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33B1 -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 Google Patents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33B1
KR102161133B1 KR1020190048037A KR20190048037A KR102161133B1 KR 102161133 B1 KR102161133 B1 KR 102161133B1 KR 1020190048037 A KR1020190048037 A KR 1020190048037A KR 20190048037 A KR20190048037 A KR 20190048037A KR 102161133 B1 KR102161133 B1 KR 10216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ot
conveyor
cook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길영
Original Assignee
조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영 filed Critical 조길영
Priority to KR102019004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솥세척단계(S10), 밥물투입단계(S30), 침지단계(S40), 가열단계(S50), 뜸들임단계(S60), 빈솥이동단계(S80)가 자동으로 순환됨으로써 취반공정의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다량의 미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는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솥 및 뚜껑을 솥세정기로 세척하는 솥세척단계(S10); 쌀저장탱크로부터 쌀을 생쌀계량기를 통해 계량하여 개별쌀세척기로 투입하여 세미하고 세미된 쌀에 20 내지 30℃의 온도 범위를 갖는 밥물을 기설정된 양만큼 투입하는 밥물투입단계(S30); 상기 세미한 쌀과 밥물이 담긴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 층 말단에는 층간에 솥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된 제1 컨베이어로 자동 이동되고, 이동된 솥이 제1 컨베이어를 한 번 순환하는 동안 60내지 80분이 소요되도록 제1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여 쌀을 불리는 침지단계(S40); 상기 침지시간이 경과한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로가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개별 취반기로 이동되고, 상기 개별취반기로 이동된 솥을 10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솥이 장착된 화로에만 선별적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S50); 상기 가열된 혼합물이 담긴 솥을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컨베이어에 20내지 40분간 머무르도록 하는 뜸들임단계(S60); 취반이 완료된 솥과 밥을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하고, 미반을 덜어낸 솥을 다시 취반단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솥 세정기로 이동시키는 빈솥이동단계(S80); 및 상기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된 미반을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펼치는 미반풀기단계(S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지단계(S40)는 각 솥마다 개별적으로 기설정된 배합에 따라 조미료의 양을 계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상기 밥물에 투입하는 조미료공급단계(S41); 및 쌀, 밥물 및 조미료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단계(S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Fully automatic rota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and cooked rice by this}
본 발명은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솥세척단계, 밥물투입단계, 침지단계, 가열단계, 뜸들임단계, 빈솥이동단계가 자동으로 순환됨으로써 취반공정의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다량의 미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는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주식인 쌀은 취반하기 전에는 수분의 함량이 적어 취식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적당량의 물을 쌀에 흡수시키고 가열하는 방법인 취반 단계를 거쳐 쌀의 전분을 호화시키고 쌀의 조직을 적당하게 연화시켜 씹고 소화시키기에 용이한 상태로 만든 후 취식하게 된다.
