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382B1 - 위장 통증을 조절하는 제제의 선택 - Google Patents

위장 통증을 조절하는 제제의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82B1
KR102154382B1 KR1020167022947A KR20167022947A KR102154382B1 KR 102154382 B1 KR102154382 B1 KR 102154382B1 KR 1020167022947 A KR1020167022947 A KR 1020167022947A KR 20167022947 A KR20167022947 A KR 20167022947A KR 102154382 B1 KR102154382 B1 KR 10215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l strain
induced
trpv1
pain
gastro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992A (ko
Inventor
이아몬 코놀리
볼프강 쿤제
존 비에넨스톡
Original Assignee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filed Critical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6011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4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involving analysis of members of signalling path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72Intra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and their receptors, e.g. including ion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1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volving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6Gastro-intestinal dise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체예들은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제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 선택되고 확인된다.

Description

위장 통증을 조절하는 제제의 선택 {SELECTION OF AGENTS MODULATING GASTROINTESTINAL PAIN}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주로 위장 통증의 조절 그리고 특히 위장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제제들, 가령, 젖산균의 선택, 및 이러한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배경
위장 통증은 위장관과 관계된 많은 병태들, 질환들 및 장애들의 한 증상이다. 기능성 복통은 재발성 복통을 의미한다. 재발성 복통을 보유한 환자들의 대다수는 "기능성" 또는 "비-기관적" 통증을 가지는데, 이는 통증이 물리적 이상에 의해 유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운동 장애들은 또한 통증 및 변비 또는 설사와 관련된다. 이 용어는 창자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거나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근육 활동을 협응하는 능력을 상실한 다양한 장애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장애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복부 팽만
● 재발성 폐쇄
● 급경련 복통
● 변비
● 위식도 역류 질환
● 난치성, 재발성 구토
● 설사
●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
● 염증성 장 질환
● 변실금
● 영아 산통
● 빈번한 재발성 복통 (FRAP)
● 역류
● 음식물 과민반응
넓은 의미에서, 음식물의 수송 및 소화관으로의 분비에 있어서의 임의의 중요한 변화는 장운동 장애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위장 통증과 관련된 장애 유형이다.
위와 장의 적절한 협응 운동은 소화관을 따라 장의 내용물들을 소화시키고 나아가게 하는데 필요하다. 위장 (GI) 관의 적절한 운동에 필요한 수축 및 이완 패턴은 복잡하며, GI 벽 내부의 신경 및 근육들을 사용한다. 매일, 임의의 시간에, 많은 인자들, 예컨대, 물리적 운동 및 정서적 스트레스가 GI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신생아는 GI 관에서의 복잡한 운동 체계를 발달시켜야 한다. 기능이상 위장 운동은 종종 GI 통증과 관계되어 있다.
노화, 치매, 뇌졸중, 파킨슨 질환, 척수 손상, 분만 중 직장 파열, 당뇨병, 외과적 합병증 및 신경근 장애들, 예컨대, 중증근무력증은, 통증과 관련된 운동 장애들을 유발할 수 있다.
장 운동 및 GI 통증 장애로 진단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은, 수십 년간 결장 질환으로 고려되어 왔으나, GI 운동에 대한 연구가 소장에서 또한 근본적인 운동 교란이 발생할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IBS는 종종 GI 통증을 수반할 수 있으며 TRPV1 면역반응성은 IBS 환자들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kbar, Yiangou 외, Gut 2008).
종종 GI 통증과 관련되는 변비는 미국에서 가장 통상적인 소화문제이지만 이의 빈도에도 불구하고 종종 환자가 2차 장애들, 가령, 직장항문 장애들 또는 게실 질환을 발달시킬 때까지 계속 인식하지 못하고 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GI 통증은 통상적인 변비 증상이다.
변비는 임신 중 꽤 흔하다. 보다 높은 수준의 호르몬 프로게스테론 및 출생전 비타민으로서 섭취될 수 있는 여분의 철로 인해 정상적으로 장을 통해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근육 수축을 둔화시킨다. 이는 종종 하복통을 수반하기도 한다.
변비는 또한 연령 증가와도 관계되어 있어서, 소위 "노화 장(aging gut)"은 통상적으로 특히 7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그리고 만성 의료 기관에서 발견된다.
연령 범위의 장 운동 장애들의 다른쪽 끝에서는, 영아 산통으로 인한 지속적 또는 과다한 울음이 영아기의 가장 큰 고충 문제 중 하나이다. 영아, 부모, 및 관련 건강관리 전문가들에게 이는 고통스러운 일이다. 산통은 종종 갑작스럽게 시작하고 멈춘다.
추정된 자율신경 불균형 다음으로 장의 과운동 또한 산통에 관한 하나의 병인으로서 제시되어 왔다. 운동 활동을 조절하는 많은 기전들이 영아에서는 미숙한 상태이다. 이들 기전들이 미숙함으로 인해 음식섭취 과민증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산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운동 조절 양태들에 있어 성숙 기능이상(maturational dysfunction)을 보유한 영아들의 부분모집단에서 공통된 임상 소견일 수 있으며, 종종 영아들에게 GI 통증을 초래한다.
비정상적 장 수축에 연관되는 장 운동 장애들은 종종 GI 통증과 관련되며, 상이한 장애들에 있어 상이한 종류의 치료법 및 권고사항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이들 일부는 많은 다른 치료법 및 권고사항들 보다 우수하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운동 장애들 및 통증 장애들에 대한 해결해야 할 전반적인 해결의 필요성 및 분명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즉, ; 위장 통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제제들을 어떻게 가장 잘 선택할 것인가?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은 예컨대, 말초신경계 (PNS), 중추신경계 (CNS), 호흡계 및 위장관에서 발현되는 Ca2 + 투과성 양이온 채널이다. TRPV1은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들, 예컨대, 온도, pH 변화 및 캡사이신에 의해 활성화되며, 통각수용기성 및 열성 염증성 통증의 검출에 중요하다. 위장관에서, TRPV1 면역반응성은 예컨대, 내장 감각성 구심신경들에서 찾을 수 있으며 TRPV1 세포들은 예컨대, 위의 통증 감각을 뇌의 상위 센터들로 전송한다. TRPV1은 통증 감각들과 관계된 몇몇 위장 병태들에 연관된 것으로 생각되며, TRPV1 면역반응성은 예컨대, IBS에서 눈에 띄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kbar, Yiangou 외, Gut 2008). 이에 대한 한 예로서, 활성 염증성 장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결장 신경 섬유에서 크게 증가된 TRPV1 면역반응성을 보여준다 (Wang, Miyares and Ahern, 2005 J. Physiol.).
비록 TRPV1이 상이한 통증 양상들을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잠재적 표적인 것으로 고려되더라도, 수용체의 광범위한 발현은 위장 통증을 치료함에 있어서 전신적 TRPV1 길항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수용체를 길항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혈관작용성 펩티드 방출을 저하시켜 심장혈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에 적합한 제제들을 찾는 것이 일반적인 목적이다.
특히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들,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균주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젖산균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그리고 그 외 다른 목적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예들에 의해 개시된다.
구체예들 중 한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들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양태의 구체예들은 상기 확인된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의 구체예들은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확인된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또다른 양태의 구체예들은 상기 확인된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하나의 제제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제약상 허용가능한 희석제,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식품, 식품 보충제 및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체예들의 한 관련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조성물을 정의한다.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관련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식제품 또는 식품 보충제 제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확인된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또는 상기 정의된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조성물의 용도를 정의한다.
또한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기 확인된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또는 상기 정의된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조성물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들은 위장 통증을 유발하는 또는 위장 통증과 관계된 장애 또는 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 바람직하게는 인간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제들, 특히 박테리아 균주, 가령, 젖산균을 선택 또는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용어들이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위장 통증"은 GI 통증으로도 언급되며, 개체의 위장계에서의 통증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장 통증은 종종 전형적으로 위장계의 다양한 질환들 및 장애들에 의해 유발되거나 이들과 관련된다, 즉, 이러한 질환들 및 장애들의 증상 또는 질병 요소이다. 위장 통증은 위장계에서의 일반적인 통증을 포함하며, 종종 해당 분야에서의 일반적 위장 통증, 장 운동 장애들과 관계된 통증, 염증성 장 질환들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인한 통증, 위 통증, 일반적 복통, 내장 통증, 기능성 복통, 빈번한 재발성 복통 및 그 외 다른 기능성 위장 장애들에서의 통증을 의미한다.
"기능성 복통"은 재발성 복통을 의미한다. 재발성 복통을 보유한 환자들의 대다수는 "기능성" 또는 "비-기관적" 통증을 가지는데, 이는 통증이 물리적 이상에 의해 유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장 운동 장애들"은 창자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거나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근육 활동을 협응하는 능력을 상실한 다양한 장애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장애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복부 팽만
● 재발성 폐쇄
● 급경련 복통
● 변비
● 위식도 역류 질환
● 난치성, 재발성 구토
● 설사
●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
● 염증성 장 질환
● 변실금
● 영아 산통
● 빈번한 재발성 복통 (FRAP)
● 역류
● 음식물 과민반응
넓은 의미에서, 음식물의 수송 및 소화관으로의 분비에 있어서의 임의의 중요한 변화는 장운동 장애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위장 통증과 관련된다.
