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892B1 - 용액 제막 방법 - Google Patents

용액 제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892B1
KR102151892B1 KR1020197009045A KR20197009045A KR102151892B1 KR 102151892 B1 KR102151892 B1 KR 102151892B1 KR 1020197009045 A KR1020197009045 A KR 1020197009045A KR 20197009045 A KR20197009045 A KR 20197009045A KR 102151892 B1 KR102151892 B1 KR 10215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ilm
flexible support
ne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264A (ko
Inventor
히토시 이케다
슌이치 요시다
šœ이치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3332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61804A1/ja
Publication of KR2019004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28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by depositing flowable material on an endless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6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평활성이 보다 향상된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용액 제막 방법을 제공한다.
용액 제막 설비는 도프로부터 필름을 제조한다. 주행하는 벨트에,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도프를 연속적으로 유연함으로써 유연막을 형성하고, 이 유연막을 건조한다. 유연막을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한다. 벨트의 도프가 유연되는 유연면에 대향한 상태에, 망이 마련되어 있다. 망은 유연면과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망의 관통 구멍의 직경은 7mm 이하이다.

Description

용액 제막 방법
본 발명은, 용액 제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용액 제막 방법이 있다. 용액 제막 방법은,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도프를, 주행하는 유연 지지체에 유연함으로써 유연막을 형성하고, 이 유연막을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하여, 형성한 필름을 건조하는 방법이다. 유연막은, 박리함으로써 형성한 필름이 반송 가능한 상태로, 유연 지지체 상에서 굳어진다. 유연막을 유연 지지체 상에서 굳히는 수법으로서, 유연막을 건조하는 수법이 있다.
유연막의 막면의 평활성은, 얻어지는 필름의 필름면 상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연막의 막면의 평활성을 높이는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7903호에 기재되는 수법은, 제1 건조 공정과 제2 건조 공정에 의하여 유연막을 건조한다. 제1 건조 공정은, 유연 지지체의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제1 송풍구로부터, 온도가 50℃~160℃의 범위 내인 대략 일정해진 바람을, 정압(靜壓)이 50Pa~200Pa의 범위 내에서 일정해지도록 조정하면서, 형성된 직후의 유연막에 송출한다. 제2 건조 공정은, 제1 건조 공정 후에,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을 향한 제2 송풍구로부터, 유연막에 포함되는 용매량에 따라,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과 대략 평행의 바람을 유연막에 송출한다.
이에 대하여, 바람의 분사는 유연막의 건조 불균일을 일으키기 쉽다는 생각에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3543호에서는, 유연 지지체에 대향하여 마련한 응축판에 의하여, 유연 직후의 유연막을 건조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의 화상 표시면에 이용되고 있는 유리는, 예를 들면 충격 등에 의하여 깨지기 쉽다. 따라서, 유리의 표면을 덮는 수지(폴리머)제의 필름, 및/또는 유리를 수지(폴리머)제의 필름에 치환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 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790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3543호 등의 종래의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광학 필름은, 편광판의 보호 필름 등의 용도에는 충분한 평활성을 갖는다. 그러나, 그 평활성은 광택이 있는 상기 유리에는 미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화상 표시면의 커버 필름으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평활성에 있어서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활성이 보다 향상된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용액 제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액 제막 방법은, 유연막 형성 공정과, 유연막 건조 공정과, 박리 공정을 갖는다. 유연막 형성 공정은, 주행하는 유연 지지체에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도프를 연속적으로 유연함으로써 유연막을 형성한다. 유연막 건조 공정은, 유연막을 건조한다. 박리 공정은, 유연막 건조 공정을 거친 유연막을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한다. 7mm 이하의 직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 부재가, 유연 지지체의 도프가 유연되는 유연면과 이간한 상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다공 부재는, 망 또는 다공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구멍에 의하여 개구가 형성된 부재면에 있어서의 개구율은 3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 지지체와 다공 부재와의 거리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막 건조 공정은, 유연 지지체의 유연면에 대향한 상태로 마련된 건조 장치에 의하여, 유연막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부재는, 도프가 유연되는 유연 위치와 건조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부재는, 유연 지지체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풍속이 0m/s보다 크고 1m/s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다공 부재보다 유연 지지체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 차풍(遮風) 부재에 의하여, 유연 지지체와 다공 부재의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풍 부재는,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풍판이고, 차풍판은,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다공 부재의 하류 측에, 유연 지지체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풍판과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풍 부재는,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풍벽이고, 차풍벽은,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다공 부재의 양측에, 유연 지지체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풍벽과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차풍 부재는, 다공 부재와 접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활성이 보다 향상된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용액 제막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망의 모식도이다.