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편의점업, 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쌀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음식들을 개발, 출시하고 있고 수요 또한 많은 실정이다. 그런데 쌀은 취반시 넣는 물의 양과 첨가되는 조미료의 종류와 양, 가열 시간 등에 따라 점도, 맛, 식감 등이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쌀을 이용한 음식의 완성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량의 미반을 균일한 품질로 제조하기 위한 설비 체계가 중요시되고 있음과 아울러 이용 목적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미반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자동화 취반 공정에서 다량의 취반을 위해 취반이 완료된 솥은 세척 이후 재취반에 이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미반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쌀, 조미료 등의 투입량과 불림시간, 가열시간, 온도 등을 개별적으로 조작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자동화 취반 공정에서 복수개의 솥을 이용하여 취반 공정을 진행하는 도중 가열수단에 고장이 생긴 경우 전공정을 정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최적의 조리 시간을 제어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시간·비용의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 또한, 소수의 솥을 이용하여 취반을 하는 경우에도 가열수단 전부를 이용해야 한다면 에너지절약의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해결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21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6331호
본 발명은 상기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동화 로테이션 공정을 통해 다량의 밥을 취반함을 도모하면서 취반 과정을 개별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에 부합하는 미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가열단계에서 각 화로를 개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전체 취반 공정의 중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솥 및 뚜껑을 솥세정기로 세척하는 솥세척단계(S10); 쌀저장탱크로부터 쌀을 생쌀계량기를 통해 계량하여 개별쌀세척기로 투입하여 세미하고 세미된 쌀에 20 내지 30℃의 온도 범위를 갖는 밥물을 기설정된 양만큼 투입하는 밥물투입단계(S30); 상기 세미한 쌀과 밥물이 담긴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 층 말단에는 층간에 솥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된 제1 컨베이어로 자동 이동되고, 이동된 솥이 제1 컨베이어를 한 번 순환하는 동안 60내지 80분이 소요되도록 제1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여 쌀을 불리는 침지단계(S40); 상기 침지시간이 경과한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로가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개별 취반기로 이동되고, 상기 개별취반기로 이동된 솥을 10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솥이 장착된 화로에만 선별적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S50); 상기 가열된 혼합물이 담긴 솥을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컨베이어에 20내지 40분간 머무르도록 하는 뜸들임단계(S60); 취반이 완료된 솥과 밥을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하고, 미반을 덜어낸 솥을 다시 취반단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솥 세정기로 이동시키는 빈솥이동단계(S80); 및 상기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된 미반을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펼치는 미반풀기단계(S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지단계(S40)는 각 솥마다 개별적으로 기설정된 배합에 따라 조미료의 양을 계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상기 밥물에 투입하는 조미료공급단계(S41); 및 쌀, 밥물 및 조미료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단계(S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별쌀세척기는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세척부; 및 길이방향으로 쌀을 이동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스크류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지단계(S40)는 기설정된 중량에 미달되는 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제1 컨베이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뜸들임단계(S60) 이후 기설정된 식초의 양을 계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제조된 미반에 첨가하는 식초분사단계(S61); 를 포함하고, 상기 식초의 양은 중량계량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에 더하여, 상기 풀기단계(S71) 이후 상기 펼쳐진 미반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열단계(S72); 가 수반되고, 상기 조열단계(S72)는 별도로 구비된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별도의 온도측정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온도와 현재 미반의 온도를 비교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밥은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순환시킴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미반을 대량생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단계를 별도로 설정·조작함으로써, 다양한 미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솥을 복수의 화로를 구비한 개별 취반기를 통해 개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일부의 화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공정을 중지할 필요가 없고, 필요한 개수의 화로만을 이용하여 취반의 효율을 도모함과 동시에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의 설비라인을 도시한 흐름도.
발명자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적절한 용어나 단어를 선택하거나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하여 해석할 것이 아니라, 발명자의 의도를 참작하여 발명에서 구현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하 상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요소 및 균등범위에 해당하는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단계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되는 과정은 별도의 구비된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언급이 없는 경우에도 별도로 구비된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단계가 진행되도록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각 단계는 반드시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부가 가능한 단계가 추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의 설비라인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솥세척단계(S10); 세미단계(S20); 밥물투입단계(S30); 침지단계(S40); 가열단계(S50); 뜸들임단계(S60); 제조된 미반을 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70); 및 빈솥이동단계(S80); 로 이루어진다.