"위 통증(Gastric pain)"은 상복부에서의 통증 또는 불편함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합적 용어이다.
한 구체예에서, 위 통증의 원인은 비-궤양성 소화불량,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 및 위염을 포함하는, 가령 이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위 통증의 원인은 비-궤양성 소화불량 및/또는 위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화 주파수(firing frequency)"는 뇌로의 감각 극파 트레인들(spike trains)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관강내(intralumen) 최고 압력" (PPr)은 관강내 압력 기록들에 기초하는데, 관강내 압력 변화는 장 분절의 세로축의 중간점에서 측정된다. 압력 신호를 분석하여 관강내 최고 압력 (PPr)을 확인하고 측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동성 위장관 복합 운동 주파수" (MMC frequency)는 시공간 맵에서 어두운 MC 띠들의 수를 계수하여 계산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동성 위장관 복합 운동 속도" (MMC velocity)는 이동성 위장관 복합 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시공간 맵에서 각각의 띠의 기울기로부터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제"는 전 세포들(whole cells); 미생물; 조건 배지; 이러한 조건 배지로부터 유도된 단백질, 펩티드, 효소, 및/또는 분자; 전세포 또는 미생물로부터 분비되거나 유도된 단백질, 펩티드, 효소 및/또는 분자; 또는 포유동물의 위장계에서 위장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그 외 다른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물질을 포함한 임의의 물질 또는 재료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제제들의 한 예는 박테리아 균주, 예컨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균주, 및 특히 젖산균 균주들이다. 바람직한 제제들의 또다른 예는 박테리아 균주, 예컨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균주, 및 특히 젖산균 균주들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이다.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um)는, 종종 조건화 배양 배지로도 언급되며, 세포들을 일정 기간 동안 배양시켜 놓은 (배양) 배지이다. 상기 배지에서 배양되는 세포들은 다양한 성분들 또는 분자들, 가령, 단백질, 펩티드, 효소, 사이토킨, 케모카인, 화학물질 등을 방출하거나 분비함에 의해 배지를 "조건화"한다.
장 미생물은 소위 마이크로바이옴-장-뇌 축의 일부로서 뇌에 신호를 전달함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신경계의 발달 또는 기능에 있어서 장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에 대해 거의 알려져있지 않다. 현재 장으로부터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신경 신호의 정량적 성질에 대해 단지 조금만 알려져있다 .
미주신경 섬유들의 뉴런들을 포함한 단일 감각 뉴런들은 자극의 성질 및 강도를 인코드하는 패턴화된 극파 트레인들로서 연속적인 물리적 자극들을 나타낸다. 이것 외에도, 자극들은 다발에 있는 활성 섬유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집단 신호 (population code)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차 구심신경들을 통해 뇌에 도달하는 모든 정보는 신경세포의 극파 트레인들의 언어로 인코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감각 극파 트레인들이 다양한 제제들, 가령, 편리공생, 프로바이오틱 균주들 및 상이한 물질들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아는 것은, 새로운 유익한 장 미생물 및 이의 활성 분자들을 일차 구심신경 발화에 대한 이들의 효과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러한 신호전달계에 개입할 수 있는, 특히, TRPV1 활성화를 조절함으로써 개입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및 그 외 다른 화합물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의 구체예들의 방법은 TRPV1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을 저해함으로써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에 따라 이들 구체예들의 방법은 잠재적으로 위장 통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 및/또는 위장 통증을 감소, 저해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 제제들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방법은 말초 (장의) 신경계 및/또는 중추신경계와 관계된 위장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제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체예들 중 한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즉, 사용하기 위한 제제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예들은 위장 통증을 수반하거나 유발하는 질환들 또는 장애들 그리고 위장 통증 질환들 또는 장애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질환들 또는 장애들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조절함에, 특히 예방 또는 감소, 가령, 저해 또는 치료함에 효과적인 제제들을 확인하는데 있어 선택 도구로서 TRPV1 신호전달 경로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은 전형적으로 본 명세서에 추가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시험관내 또는 체외에서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개체에 투여시 개체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은, 그러므로, 상이한 위장 통증 장애들 및 질환들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에 적합한 제제들을 찾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제들은 위장 통증을 조절, 즉, 바람직하게는 예방, 감소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유익한 방식으로 개체의 TRPV1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를 이용하여 예방 또는 치료되는 위장 통증과 관계된 장애 또는 질환은 위장 통증 장애 또는 질환이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통증은 위 통증이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통증은 내장 통증이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통증은 산통을 앓고 있는 개체에 존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통증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을 앓고 있는 개체에 존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통증은 변비를 앓고 있는 개체에 존재할 수 있다. 위장 통증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장 운동 장애들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개체는 위장 통증과 관계된 장 운동 장애를 앓고 있다.
상기 구체예의 방법은 상이한 병태들 및 장애들, 가령, 운동 장애들과 관계되고 중추적으로 또는 말초적으로 드러나는 통증을 포함한 위장 통증이, TRPV1 활성화에 연결되며, 이는 젖산균과 같은 기존에 공지되지 않은 제제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예상밖의 발견에 기초한다.
위장 통증의 한 종류는 복부 내장 (기관들)의 통각수용기의 활성화로 인한 내장 통증이다. 내장 조직들은 팽창 (연신), 허혈 및 염증에 매우 민감하지만, 통상적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다른 자극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내장 통증은 광범위하고, 국소화하기 어려우며, 종종 원거리의, 통상적으로 피상적인 구조에 대해 언급된다. 내장 통증은 메스꺼움, 구토, 활력 징후의 변화 뿐만 아니라 감정 소견과 같은 증상을 수반할 수 있다. 내장 통증은 구역질, 심부 압박, 및 무뎌짐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뚜렷한 구조적 병변 또는 생화학적 이상은 오직 일부분의 환자들에서의 이러한 통증 유형을 설명한다. 이러한 질환들은 종종 위장 신경근 질환들 (GINMD)로 그룹화된다. 사람들은 또한 어떠한 구조적, 생화학적 또는 조직병리학적 이유도 없이 사실상 종종 매우 강한 내장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
통각수용기는 작용 전위를 척수의 전외측로 (소량 미주신경 투사를 더함)로 그 후 시상으로, 및 대뇌섬 및 대상 피질을 포함한 전뇌로 전송하는 특정 통각수용기성 뉴런들 (Aδ 또는 C)로 보냄으로써 잠재적으로 자극들을 손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반응하는 감각 수용기이다. 장 병리학에서 유래한 통증 인식에 중요한 것은 장간막 구심신경 다발들에서 이동하는 외인성 일차 구심신경 섬유들을 통한 장으로부터 중추신경계로의 통증 메시지들의 활성화이다.
상기 방법은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사용하기 위한 제제를 선택하기 위하여 원하는 성질들, 예컨대, TRPV1 활성화의 감소 성질을 보유한 제제들을 선별함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측정되어야 하는 매개변수, 즉,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는 상이한 모델 및 시스템에서 모니터되고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제제들이 위장 통증에서의 통증 신호전달에 대하여 가지는 상세하고 잠재적으로 미묘한 차이의 효과들을 정의하는데 유용한 프로파일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측정될 수 있는 다른 매개변수들은 일반적인 통증 신호전달, 신경 발화 활성, 예컨대, 장간막 신경 다발 분석, 및 위장 통증에 관한 상이한 생체내 모델들의 사용가능성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TRPV1 활성화는 TRPV1 발현 세포들, 가령, 후근 신경절 (DRG) 뉴런, CaCo2 세포 또는 또다른 표준 인간 장 상피 세포주에서 측정된다. 자발적 TRPV1 활성화 및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또는 온도에 의해 유도된 후의 TRPV1 활성화 모두가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TRPV1을 발현시키는 임의의 세포 또는 조직이 상기 구체예들에 따라 TRPV1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시험되는 제제와 TRPV1 발현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세포를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킨 다음, 즉, 접촉시킨 후 세포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와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를 비교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가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보다 낮은 경우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제제로서 시험된 제제를 선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조군의 TPRV1 활성화는 다양한 구체예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전혀 위장 통증이 없는 것에 상응하는 정상 또는 기준선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활성화 수준을 보유한 TRPV1 발현 세포들로부터 미리 정의되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를 결정하는 바람직한 구체예는 TRPV1 발현 세포를 내부 대조군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세포를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기에 앞서 세포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세포를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기에 앞서 세포에서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에 기초하여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 측정은,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를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기에 앞서 그리고 상기 세포를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킨 후 두번 실시된다.