도 3은 개구율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유연 지지체가 드럼인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차풍 부재가 마련된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차풍 부재가 마련된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a는 보조 차풍판이 마련된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고, (A)는 차풍판, 차풍벽 및 보조 차풍판의 평면 개략도이며, (B)는 유연 장치의 측면의 개략도이다.
도 9b는 보조 차풍판이 마련된 유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보조 차풍벽이 마련된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고, (A)는 유연 장치의 측면의 개략도이며, (B)는 차풍벽 및 보조 차풍벽의 폭 방향(Y)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보조 차풍벽이 마련된 유연 장치의 개략도이고, (A)는 유연 장치의 측면의 개략도이며, (B)는 차풍벽 및 보조 차풍벽의 폭 방향(Y)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평활성의 평가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을 실시한 도 1에 나타내는 용액 제막 설비(10)은, 광학 필름(이하, 간단히 "필름"이라고 칭함)(11)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필름(11)은, 휴대 단말의 화상 표시면을 구성하는 것이고, 즉 화상 표시부인 터치 패널의 최표면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이 필름(11)은, 종래의 유리를 치환하여, 즉 대체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유리의 표면에 첩부한 상태로 이용해도 된다. 제조되는 필름(11)의 두께는 10μm 이상 300μm 이하의 범위 내이고, 100μm 이상 300μ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며, 150μm 이상 250μm 이하의 범위 내가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00μm로 하고 있다.
용액 제막 설비(10)은, 유연 장치(13)과, 텐터(14)와, 롤러 건조 장치(15)와, 슬리터(16)과, 권취 장치(17)을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용매 함유율(단위; %)은 건량 기준의 값이고, 구체적으로는, 용매의 질량을 MS, 용매 함유율을 구하는 대상의 필름(11) 또는 유연막(29)의 질량을 MF로 하는 경우에, {MS/(MF-MS)}×100으로 구하는 백분율이다.
유연 장치(13)은, 도프(21)로부터 필름(1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프(21)은,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 용액이다. 폴리머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이하, TAC라고 칭함)를 이용하고 있지만, TAC와 상이한 다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이용해도 된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는 1종류만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아실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아실기가 2종 이상일 때에는, 그 하나가 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의 수산기를 카복실산으로 에스터화하고 있는 비율, 즉 아실기의 치환도가 하기 식 (I)~(III) 모두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식 (I)~(III)에 있어서, A 및 B는,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내고, A는 아세틸기의 치환도이며, 또 B는 탄소 원자수 3~22의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I) 2.0≤A+B≤3.0
(II) 1.0≤A≤3.0
(III) 0≤B≤2.0
아실기의 전체 치환도 A+B는, 2.20 이상 2.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40 이상 2.8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탄소 원자수 3~22의 아실기의 치환도 B는, 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도프(21)의 폴리머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예를 들면 JSR(주)제의 아톤(등록 상표)) 등이어도 된다.
도프(21)은, 필름(11)이 되는 고형분으로서 폴리머 이외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머 이외의 고형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리타데이션 제어제, 미립자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소제를 포함시키고 있다. 미립자는, 필름(11)에 슬라이딩성 및/또는 내상성을 부여하거나, 필름(11)을 중첩했을 때의 첩부를 억제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른바 매트제이다.
도프(21)의 용매로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과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있다. 용매는 본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뷰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이 이용되고, 이들은 혼합물로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유연 장치(13)은, 환 형상으로 형성된 무단(無端)의 유연 지지체인 벨트(23)과,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26) 및 제2 롤러(27)을 구비한다. 벨트(23)은, 제1 롤러(26)과 제2 롤러(27)과의 둘레면에 감겨 걸쳐진다. 제1 롤러(26)과 제2 롤러(2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구동 수단을 갖는 구동 롤러이면 된다. 구동 롤러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둘레면에 접하는 벨트(23)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 주행하고, 순환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X를 붙이고 있는 화살표선은, 벨트(23)의 주행 방향과 필름(11)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연 지지체는 벨트(23)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도 4, 5 참조)을 이용해도 된다.
