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29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29B1
KR102160529B1 KR1020180114316A KR20180114316A KR102160529B1 KR 102160529 B1 KR102160529 B1 KR 102160529B1 KR 1020180114316 A KR1020180114316 A KR 1020180114316A KR 20180114316 A KR20180114316 A KR 20180114316A KR 102160529 B1 KR102160529 B1 KR 10216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ght
reflectors
reflector arra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476A (ko
Inventor
홍지호
이유진
박기범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5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가 포함된 리플렉터 어레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제2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1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2 광빔을 형성하고,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3 광빔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배치되어 차량이 어두운 환경을 주행 중일 경우, 전방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 위치한 제1 램프 모듈과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가 포함된 리플렉터 어레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의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제2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1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2 광빔을 형성하고,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3 광빔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리플렉터 어레에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리플렉터와 중앙선간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효과적이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쉴드부의 경사면이 리플렉터 어레이 방향으로 갈수록 리플렉터 어레이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배광 패턴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의 휘도를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램프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의 제1 리플렉터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와 중앙선 간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램프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의 제1 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램프 유닛을 나탄낸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의 제2 리플렉터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와 제2 중앙선 간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제2 램프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의 제2 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와 제3 중앙선 간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차량용 램프의 복수의 리플렉터에서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제1 배광 패턴(P1)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램프 모듈(10) 및 제2 램프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모듈(10)는 제2 램프 모듈(20)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아웃보드에서 인보드 방향으로 제2 램프 모듈(20), 제1 램프 모듈(10)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램프 모듈(10)과 제2 램프 모듈(20)은 제1 배광 패턴(P1)을 형성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준다. 이하, 설명하는 배광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먼저 제1 램프 모듈(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제1 램프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제1 램프 모듈(10)은 광원(100),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제1 렌즈부(300) 및 제1 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광원(10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100)의 광축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100)의 광은 상측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는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리플렉터는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중앙선(C1)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210), 제1 리플렉터(210)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플렉터(220), 제2 리플렉터(220)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리플렉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은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렌즈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플렉터(210), 제2 리플렉터(220), 제3 리플렉터(230)는 설계 및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각각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복수의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210, 220, 230)가 제1 중앙선(C1)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리플렉터는 상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광을 전방에 위치한 제1 렌즈부(300)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하면에서 광이 반사되는 방향에 위치한 일면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원(100)은 복수의 리플렉터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리플렉터(210)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 제2 리플렉터(220)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120), 제3 리플렉터(230)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광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각 리플렉터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1 렌즈부(300)로 입사되거나, 다시 제1 쉴드부(400)에서 반사되어 제1 렌즈부(300)로 입사될 수 있다.