대안적으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 측정은 2회의 병렬 실험들: 세포가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되는 하나의 실험 및 세포가 제제와 접촉되지 않는 하나의 대조 실험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2회의 실험들에서 사용되는 세포들은 동일한 유형, 가령, 둘 모두 DRG 뉴런, CaCo2 세포 또는 또다른 표준 인간 장 상피 세포주이다.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는 두 실험들 모두에서 측정된 후 서로 비교된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세포는 체외 표본들, TRPV1 발현 세포주, 가령, TRPV1 발현 인간 장 상피 세포주, 및 TRPV1 발현 일차 세포들을 포함한 임의의 TRPV1 발현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 및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 수준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한 각각의 매개변수 값 또는 측정치로서 표현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예컨대, 후근 신경절 (DRG) 뉴런과 같은 일차 세포들이 TRPV1 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CaCo2와 같은 TRPV1 발현 세포주 또는 또다른 표준 인간 장 상피 세포주들이 TRPV1 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TRPV1 발현 세포주들이 TRPV1 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예컨대, Chantest사의 카탈로그 번호 CT6105를 보라.
TRPV1 발현 및/또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모니터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해당 분야에서 리포터 세포로도 지칭되는 리포터 유전자 세포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RPV1 활성화를 연구하기 위해, 예컨대,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된 칼슘 유입 및/또는 TRPV1 발현 세포들에서 제제에 의한 칼슘 유입 억제 그리고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된 장간막 신경 다발들의 발화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능적 분석을 포함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몇가지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Reubish, Emerling et al., BioTechniques 2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간 PCR 기기를 사용한 온도-개폐성 이온채널 활성의 기능 평가가 TRPV1 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TRPV1 채널에 대한 리포터 마우스가 TRPV1 활성화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생체내 패러다임들 또한 본 발명에서 통증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은 예컨대, 위 팽만 및 심박수에 대한 영향 (실시예 3 참조) 및 결장직장 팽창 모델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캡사이신 또는 TRPV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또다른 물질, 예컨대, 캡사이신 유사체, 또는 TRPV1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들에 의해 유도된, 세포에서의 Ca2 + 유입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pH 또는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 선택된 물리적 조건들에 세포들을 노출시키는 것이 TRPV1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성 pH, 염기성 pH 및/또는 열 (상승된 온도,전형적으로 약 42℃ 이상)에 세포들을 노출시키는 것은 TRPV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구체예에서, TRPV1 발현 세포에서의 Ca2+ 유입은 TRPV1 활성화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사용된다. 이 때 TRPV1 활성화의 감소, 그리고 특히 pH-유도된, 열-유도된 및/또는 캡사이신-유도된 TRPV1 활성화의 감소는 Ca2+ 유입의 감소로서 측정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세포에서 온도-개폐성 이온채널 활성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체예에서, TRPV1 발현 세포에서 온도-개폐성 이온채널 활성은 TRPV1 활성화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사용된다. 온도-개폐성 이온채널 활성은 자발적이거나 유도된, 가령, 증가된 온도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 때 TRPV1 활성화의 감소는 상기 세포에서 온도-개폐성 이온채널 활성의 감소로서 측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TRPV1 활성화는 장간막 구심 신경 다발 실험들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그러므로, 측정될 수 있는 또다른 매개변수는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장간막 구심 신경 다발들의 발화 주파수이다. 이러한 기술은 시험되는 상이한 제제들에 의해 유도된 장간막 신경 섬유들의 흥분성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위장 분절은 신경 다발을 함유한 장간막 연속활을 보유하거나 보유하지 않은 채 절제되는데, 이는 체외에서의 신경 다발 기록들을 위해 척수 및 미주신경 섬유들 모두로 이루어진 분절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참조).
일부 구체예들에서, 위장관의 부위적 특이성이 중요하다. 상기 방법의 장간막 신경 분석에 적절한 분절들은 바람직하게는 장간막 구심 신경 발화율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신경 다발을 포함한다. 이는 위장 분절에 장간막 조직을 부착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 참조). 그러므로 이 구체예는 적절한 실험 동물로부터 얻은 체외 분절들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 위장 분절들 (예컨대, 결장 또는 공장 분절들)에서 편리하게 실시된다. 소장 대 대장에 대한 제제의 효과 비교를 실시하는 능력은, 치료될 장 운동 장애 및 이러한 장애의 임상 병기 및 증상들에 따라, 부위-특이적, 예컨대, 소장 또는 대장 중 하나에 특이적인 치료가 유익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장 중 특수한 그리고 선택된 부분들에 대하여 구심 장간막 신경 척수 신호(traffic)가 분석된다. 놀랍게도, GI-관의 한 부분에서는 상이한 제제들, 가령, 젖산균이 위장 통증 신호전달계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GI-관의 또다른 부분에서, 그리고 상이한 신경 경로들, 가령, 미주신경을 통해 또는 후근 신경절을 통하는 내장 통증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장간막 조직이 부착된 체외 위장 분절을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시험되는 제제와 체외 위장 분절을 접촉시킨 후 체외 위장 분절에서의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과 비교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구체예에서,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이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보다 낮은 경우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로서 시험되는 제제를 선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은 체외 위장 분절을 내부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방법은 체외 위장 분절을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기에 앞서, 체외 위장 분절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체외 위장 분절을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기에 앞서, 체외 위장 분절에서 측정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에 기초하여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2회의 병렬 실험들이 실시될 수 있다. 이들 실험 중 하나에서, 체외 위장 분절은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되며, 다른 하나의 실험, 대조군 실험에서, 체외 위장 분절은 제제와 접촉되지 않는다.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은 두 실험들 모두에서 측정되어 서로 비교된다.
상기 이들 매개변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분석하는 것은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성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체외 위장 분절은 체외 결장 또는 공장 분절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방법은 장간막 조직이 부착된 체외 결장 또는 공장 분절을 시험되는 제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예는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방법들에서, 제공된 분석은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들 매개변수들 중 하나 또는 여러개를 분석하는 것은 위장 통증을 감소 및/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들을 선택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은 본 출원의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위장 통증을 치료,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제제들을 찾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이한 모델들을 사용하여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매개변수를 분석하는 것은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제제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TRPV1 활성화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그리고 제제에 의한 이의 저해)에 대한 제제의 효과를 분석하므로 위장 통증 신호전달에 관한 판독정보로서, 즉, 위장 통증, 예컨대, 내장 통증에 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자발적 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TRPV1 활성에 있어서의 증가 또는 현저한 효과 없음은 각각 위장 통증을 증가시키기 쉬운, 또는 위장 통증에 대해 전혀 현저한 효과가 없는 제제임을 나타내는 반면,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TRPV1 활성의 저하는 위장 통증을 감소시키게 되는 제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제제들은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된 TRPV1 활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제제들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장간막 구심 신경 발화 (통증 신호전달)를 분석하여 TRPV1 활성에 대한 제제의 효과를 분석하므로, 위장 통증에 대한 판독 정보로서, 즉, 제제가 위장 통증, 예컨대, 내장 통증에 대한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심 신경 발화율에 대한 증가 효과 또는 현저한 효과 없음은 각각 위장 통증을 증가시키기 쉬운, 또는 위장 통증에 대해 전혀 현저한 효과가 없는 제제임을 나타내는 반면, 구심 신경 발화율의 저하는 위장 통증을 감소시키게 되는 제제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제제들은 구심 신경 발화율의 저하, 예컨대, 구심 신경 다발의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발화 주파수 저하를 가져오는 제제들이다.
시험되는 제제는 TRPV1 활성 분석을 위해 선택된 시스템에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된다. 통증 신호전달에 대한 제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제제의 존재 및 부재에서 편리하게 실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 단계는 제제를 처리하기 전 및 처리한 후에 실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들에서, 제제의 효과를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는데, 예를 들어, 시험 제제가 존재할 때의 결과를 시험 제제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결과, 예컨대, 완충액에 제제를 더한 것이 아니라 완충액만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한다.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특정 젖산균의 균주들, 예컨대, DSM 17938이, 상이한 체외시험관내 모델들 (실시예 1 및 2 참조)에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박테리아 균주, 더욱 바람직하게는 젖산균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은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결정된,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젖산균 균주들을 확인하고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젖산균을 시험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양태는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 즉,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이다.
바람직한 제제는 미생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균주, 바람직하게는 젖산균이며, 이의 일부분 또는 대사산물들을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제제는 이러한 미생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이다.
상기 구체예들의 관련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구체예들의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를 정의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사용하기 위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RPT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체예들의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에 대한 제제의 영향을 모니터함으로써 평가되는, 위장 통증의 감소 또는 예방을 위해 통증 신호전달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제가 선택될 것이다. 이러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DRG 뉴런, 또는 그 외 다른 TRPV1-발현 세포들 또는 조직에서 TRPV1 활성화를 감소 또는 저하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TRPV1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1차 세포 및 세포주를 포함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상이한 시험관내 시스템 또는 모델들을 사용하여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TRPV1 활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장간막 구심 신경 다발들에서 TRPV1 활성화를 감소 또는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제가 선택될 것이다. 상기 제제는 장간막 구심 신경 다발들의 자발적 및/또는 (예컨대 캡사이신, pH 변화 및/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발화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은 또한 위장 통증의 치료에 적절하지 않은 제제들, 예를 들면, 통증 신호전달을 감소시킴에 있어 유익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제들을 선택 또는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이 상기 내용으로부터 자명하다. 특히, 이러한 매개변수에 대해 전혀 효과를 보이지 않는 제제들은 위장 통증의 감소 또는 예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의 증가로 측정된, 통증 신호전달의 증가 효과를 가지는 제제들은 위장 통증의 감소 또는 예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양태는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 및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제약상 허용가능한 희석제,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식품, 식품 보충제 및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그리하여, 한 구체예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구체예들의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제약상 허용가능한 희석제,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식품, 식품 보충제 및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은 상기 구체예들에 따라 선택된 제제와 함께 투여되거나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은 상기 구체예들에 따라 선택된 제제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투여요법 및 투여시기는 논의되는 추가 성분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은 임의의 적절한 영양 성분, 예컨대 식품 또는 식품 보충제이다.