벨트(23)의 상방에는 유연 다이(이하, 다이라고 칭함)(28)이 구비되어 있다. 다이(28)은, 공급된 도프(21)을 도 1의 지면(紙面) 깊이 방향으로 확산된 막 형상으로 폭을 확대한 후에, 유출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연속적으로 유출한다. 이로써, 주행하고 있는 벨트(23)에, 유연막(29)가 형성된다. 또한, 벨트(23)의 주행로에 있어서 도프(21)이 유연되는 위치, 즉 도프(21)이 벨트(23)에 접촉을 개시하는 위치를, 이하, 유연 위치라고 칭하고, 부호 PC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이(28)은, 제1 롤러(26) 상의 벨트(23)의 상방에 마련하고 있고, 유연 위치(PC)는 제1 롤러(26) 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28)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롤러(26)으로부터 제2 롤러(27)로 향하는 벨트(23)의 상방에 마련하여, 도프(21)을 제1 롤러(26)으로부터 제2 롤러(27)로 향하는 벨트(23)에 유연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롤러(26)으로부터 제2 롤러(27)로 향하는 벨트(23)의 하방에 롤러(31)을 배치하고, 롤러(3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벨트(23)의 상방에 다이(28)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26)과 제2 롤러(27)은, 각각 둘레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1 롤러(26)의 둘레면은 온도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냉각되고, 이로써 벨트(23)은 1주할 때마다 냉각된다. 이로써, 유연막(29)의 발포가 억제된다. 제2 롤러(27)의 둘레면은 온도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가열되고, 이로써, 유연막(29)는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한다.
제1 롤러(26)의 둘레면 온도는, 0℃ 이상 4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롤러(27)의 둘레면 온도는, 15℃ 이상 8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28)로부터 벨트(23)에 이르는 도프(21), 이른바 비드에 관하여, 벨트(23)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에는, 감압 챔버(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도 된다. 감압 챔버는, 비드의 상류 측 에어리어의 분위기를 흡인함으로써 이 에어리어를 감압한다.
유연막(29)를, 텐터(14)로의 반송이 가능할 정도까지 건조한 후, 용매를 포함하는 상태로 벨트(23)으로부터 박리하고, 이로써 필름(11)을 형성한다. 박리는, 용매 함유율이 100% 이하가 된 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시에는, 필름(11)을 박리부로서의 롤러(이하, 박리 롤러로 칭함)(33)에 의하여 지지하고, 유연막(29)가 벨트(23)으로부터 박리되는 박리 위치(PP)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박리 롤(33)은,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롤러여도 된다. 또한, 박리는, 제1 롤러(26) 상의 벨트(23)에서 행하고 있다. 벨트(23)은 순환하여 박리 위치(PP)로부터 유연 위치(PC)로 되돌아와, 유연 위치(PC)에 있어서 다시 새로운 도프(21)이 유연된다.
유연 장치(13)은, 급기 건조 유닛(41)과, 다공 부재로서의 망(42)를 구비한다. 급기 건조 유닛(41)은, 유연막(29)를, 벨트(23)으로부터 박리한 후의 반송을 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 건조시키는 유연막 건조 장치이다. 급기 건조 유닛(41)은, 벨트(23)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다이(28)보다 하류에 마련되고,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과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를 갖는다. 이들은, 벨트(23)의 유연막(29)가 형성되는 유연면(23a) 측에 배치되어 있고, 벨트(23)의 주행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제1 급기부(45), 제1 배기부(48), 제2 급기부(46), 제2 배기부(49), 제3 급기부(47)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급기부(45)는, 제1 롤러(26) 상의 벨트(23)의 주행로 근방에 배치되고, 제1 배기부(48)과 제2 급기부(46)은, 제1 롤러(26)으로부터 제2 롤러(27)로 향하는 벨트(23)의 주행로 근방에 배치되며, 제2 배기부(49)는, 제2 롤러(27)에 접촉하고 있는 벨트(23)의 주행로 근방에 배치되고, 제3 급기부(47)은 제1 롤러(26)에 접촉을 개시하는 위치 근방의 벨트(23)의 주행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과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 위치(PC)로부터 박리 위치(PP)로 향하는 벨트(23)의 주행로 근방이면 된다. 또, 급기부와 배기부의 수도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23)의 길이 등에 따른 수로 하면 된다.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은 가열된 건조 기체를 유출하고, 제1 배기부(48)과 제2 배기부(49)는 기체를 흡인하여, 배기한다. 