결국, 제1 리플렉터(210)는 제1 광원(110)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부(3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1 광빔(L1)을 형성하고, 제2 리플렉터(220)는 제2 광원(120)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부(3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2 광빔(L2)을 형성하고, 제3 리플렉터(230)는 제3 광원(130)에서 발생된 광을 제1 렌즈부(3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3 광빔(L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의 제1 리플렉터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와 중앙선 간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도 10는 본 발명의 제1 램프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210)의 반사면, 제2 리플렉터(220)의 반사면 및 제3 리플렉터(230)의 반사면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 13에 도시된 리플렉터 반사면의 표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리플렉터(210)는 제1 배광 패턴(P1)에서 후술할 핫 스팟(H1, H2)을 형성하므로, 제1 리플렉터(210)의 반사면의 표면을 단차지게 형성하게 될 경우, 반사면 표면의 반사 각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 할 수 있고 핫 스팟 패턴 내부의 특정 영역으로 광을 지향하기에 용이 할 수 있으므로 제1 배광 패턴(P1)의 스팟 영역(H1, H2)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해보면, 제1 리플렉터(210)와 제1 중앙선(C1)은 제1 각도(a)를 형성하고, 제2 리플렉터(220)와 제1 중앙선(C1)은 제2 각도(b)를 형성하고, 제3 리플렉터(230)와 제1 중앙선(C1)은 제3 각도(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리플렉터가 형성된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광빔의 경로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광빔(L1)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리플렉터의 제1 중심축(VL1)과 중앙선(C)은 제1 각도(a)를 이루고, 제2 광빔(L2)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리플렉터(220)의 제2 중심축(VL1)과 제1 중앙선(C1)은 제2 각도(b)를 이루고, 제3 광빔(L3)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리플렉터(230)의 제3 중심축(VL1)과 제1 중앙선(C1)은 제3 각도(c)를 이룰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P1)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1 각도(a), 제2 각도(b) 및 제3 각도(c)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각도(a)가 제2 각도(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각도(b)가 제3 각도(c)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복수의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 구성에 따라, 도 7을 참고해보면, 복수의 제1 리플렉터(21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광빔(L1)은 제1 중앙선(C1)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1 포인트(p1)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리플렉터(21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2 광빔(L2)은 제1 중앙선(C1)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2 포인트(p2)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3 리플렉터(23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3 광빔(L3)은 제1 중앙선(C1)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3 포인트(p3)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이때,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포인트들과 다른 위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인트(p1)는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보다 제1 렌즈부(300)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제1 렌즈부(300)에 가까운 순서로 제3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제1 포인트(p1)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 중 제1 광원(110)과 제1 포인트(P1)는 제1 리플렉터(21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2 광원(120)과 제2 포인트(p2)는 제2 리플렉터(22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3 광원(130)과 제3 포인트(p3)는 제3 리플렉터(23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중앙선(C1)의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1 내지 제3 광 빔은 제1 중앙선(C1)을 기준으로 제1 렌즈부(300)의 좌측 영역에서 출사될 수 있고, 제1 중앙선(C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1 내지 제3 광빔은 제1 중앙선(C1)을 기준으로 제1 렌즈부(300)의 우측 영역에서 출사될 수 있다.
결국, 각각의 제1 리플렉터(21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1 광빔(L1)이 제1 렌즈부(300)를 투과함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H1, H2)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2 리플렉터(22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2 광빔(L2)은 제1 렌즈부(300)를 투과함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2 패턴(M1, M2)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3 리플렉터(23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3 광빔(L3)은 렌즈부(300)를 투과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3 패턴(S1, 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배광 패턴(P1)에서 제1 패턴(H1, H2)은 핫 스팟 영역 및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2 패턴(M1, M2)은 미들 영역 및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3 패턴(S1, S2)은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빔(L1)의 휘도는 제2 광빔(L2)의 휘도보다 높고 제2 광빔(L2)의 휘도는 제3 광빔(L3)의 휘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컷 오브 영역은 제1 쉴드부(4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플렉터 중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 근접한 리플렉터 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집광 패턴 즉, 좌우 폭이 좁고 휘도가 높은 패턴을 형성하고,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외측에 위치한 리플렉터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스프레드 패턴 즉, 좌우 폭이 넓고 휘도가 낮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턴의 폭은 제2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패턴의 폭은 제3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광 패턴(P1)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패턴(M1, M2)은 제1 패턴(H1, H2)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3 