한 구체예에서,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는 논의되는 위장 통증의 예방 또는 감소, 가령 치료에 있어 유용한 임의의 다른 제제일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는 위장 운동 및/또는 혼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제이다. 이 때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위장 운동 및/또는 혼합을 조절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되고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치료될 병태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다른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체예들의 제제는 두 가지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즉, 위장 통증 및 위장 운동 및/또는 혼합 모두에 기능을 할 수 있다.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임을 목적으로 본 구체예들에 따라 선택된 제제는 또한 위장 운동 및/또는 혼합을 조절함에 추가적으로 효과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또다른 또는 추가적인 분석 또는 선택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제는 위장 통증 및 운동 변화 모두를 함께 해결함으로 인해, 예컨대 운동 장애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에 흥미로울 수 있다. 운동 및/또는 혼합을 분석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이다. 분석되는 매개변수들에는, MMC 주파수, MMC 속도, 관강내 압력, 가령, PPr 및 그 외 다른 기능성 모델들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운동 분석에 있어서, 제제에 의해 유도된 위장 운동의 변화는 예컨대 운동 패턴 또는 수축 진폭에 있어서의 변화로서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제제들은 효과가 전혀 없을 것이다. 위장 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MMC 주파수 및/또는 MMC 속도 및/또는 관강내 압력, 가령, PPr을 증가시킴으로써 위장 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제는 위장 통증과 관계된 장애들, 가령 변비 및 산통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때 이 제제는 소화관을 따르는 추진성 운동을 증가시키기에 유리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치료의 대상이 되는 장 운동 장애가 장을 통과하는 물질의 수송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장애, 예컨대 급속한 통과 수송을 수반하는 장애들, 가령 IBS 또는 설사인 경우, 이 때 관심이 가는 제제는 위장 통증 조절에 대한 효과 이외에도, 예를 들면, MMC 주파수 또는 MMC 속도 또는 관강내 압력, 예컨대 PPr을 저하시킴으로써 위장 운동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제들은 최소한 MMC 속도를 저하시킬 것이다. 바람직한 제제들은 상기 매개변수들 중 둘 또는 그 이상을 저하, 예를 들면 MMC 속도 및 MMC 주파수를 저하시키거나, MMC 주파수 및 관강내 압력 (예컨대 PPr)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MMC 속도 및 관강내 압력 (예컨대 PPr)을 저하시킬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제제들은 상기 매개변수들 모두를 저하, 예를 들면 MMC 주파수, MMC 속도 및 관강내 압력 (예컨대 PPr)을 저하시킬 것이다. 운동 분석은 소장 또는 대장으로부터 얻은 적절한 위장 분절, 예를 들면 소장에 있어서 공장 분절 또는 대장에 있어서 결장 분절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장, 예컨대 결장 분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체예들의 관련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의 감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또는 식품 보충제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 예컨대 상기 구체예들에 따른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사용을 정의한다.
상기 구체예들의 또다른 관련 양태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의 감소 또는 예방 방법을 정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제제, 예컨대 상기 구체예들에 따른 선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제,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들의 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박테리아 균주, 바람직하게는 젖산균 균주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 가령,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 바람직하게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젖산균 균주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이다.
이들 양태들의 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제는 또다른 젖산균 균주이다, 즉, 제제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 이외의 젖산균 균주,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 이외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이다.
이들 양태들의 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박테리아 균주, 바람직하게는 젖산균 균주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 가령,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 바람직하게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젖산균 균주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이다.
한 구체예에서, 제제는 젖산균 균주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 또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 이외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이다. 이러한 조건 배지에 사용되는 배지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젖산균 균주들을 배양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배지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MRS (de Man, Rogosa & Sharpe) 배지는 젖산균 균주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로부터 조건 배지를 생성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젖산균 균주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는 조성물에 유입되기 전 동결건조되거나 조성물로서 사용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젖산균 균주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 중 하나 또는 몇가지 성분들은 분리되어, 정제된 및/또는 농축된 성분들로서, 적합한 조성물의 형태로 개체에 투여된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들에는 바람직하게는 젖산균 균주로부터 그 배지로 분비된 단백질, 펩티드, 효소 및 그 외 다른 분자들이 포함된다. 또한 젖산균 균주들로부터 직접 추출된 이들 성분들은 상기 구체예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 또는 조성물의 적절한 투여 및 제형화 방식은 질환 부위에 따라 선택된다. 바람직한 투여 방식은 경구 주입이지만, 균등한 일부 치료에 있어서 혈관내 또는 근육내 주입이 적절할 것이다.
제제 또는 조성물의 적절한 용량은 치료되는 장애, 투여 방식 및 고려되는 제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TRPV1 수용체는 위장 통증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국소적으로, 예컨대 GI 관에서 선택적으로 TRPV1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경구 투여되는 젖산균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개체에서 임의의 역효과는 최소화된다. 제제, 특히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의해 선택된 젖산균 균주의 이러한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국소적으로, 즉, 위장계 내부에서 TRPV1 활성화에 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 때 제제는 위장 통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킴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면서 위장계 밖에서의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TRPV1 조절을 최소화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예들의 방법 및 용도들에서, 용어 "증가하다", "저하시키다", "감소시키다" 등은 측정가능한 수준 변화, 바람직하게는 현저한 수준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계적으로 현저한, 바람직하게는 ≤0.05의 확률값의 변화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개체들은 포유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치료될 위장 통증과 관련된 장 운동 장애가 변비이면, 바람직한 개체들은 노인 환자들 또는 임산부이다. 노인 환자는 일반적으로 70세 또는 그 이상의 연령의 환자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치료될 위장 통증과 관계된 장 운동 장애가 산통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 산통은 영아 산통이다.
상기 구체예들의 방법에 따라 선택된 제제들, 바람직하게는 젖산균 균주들의 용도에는, 관련 장애 또는 장애의 증상들의 감소, 예방 또는 경감이 포함된다 (예컨대 질환 증상들을 조절할 수 있다). 장애 또는 장애의 증상들의 이러한 감소, 예방 또는 경감은 임의의 적절한 분석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제제들의 일부분 또는 대사산물들을 포함한 제제들, 가령, 예컨대 특정 운동 장애들 및/또는 그 외 다른 위장 통증 장애들/질환들에 있어서 위장 통증을 치료, 감소, 예방 또는 조절하기에 적합한 조건 배지에 존재하거나 조건 배지로부터 추출되는 제제들, 가령, 젖산균을,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에 대한 상기 제제의 효과에 기초한 본 명세서에서의 모델을 사용하여 찾는 것이 구체예의 목적이다.
한 구체예에서 목적은 인간, 특히, 노인 또는 임산부에서 변비와 관계된 위장 통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킴에 효과적일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균주, 가령, 젖산균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목적은 영아 산통과 관계된 위장 통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킴에 효과적일 수 있는 제제, 예를 들면, 젖산균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목적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의 위장 통증 증상들을 치료, 예방 또는 감소시킴에 효과적일 수 있는 제제, 예를 들면, 젖산균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기 구체예들은, 이들의 또다른 목적 및 이점들과 함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고하면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1x108 DSM 17938 유닛 (cfu)/ml (A), 1x109 cfu/ml DSM 17938 (B), 희석된 DSM 17938 조건 배지 (1:5) (C), 1x109 cfu/ml γ-조사된 DSM 17938 (D), 및 희석된 배지 단독 (1:5) (E)을 첨가 후 장간막의 다중단위 자발적 발화율을 보여준다 (윌콕슨 검정법).
도 2는 척수 구심신경의 자발적 발화율에 대한 DSM 17938의 효과를 보여준다. A) 1x109 cfu/ml DSM 17938이 관강에 첨가되었을 때 다중단위 발화율이 저하되었다 (윌콕슨 검정법). B) 좌측 패널, 척수 단일-단위 발화율은 DSM 17938에 의해 감소되었다 (윌콕슨 검정법). C) 상부 패널은 DSM 17938을 첨가 전 및 첨가 후 자발적 다중단위 방전에 관한 대표적인 흔적들이고; 하부 패널은 상부 흔적들에서 "o"으로 표시된 시간에 발생한 하나의 단일 단위의 복합중첩 파형들이다.