여기에서, 벨트(23), 다이(28),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 등은, 외부 공간과 구획하는 챔버(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제1 배기부(48)과 제2 배기부(49)는 흡인한 기체를 이 챔버(51)의 외부로 배기한다. 급기 건조 유닛(41)은, 챔버(51)의 외부에, 송풍 컨트롤러(52)를 구비한다. 송풍 컨트롤러(52)는, 팬(도시하지 않음)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팬을 통하여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의 각각에 건조 기체로서의 예를 들면 공기를 보내, 그 기체의 온도와, 습도와,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로부터의 각 유량과, 제1 배기부(48)과 제2 배기부(49)와의 각각의 기체의 흡인력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로부터의 건조 기체는, 송풍 컨트롤러(52)에 의하여 대략 90℃로 가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된 건조 기체를 온풍으로 하여 유연막(29) 상에 흐르게 함으로써, 유연막(29)를 가열하여, 건조를 진행시킨다. 건조 기체의 온도는, 40℃ 이상 14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급기부(45)와 제2 급기부(46)은, 건조 기체를 유출하는 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벨트(23)의 주행 방향(X)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반송되고 있는 유연막(29)에 대하여 건조 기체를 순풍으로 공급한다. 이 건조 기체는 유연막(29)의 막면에 대하여 행평인 흐름이 된다. 제3 급기부(47)은, 건조 기체를 유출하는 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벨트(23)의 주행 방향(X)와는 반대 측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반송되고 있는 유연막(29)에 대하여 건조 기체를 맞바람으로 공급한다. 이 건조 기체도 유연막(29)의 막면에 대하여 행평인 흐름이 된다. 제1 배기부(48)과 제2 배기부(49)는,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구(도시하지 않음)가, 통과하는 유연막(29)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부(48)은 제1 급기부(45)와 제2 급기부(46)의 사이에서, 제2 배기부(49)는 제2 급기부(46)과 제3 급기부(47)의 사이에서, 각각 기체를 흡인한다. 단, 공급하는 건조 기체의 방향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막(29)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의 유출구와, 제1 배기부(48) 및 제2 배기부(49)의 흡인구는, 벨트(23)의 폭 방향(도 1의 지면 깊이 방향)으로 뻗은 슬릿 형상의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과,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를 송풍 컨트롤러(52)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있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의 각각에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각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과 제1 배기부(48), 제2 배기부(49)를 제어해도 된다. 급기부와 배기부의 수를 변경한 경우도 동일하다.
유연막(29)를 건조하는 유연막 건조 장치는, 급기 건조 유닛(41)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막을 건조하는 공지의 건조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연막(29)를 덮는 사이즈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급기 박스와, 이 급기 박스의 벨트(23)과의 대향면에 마련된, 건조 기체를 선단의 개구로부터 송출하는 복수의 송출 노즐을 구비하는 송풍기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유연막(29)를 덮는 사이즈의 응축기여도 된다. 응축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3543호에 기재되는 응축판이 있고, 이것은, 유연막(29)로부터 증발하여 기체가 된 용매를, 냉각함으로써 응축하며, 이로써, 유연막(29)의 건조를 진행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연막(29) 상에는, 유연막(29)로부터 증발한 용매(용매 가스라고 칭함)에 의한 경계층이 있다. 이 경계층은, 용매 가스 농도가, 유연막(29)로부터 더 멀어진 분위기에 있어서 보다 높은 영역이고, 유연막(29)의 용매 함유율이 높을수록, 경계층의 두께는 두껍다. 경계층에 있어서는, 용매 가스에 대류가 발생하고 있고, 이 대류가 경계층에 있어서의 용매 가스 농도의 변동으로서 인정된다. 망(42)는, 이 경계층에 있어서의 대류를 억제하고, 또한 유연막(29)의 건조를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망(42)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즉 관통 구멍(70)(도 2 참조)이 형성된 다공 부재의 일례이다. 망(42)는, 벨트(23)의 유연면(23a)와 대향하고, 유연면(23a)와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망(42)는, 유연면(23a)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고, 또한 유연막(29)의 반송로가 망(42)에 의하여 덮인 상태가 되어 있다. 유연 위치(PC)에서 형성된 유연막(29)는, 이 망(42)에 덮인 반송로를 통과한다. 관통 구멍(70)의 직경(d70)(도 3 참조)은 7mm 이하이다.
