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191B1 -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 Google Patents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91B1
KR102159191B1 KR1020190065827A KR20190065827A KR102159191B1 KR 102159191 B1 KR102159191 B1 KR 102159191B1 KR 1020190065827 A KR1020190065827 A KR 1020190065827A KR 20190065827 A KR20190065827 A KR 20190065827A KR 102159191 B1 KR102159191 B1 KR 10215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aggregate
liner
aggregate
main body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수
이기원
안승일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성철환경개발
주식회사 오성개발
주식회사 대림환경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철환경개발, 주식회사 오성개발, 주식회사 대림환경,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주)성철환경개발
Priority to KR102019006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18Feeding means
    • B02C2013/28654Feeding means of screw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적절한 입형의 순환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이 아래로 기운 형상이고 내부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는 임펙트로터(300), 힌지형 블레이드(400), 고정형 블레이드(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The improved grinder to peel the mortar attached to recycled aggregates}
본 발명은 앞 공정에서 파쇄된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원하는 입형으로 파쇄하여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순환골재를 직접 타격하여 파쇄하는 임팩트로터와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박리하는 수단인 라이너를 결합한 구조로서 라이너는 힌지결합으로 구성하여 라이너의 중심축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에서 골재의 사용은 필수이다.
보통 골재는 암석을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고 선별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건설공사의 증가와 더불어 천연자원인 골재의 고갈도 이어지고 있으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고려해보면 더 이상의 석산개발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그리하여 건설해체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예전처럼 매립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공사의 공종별로 알맞게 중간 처리하여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마쇄기는 순환골재를 마쇄하는 과정에 있어서 순환골재의 적정 투입량 및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앞 공정에서 파쇄된 순환골재들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기존 마쇄기의 투입구에 무작위적으로 투입되므로 투입량이 일정치 않아 박리효율과 같은 마쇄기의 성능 및 내구성을 보장하기 어려웠으며,
마쇄기의 회전중심축에 각 라이너들이 볼트로 고정 체결되어 있어 라이너의 중심축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하 조절이 어려워 마쇄기 성능 및 내구성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마쇄기의 투입구에 인버터 컨트롤식 스크류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마쇄기내 순환골재의 투입량을 일정하게 하고,
투입된 순환골재는 1차적으로 고속회전하는 임팩트로터에 의해 충격 및 파쇄되고, 2차적으로 힌지구조를 가진 라이너로 순환골재를 마쇄하면서 라이너의 중심축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 고정된 구조를 가진 라이너로 순환골재를 효과적으로 박리하는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84호 ‘중력을 이용한 쇄석기’, 2007년 11월 12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0844호 ‘쇄석기’, 2018년 08월 1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앞공정에서 파쇄된 순환골재를 인버터 컨트롤식 스크류 이송을 통해 일정한 양으로 마쇄기에 투입하고, 투입된 순환골재를 1차 고속회전 임팩트로터로 파쇄하고 2차 고속회전 라이너로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박리하고자 한다. 동시에 순환골재에 직접 접촉하여 마쇄하는 수단인 라이너를 회전중심축과 힌지결합으로 구성하여 라이너 중심축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적절한 입형의 순환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이 아래로 기운 형상이고 내부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는 임펙트로터(300), 힌지형 블레이드(400), 고정형 블레이드(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공정에서 파쇄된 순환골재의 부착 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박리하고 적합한 입형을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마쇄기의 투입구에 인버터 컨트롤식 스크류 이송장치를 장착하여 마쇄기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마쇄기의 박리성능 및 내구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마쇄기의 중심축에 1차 고속회전 임팩트로터와 2차 고속회전 라이너를 직렬 hybrid 형태로 결합하여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동시에 고속회전 라이너를 마쇄기 회전중심축에 힌지결합으로 구성하여 라이너 중심축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임펙트로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힌지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투입호퍼와 투입스크루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 ‘마쇄’는 순환골재에서 모르타르를 분리하는 작업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는,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적절한 입형의 순환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이 아래로 기운 형상이고 내부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는 임펙트로터(300), 힌지형 블레이드(400), 고정형 블레이드(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00)의 기운 각도는 약 8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회전축(200) 상부로부터 상기 임펙트로터(300),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 및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부착되게 되는 데,
상기 임펙트로터(300),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 및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는 각각 투입된 순환골재를 마쇄하는 정도가 달라 상기 회전축(200)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마쇄 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회전축(200)의 기운 각도를 8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임펙트로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임펙트로터(3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원형의 2개의 브래킷(310);
상기 2개의 브래킷(310) 사이에 설치되는 라이너(3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00) 내부로 들어온 순환골재를 1차적으로 파쇄하되 상기 라이너(350)의 충격으로 순환골재를 튕겨 본체(100)의 내벽과 충돌하게 하여 파쇄 및 마쇄하는 작용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힌지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브래킷(410);
상기 브래킷(41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430);
상기 연결대(430)의 타단에 설치되는 라이너(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할 때 원심력으로 인해 접혀 있던 상기 라이너(450)가 펴지며 투입된 순환골재를 마쇄하고, 동시에 상기 힌지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라이너(45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200)의 원심력으로 상기 연결대(430)가 90도로 쭉 펴지게 되면 고정형 블레이드(500)와 동일한 작용을 하며,
투입된 순환골재의 다양한 강도 및 입형 등으로 인하여 마쇄가 어려운 경우 상기 연결대(430)가 상기 힌지결합으로 인하여 쿠션작용을 하여 상기 라이너(450)와 회전축(2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450)와 본체(100) 내부 벽면과의 간격은 순환골재의 강도 및 입형 등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순환골재를 마쇄한다.