패턴(S1, S2)은 제2 패턴(M1, M2)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앙선(C1)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복수의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1 내지 제3 광빔에 의하여 도 9(a)에 도시된 빔 패턴(PA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앙선(C1)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위치한 복수의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1 내지 제3 광빔에 의하여 도 9(b)에 도시된 빔 패턴(PA2)이 형성되고, 이 두 빔 패턴이 중첩됨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우 빔 패턴(LP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는 전술한 1 내지 3 리플렉터 외에도 차량용 램프의 설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제3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또 다른 리플렉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에서 반사된 광 즉, 제1 광빔, 제2 광빔, 및 제3 광빔이 입사 및 조사될 수 있도록 비구면 렌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부(300)는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의 높이 및 너비 즉,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차량용 램프의 설계에 따라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의 높이 및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쉴드부(400)는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쉴드부(400)는 복수의 광원(100)에서 발생한 광이 제1 렌즈부(300)로 바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렌즈부(300)와 복수의 광원 또는, 제1 렌즈부(300)와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쉴드부(400)는 복수의 광원(100)에서 발생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며 제1 배광 패턴(P1)의 컷오프 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을 참고해 보면, 제1 쉴드부(400)는 제1 반사면(410), 제2 반사면(420) 및 제1 경사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410)은 제2 반사면(4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1 반사면(410)과 제2 반사면(420) 사이에 제1 경사면(430)이 형성될 수 있어, 로우 빔 패턴의 컷오프 영역을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반사면(410)이 제2 반사면(420)보다 높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우측 주행을 기준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일본과 같이 좌측 주행 기준일 경우에는 제2 반사면(420)이 제1 반사면(410)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제1 경사면(430)의 일측은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쉴드부(40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거나,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방향으로 갈수록 차량의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리플렉터(21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거나,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제1 리플렉터(210) 중 차량의 우측에 근접한 제1 리플렉터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면의 일측은 제1 반사면과 제1 경사면이 접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1 경사면(430)의 일측이 위와 같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제2 반사면(420)의 영역이 넓어지므로, 제1 경사면의 일측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경우 제 1 반사면 영역에 의해 차단되어질 광이 제2 반사면(420)에서 반사되어 제1 렌즈부(300)를 투과하는 광이 많아지므로, 제1 배광 패턴(P1)의 우측 영역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광 패턴(P1)의 우측 영역의 휘도가 증가됨에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의 운전자 시야를 효율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진행 방향이 좌측 주행 기준일 경우, 쉴드부의 제2 반사면(420)이 제1 반사면(41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경사면(430)의 일측도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리플렉터(210)의 타측 방향 또는 쉴드부(400)의 타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광 패턴의 좌측 영역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10)의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는 제1 추가 리플렉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반사부(400)는 제3 반사면(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리플렉터(250)는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에서 제1 렌즈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추가 리플렉터(250)는 1 리플렉터(210) 및 제2 리플렉터(220) 중 적어도 일부에서 제1 렌즈부(3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설계 및 환경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반사면(440)은 제1 반사면(410) 및 제2 반사면(420)보다 제1 렌즈부(300)에 근접하도록 제1 쉴드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사면(440)은 제1 렌즈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 추가 리플렉터(25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제3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제1 렌즈부 하측 영역으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가 리플렉터(250)에서 반사된 광과, 제1 추가 리플렉터(250) 및 제3 반사면(440)에서 반사된 광이 제1 렌즈부 하측 영역으로 입사됨에 따라 전술한 도 10에 도시된 제1 시그널 패턴(SP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야간에 효율적으로 도로 상의 표지판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제2 램프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램프 유닛을 나탄낸 도면이다.