여기에서, 유연 지지체와 망(42)와의 거리를 D로 한다. 이 예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벨트(23)이기 때문에, 거리(D)는 벨트(23)과 망(42)와의 거리이다. 거리(D)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mm 이상 25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23)과 망(42)와의 거리(D)는, 벨트(23)의 유연면(23a)와 망(42)의 벨트(23)에 대향하는 대향면(42a)(도 2 참조)와의 거리이다.
망(42)는, 유연막(19)를 건조하는 유연막 건조 장치와는 별도 부재로서 마련되는 것이다. 즉, 망(42)는, 본 예에 있어서는 급기 건조 유닛(41)과는 별도 부재로 되어 있다. 또, 급기 건조 유닛(41)과는 다른 상술한 공지의 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건조 장치와는 별도 부재로서 망(42)를 마련한다. 예를 들면, 유연막(29)를 덮는 사이즈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술한 급기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송출 노즐의 선단에 망 등의 다공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그 다공 부재를 갖는 급기 박스와는 별도 부재로서 망(42)를 마련한다. 또, 상술한 응축 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3543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다공판과 망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과는 별도 부재로서 망(42)를 마련한다.
망(42)는, 유연 위치(PC)와 급기 건조 유닛(4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 건조 유닛(41) 중, 벨트(23)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유연 위치(PC)에 가장 가까운 상류 측에 있는 것은 제1 급기부(45)이기 때문에, 본 예에 있어서는 유연 위치(PC)로부터 제1 급기부(45)까지의 벨트(23)의 주행로를 따라 망(42)를 배치하고 있다.
망(42)는, 유연 위치(PC)로부터 박리 위치(PP)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마련해도 되지만, 전체 영역에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망(42)는, 벨트(23)의 주행을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풍속이 0m/s보다 크고 1m/s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의 반송로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망(42)를 설치하지 않는 상태이고, 또한 벨트(23)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급기 건조 유닛(41)을 가동시킨 상태로, 유연막(29)의 반송로의 풍속을 측정하여, 풍속이 0m/s보다 크며 1m/s 이하의 범위 내인 미풍 영역을 특정한다. 이 미풍 영역에, 벨트(23)의 유연면(23a)와 이간한 상태로 망(42)를 설치한다. 본 예에서는, 유연 위치(PC)로부터, 제1 배기부(48)과 제2 급기부(46)과의 사이까지의 구간이, 상기 미풍 영역으로 특정되었기 때문에, 이 구간에 망(42)를 마련하고 있다.
벨트(23)으로부터의 박리에 의하여 형성된 필름(11)은, 텐터(14)에 안내된다. 유연 장치(13)과 텐터(14)의 사이의 반송로에는, 송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해도 된다. 이 송풍 장치로부터의 송풍에 의하여, 필름(11)의 건조가 진행된다.
텐터(14)는, 필름(11)을 반송하면서 건조를 진행시키는 제1 필름 건조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텐터(14)는, 필름(11)의 각 단부를 유지 부재로서의 클립(14a)에 의하여 유지하고, 필름(11)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에서의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필름(11)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 처리도 행한다.
텐터(14)는 덕트(14b)를 갖고, 덕트(14b)는 필름(11)의 반송로의 상방에 마련된다. 덕트(14b)는, 건조 기체(예를 들면 건조한 공기)를 송출하는 슬릿(도시하지 않음)을 복수 갖고, 건조 기체는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다. 송풍기는, 소정의 온도 및/또는 습도로 조정한 건조 기체를 덕트(14b)에 보낸다. 슬릿이 필름(11)의 반송로와 대향하는 상태로 덕트(14b)는 배치된다. 각 슬릿은 필름(11)의 폭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이고, 복수의 슬릿은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덕트를, 필름(11)의 반송로의 하방에 마련해도 되고, 필름(11)의 반송로의 상방과 하방 양쪽 모두에 마련해도 된다.