그리고 마쇄가 불안정하게 진행된 순환골재는 다음 고정형 블레이드(500)에서 마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브래킷(510);
상기 브래킷(51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연결대(530);
상기 연결대(530)의 타단에 설치되는 라이너(5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할 때 상기 라이너(550)가 순환골재를 마쇄하며 회전하고 순환골재를 골재배출구(130)까지 연속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라이너(550)와 본체(100) 내부 벽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순환골재의 입도에 맞게 마쇄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투입호퍼와 투입스크루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투입호퍼(600)는,
상기 투입호퍼(600)에 연결되어 순환골재를 이송시키는 투입스크류(700);
상기 투입스크류(700)의 순환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I);
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투입호퍼(600)는 투입되는 순환골재로 인한 비산먼지를 방지하고 골재의 과다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투입스크루(700)는 인버터(I)가 장착되어 모터의 암페어를 측정하여 적정 이상의 암페서 측정시 순환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를 지나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최종적으로 파쇄 및 마쇄된 순환골재가 배출되는 골재배출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골재배출구(130) 하부에는 집진기(800)가 먼지를 흡입하고,
상기 골재배출구(130) 하부의 선별기(900)는 메쉬를 이용한 선별작용으로 잔골재는 상부에서 큰골재는 하부에서 컨베이어밸트(1000)로 낙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1개의 컨베이어밸트(1000) 상에 잔골재부터 큰골재까지 골재의 입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류되어 포설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I: 인버터
100: 본체
130: 골재배출구
200: 회전축
300: 임펙트로터
310: 브래킷
350: 라이너
400: 힌지형 블레이드
410: 브래킷
430: 연결대
450: 라이너
500: 고정형 블레이드
510: 브래킷
530: 연결대
550: 라이너
600: 투입호퍼
700: 투입스크루
800: 집진기
900: 선별기
1000: 컨베이어밸트

Claims (4)

  1.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적절한 입형의 순환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이 아래로 기운 형상이고 내부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는 임펙트로터(300), 힌지형 블레이드(400), 고정형 블레이드(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브래킷(410);
    상기 브래킷(41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430);
    상기 연결대(430)의 타단에 설치되는 라이너(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할 때 원심력으로 인해 접혀 있던 상기 라이너(450)가 펴지며 투입된 순환골재를 마쇄하고, 상기 힌지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라이너(45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브래킷(510);
    상기 브래킷(51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연결대(530);
    상기 연결대(530)의 타단에 설치되는 라이너(5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할 때 상기 라이너(550)가 순환골재를 마쇄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임펙트로터(3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는 원형의 2개의 브래킷(310);
    상기 2개의 브래킷(310) 사이에 설치되는 라이너(3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00) 내부로 들어온 순환골재를 1차적으로 파쇄하되 상기 라이너(350)의 충격으로 순환골재를 튕겨 본체(100)의 내벽과 충돌하게 하여 파쇄 및 마쇄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는,
    상기 회전축(200)의 원심력으로 상기 연결대(430)가 90도로 쭉 펴지게 되면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와 동일한 작용을 하며, 투입된 순환골재의 강도 및 입형으로 인하여 마쇄가 어려운 경우 상기 연결대(430)가 상기 힌지결합으로 인하여 쿠션작용을 하여 상기 라이너(450)와 회전축(2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라이너(450)와 본체(100) 내부 벽면과의 간격은 순환골재의 강도 및 입형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순환골재를 마쇄하고,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를 거치면서 마쇄가 불안정하게 진행된 순환골재는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에서 상기 라이너(550)와 본체(100) 내부 벽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순환골재의 입도에 맞게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임펙트로터(300), 상기 힌지형 블레이드(400) 및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는 각각 순환골재를 마쇄하는 정도가 달라 상기 회전축(200)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마쇄 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200)의 기운 각도를 8도로 유지하고,