제2 램프 유닛(20)은 상술한 제1 램프 유닛(10)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램프 유닛(20)은 복수의 광원(500),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제2 렌즈부(700) 및 제2 쉴드부(8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전술한 제1 램프 모듈의 광원(100),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제1 렌즈부(300) 및 제1 쉴드부(400)와 유사 또는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리플렉터 어레이(500)는 복수의 광원(500)에서 발생되는 광을 제2 렌즈부(700)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의 복수의 리플렉터는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2 중앙선(C2)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리플렉터(610), 제4 리플렉터(610)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리플렉터(620), 제5 리플렉터(620)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6 리플렉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리플렉터(610), 제5 리플렉터(620), 제6 리플렉터(630)는 설계 및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각각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복수의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610, 620, 630)가 제2 중앙선(C2)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500)은 복수의 리플렉터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4 리플렉터(610)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제4 광원(510), 제5 리플렉터(620)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제5 광원(520), 제6 리플렉터(630)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제6 광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각 리플렉터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2 렌즈부로 입사되거나 다시 제2 쉴드부(400)에서 반사되어 제2 렌즈부(700)로 입사될 수 있다.
결국, 제4 리플렉터(610)는 제4 광원(510)에서 발생된 광을 제2 렌즈부(7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4 광빔(L4)을 형성하고, 제5 리플렉터(620)는 제5 광원(520)에서 발생된 광을 제2 렌즈부(7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5 광빔(L5)을 형성하고, 제6 리플렉터(630)는 제6 광원(530)에서 발생된 광을 제2 렌즈부(70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6 광빔(L6)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의 제2 리플렉터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와 제2 중앙선 간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각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제2 램프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를 참고해보면, 제4 리플렉터(610)의 반사면, 제5 리플렉터(620)의 반사면 및 제6 리플렉터(630)의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4 리플렉터(610)는 제1 배광 패턴(P1)에서 핫 스팟을 형성하므로, 제4 리플렉터(610)의 반사면의 표면을 단차지게 형성하게 될 경우, 반사면 표면의 반사 각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 할 수 있고 핫 스팟 패턴 내부의 특정 영역으로 광을 지향하기에 용이 할 수 있으므로 제1 배광 패턴(P1)의 핫 스팟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해보면, 제4 리플렉터(610)와 제2 중앙선(C2)은 제4 각도(d)를 형성하고, 제5 리플렉터(620)와 제2 중앙선(C2)은 제5 각도(e)를 형성하고, 제6 리플렉터(630)와 제2 중앙선(C2)은 제6 각도(f)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리플렉터가 형성된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광빔의 경로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4 광빔(L4)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리플렉터(610)의 제4 중심축(VL4)과 제2 중앙선(C1)은 제4 각도(d)를 이루고, 제5 광빔(L5)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5 리플렉터(620)의 제5 중심축(VL5)과 제2 중앙선(C1)은 제5 각도(e)를 이루고, 제6 광빔(L6)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6 리플렉터(630)의 제6 중심축(VL6)과 제2 중앙선(C2)은 제6 각도(f)를 이룰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P1)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4 각도(d), 제5 각도(e) 및 제6 각도(f)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4 각도(d)가 제5 각도(e)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5 각도(e)가 제6 각도(f)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복수의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 구성에 따라, 도 18을 참고해보면, 복수의 제4 리플렉터(61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4 광빔(L4)은 제2 중앙선(C2)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4 포인트(p4)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5 리플렉터(62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5 광빔(L5)은 제2 중앙선(C2)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5 포인트(p5)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6 리플렉터(630)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6 광빔(L6)은 제2 중앙선(C2)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6 포인트(p6)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이때, 제4 포인트(p4), 제5 포인트(p5) 및 제6 포인트(p6)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포인트들과 다른 위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포인트(p4)는 제5 포인트(p5) 및 제6 포인트(p6)보다 제2 렌즈부(700)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제2 렌즈부(700)에 가까운 순으로 제6 포인트(p6), 제5 포인트(p5), 제4 포인트(p4)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 중 제4 광원(510)과 제4 포인트(P4)는 제2 리플렉터(61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5 광원(520)과 제5 포인트(p5)는 제5 리플렉터(62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6 광원(530)과 제6 포인트(p6)는 제6 리플렉터(630)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중앙선(C2)의 우측에 위치한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4 내지 제6 광빔은 제2 중앙선(C2)을 기준으로 제2 렌즈부(700)의 좌측 영역에서 출사될 수 있고, 제2 중앙선(C2)의 좌측에 위치한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4 내지 제6 광 빔은 제2 중앙선(C2)을 기준으로 제2 렌즈부(700)의 우측 영역에서 출사될 수 있다.