롤러 건조 장치(15)는, 필름(11)을 더 건조시키기 위한 제2 건조 장치이다. 롤러 건조 장치(15)의 내부의 분위기는,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이 공조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다. 롤러 건조 장치(15)에서는, 다수의 롤러(15a)에 필름(11)이 감아 걸쳐진 상태로 반송된다.
슬리터(16)은, 필름(11)의 양측부를 절제하여, 필름(11)을 목적으로 하는 폭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절제에서는, 필름(11)의 클립(14a)에 의한 유지 자국을 포함하는 양측부를 절제한다. 슬리터(16)은 텐터(14)와 롤러 건조 장치(15)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권취 장치(17)은, 필름(11)을 권선 코어에 감음으로써 롤 형상으로 한다.
망(4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선조체(71)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2 선조체(72)가 짜여진 평직의 직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선조체(71)과 제2 선조체(72)는, 도프(21)의 용매 성분에 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제1 선조체(71)과 제2 선조체(72)에 둘러싸인 관통 구멍(70)은, 망(42)의 벨트(23)에 대향하는 부재면으로서의 대향면(42a)와, 대향면(42a)와는 반대 측의 부재면인 반대향면(42b)와의 각각에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예의 망(42)는, 상기와 같이 평직의 직물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평직에 한정되지 않고, 능직물 등 다른 직물 형상이어도 된다. 또, 망은 직물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편물 형상이어도 된다. 망(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 부재의 일례 이고, 다공 부재로서는, 다공판(펀칭 보드)이어도 된다.
제1 선조체(71)과 제2 선조체(72)는, 서로 독립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한 융착 등으로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선조체(71)과 제2 선조체(72)와의 교차 각도는 90°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제1 선조체(71)의 사이의 거리를, 이 예에서는 일정하게 하고, 인접하는 제2 선조체(72)의 사이의 거리도 동일하게 일정하게 하고 있다. 단, 인접하는 제1 선조체(71)의 사이의 거리와, 인접하는 제2 선조체(72)의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불균일로 해도 된다.
관통 구멍(70)의 상술한 직경(d70)는, 가장 큰 치수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의 관통 구멍(70)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대각선의 길이를 관통 구멍(70)의 직경(d70)으로 한다. 관통 구멍(70)이, 대향면(42a)와 반대향면(42b)에 있어서 예를 들면 타원인 경우에는, 장축의 길이를 직경(d70)으로 한다.
대향면(42a)와 반대향면(42b)에 있어서의 각 개구율은, 3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 이상 5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대향면(42a)에 있어서의 개구율(단위는 %)은, 이하의 방법으로 구한다. 대향면(42a)를 그 수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단위 면적당, 42a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70)의 면적 S1로 하고, 제1 선조체(71) 및 제2 선조체(72)의 면적 S2로 한다. 관통 구멍(70)의 면적 S1는, 도 3에 있어서의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면적이다. 면적 S2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해칭 부분의 면적이다. 상기의 개구율은, {S1/(S1+S2)}×100으로 구해진다. 반대향면(42b)에 있어서의 개구율도 동일하게 구해진다.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주행하는 벨트(23)로 다이(28)로부터 도프(21)이 연속적으로 유출됨으로써, 벨트(23) 상에 유연막(29)가 형성된다(유연막 형성 공정). 유연막(29)는, 주행하는 벨트(23)에 의하여 반송되고, 급기 건조 유닛(41)로 안내된다.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로부터의 급기에 의하여, 유연막(29)는 건조가 진행된다(유연막 건조 공정). 제1 배기부(48)과 제2 배기부(49)는,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구가 유연막(29)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급기부(45)~제3 급기부(47)로부터 유출된 건조 기체는, 보다 확실히 유연막(29) 상을 흐른다. 이로 인하여, 유연막(29)의 건조는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유연막(29)의 반송로에는 망(42)가 있고, 관통 구멍(70)의 직경(d70)은 커도 7mm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층의 대류가 억제되어, 경계층이 안정된다. 이로써, 유연막(29)의 막면은 매우 평활한 상태로 반송되고, 그 결과 평활성이 매우 향상된 필름(11)이 얻어진다. 관통 구멍(70)의 직경이 7mm보다 큰 경우에는, 급기 건조 유닛(41)(이 예에 있어서는 제1 급기부(45))로부터의 급기의 영향에 의하여, 얻어지는 필름(11)의 평활성은 7mm 이하의 직경의 경우보다 뒤떨어진다. 또, 관통 구멍(70)이 있기 때문에, 급기 건조 유닛(41)(이 예에 있어서는 제1 급기부(45))로부터의 급기에 의한 유연막(29)의 건조의 기능은 유지되고, 유연막(29)는 확실히 건조가 진행된다.