도 3은 DSM 17938이 장막의 초융합액(serosal superfusate)에 캡사이신을 첨가함에 의해 척수 섬유들의 흥분 반응을 길항하였음을 보여준다. A) 113개의 척수 개별 단일 단위들로부터의 캡사이신 용량-반응 곡선을 플롯하고 (●), 3-변수 로지스틱 방정식을 사용하여 피팅하였으며, EC50= 200 nM, 최대= 238 ± 27 %이고; 추가적인 116개 섬유들에 관하여 1x109 cfu/ml DSM 17938의 존재하에서 캡사이신에 대한 용량-반응 곡선을 추가로 플롯하고 (■) 동일한 로지스틱 방정식을 이용하여 피팅하였으며, 여기서 EC50= 500 nM 및 최대= 129 ± 17 %이다 (EC50 및 최대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하여 각각 P= 0.7 및 P= 0.004임, 추가 자승합 F 검정(extra sum-of-squares F test)). B) 1x109 cfu/ml DSM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캡사이신의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단일 단위 반응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평균 및 SEM을 사용한 요약 산점도. (n)은 각 그룹에 대한 단일 단위의 비율을 표시한다.
도 4는 척수 단일 단위에서 DSM 17938 또는 TRPV1 길항제가 팽창-유발된 흥분 반응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A) 관강에 1x109 DSM 17938을 첨가하면, 관강내 압력을 48 hPa로 상승시킴에 의해 유발된 척수 단일 단위 발화율의 증가를 감소시킴을 보여주는 산점도이다. B) 10 μM의 TRPV1 길항제 6-아이오도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관강에 첨가하는 것은 DSM 17938을 첨가한 효과를 모사하였다 (윌콕슨 검정법).
도 5는 후근신경절 신경 세포체에서 DSM 17938이 캡사이신-유발된 Ca2 + 상승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준다. A) 1 μM 캡사이신은 DRG 뉴런에서의 Ca2 + 유입 증가를 유발하였는데, 이러한 증가는 관강내 DSM 17938에 의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1x109 cfu/ml JB-1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B) 캡사이신에 의해 유발된 최대 Ca2 + 형광 (F)의 기준선 Ca2 + 형광 (F0)에 대한 비율 (F/F0)이 DSM 17938 농도 또는 JB-1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요약도이다. (P 값, 본페로니의 다중 비교 검정).
도 6은 9일간의 DSM 17938 공급이 위 팽창 유발 서맥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준다. A) 40 및 60 mmHg의 위 팽창에 의해 유발된 휴식기 심박수에 있어서의 저하 백분율에 대한 요약 값들 (P 값, 비대응 t 검정). B) 60 mmHg 위 팽창에 대한 반응에서 시간에 따라 휴식기 심박수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요약도. (P= 0.01,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검정).
도 7은 척수 구심신경에 대한 캡사이신 흥분 작용의 DSM 17938 유도된 저하가 DSM 17938 조건 배지에 의해 모사되었음을 보여준다. 대조군 조건에서 1 μM 캡사이신에 의해, DSM 17938 조건 배지 (1:5) 또는 1x109 cfu/ml DSM 17938로 유도된 단일-단위 척수 섬유들의 발화 주파수 증가를 보여주는 요약도 (P=0.02,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검정; 사후 (post-hoc) P 값, Holm-Sidak's 다중 비교 검정).
다음은 상기 구체예들 중 일부 실시예들이며, 이는 본 출원의 구체예들의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 실시예를 상세히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1은 DSM 17938이 장간막 신경 발화 주파수를 저해함을 보여주는 장간막 신경 다발 실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는 DSM 17938이 DRG 1차 배양에서 캡사이신-유도된 칼슘 유입을 차단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3은 DSM 17938이 위 팽만에 의해 유발되는 심박수 저하를 저해함을 입증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장간막 신경 다발 실험들
세포외 기록
수컷 성체 Swiss Webster 마우스 (20-30 g)들을 Charles River Laboratories(Wilmington, MA)로부터 입수하였다. 이 마우스들을 경추 탈골시켜 죽였다. 모든 이후 절차들은 체외에서 이루어졌다.
장간막 조직이 부착된 말단 공장의 분절들 (~2.5 cm)을 새로 죽인 동물로부터 제거하여 하기와 같은 Krebs 완충액 (mM)을 채운 Sylgard-코팅된 페트리 접시에 넣었다: 118 NaCl, 4.8 KCl, 25 NaHCO3, 1.0 NaH2PO4, 1.2 MgSO4, 11.1 글루코스, 및 카보겐 (95 % O2 - 5 % CO2)으로 발포된 2.5 CaCl2. 각 분절의 경구 및 항문 말단에 플라스틱 관을 삽입하여 비워냈다. 이 조직을 Sylgard에 핀으로 고정시키고, 장간막 신경 다발을 노출시켰다. 페트리 접시를 도립 현미경의 스테이지 위에 놓고 관강 중력을 산소화 Krebs 또는 첨가제를 보유한 Krebs을 이용하여 0.5-1 ml/분으로 관류시켰다(Perez-Burgos A., Wang B 외.,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장막 구획을 예열된 (34℃) Kreb을 이용하여 3-5 ml/분으로 별도로 관류시켰다. 신경 다발을 패치-클램프 전극 홀더 (CV-7B;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에 부착된 유리 피펫으로 조심스럽게 흡입시키고, Multi-Clamp 700B 증폭기 및 Digidata 1440A 신호 변환기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세포외 신경 기록들을 생성하였다. 전기 신호들을 0.1-2 kHz에서 대역통과-필터링시키고, 20 kHz에서 샘플링하고, pClamp 10 소프트웨어 (Molecular Devices)를 실행시켜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관강내 압력을 2 hPa 이상으로 올려 분절들을 반복하여 팽창시켰다. 관강을 관류시키면서 48 hPa의 일정한 중력 압력 수두를 Krebs에 처리하고 1분간 유출관을 폐쇄하여 최대 3회까지 연속 팽창시켜 압력을 올렸다. 팽창들 사이 9분간 분절들을 놓아두었다. 양의 관강내 압력의 부재하에서 구성 다중단위 (constituitive multiunit) 전기 활성을 기록하였다.
미주신경절단
기존에 설명된 바와 같이, 횡격막하 미주신경절단을 실시하였다 (van der Kleij H, O'Mahony C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2008;295:R1131-7). 전기생리학적 실험들을 위해 공장 및 장간막 조직을 수집하기 전 10-14일 간 동물들이 회복되도록 두었다. 모의 미주신경절단을 3개체의 동물에서 실시하였다. 시술후, 마우스의 체중 및 전신 건강을 매일 측정하였다. 우리는 미주신경절단한 또는 모의-치료한 동물들에서 시술후 1주에는 체중 증가에 있어 현저한 차이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음). 각 실험 후 콜레시스토키닌 (CCK)의 장막 처리에 대한 반응들을 기록하여 상기 절차의 완결에 대해 미주신경절단한 모든 마우스들을 시험하였다. 미주신경절단은 오직 CCK가 장간막 신경 발화를 증가시키지 않았던 경우에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여겨졌다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약물 및 박테리아
BioGaia AB (Stockholm, Sweden)사로부터 DSM 17938를 기증받았으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1는 McMaster University (Ontario, Canada)의 Brian-Body Institute의 재고에서 구했다. 모든 절차들은 기존에 보고된 바와 같았다 (Kunze WA, Mao YK et al., Journal of cellular and molecular medicine 2009;13:2261-70, Ma X, Mao YK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09;296:G868-75, Wang B, Mao YK, FASEB journal: official publication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2010;24:4078-88). 성장 배지 한천 플레이트 위에 놓은 후 박테리아 수를 광학적으로 결정하고, 생존력을 체크하였다. 동결 스톡으로부터 박테리아를 해동시키고, 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펠릿을 Krebs에 현탁시켜 다시 원심분리하고 재현탁시켰다. 사용하기 전, 박테리아를 Krebs를 이용하여 작업 농도로 희석시켰다. 황산화 콜레시스토키닌 (25-33) (CCK)을 AnaSpec사 (Fremont, CA)로부터; 니카르디핀, 캡사이신 및 6-아이오도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Sigma-Aldrich사로부터, 그리고 ω-코노톡신 GVIA (ω-Cg-GVIA) 및 ω-코노톡신 MVIIC (ω-Cg-MVIIC)를 Alomone Labs사 (Jerusalem, Israel)로부터 입수하였다. 6-아이오도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CCK를 DMSO에 용해시키고; 캡사이신을 에탄올에 용해시켜, 원액 알리코트를 제조하였다. 실험 당일에, 알리코트를 각각 ≤ 0.01 % 및 ≤ 0.1 %의 최종 DMSO 및 에탄올 농도의 작업 농도로 Krebs에 희석시켰다.