결국, 각각의 제4 리플렉터(61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4 광빔(L4)이 제2 렌즈부(700)를 투과함에 따라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패턴(H3, H4)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5 리플렉터(62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5 광빔(L6)은 제2 렌즈부(700)를 투과함에 따라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5 패턴(M3, M4)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6 리플렉터(630)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6 광빔(L6)은 제2 렌즈부(700)를 투과하여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6 패턴(S3, S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4 패턴(H3, H4)은 핫 스팟 및 스팟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5 패턴은 미들 및 미들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6 패턴은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광빔(L4)의 휘도는 제5 광빔(L5)의 휘도보다 높고 제5 광빔(L5)의 휘도는 제6 광빔(L6)의 휘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컷 오브 영역은 후술할 제2 쉴드부(8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리플렉터 어레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리플렉터 중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 근접한 리플렉터 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집광 패턴 즉, 좌우 폭이 좁고 휘도가 높은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외측에 위치한 리플렉터 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스프레드 패턴 즉, 좌우 폭이 넓고 휘도가 낮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패턴의 폭은 제5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5 패턴의 폭은 제6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리플렉터 어레이와 제2 리플렉터 어레이 간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제1 배광 패턴(P1)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패턴(M3, M4)은 제1 패턴(H3, H4)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3 패턴(S3, S4)은 제2 패턴(M3, M4)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앙선(C2)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위치한 복수의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4 내지 제6 광빔에 의하여 도 20(a)에 도시된 빔 패턴(PA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중앙선(C2)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위치한 복수의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4 내지 제6 광빔에 의하여 도 20(b)에 도시된 빔 패턴(PA4)이 형성되고 이 두 빔 패턴이 중첩됨에 따라 제1 배광 패턴(P1)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전술한 제1 내지 제3 광 빔에 형성된 빔 패턴(PA1, PA2) 및 제4 내지 제6 광빔에 형성된 빔 패턴(PA3, PA4)가 중첩됨에 따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광 패턴(P1)의 제2 로우 빔 패턴(LP1-1)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배광 패턴(P1)의 로우 빔 패턴(LP1)은 제1 램프 유닛(10)에서 형성된 제1 로우 빔 패턴(LP1-1)과 제2 램프 유닛(20)에서 형성된 제2 로우 빔 패턴(LP1-2)을 중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리플렉터 어레이(200)는 전술한 4 내지 6 리플렉터 외에도 차량용 램프의 설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제6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또 다른 리플렉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부(300)는 제1 렌즈부(200)와 동일하게 제2 리플렉터 어레이(200)에서 반사된 광 즉, 제4 광빔, 제5 광빔, 및 제6 광빔이 입사 및 조사될 수 있도록 비구면 렌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의 설계에 따라 제2 렌즈부(700)는 제2 리플렉터 어레이(200)의 높이 및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쉴드부(800)는 전술한 제1 쉴드부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원(500)에서 발생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며 제1 배광 패턴(P1)의 컷오프 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을 참고해보면, 제1 쉴드부(400)의 제1 반사면(410), 제2 반사면(420) 및 제1 경사면(430)과 동일하게, 제2 쉴드부(700)는 제4 반사면(410), 제5 반사면(420) 및 제2 경사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경사면(430)의 일측은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방향으로 갈수록 제2 쉴드부(80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거나,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방향으로 갈수록 차량의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방향으로 갈수록 제5 리플렉터(61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거나,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제5 리플렉터(610) 중 차량의 우측에 근접한 제5 리플렉터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플렉터 어레이(100)의 제1 추가 리플렉터 및 제1 쉴드부(400)의 제3 반사면과 동일하게 제2 램프 유닛의 제2 리플렉터 어레이(200)도 적어도 하나의 제2 추가 리플렉터(6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반사부(800)는 제6 반사면(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와 같이 제2 추가 리플렉터(650)에서 반사된 광과, 제2 추가 리플렉터(650) 및 제6 반사면(840)에서 반사된 광이 제2 렌즈부 하측 영역으로 입사됨에 따라 도 21에 도시된 제2 시그널 패턴(SP1-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제1 배광 패턴(P1)의 시그널 패턴(SP1)은 제1 및 제2 추가 리플렉터 그리고 제3 반사면 및 제6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시그널 패턴과 제2 시그널 패턴이 중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바와 같이 제1 램프 유닛(10)은 차량의 인보드쪽에 위치하고 제2 램프 유닛(20)은 차량의 아웃 보드쪽에 위치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의 제1 리플렉터 어레이 및 제2 램프 유닛의 제2 리플렉터 어레이는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배광 패턴(P1)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중앙선(C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제1 폭(l1)은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제1 렌즈부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제1 리플렉터 어레이 개방면의 제2 폭(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중앙선(C2)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제3 폭(l1)은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제2 레즈부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제2 리플렉터 어레이 개방면의 제4 폭(l2)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가 제2 리플렉터 어레이(600)에 포함된 복수의 제4 내지 제6 리플렉터보다 더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형성된 빔 패턴은 제2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형성된 빔 패턴 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6 