대향면(42a)와 반대향면(42b)에 있어서의 각 개구율이 35% 이상이면, 35%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급기 건조 유닛(41)(이 예에 있어서는 제1 급기부(45))로부터의 급기에 의한 유연막(29)의 건조가, 보다 확실히 진행된다. 대향면(42a)와 반대향면(42b)에 있어서의 각 개구율이 70% 이하의 범위 내이면, 70%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급기 건조 유닛(41)(이 예에 있어서는 제1 급기부(45))로부터의 급기에 의한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벨트(23)과 망(42)와의 거리(D)가 5mm 이상이면, 5mm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주행하는 벨트(23)과의 접촉이 보다 확실히 회피되고, 또한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되어, 평활성이 향상된 필름(11)이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또, 거리(D)가 50mm 이하이면, 50mm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유연 위치(PC)로부터 급기 건조 유닛(41)까지의 사이는, 형성 직후의 유연막(29)가 반송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유연막(29)의 반송로 중, 증발하는 용매의 양이 가장 많은 반송로이다. 이로 인하여, 이 구간은 형성되는 경계층의 대류가 큰 구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망(42)를 유연 위치(PC)와 급기 건조 유닛(41)의 사이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경계층에 의한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상술한 미풍 영역은 형성되는 경계층의 대류가 큰 경향이 있고, 망(42)는 이 미풍 영역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층에 의한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유연막(29)를 벨트(23)으로부터 박리(박리 공정)함으로써 형성되는 필름(11)은, 텐터(14)에 의하여 반송되면서, 덕트(14b)로부터의 건조풍에 의하여 건조가 진행됨과 함께, 클립(14a)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된다. 필름(11)은, 롤러 건조 장치(15)에 의하여 더 건조된다. 이와 같이, 텐터(14)와 롤러 건조 장치(15)에 의하여 필름(11)은 건조된다(필름 건조 공정). 슬리터(16)로 측부가 제거된 후에, 권취 장치(17)에 의하여 롤 형상으로 감긴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유연 지지체로서 드럼을 이용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벨트(23) 대신에 드럼(123)을 이용하는 것, 및 급기 건조 유닛(41) 대신에 급기 건조 유닛(141)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4에 있어서, 도 1~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 등은, 제1 실시형태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유연 장치(113)에는, 도프(21)을 토출하는 다이(28)과, 다이(28)의 하방에 배치되어, 둘레면(123a)에 도프(21)이 유연되는 드럼(123)이 구비된다. 드럼(123)에는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구동 장치에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드럼(123)은, 컨트롤러에 제어된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축(123b)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드럼(123)은, 그 둘레면(123a)가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전한다. 이 둘레면(123a)가, 유연면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드럼(123)의 둘레면(123a)의 회전 방향을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X)로 한다. 다이(28)의,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에는, 감압 챔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도 된다.
유연 장치(113)의 챔버(51) 내 및 드럼(123)은, 유연막(29)가 냉각 고화(젤화)하는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드럼(123)의 내부에는, 전열 매체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로 중을, 온도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된 전열 매체가 통과한다. 이와 같이, 온도 컨트롤러에 의하여, 둘레면(123a)의 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유지된다. 전열 매체는, 취급의 용이성 및 온도 제어의 용이성의 점에서 기체보다 액체가 바람직하다. 둘레면(123a)의 온도는, 도프(21)의 용매의 종류, 고형분의 종류, 도프(21)에 있어서의 고형 성분의 농도, 박리까지의 시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한다. 둘레면(123a)의 온도는, -10℃ 이상, 1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51) 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온조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챔버(51) 내의 온도는, 유연 시에 있어서의 도프(21)의 온도와 둘레면(123a)의 온도로부터 적절히 설정한다.