상기 솥세척단계(S10)에서는 취반하기 전 솥 및 뚜껑에 잔류하는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수반된다. 고중량의 다수의 솥을 인력으로 세척하기에는 시간,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다수의 솥은 별도로 구비된 솥세정기를 통해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솥세정기에는 물, 세제 등을 분사하는 노즐과 솥 내부 및 뚜껑을 문지르는 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분사과정과 문지르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순환되는 구조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동력이 절감되고, 기계 자동식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솥과 뚜껑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솥세정기를 통한 세척과정은 중력을 이용하여 세척에 이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솥을 반전시키는 솥반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솥반전단계는 솥반전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실시례로서 상기 솥반전기는 솥의 날개 또는 솥의 일부분을 집게형의 암으로 고정하여 반전하는 방식, 또는 컨베이어의 높이나 턱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반전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솥반전기는 종래 기술에 따라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솥세척단계(S10)는 재취반에 제공되어야 하는 솥은 자동으로 다시 밥물투입단계(S30)로 이동되고, 나머지 솥은 별도로 구비된 솥보관장소로 이동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취반에 사용될 솥에 번호를 부여하거나, 전체 취반공정에 사용될 솥의 수량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취반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솥이 세척되는 라인과 같은 라인에서 진행되거나 필요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 라인에서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취반에 제공되는 솥의 수량과 대응하는 수량만큼의 뚜껑이 세척 후 다시 상기 밥물투입단계(S30)로 제공되고, 나머지 뚜껑은 별도로 구비된 뚜껑보관장소로 이동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쌀저장탱크에 쌀을 적재하는 과정에 있어서 쌀이 아닌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로서 쌀 알갱이에 비해 직경이 큰 이물질은 그물모양의 체를 통해 제거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바람생성장치로부터 바람을 불어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솥세척단계(S10)와는 별도로 쌀투입단계(S11)가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쌀투입단계(S11)에서는 쌀저장탱크로부터 취반에 사용될 쌀이 개별쌀세척기로 투입된다.
상기 쌀저장탱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쌀 세척기에 정량의 쌀을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쌀 세척기에 구비되는 토출구마다 솥이 배치되어 세미된 쌀이 공급될 수 있다.
쌀 세척기에 쌀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쌀만 선별되도록 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일례로서 쌀 알갱이에 비해 직경이 큰 이물질을 토출구에 구비된 그물모양의 체를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별도로 구비된 저장고에 쌀을 제외한 곡물을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곡물을 상기 쌀투입단계(S11)에서 쌀과 함께 또는 별도로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밥의 종류에 따라 쌀과 이외의 곡물의 배합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되거나, 쌀 이외의 곡물이 투입되는 연결부의 출입구를 반자동으로 개폐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백미밥뿐 아니라 잡곡밥, 현미밥, 콩밥 등 필요에 따른 밥의 취반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쌀 투입단계에서 쌀은 생쌀계량기를 통해 자동으로 측정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솥 분의 쌀이 개별세척기로 투입될 수 있고, 상기 한 솥분의 쌀은 6kg 내지 8kg의 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미단계(S20)는 쌀저장탱크로부터 투입된 쌀을 씻는 단계로서 별도로 구비된 쌀 세척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세척전 중량계 또는 센서와 같은 수단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쌀투입장치로 이동시켜 추가적으로 쌀을 공급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쌀세척기는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세척부; 및 길이방향으로 쌀을 이동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스크류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세척부의 경사는 투입되는 쌀의 중량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밥물투입단계(S30)에서는 세미된 쌀에 기설정된 양의 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별도로 중량계 등의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물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 추가적으로 물이 첨가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쌀 및 밥물투입단계(S30)에 있어 미온수(20~30℃, 바람직하게는 25℃)가 투입될 수 있고, 미온수가 사용됨으로써 세미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가열단계(S50)에서 이르러야 할 온도까지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과 열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세미한 쌀과 밥물이 담긴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제1 컨베이어로 이동되고, 침지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침지단계(S40)에서는 쌀을 불리는 과정이 수반된다.
일반적으로 침지 개시 시점으로부터 50~60분 이후 물의 흡수율이 포화에 다다르므로 상기 침지단계(S40)는 60~80분, 바람직하게는 7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된 솥이 제1 컨베이어를 한 번 순환하는 동안 60내지 80분이 소요되도록 제1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층 이상으로 이루진 경우, 각 층간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는 각 컨베이어의 층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 층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솥은 제1 컨베이어 상측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면서 침지단계(S40)를 거치게 되며 솥마다 번호가 부여되어 개별적으로 침지시간이 측정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솥부터 자동으로 인식되어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로 이동될 수 있다.