및 도 17을 참고해보면, 제1 중앙선(C1)에 의하여 형성된 제1 각도(a)는 제2 중앙선(C2)에 의하여 형성된 제4 각도(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앙선(C1)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각도(b)는 제2 중앙선(C1)에 의하여 형성된 제5 각도(e)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앙선(C1)에 의하여 형성된 제3 각도(c)는 제2 중앙선(C2)에 의하여 형성된 제6 각도(f)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에서 반사되는 광들이 제2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들 보다 더 많이 좌우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19을 다시 참고해보면, 제1 광빔(L1)에 의하여 형성된 제1 패턴(H1, H2)은 제4 광빔(L4) 에 의하여 형성된 제4 패턴(H3, H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3 광빔(L3)에 의하여 형성된 제3 패턴(S1, S2)은 제6 광빔(L6)에 의하여 형성된 제6 패턴(S3, S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21을 다시 참고해 보면, 제1 램프 유닛(10)에서 형성된 제1 로우 빔 패턴(LP1-1)은 제1 배광 패턴(P1)의 로우 빔 패턴(LP1)의 영역을 넓게 스프레드하여 형성하고, 제2 램프 유닛(10)에서 형성된 제2 로우 빔 패턴(LP1-2)은 제1 배광 패턴(P1)의 로우 빔 패턴(LP1)의 중심 영역을 집중 및 집광하여 형성하여 제1 로우 빔 패턴과 제2 로우 빔 패턴이 중첩됨에 따라 로우 빔 패턴(LP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보드에 위치한 제1 램프 모듈(10)에 의해 형성된 제1 로우 빔 패턴(LP1-1)은 아웃보드에 위치한 제2 램프 모듈(10)에 의해 형성된 제2 로우 빔 패턴(LP1-2)보다 좌우 폭이 넓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유는 인보드에 위치한 제1 램프 모듈(10)이 아웃보드에 위치한 제2 램프 모듈(20)보다 차량 주행 방향인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램프 모듈(20)에서 형성된 제2 로우 빔 패턴의 폭이 넓을 경우, 제1 램프 모듈의 형상에 가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2 램프 모듈에서 형성된 제2 로우 빔 패턴 폭이 제1 램프 모듈에서 성성된 제1 로우 빔 패턴의 폭보다 크게 형성 할 수 있는데, 제1 램프 모듈과 제2 램프 모듈간의 이격 거리, 장착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7 및 도 2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는 복수의 광원(50), 제3 리플렉터 어레이(60), 제3 렌즈부(70) 및 제3 쉴드부(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전술한 제1 램프 모듈의 광원(100), 제1 리플렉터 어레이(200), 제1 렌즈부(300) 및 제1 쉴드부(400)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리플렉터 어레이(60)는 복수의 광원(50)에서 발생되는 광을 제2 렌즈부(70)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플렉터는 제3 리플렉터 어레이(60)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3 중앙선(C3)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3 리플렉터 어레이(60)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리플렉터(61), 제7 리플렉터(61)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리플렉터(62), 제8 리플렉터(62)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리플렉터(63) 그리고 제9 리플렉터(63)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리플렉터(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7 리플렉터(61), 제8 리플렉터(62), 제9 리플렉터(63), 제10 리플렉터(64)는 설계 및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각각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복수의 제7 내지 10 리플렉터(61, 62, 63, 64)가 제3 중앙선(C3)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50)은 복수의 리플렉터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7 리플렉터(61)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제7 광원(51), 제8 리플렉터(62) 방향으로 광을 발생하는 제8 광원(52), 제9 리플렉터(63)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제9 광원(530), 제10 리플렉터(64)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제10 광원(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각 리플렉터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3 렌즈부로 입사되거나 다시 제3 쉴드부(400)에서 반사되어 제3 렌즈부(700)로 입사될 수 있다.
결국, 제7 리플렉터(61)는 제7 광원(51)에서 발생된 광을 제3 렌즈부(7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7 광빔(L7)을 형성하고, 제8 리플렉터(62)는 제8 광원(52)에서 발생된 광을 제3 렌즈부(7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8 광빔(L8)을 형성하고, 제9 리플렉터(63)는 제9 광원(530)에서 발생된 광을 제3 렌즈부(7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9 광빔(L9)을 형성하고, 제10 리플렉터(64)는 제10 광원(53)에서 발생된 광을 제3 렌즈부(70) 방향으로 반사하여 제10 광빔(L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렌즈부에 제8 내지 제10 광빔이 입사됨에 따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는 제2 배광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0를 참조해보면, 제3 중앙선(C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제5 폭(l5)은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제3 레즈부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해 개방된 제3 리플렉터 어레이 일면의 제6 폭(l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우 빔 패턴(LP2)을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제3 리플렉터 어레이(60)에 포함된 복수의 제7 내지 제10 리플렉터를 제3 중앙선(C3)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1을 참고해보면, 제7 리플렉터(61)와 제3 중앙선(C3)은 제7 각도(g)를 형성하고, 제8 리플렉터(62)와 제3 중앙선(C3)은 제8 각도(h)를 형성하고, 제9 리플렉터(63)와 제3 중앙선(C3)은 제9 각도(i)를 형성하고, 제10 리플렉터(64)와 제3 중앙선(C3)은 제10 각도(j)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리플렉터가 형성된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광빔의 경로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7 광빔(L7)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7 리플렉터(61)의 제7 중심축(VL7)과 제3 중앙선(C3)은 제7 각도(g)를 이루고, 제8 광빔(L8)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8 리플렉터(62)의 제8 중심축(VL8)과 제3 중앙선(C3)은 제8 각도(h)를 이루고, 제9 광빔(L9)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9 리플렉터(63)의 제9 중심축(VL9)과 제3 중앙선(C3)은 제9 각도(i)를 이루고, 제10 광빔(L10)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0 리플렉터(64)의 제10 중심축(VL10)과 제3 중앙선(C3)은 제10 각도(j)를 이룰 수 있다.