오프 -라인 데이터 분석
다중-단위 및 단일-단위 자발적 발화 주파수를 Clampfit 10.2 (Molecular Devices) 및 Origin 8.5 (Northampton, M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이한 자극들 또는 약리학적 제제들에 장을 노출시킴으로써 유도된 장간막 신경 섬유 발화율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다중-단위 및 단일-단위 극파 기록들이 사용되었다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Clampfit의 피크 검출 모듈을 사용하여 다중단위 기록에 있어서의 극파 시간을 결정하였으며 극파 간격들로부터 극파간 평균 발화 주파수를 계산하였다. Clampfit의 극파 모양 주형 검출 툴을 사용하여 극파 모양을 대응시켜 다중단위 신호로부터 단일-단위들을 추출하였다(전산화된 파형 분석). 주형 검출 알고리즘을 실행시킨 후, 단일-단위 극파 판별을 항상 육안으로 관찰하여 체크하였으며, 대응되지 않은 극파 건들은 폐기하였다 (<0.2 %)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통계
데이터는 다중단위 기록들로부터 기록된 공장 분절들의 총 수를 의미하는 N 및 다중단위 기록들로부터 얻은 단일 섬유 활성의 수를 의미하는 n과 함께 평균 ± SE로서 표현된다. 우리는 각 다중단위 기록으로부터 최대 6개의 단일-단위들을 얻었다. 윌콕슨 또는 비대응 t 검정이 각각 대응 또는 비대응 데이터 비교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여러 군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페로니 사후 검정과 함께 일원 및 이원 분산분석 (one-way and two-way ANOVA)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다. 하나의 표본과 또다른 표본간에 자발적 활성에 있어서 큰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처리 또는 약물 용량에 있어서의 현저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단위 신경 활성에 있어서 비교값들을, 각 신경 다발을 그 자체로서 대조군으로 하여 생성된 치료 전 및 치료 후 기록들과 대응시켰다. 기준선 주파수 이상의 발화 증가 백분율 대. 캡사이신 농도 (박테리아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를 플롯하고 이를 로지스틱 용량-반응식 [Y = Bottom + (Top - Bottom/1 + 10LogEC50- X )]에 의해 피팅(fitting)하였다. 상기 로지스틱 핏들을 설명하는 매개변수들을 추가 자승합 F 검정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프리즘 소프트웨어 5.0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을 사용하여 모든 통계학적 검정들을 수행하였다.
장간막 신경의 자발적 발화 주파수에 대한 DSM 17938의 효과
관강내(Luminal) DSM 17938은 장간막 신경의 자발적 다중단위 방전에 영향을 주었다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1x109 cfu/ml의 관강내 DSM 17938은 자발적 다중단위 발화 주파수를 36.3 ± 8.4로부터 28.2 ± 7.2 Hz로 22% 만큼 저하시켰다 (N= 7, P= 0.02, 도 1A); 1x108 cfu/ml에서의 DSM 17938은 자발적 방전을 21.6 ± 5.1로부터 17.6 ± 6 Hz로 19% 만큼 변화시켰다, N= 6, P= 0.09, 도 1B). DSM 17938 조건 배지 (1:5)는 또한 자발적 방전을 22.6 ± 4.2로부터 14.17 ± 2.4 Hz로 37% 만큼 저하시켰다 (N= 7, P= 0.03, 도 1C). 그러나 γ-조사한 죽은 DSM 17938 또는 액체배지 단독은 다음과 같이 구심신경 흥분성을 저하시키지 않았다: 각각 17.84 ± 5.3로부터 18.25 ± 4.1 Hz로 (N= 6, P= 0.84), 그리고 20.48 ± 1.6 로부터 21.49 ± 2.8 Hz로 (N= 6, P= 0.10) (도 1D-E).
미주신경절단 및 근육 마비는 DSM 17938에 의한 장간막 신경 자발적 발화율의 감소를 저해하지 않았다
우리는 DSM 17938 1x109 cfu/ml의 자발적 방전에 대한 효과가 사전 미주신경절단에 의해 없어지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평활근 세포들에 대해 일어날 수 있는 DSM 17938의 직접 작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우리는 여기에서 그리고 자발적 발화율에 관한 모든 후속 실험들에서 근육 수축을 저해하는 L-형 Ca2 + 채널 차단제 니카르디핀 (3 μM)을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미주신경절단 및 니카르디핀을 추가한 후, DSM 17938은 다중단위 발화 주파수를 16.72 ± 1.9로부터 13.77 ± 1.9 Hz로 18% 만큼 감소시켰다 (N= 17, P= 0.001, 도 2A, 2C). 그 후 미주신경절단된 동물들 및 마비된 근육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단일-단위 발화율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DSM 17938은 단일-단위 발화 주파수를 0.36 ± 0.05로부터 0.29 ± 0.03 Hz로 19% 만큼 감소시켰으며 (n= 30, P= 0.02, 도 2B, 2C); 이들 섬유들 중에서, 대다수(20/30)는 0.42 ± 0.06로부터 0.27 ± 0.04 Hz로 36%의 주파수 저하를 보여주었으나 (P< 0.0001), 남아있는 보다 적은 분획의 섬유들은 발화율을 0.24 ± 0.04로부터 0.31 ± 0.06 Hz로 29% 증가시켰다 (n= 10/30, P= 0.006).
DSM 17938은 TRPV1 수용체의 비극복성 불완전 길항작용에 의해 척수 단일-단위 발화 주파수 및 캡사이신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켰다
우리는 DSM 17938이 사전에 미주신경절단한 마우스로부터 얻은 조직에서 단일-단위 흥분에 있어 캡사이신-유도된 발화 주파수 증가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장막 구획에 처리된 캡사이신은 자발적 다중-단위 및 단일-단위 발화율을 용량-의존 방식으로 증가시켰으며, ~60 s로 발병을 지연시켰다. TRPV1 캡사이신 감응성 수용체들이 탈감각화되고, 후속의 작용제 투여가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고려하여, 우리는 개별 공장 분절들에서 캡사이신 용량 범위 (100 nM-100 μM)에 대한 반응을 시험하였다. 우리는 DSM 17938 1x109 cfu/ml의 사전 관강내 투여 20분 이내 및 20분 이후 이를 시험하였다 (각 곡선에 대해 N=25, 각 농도 당 5개 분절; ~6 척수 단일-단위를 각 분절에 대해 분석하였다). 캡사이신 농도 또는 캡사이신에 DSM 17938를 더한 농도에 대한 발화 주파수의 증가 백분율을 플롯하고, Y= 최하 + (최대-최하)/(1+10LogEC50 -X) 형태의 3-매개변수 로지스틱 방정식을 이용하여 피팅하였다. 캡사이신 단독에 대한 EC50은 200 nM이었으며, 이는 DSM 17938이 존재하는 캡사이신에 있어서의 500 nM과 비교된다 (P= 0.71). 캡사이신을 이용하여 얻은 최대 반응 (Top)은 238.4 ± 27.5 %이었으며. 캡사이신에 DSM 17938을 더하여 얻은 최대 반응은 129 ± 17 %이었다 (P= 0.004, 도 3A). 전술한 보고들과 일치하게, 일부 척수 섬유들은 캡사이신에 의해 흥분되지 않았다. 우리는 캡사이신이 척수 섬유들을 직접 흥분시켰는지, 또는 흥분이 장의 뉴런으로부터 결절종내(intraganglionic) 척수 말단으로의 벽내 시냅스 전달(intramural synaptic transmission)에 의존적이었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우리는 Ca2 + 차단제 ω-Cg-GVIA 및 ω-Cg-MVIIC 각각을 500 nM 추가하여 벽내 시냅스 전달을 차단한 후, 장막 구획에 1 μM의 캡사이신을 추가하였다. 벽내 시냅스 차단은 캡사이신-유발된 흥분을 감소시키지 않았는데, 이는 코노톡신의 부재하에서 187.5 ± 42.9 % (n= 17)이고 이의 존재하에서는 219.1 ± 72.6 (n= 12) 이었다 (P= 0.947, 도 3B). 우리는 척수 구심신경에 대한 DSM 17938 작용은 벽내 시냅스 전달과 관련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DSM 17938 박테리아의 방출 산물을 함유하는 DSM 17938 조건 배지의 효과는 척수 섬유들에 대한 캡사이신 작용들을 감소시켰다
우리는 DSM 17938 박테리아 산물이 장간막 구심신경에 대한 TRPV1 길항작용의 바탕이 되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자발적 발화 주파수의 DSM 17938-유도된 감소 백분율이 사전 미주신경절단된 및 절단되지 않은 경우의 백분율과 매우 유사하였음을 고려할 때 (각각 18 % 대 22 %) 장간막 구심신경들에서 DSM 17938 표적은 우세하게 척수 섬유들이며; 그 후 우리는 20분간 DSM 17938 조건 배지를 사전 관강내 처리한 미주신경절단되지 않은 장간막 섬유들에 1 μM 캡사이신을 투여하였다. DSM 17938 조건 배지 (1:5)는 장간막 단일 섬유들에 대한 캡사이신-유도된 발화 주파수 증가 (%)를 187.5 ± 43 %(대조군, N= 17)로부터 74.89 ± 22 % (N= 14)로 저해하였으며, 이는 1×109 cfu/ml의 DSM 17938을 처리한 척수 섬유들에 대한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된 증가 백분율 (80.29 ± 22 %, N= 17)과 유사하였다 (P= 0.02, 일원 분산분석 검정; 도 7).