침지 시간이 경과한 솥은 기설정에 따라 조미료 공급이 필요 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장치로 직접 이동되고, 조미료 공급이 필요한 경우 조미료 공급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조미료의 첨가 유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침지단계(S40)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되는 측정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한 기준에 부합되지 아니한 솥을 검출하여 분리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에는 중량이 포함되고, 침지단계(S40)에서 기설정된 중량에 미달하는 경우 자동으로 공정에서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 측정장치로 센서, 중량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침지단계(S40)는 조미료공급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조미료공급단계(S41)에서는 구비된 계량 탱크를 통해 미리 설정한 배합의 조미료가 투입되는데, 별도로 구비된 로드셀을 통해 점도에 관계없이 설정된 양을 계량하여 정량 공급이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조미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계량탱크는 별도로 구비된 로드셀을 통해 특정 조미료가 부족한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별도로 연결된 조미료 탱크로부터 자동적으로 조미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단계에 있어서, 조미료 공급 장치에 이동되는 각 솥마다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값을 전송받아 서로 다른 배합의 조미료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침지단계(S40)는 쌀, 밥물 및 조미료의 교반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S42)는 상기 공급단계를 통해 첨가된 조미료와 쌀물을 배합하는 과정으로, 별도의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액체 흘림 방지 접시가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른 설비에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이 용이한 교반날개를 이용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침지시간이 경과한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개별 취반기로 자동 이동되고, 상기 개별 취반기를 통해 이동된 솥을 10내지 30분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개별 취반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로가 독립적으로 조작되고, 상기 가열단계(S50)는 솥이 장착된 화로에만 선별적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화로에는 균일한 열을 가하여 취반 시간이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각 화로가 독립적으로 조작됨으로써 필요한 만큼의 화력을 이용하게 고효율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일부 화로의 고장시에 전 공정이 정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로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므로, 반 솥(2.5내지 4.5kg)분의 쌀의 취반이 가능하다.
상기 뜸들임단계(S60)는 가열이 완료된 이후 솥 내부의 열기를 전체로 퍼지게 하고 잔류하는 수분이 밥알에 스며들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를 통해 밥알이 윤기를 띠고 미반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뜸들임단계(S60)는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구성된 제2 컨베이어 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층 이상으로 이루진 경우, 각 층간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는 각 컨베이어의 층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 층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솥은 제2 컨베이어 상측부에서 이동되면서 뜸들임단계(S60)를 거치게 되며 솥마다 번호가 부여되어 개별적으로 뜸들임시간이 측정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솥부터 순차적으로 식초분사단계(S61) 또는 솥·미반 분리단계(S7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뜸들임단계(S60)에서는 가열된 혼합물이 담긴 솥을 60내지80℃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컨베이어에 20내지 40분간 머무르도록 하여 미반이 90내지 100℃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뜸들임단계(S60) 이후 필요에 따라 식초분사단계(S61)가 추가 될 수 있다. 