제2 배광 패턴(P2)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7 각도(g), 제8 각도(h), 제9 각도(i) 및 제10 각도(j)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7 각도(g)가 제8 각도(h)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8 각도(h)가 제9 각도(i)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9 각도(i)가 제10 각도(j)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복수의 제7 내지 제10 리플렉터 구성에 따라, 도 32을 참고해보면, 복수의 제7 리플렉터(6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7 광빔(L7)은 제3 중앙선(C3)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7 포인트(p7)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8 리플렉터(62)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8 광빔(L5)은 제3 중앙선(C3)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8 포인트(p8)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9 리플렉터(63)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9 광빔(L9)은 제3 중앙선(C3)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9 포인트(p9)에서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제10 리플렉터(64)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10 광빔(L10)은 제3 중앙선(C3)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10 포인트(p10)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이때, 제7 포인트(p7), 제8 포인트(p8) 및 제9 포인트(p9), 제10 포인트(p10)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포인트들과 다른 위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포인트(p7)는 제8 포인트(p8), 제9 포인트(p9) 및 제10 포인트(p10)보다 제2 렌즈부(700)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제2 렌즈부(700)에 가까운 순서로 제10 포인트(p10), 제9 포인트(p9), 제8 포인트(p8), 제7 포인트(p7)이 나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 중 제7 광원(51)과 제7 포인트(P7)는 제3 리플렉터(61)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8 광원(52)과 제8 포인트(p8)는 제8 리플렉터(62)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제9 광원(53)과 제9 포인트(p9)는 제9 리플렉터(63)의 제1 초점과 제2 초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각각의 제7 리플렉터(61)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7 광빔(L7)이 제3 렌즈부(70)를 투과함에 따라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패턴(H5, H6)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8 리플렉터(62)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8 광빔(L8)은 제3 렌즈부(70)를 투과함에 따라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8 패턴(H7, H8)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9 리플렉터(63)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9 광빔(L9)은 제3 렌즈부(70)를 투과하여 도 3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9 패턴(M5, M6)을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제10 리플렉터(64)에서 반사된 각각의 제10 광빔(L10)은 제3 렌즈부(70)를 투과하여 도 3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10 패턴(S5, S6)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7 패턴 및 제8 패턴은 핫 스팟 영역 및 스팟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9 패턴은 미들 영역 및 미들 컷 오프 영역을 형성하고, 제10 패턴은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 광빔(L7)의 휘도는 제8 광빔(L8)의 휘도보다 높거나 같고, 제8 광빔(L8)의 휘도는 제9 광빔(L9)의 휘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제9 광빔(L9)의 휘도는 제10 광빔(L10)의 휘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2 리플렉터 어레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리플렉터 중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 근접한 리플렉터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집광 패턴 즉, 좌우 폭이 좁고 휘도가 높은 패턴을 형성하고, 제3 리플렉터 어레이의 외측에 위치한 리플렉터 일수록 광을 반사하여 스프레드 패턴 즉, 좌우 폭이 넓고 휘도가 낮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패턴의 폭은 제8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8 패턴의 폭은 제9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배광 패턴(P2)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8 패턴은 제9 패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9 패턴은 제8 패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0 패턴은 제9 패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중앙선(C3)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위치한 복수의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7 내지 제10 광빔에 의하여 도 34(a)에 도시된 빔 패턴(PA5)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중앙선(C3)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위치한 복수의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7 내지 제10 광빔에 의하여 도 34(b)에 도시된 빔 패턴(PA6)이 형성되고 이 두 빔 패턴이 중첩됨에 따라 제2 배광 패턴(P2)의 로우 빔 패턴(LP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리플렉터 어레이(70)는 전술한 7 내지 10 리플렉터 외에도 차량용 램프의 설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제10 리플렉터 양단에 각각 또 다른 리플렉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8 내지 10 리플렉터의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8 및 제9 리플렉터는 핫 스팟을 형성하므로 복수의 제8 및 제9 리플렉터의 반사면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레즈부(70)는 제1 및 제2 렌즈부와 동일하며, 제3 쉴드부도 제1 및 제2 쉴드부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리프렉터 어레에(70)는 전술한 제1 및 제2 추가 리플렉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제3 추가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쉴드부(70)에는 복수의 반사면 및 경사면을 포함하되, 제3 및 제6 반사면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추가 리플렉터 및 제3 쉴드부에 포함된 반사면에 의하여 제2 배광 패턴(P2)의 시그널 패턴(SP2)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모든 리플렉터 어레이의 높이와 폭의 비율은 1:5~1:8로 높이에 비해 폭이 더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 어레이의 높이는 40mm 이하로 형성되고, 너비는 60~3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램프 모듈을 보다 날렵한 이미지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용 조명장치에서 요구되는 배광패턴의 좌우 폭 및 균일하고 시인성 높은 배광패턴을 형성하는데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100, 500: 광원 60: 제3 리플렉터 어레이
70: 제3 렌즈부 80: 제3 쉴드부
200: 제1 리플렉터 어레이 210: 제1 리플렉터
220: 제2 리플렉터 230: 제3 리플렉터
250: 제1 추가 리플렉터 300: 제1 렌즈부
400: 제1 쉴드부 600: 제2 리플렉터 어레이
700: 제2 렌즈부 800: 제2 쉴드부

Claims (19)