    상기 본체(100) 우측 상부에는 투입되는 순환골재로 인한 비산먼지를 방지하고 골재의 과다투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호퍼(600)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호퍼(600)는,
    상기 투입호퍼(600)에 연결되어 순환골재를 이송시키는 투입스크류(700);
    상기 투입스크류(700)의 순환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I);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I)는 모터의 암페어를 측정하여 소정 이상의 암페어 측정시 순환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하고,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500)를 지나 상기 본체(100) 좌측의 하부에는 최종적으로 파쇄 및 마쇄된 순환골재가 배출되는 골재배출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골재배출구(130) 하부에는 집진기(800)가 먼지를 흡입하고,
    상기 골재배출구(130) 하부의 선별기(900)는 메쉬를 이용한 선별작용으로 잔골재는 상부에서 큰골재는 하부에서 컨베이어밸트(1000)로 낙하시키므로 1개의 컨베이어밸트(1000) 상에 잔골재부터 큰골재까지 골재의 입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류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5827A 2019-06-04 2019-06-04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KR10215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27A KR102159191B1 (ko) 2019-06-04 2019-06-04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27A KR102159191B1 (ko) 2019-06-04 2019-06-04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191B1 true KR102159191B1 (ko) 2020-09-23

Family

ID=7270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27A KR102159191B1 (ko) 2019-06-04 2019-06-04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380A (ko) * 2022-01-18 2023-07-25 이명숙 광물 분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095A (ko) * 2003-03-31 2003-04-18 주식회사 현준파우텍 분쇄시스템
JP2004290865A (ja) * 2003-03-27 2004-10-21 Daido Machinery Ltd 衝撃式造粒機
KR100777184B1 (ko) 2005-12-16 2007-11-28 이월주 중력을 이용한 쇄석기
KR100894686B1 (ko) * 2008-11-11 2009-04-24 주식회사 오성개발 이중 드럼벨을 이용한 골재파쇄, 모래생산, 망 막힘 방지 및 이물질 선별의 장치
KR20180090844A (ko) 2015-12-02 2018-08-13 몽따베르 쇄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865A (ja) * 2003-03-27 2004-10-21 Daido Machinery Ltd 衝撃式造粒機
KR20030031095A (ko) * 2003-03-31 2003-04-18 주식회사 현준파우텍 분쇄시스템
KR100777184B1 (ko) 2005-12-16 2007-11-28 이월주 중력을 이용한 쇄석기
KR100894686B1 (ko) * 2008-11-11 2009-04-24 주식회사 오성개발 이중 드럼벨을 이용한 골재파쇄, 모래생산, 망 막힘 방지 및 이물질 선별의 장치
KR20180090844A (ko) 2015-12-02 2018-08-13 몽따베르 쇄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380A (ko) * 2022-01-18 2023-07-25 이명숙 광물 분쇄기
KR102626813B1 (ko) * 2022-01-18 2024-01-19 이명숙 광물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1334A (zh) 一种基于离心研磨的制砂装置
CN210787614U (zh) 一种带筛网的中药粉碎机
CN106076528B (zh) 双级单激振非线性多层筛选粉碎装置
KR101773853B1 (ko)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를 제조하는 개량형 회전 마쇄장치
KR102159191B1 (ko) 순환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개량형 마쇄기
CN205868446U (zh) 双级单激振非线性多层筛选粉碎装置
CN205868445U (zh) 双级多层振动筛选粉碎装置
CN106076581A (zh) 具有偏心适应性的单激振筛选粉碎系统及加工物料的方法
KR101101878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겸 마쇄장치
CN107876151A (zh) 一种多级粉碎机
CN219129496U (zh) 水泥矿化料生产装置
CN202876893U (zh) 闭回路摆轮脉冲制砂机
CN108246459B (zh) 一种建筑废料破碎装置
CN207805751U (zh) 一种物料粉碎机
KR102223600B1 (ko) 개량형 다축 방향 마쇄기 구조
CN210357449U (zh) 一种模壳粉碎机
CN209138836U (zh) 一种基于离心研磨的制砂装置
KR100507705B1 (ko) 모래제조장치
CN210972717U (zh) 一种粉料输送装置及粉料筛选机
CN209501815U (zh) 一种电厂锅炉干渣的碎渣装置
JPH11333310A (ja) 骨材生産方法及びその装置
CN205851029U (zh) 双级多层振动筛选粉碎机的物料粉碎装置
CN211538103U (zh) 一种砂石破碎整形机
CN214288558U (zh) 一种工矿尾料处理用粉碎研磨装置
CN110586261A (zh) 一种循环球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