상기 식초분사단계(S61)에서는 식초를 추가할 솥과 양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취반이 완료된 미반에 식초를 첨가함으로써 미반의 윤기와 식감을 증가시키는 효과 및 새콤한 맛을 통해 식욕을 돋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식초분사단계(S61)는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고, 추가되는 식초의 양은 중량계량방식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중량계량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점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초분사단계(S61)가 수반된 경우, 미반과 식초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별도의 식초교반단계가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미반을 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서는 취반이 완료된 미반을 덜어내어 필요에 따라 별도의 처리를 하고, 빈 솥은 솥세척단계(S1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솥을 반전하여 미반을 덜어내는 반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전단계는 별도로 구비된 솥반전기를 통하여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솥반전기는 솥의 날개 또는 일부분을 집게형의 암으로 고정하여 반전하는 방식, 또는 컨베이어의 높이나 턱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반전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솥반전기는 종래 기술에 따라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반전단계에 진입하기 전 솥과 뚜껑을 분리하는 단계(S70)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로 구비된 로봇 암을 이용하여 솥과 뚜껑을 분리할 수 있고, 이 경우 로봇 암은 솥 뚜껑과 결합하기에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반풀기단계(S71)에서는 상기 반전단계를 통해 솥으로부터 분리된 미반을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펼치는 단계가 수반된다. 미반을 넓게 펼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봉을 구비한 회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미반을 넓게 펼침으로서 갓 완성된 미반의 뜨거운 김을 날려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고, 미반 알갱이들이 뭉쳐서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외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이어지는 조열단계(S72)에서 열측정 밑 열조절에 있어 정확도와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풀기 단계 이후 펼쳐진 미반의 온도를 별도로 구비된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조절하는 조열단계(S7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열단계(S72)에서는 미리 설정된 목적에 적합한 온도로 미반의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바람을 쏘이는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진공냉각기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조된 미반이 다른 시설로 운반되어 다른 식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진공냉각기로 냉각하여 운반하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
상기 조열단계(S72)는 별도로 구비된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온도로 미반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별도의 온도측정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온도와 현재 미반의 온도를 비교하여 측정값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빈솥이동단계(S80)는 상기 반전단계에서 미반을 덜어낸 솥과 뚜껑을 다시 솥세정기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수행되며, 솥세정기에서 세척이 완료된 솥은 필요에 따라 밥물투입단계(S30)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빈솥이동단계(S80)를 통해 취반의 전 과정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공정 중 각 과정 설정을 달리함으로써 취반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밥의 제조가 가능한데, 예컨대 도시락 제조용 밥, 주먹밥 제조용 밥, 초밥 제조용 밥, 즉석 취식용 밥 등의 제조가 가능 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솥 및 뚜껑을 솥세정기로 세척하는 솥세척단계(S10);
    쌀저장탱크로부터 쌀을 생쌀계량기를 통해 계량하여 개별쌀세척기로 투입하여 세미하고 세미된 쌀에 20 내지 30℃의 온도 범위를 갖는 밥물을 기설정된 양만큼 투입하는 밥물투입단계(S30);
    상기 세미한 쌀과 밥물이 담긴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 층 말단에는 층간에 솥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된 제1 컨베이어로 자동 이동되고, 이동된 솥이 제1 컨베이어를 한 번 순환하는 동안 60내지 80분이 소요되도록 제1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여 쌀을 불리는 침지단계(S40);
    상기 침지시간이 경과한 솥은 별도로 구비된 이동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로가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개별 취반기로 이동되고, 상기 개별취반기로 이동된 솥을 10 내지 30분간 가열하되, 솥이 장착된 화로에만 선별적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S50);
    상기 가열된 혼합물이 담긴 솥을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 컨베이어에 20내지 40분간 머무르도록 하는 뜸들임단계(S60);
    취반이 완료된 솥과 밥을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하고, 미반을 덜어낸 솥을 다시 취반단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솥 세정기로 이동시키는 빈솥이동단계(S80); 및
    상기 솥반전기를 통해 분리된 미반을 별도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펼치는 미반풀기단계(S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지단계(S40)는 각 솥마다 개별적으로 기설정된 배합에 따라 조미료의 양을 계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상기 밥물에 투입하는 조미료공급단계(S41); 및