  1.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가 포함된 리플렉터 어레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1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2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3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부는 제1 반사면, 제2 반사면 및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2 반사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앙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는 광이 증가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빔은 상기 배광 패턴 중심에 위치한 제1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빔은 상기 제1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2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광빔은 상기 제2 패턴 일측에 위치한 제3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패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2 패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가 포함된 리플렉터 어레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1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2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3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리플렉터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렌즈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추가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리플렉터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된 광 중 일부를 상기 렌즈부 하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9.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가 포함된 리플렉터 어레이;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1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2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광을 반사하여 제3 광빔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및 상기 렌즈부는 각각 제1 램프 모듈 및 제2 램프 모듈에 포함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리플렉터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제3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4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 각각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중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중심에 근접한 리플렉터일수록 상기 광을 반사하여 집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중 상기 리플렉터 어레이 외측에 위치한 리플렉터일수록 상기 광을 반사하여 스프레드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4.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램프 모듈 및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제1 리플렉터 어레이 및 제1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제2 리플렉터 어레이 및 제2 리플렉터 어레이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동일하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리플렉터는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2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플렉터;
    상기 제1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상기 복수의 제2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는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 중앙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리플렉터;
    상기 제4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5 리플렉터;
    상기 복수의 제5 리플렉터 좌우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6 리플렉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은 상기 제1 렌즈부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이 관통하도록 개방된 상기 제1 리플렉터 어레이의 일면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폭은 상기 제2 렌즈부로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이 관통하도록 개방된 상기 제2 리플렉터 어레이의 일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모듈은 상기 제2 램프 모듈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램프 모듈에서 형성된 빔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램프 모듈에서 형성된 빔 패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9.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빔의 휘도는 상기 제2 광빔의 휘도보다 높고, 상기 제2 광빔의 휘도는 상기 제3 광빔의 휘도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114316A 2018-09-21 2018-09-21 차량용 램프 KR10216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316A KR102160529B1 (ko) 2018-09-21 2018-09-2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316A KR102160529B1 (ko) 2018-09-21 2018-09-2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76A KR20200034476A (ko) 2020-03-31
KR102160529B1 true KR102160529B1 (ko) 2020-09-28

Family

ID=7000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316A KR102160529B1 (ko) 2018-09-21 2018-09-2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013B1 (ko) * 2021-09-17 2023-11-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948A (ja) * 2007-08-22 2009-03-05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13524426A (ja) * 2010-03-31 2013-06-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及び斯様な照明システム用の光源ユニット
JP2014102903A (ja) * 2012-11-16 2014-06-05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5037020A (ja) 2013-08-12 2015-02-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809B2 (en)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KR20110084783A (ko) * 2010-01-18 2011-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82194B1 (ko) * 2015-04-13 2016-12-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948A (ja) * 2007-08-22 2009-03-05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13524426A (ja) * 2010-03-31 2013-06-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及び斯様な照明システム用の光源ユニット
JP2014102903A (ja) * 2012-11-16 2014-06-05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5037020A (ja) 2013-08-12 2015-02-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76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0306B2 (ja) 灯具ユニット
KR20200141248A (ko) 차량용 램프
JP2003338210A (ja) 車輌用前照灯
JP2012099228A (ja) 車両用照明灯具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JP5446757B2 (ja) 車両用灯具
KR102160529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12549A (ko) 차량용 램프
KR102348887B1 (ko) 차량용 램프
KR102463273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KR102463275B1 (ko) 차량용 램프
KR102091488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06316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529A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91243A (ko) 차량용 램프
KR102250659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KR20200058127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56471A (ko) 차량용 램프
JP2016181388A (ja) 車両用灯具
KR20210026124A (ko) 차량용 램프
KR101740668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104523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