DSM 17938 또는 TRPV1 길항작용은 팽창-유발된 발화율을 감소시켰다
근육 수축을 일으키는 니카르디핀의 부재하에서, 우리는 통각수용기로 추정되는 섬유들의 다중-단위 및 단일-단위 발화 주파수를 기록하였다 (Grundy D, Gut 2004;53 Suppl 2:ii5-8). 우리는 48 hPa(36 mmHg)의 통각수용 강도까지 관강내 압력을 상승시킴에 의해 유발된 섬유들의 흥분 반응을 DSM 17938이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장 팽창에 대한 이들 섬유들의 첫번째 반응은 후속 팽창으로 얻어지는 반응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하나, 최대 3회의 추가 팽창들에 대해서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Perez-Burgos A., Wang B et a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13;304:G211-20). 그러므로 우리는 비교를 위해 3회의 연속 팽창 중 2번째 팽창을 사용하였다. 다중단위 발화율은 팽창하는 동안 111.5 ± 16.7 Hz였으나, DSM 17938을 20분간 첨가한 후, 팽창은 발화율을 단지 86.5 ± 10.6 Hz까지만 증가시켰다 (N= 5, P= 0.31). 척수 단일-단위 발화 주파수는 팽창 동안 3.01 ± 0.44 Hz 이었으나, DSM 17938의 존재하에서 발화율은 팽창 동안 1.71 ± 0.16 이었다 (n= 28, P= 0.008, 도 4A). 대조군 대 DSM 17938 추가시에 대한 사전-팽창 발화 주파수는 0.31 ± 0.05 대 0.25 ± 0.07 Hz 이었다 (n= 28, P= 0.053, 도 4A). TRPV1 길항제 6-아이오도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 (10 μM)은 팽창에 대한 반응을 3.26 ± 0.73 으로부터 2.23 ± 0.50 Hz로 저하시킴으로써 단일-단위 반응에 대한 DSM 17938의 효과를 모사하였다 (니카르디핀의 부재하에서 n= 13, P= 0.0002, 윌콕슨 검정법, 도 4B).
실시예 2
DSM 17938은 DRG 뉴런 1차 배양에서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Ca 2 + 상승을 차단하였다
후근 신경절 ( DRG ) 1차 배양
척주를 몸체로부터 제거하여, 얼음-냉각 Krebs을 함유하는 비커로 옮기고, 세로로 이등분하였다. DRG를 노출시키고 흉요층으로부터 수집하였다. DRG 전체를 멸균 Leibovitz L-15 매질(GIBCO, Gaithersburg, MD)로 2회 세정하고, 37℃의 20 ml L-15에서의 1 mg/ml 1형 콜라겐분해효소 (Sigma-Aldrich; Oakville, ON, Canada) 및 0.5 ml 트립신 (0.25 %, GIBCO)에서 40분간 배양하였다. 10 % 소 태아 혈청 (FBS, GIBCO)을 함유하는 5 ml의 L-15를 추가로 첨가하고, 신경절을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성장 배지 (L-15, 10 % FBS,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글루타민, 1 % HEPES 및 1 % Na 피루베이트 함유)로 2회 세정하였다. DRG를 2 ml의 성장 배지에 넣고 10회 연화시켰다. 그 후 신경절을 10초간 5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멸균관에 옮겼다. 이들을 2 ml의 성장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옮겨진 상청액의 부피가 10 ml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연화시키고, 5 분간 1,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최종 펠릿을 3 ml의 성장 배지에 재현탁시켰다. 뉴런을 폴리-d-리신으로 코팅된 3개의 유리 바닥 페트리 접시(MatTek, Ashland, MA)에 도말하였다. 30분 후 추가의 1.5 ml 성장 배지를 각 접시에 첨가하고 전체를 카보겐과 함께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a 2 + 영상화
DRG 뉴런을 플렉시글라스 (plexiglass) 기록 접시안에 놓고 Krebs에 희석시킨 Ca2 + 지시약 Fluo-4-AM (8 μM)을 (DMSO에서의) 0.1 % 플루로닉 애시드(pluronic acid)와 함께 37℃에서 60분간 부하하였다. 접시를 기록 구획안에 넣고 새로운 Krebs와 함께 (~34℃) 15분간 과융합시켜 염료를 씻겨나가게 하였다. 세포들을 도립 현미경 (Nikon eclipse TE 2000-S, Melville, NY)에서 관찰하고 Rolera-XR 카메라 (Surrey, BC, Canada)를 사용하여 영상화하였다. 개별 뉴런에서의 형광 강도를 Simple PCI 6 소프트웨어 (Compix Inc, Imaging systems, Sewickley, PA)로 기록하였다. 세포로부터 <100 μm에 팁(tip)을 구비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맥압 푸퍼(pressure pulse puffer) (Picospritzer II; General Valve, Fairfield, NJ)에 부착된 마이크로피펫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였다. 0.9 프레임/초로 기록된 영상들을 로컬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였다. 영상 파일들을 Image J 소프트웨어 (NIH, USA, )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분석하였다. 캡사이신 처리시 Fluo-4 Ca2+의 증가를 캡사이신 투여 후 강도(F)를 캡사이신 투여 전 강도(F0)로 나눈 형광 강도 비 (F/F0)로 측정하였다. 박테리아 및 약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취급하였다.
결과
TRPV1 수용체 작용제 캡사이신의 반응을 저해하는 박테리아의 능력을 시험하여 척수 뉴런에 대한 DSM 17938의 효과의 특이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이 실험들에서, JB-1 또한 포함되었다. JB-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은 기존에 위 팽창에 의해 유도된 DRG 단일 섬유들의 통증 및 발화 방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Duncker et al., The Journal of Nutrition 2011). TRPV1 채널의 개방은 세포내 Ca2+ 농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우리는 이 실험들에 있어 DRG 뉴런 1차 배양의 Ca2+ 영상을 사용하였다. 1 μM 캡사이신을 DRG 뉴런에 퍼핑(puffing)시 ~30초 이내에 세포내 Ca2+ 증가를 유발하였다 (도 5A). TRPV1 채널은 반복된 리간드 노출로 탈감각화 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각 배양 접시에 단 한번만 캡사이신을 처리하였다. 그 후 우리는 캡사이신 처리 30분 전에 DSM 17938 또는 JB-1을 첨가하였다. 1x109 cfu/ml의 DSM 17938는 형광 증가 비율F/F0을 2.36 ± 0.31 (대조군, N= 14)로부터 1.25 ± 0.04로 저하시켰다. 그러나 1x108 cfu/ml의 DSM 17938은 F/F0 2.67 ± 0.35로, 그리고 1x108.5 cfu/ml의 DSM 17938은 2.07 ± 0.27로 변화시켰다. 1×109 cfu/ml의 JB-1 첨가시 거의 효과가 없었으며, F/F0 비율을 2.48 ± 0.19 (N= 9)로 변화시켰는데, 이는 캡사이신만을 사용하여 얻은 비율과 유사하다 (도 5B). 이들 결과들은 DSM 17938이 DRG 뉴런 1차 배양에서 캡사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Ca2+ 상승을 차단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3
DSM 17938은 위 팽만에 의해 유발되는 심박수 저하를 저해하였다
총 17마리의 래트를 2개 군으로 할당하였다. 도착시, 래트들을 1주간 적응하게 한 후, 실험하는 동안 스트레스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1주간 (10 분/일) 핸들링하였다. 래트들에게 매일 아침 9일 동안 Krebs에서의 살아있는 DSM 17938 또는 대조군 (운반체)으로서 Krebs만을 0.2 ml (1x109 cfu/ml) 급식하였다. GD를 위한 방법들은 기존에 공개된 바 있다 (Tougas, Wang,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999;277:R272-8). 요약하자면, 래트들을 하룻밤동안 금식시키고,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75 mg/kg 체중)와 크실라진 (10 mg/kg 체중)의 혼합물로 복강내 마취시켰다. 보충 마취를 필요에 따라 실시하였다. 중앙선 개복수술 후, 테플론 카테터 (20 cm)에 고정된 공 모양의 위 풍선 (2-cm i.d.)으로 구성된 팽창 장치를 근위 십이지장의 작은 절개부를 통해 위 내부로 삽입하고 바로스탯 시스템(barostat system) (Distender, G&J Electronic, Toronto, Canada)에 연결하였다. 공기가 들어있는 풍선을 60초간 40 및 60 mm Hg의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동안 심장 반응을 측정하였다. 매 팽창 후 회복을 위하여 10분 휴식하게 하였다. 가능성있는 보상 기전을 피하기 위하여 각 래트에 한 세트의 팽창만 처리하였으며 의식을 회복하기 전에 측정한 후 래트들을 죽였다. 좌측 및 우측 어깨와 우측 뒷다리에 장치한 3개의 바늘 전극으로 구성된 표면 심전도를 통해 심박수를 연속하여 기록하였다. 신호를 증폭시키고, 시판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 (Experimenter's Workbench, DataWave Technologies, Loveland, CO)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각 팽창 전, 팽창 중 및 팽창 후 60초간 총 180초 동안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각 팽창 전 심박수 (HR) 기록은 마취 수준의 변화로 인한 가능한 기준선 변화에 관해 보정되게 하였으며 확보된 임의의 심박수 반응은 팽창과 연결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GD의 효과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는 팽창 중 10초의 기간 동안 (10, 20, 30, 40, 50, 및 60 초) 기록된 평균 HR을 사용하여 휴식기 HR (100 % = 안정)로부터의 평균 변화로 제공된다. 60초의 각 팽창 동안 (40 및 60 mm Hg) 동일한 군의 모든 래트들에서의 HR 변화(휴식기 HR의 백분율)의 평균을 이용하여 군들을 비교하였다. 박테리아 및 약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취급하였다.