    쌀, 밥물 및 조미료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단계(S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쌀세척기는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세척부; 및
    길이방향으로 쌀을 이동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스크류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S40)는 기설정된 중량에 미달되는 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제1 컨베이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들임단계(S60) 이후 기설정된 식초의 양을 계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제조된 미반에 첨가하는 식초분사단계(S61); 를 포함하고,
    상기 식초의 양은 중량계량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기단계(S71) 이후 상기 펼쳐진 미반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열단계(S72); 가 수반되고,
    상기 조열단계(S72)는 별도로 구비된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별도의 온도측정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온도와 현재 미반의 온도를 비교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10.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
KR1020190048037A 2019-04-24 2019-04-24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KR10216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37A KR102161133B1 (ko) 2019-04-24 2019-04-24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37A KR102161133B1 (ko) 2019-04-24 2019-04-24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33B1 true KR102161133B1 (ko) 2020-09-29

Family

ID=7266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37A KR102161133B1 (ko) 2019-04-24 2019-04-24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957Y1 (ko) * 1989-05-04 1991-09-17 이창기 자동취사기
JPH09164077A (ja) * 1995-12-13 1997-06-24 Satake Eng Co Ltd 連続式炊飯装置
KR0146331B1 (ko) 1992-09-15 1998-08-01 윤종용 전자동 전기 취반장치의 취반 제어방법
JP2001238614A (ja) * 2000-03-02 2001-09-04 Anritsu Corp 加熱加工食品の生産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52432A (ja) * 2003-08-05 2005-03-03 Satake Corp 立体型炊飯装置
JP2006187264A (ja) * 2005-01-04 2006-07-20 Yasushi Gyoda ロ−タリ−キルン型炊飯装置
KR101462111B1 (ko) 2013-12-31 2014-11-17 주식회사 한국바이오플랜트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957Y1 (ko) * 1989-05-04 1991-09-17 이창기 자동취사기
KR0146331B1 (ko) 1992-09-15 1998-08-01 윤종용 전자동 전기 취반장치의 취반 제어방법
JPH09164077A (ja) * 1995-12-13 1997-06-24 Satake Eng Co Ltd 連続式炊飯装置
JP2001238614A (ja) * 2000-03-02 2001-09-04 Anritsu Corp 加熱加工食品の生産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52432A (ja) * 2003-08-05 2005-03-03 Satake Corp 立体型炊飯装置
JP2006187264A (ja) * 2005-01-04 2006-07-20 Yasushi Gyoda ロ−タリ−キルン型炊飯装置
KR101462111B1 (ko) 2013-12-31 2014-11-17 주식회사 한국바이오플랜트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7962B1 (en) Apparatus for controlled hydration grain cooking
CN105623966B (zh) 白酒酿酒自动化系统及其白酒酿酒工艺
KR102161133B1 (ko) 전자동 로테이션 취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
JP2018078888A (ja) 飼料、飼料生産方法及び飼料生産装置
CN204667535U (zh) 全自动汤类食品加工、售卖设备
CN202095478U (zh) 连续式蒸谷米生产设备
WO2013132586A1 (ja) 穀粒乾燥方法
KR101944778B1 (ko) 누룽지 제조용 취반 전처리 설비
KR102284617B1 (ko) 자동연속 취반시스템
CN108936213A (zh) 一种旋转卤锅式自动卤煮装置及卤煮方法
CN108633945A (zh) 一种挂面生产用混料装置
KR101754073B1 (ko) 자동 면 삶는 장치
JPH03155762A (ja) 穀類の連続蒸煮処理装置
CN219518451U (zh) 一种用于蛋鸡养殖的饲料配比装置
CN206652467U (zh) 一种食用菌生产用配料装置
CN209073426U (zh) 一种旋转卤锅式自动卤煮装置
US2238972A (en) Blancher
JPS583514Y2 (ja) 連続自動炊飯装置
JPH06237857A (ja) 包装米飯の製造装置
TW200831037A (en) Continuous cooking system and cooking method thereof
JPH0755180B2 (ja) 炊飯装置
SU1395277A1 (ru) Лини производства овощной икры
US1159136A (en) Method of cooking pulse.
US792140A (en) Corn cooking and mixing machine.
KR20190101144A (ko) 전기로를 사용한 전통식 취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