력 전달부(142)에서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당겨 전진시키면,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이 구동력 전달부(142)에서 이격되고, 결속부(125) 중 접속홈(144a)과 평행한 상태로 회전된 수평부가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지게 회전되면서 결속돌기(1254)가 구동력 전달부(142)의 결속홈(1426)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료 공급부(114)를 통해 분말 원료가 공급되고, 구동부(130)가 구동되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연동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분말 원료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이 자력에 의해 봉자석(126)에 부착된다.
이때,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봉자석(126)의 자력에 의해 봉자석(126)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한 금속 분말을 청소하기 위해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작업자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구동축(134)의 단부에 구비된 구동력 전달부(142)에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후방 지지구(124b) 후면에 구비된 접속부(144)가 분리되고, 본체부(1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지지대(111)에 의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인출된다.
이때, 구동부(130)는 작동이 중지된 상태가 아닌 작동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지지대(111)의 연결 기점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종방향으로 위치되게 한 후 봉자석(126)의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 금속 분말을 금속 분말 탈거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훑으면서 이탈시키고, 봉자석(126)의 표면에서 이탈된 미세 금속 분말은 낙하하여 하측의 수집부(118) 내에 수집된다.
다음으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후방 지지구(124b) 후면에 구비된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이 회동되고 있는 구동력 전달부(142)에 결합되면서 구동부(130)의 구동력이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에 전달되므로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가 회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110: 본체부 120: 금속 분말 부착부재
126: 봉자석 130: 구동부
140: 클러치부재 142: 구동력 전달부
144: 접속부

Claims (3)

  1. 본체부(110)의 일측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말 원료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금속 분말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축(134) 단부와 이와 이웃한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해제시키는 클러치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부재(140)는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이 감속된 상태로 출력되는 구동축(134) 단부에 다각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갖는 구동력 전달부(142); 및
    상기 금속 분말 부착부재(1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다각 형상의 홈 구조를 갖는 접속부(14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는 상기 접속부(144)와 이웃한 단부 외면을 따라 경사진 면취면(142a)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이 감속되되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가 상기 접속부(144)에 내부에 상기 구동력 전달부(142)의 외주 단면과 대응되는 내주 단면을 갖는 접속홈(144a)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동력 전달 부(142)의 외면을 따라 결속홈(142b)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144)의 접속홈(144a)에 방사상의 결속부(12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125)는 "ㄱ" 자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접속부(144)에 구비된 접속홈 (144a)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된 홈(1242) 내에 축(1252)에 의해 수직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평부의 안쪽면에 결속돌기(1254)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125)는 상기 축(1252)에 토션스프링의 권취부가 삽입되면서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수직부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홈(1242)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항시 상기 수평부가 상기 접속홈(144a)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24535A 2021-02-24 2021-02-24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KR10234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35A KR102348821B1 (ko) 2021-02-24 2021-02-24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35A KR102348821B1 (ko) 2021-02-24 2021-02-24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21B1 true KR102348821B1 (ko) 2022-01-10

Family

ID=7934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35A KR102348821B1 (ko) 2021-02-24 2021-02-24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87B1 (ko) 2000-06-21 2003-06-18 윤충배 구이장치와 그 방법
US20060016732A1 (en) * 2004-07-16 2006-01-26 Matthias Franzreb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
KR102029618B1 (ko) * 2019-03-12 2019-10-08 (주)아이에이치피엠 커플링
KR102162083B1 (ko) * 2020-02-12 2020-10-06 이성해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87B1 (ko) 2000-06-21 2003-06-18 윤충배 구이장치와 그 방법
US20060016732A1 (en) * 2004-07-16 2006-01-26 Matthias Franzreb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
KR102029618B1 (ko) * 2019-03-12 2019-10-08 (주)아이에이치피엠 커플링
KR102162083B1 (ko) * 2020-02-12 2020-10-06 이성해 배터리 분말재료 철가루제거용 회전형 마그넷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805B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철분제거 장치
CN110944556B (zh) 灰尘分离装置
CN107326884B (zh) 一种打捞方便的河道清洁设备
JP5756294B2 (ja) 手押し床面掃除機
KR102348821B1 (ko) 클러치 방식 동력전달 구조의 탈철장치
CN109349965A (zh) 一种方便收集垃圾的扫地机器人
CN109865567A (zh) 一种土壤样品快速研磨机
CN202675919U (zh) 竖罐清渣器
CN110292992A (zh) 一种回收集磁性渣料的除渣机
CN114013864B (zh) 一种自动换袋垃圾桶
CN213506799U (zh) 一种油茶籽油过滤分离纯化装置
TWI330071B (en) Platform for replacing battery and dust-collecting box of a cleaning robot
CN209565937U (zh) 一种磨砂机的除尘装置
CN212070685U (zh) 一种适用于多连杆伺服压力机微调丝杠的研磨工装
KR102282402B1 (ko) 탈철장치
KR20220161961A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철분제거 장치
CN111087118A (zh) 一种含金属杂质的工业废水处理设备
CN215387993U (zh) 一种食用油全自动清渣结构
JP2007054550A (ja) 電気掃除機
CN218932669U (zh) 基于超纤革绒面生产的除尘装置
CN216472139U (zh) 一种自动灌装压盖机
CN213555854U (zh) 一种布袋除尘清理装置
CN209903922U (zh) 轴承式牵引旋转多层共挤吹膜机
CN112718590B (zh) 一种工业用pvc颗粒表面清洁设备
CN212944228U (zh) 一种选矿用的除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