결과
40 mm Hg에 의해 유발된 심박수 저하는 DSM 17938을 위관영양함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P= 0.121, 도 6A) (운반체 및 DSM 17938 각각에 있어 N= 8 및 9). 60 mm Hg를 이용한 팽창은 10초 이내에 심박수를 저하시켰으며 이는 팽창 중 30초간 지속되었다(도 6B). 시험에 앞서 DSM 17938으로 9일간 위관영양하는 것은 60 mm Hg에 대한 반응을 완화시켰다 (P= 0.028, 비대응 t-검정, 도 6A, 6B). 40 또는 60 mm Hg의 위 팽창 압력에 있어서, 위 순응도 (부피/압력)는 운반체 또는 DSM 17938로 처리한 동물들간에 상이하지 않았다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결과들은 박테리아에 의한 통각억제 효과를 입증한다.
DSMZ DSM17938 20060130

Claims (31)

  1. 다음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사용하기 위한 제제의 선택방법:
    자발적 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자발적 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를 상기 제제로서 선택하는 단계, 이 때 상기 박테리아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음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TRPV1 발현 세포를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세포를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상기 조건 배지와 접촉시킨 후 상기 세포에서 자발적 및/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자발적 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대조군의 TRPV1 활성화와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박테리아 균주 또는 상기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자발적 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가 상기 대조군의 TRPV1 활성화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를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효과적인 박테리아 균주 또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로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발적 또는 유도된 TRPV1 활성화를 측정하는 단계는 캡사이신, pH 변화 또는 열에 의해 유도된 상기 세포에서의 Ca2+ 유입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음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장간막 조직이 부착된 체외 위장 분절을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체외 위장 분절을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와 접촉시킨 후 상기 체외 위장 분절에서 자발적 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자발적 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을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박테리아 균주 또는 상기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자발적 또는 유도된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이 상기 대조군의 장간막 구심신경 발화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상기 시험되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를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함에 유효한 박테리아 균주 또는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은 조건 배지로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함.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개체에서 상기 위장 통증을 유발하는 장 운동 장애를 앓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유발하는 산통,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변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을 앓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선택방법.
  8. 개체의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에 따른 선택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발적 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건 배지로서, 상기 박테리아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인,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건 배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건 배지.
  10. 청구항 1에 따른 선택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발적 또는 유도된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 (TRPV1)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건 배지,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제약상 허용가능한 희석제,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식품, 식품 보충제 및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위장 통증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박테리아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인,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를 포함하며, 상기 또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는 개체에서 위장 운동 또는 혼합 또는 위장 운동 및 혼합 모두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DSM 17938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67022947A 2014-01-23 2015-01-23 위장 통증을 조절하는 제제의 선택 KR102154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0065 2014-01-23
SE1450065-6 2014-01-23
SE1450813 2014-07-01
SE1450813-9 2014-07-01
PCT/SE2015/050064 WO2015112083A1 (en) 2014-01-23 2015-01-23 Selection of agents modulating gastrointestinal p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992A KR20160111992A (ko) 2016-09-27
KR102154382B1 true KR102154382B1 (ko) 2020-09-10

Family

ID=5246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947A KR102154382B1 (ko) 2014-01-23 2015-01-23 위장 통증을 조절하는 제제의 선택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20160334391A1 (ko)
EP (2) EP3629026B1 (ko)
JP (1) JP6635925B2 (ko)
KR (1) KR102154382B1 (ko)
CN (1) CN106164674B (ko)
AU (1) AU2015209763B2 (ko)
BR (1) BR122023013786B1 (ko)
CA (1) CA2936560C (ko)
CL (1) CL2016001878A1 (ko)
DK (1) DK3629026T3 (ko)
ES (2) ES2767060T3 (ko)
IL (1) IL246563B (ko)
MX (1) MX369105B (ko)
NZ (1) NZ721882A (ko)
PL (1) PL3629026T3 (ko)
RU (1) RU2692671C2 (ko)
SG (1) SG11201605378TA (ko)
UA (1) UA120846C2 (ko)
WO (1) WO2015112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427B2 (en) 2013-01-21 2021-11-23 Eth Zurich Baby food composition comprising viable propionic acid-producing bacteria
WO2018074514A1 (ja) * 2016-10-20 2018-04-26 ビオフェルミン製薬株式会社 腸管のイオン経細胞輸送体への作用剤、クロライドチャネル活性化剤、腎疾患の予防もしくは治療剤、又は排便促進剤
CN112739814B (zh) * 2018-07-24 2023-12-08 生命大地女神有限公司 使用能够增加腺苷水平的细菌菌株的治疗方法
CN117487686A (zh) * 2018-07-24 2024-02-02 生命大地女神有限公司 选择和使用褪黑素支持细菌以减少婴儿绞痛
CN111484982A (zh) * 2020-05-14 2020-08-04 西南民族大学 一种人结直肠腺癌细胞trpv1基因敲除细胞株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8409A (ja) 2011-03-14 2012-10-04 Biofuerumin Seiyaku Kk 消化管痛の予防又は軽減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9984B1 (it) 1997-02-27 1998-10-19 Proge Farm Srl Ceppi di lattobacilli utili nel trattamento di disfunzioni del sistema gastrointestinale
AU2006232931A1 (en) * 2005-04-01 2006-10-12 Board Of Trustee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Intermetallic bonded diamond composite composition and methods of forming articles from same
US7344867B2 (en) 2005-04-15 2008-03-18 Eamonn Connolly Selection and use of lactic acid bacteria for reducing inflammation in mammals
US20080051454A1 (en) 2006-04-21 2008-02-28 The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RPV) channel mediated treatments
US7374924B2 (en) * 2006-06-05 2008-05-20 Biogaia Ab Use of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for reducing infantile colic
WO2008090434A1 (en) 2007-01-25 2008-07-31 Pfizer Japan Inc. Substituted n-bicyclicalkyl bicyclic carboxyamide compounds
EP2307042B1 (en) * 2008-06-25 2014-03-26 H. Lundbeck A/S Modulation of the trpv : vps10p-domain recepto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pain
KR101091810B1 (ko) 2009-09-11 2011-1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활성제를 이용한 trpv1 활성화 방법
US8889659B2 (en) * 2011-09-09 2014-11-18 Api Genesis, Llc Pain relief compositions, manufacture and uses
JPWO2013141202A1 (ja) 2012-03-21 2015-08-03 独立行政法人国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 筋増加剤、及び筋増加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8409A (ja) 2011-03-14 2012-10-04 Biofuerumin Seiyaku Kk 消化管痛の予防又は軽減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t, vol.55, pp.191-196 (2006)*
Gut, vol.57, pp.882-884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9763B2 (en) 2020-12-24
EP3097423B1 (en) 2019-12-04
EP3097423A1 (en) 2016-11-30
EP3629026A1 (en) 2020-04-01
DK3629026T3 (da) 2021-05-17
AU2015209763A1 (en) 2016-07-21
UA120846C2 (uk) 2020-02-25
MX369105B (es) 2019-10-29
PL3629026T3 (pl) 2021-08-02
JP2017507651A (ja) 2017-03-23
US10656141B2 (en) 2020-05-19
BR112016016969A2 (pt) 2020-09-24
US11371985B2 (en) 2022-06-28
CA2936560A1 (en) 2015-07-30
SG11201605378TA (en) 2016-08-30
CA2936560C (en) 2021-06-01
MX2016009613A (es) 2016-11-08
US20160334391A1 (en) 2016-11-17
ES2767060T3 (es) 2020-06-16
JP6635925B2 (ja) 2020-01-29
IL246563A0 (en) 2016-08-31
WO2015112083A1 (en) 2015-07-30
RU2016134215A (ru) 2018-03-01
EP3629026B1 (en) 2021-02-24
NZ721882A (en) 2019-02-22
CN106164674B (zh) 2018-10-09
IL246563B (en) 2019-11-28
US20200225214A1 (en) 2020-07-16
ES2874479T3 (es) 2021-11-05
CN106164674A (zh) 2016-11-23
BR122023013786B1 (pt) 2023-12-12
RU2692671C2 (ru) 2019-06-26
KR20160111992A (ko) 2016-09-27
CL2016001878A1 (es) 2017-10-20
RU2016134215A3 (ko) 2018-09-28
US20180259503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1985B2 (en) Selection of agents modulating gastrointestinal pain
JP6476328B2 (ja) 腸運動障害及び疼痛に影響を及ぼす薬剤の選択方法
BR112016016969B1 (pt) Método para selecionar um agente para uso na redução ou prevenção da dor gastrointestinal em um indivíduo, uso de uma cepa bacteriana ou meio condicionado de dita cepa bacteriana, e, uso de uma composição
Neufeld et al. Psychoactive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JB-1) elicits rapid frequency 1 facilitation in vagal afferents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