급기 건조 유닛(141)은, 제2 급기부(46)과 제2 배기부(49)와 제3 급기부(47)을 구비한다. 이들은, 둘레면(123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주행 방향(X)를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제2 급기부(46), 제2 배기부(49), 제3 급기부(47)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급기부(46)은,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e)(도 5 참조)의 하류 측 근방에 배치되고, 제3 급기부(47)은, 박리 위치(PP)의 상류 근방에 배치되며, 제2 배기부(49)는, 제2 급기부(46)과 제3 급기부(47)과의 대략 중간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단부 가장자리(42e)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망(42)의 하류 측 단부 가장자리이다. 단, 제2 급기부(46), 제3 급기부(47) 및 제2 배기부(49)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 위치(PC)로부터 박리 위치(PP)를 향하는 둘레면(123a)의 근방이면 된다. 또, 급기부와 배기부의 수도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면(123a)의 길이 등에 따른 수로 하면 된다.
제2 급기부(46) 및 제3 급기부(47)은 가열된 건조 기체를 유출하고, 제2 배기부(49)는 기체를 흡인하여, 배기한다. 여기에서, 드럼(123), 다이(28), 제2 급기부(46) 및 제3 급기부(47), 제2 배기부(49) 등은, 외부 공간과 구획하는 챔버(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제2 배기부(49)는 흡인한 기체를 이 챔버(51)의 외부로 배기한다. 급기 건조 유닛(141)은, 챔버(51)의 외부에, 송풍 컨트롤러(52)를 구비한다.
망(42)는, 유연 위치(PC)와 급기 건조 유닛(141)과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 건조 유닛(141) 중, 주행 방향(X)에 있어서, 유연 위치(PC)에 가장 가까운 상류 측에 있는 것은 제2 급기부(46)이기 때문에, 본 예에 있어서는 유연 위치(PC)로부터 제2 급기부(46)까지의 둘레면(123a)에 대향한 상태로, 망(42)를 배치하고 있다. 망(42)는, 둘레면(131a)를 따른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고, 둘레면(131a)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망(42)는, 주행 방향(X)에 직교하는 둘레면(123a)의 폭 방향(도 4의 지면 깊이 방향)에 있어서, 유연막(29)의 폭보다 크다. 즉, 망(42)는, 이 폭 방향에 있어서, 유연막(29)의 폭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행 방향(X)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는 부호 Y(도 6 참조)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드럼(123)이기 때문에, 거리(D)는 드럼(123)과 망(42)와의 거리이다. 본 예에 있어서, 거리(D)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mm 이상 25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드럼(123)과 망(42)와의 거리(D)는, 둘레면(123a)와 망(42)의 드럼(123)에 대향하는 대향면(42a)(도 2 참조)와의 거리이다.
급기 건조 유닛(141)의, 제2 급기부(46), 제2 배기부(49) 및 제3 급기부(47)로부터의 급기 또는 배기에 의하여, 유연막(29)는 건조가 진행된다.
유연막(29)를, 텐터(14)로의 반송이 가능한 정도까지 굳어진 후, 박리 롤(33)에 의하여 지지하면서 드럼(123)으로부터 유연막(29)를 박리한다. 드럼(123)으로부터 박리된 유연막(29)는, 필름(11)이 되고, 예를 들면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텐터(14)로 안내된다.
텐터(14) 대신에, 유지 부재로서의 핀대(도시하지 않음)를 복수 구비하는 텐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도 된다. 각 핀대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이 핀을 필름(11)의 측부에 찔러 필름(11)을 유지하며, 유지한 상태로 주행함으로써 필름(11)을 반송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필름(11)의 양측부를 클립으로 파지한 상태로 필름(11)을 반송하는 텐터(14)를, 핀대를 구비하는 상기의 텐터와 슬리터(16)의 사이에 적절히 마련해도 된다.
텐터(14)를 나온 필름(11)은 슬리터(16)에 안내되고, 양측부가 연속적으로 절단 제거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른바 에지 절단 공정은, 텐터(14)와 롤러 건조 장치(15)와의 사이에서 실시하는 본 실시형태 대신에, 혹은 더하여, 롤러 건조 장치(15)와 권취 장치(17)의 사이에서 실시해도 된다.
유연 위치(PC)로부터 급기 건조 유닛(141)까지의 사이는, 망(42)가 없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경계층의 대류가 큰 구간이 되지만, 망(42)를 유연 위치(PC)와 급기 건조 유닛(141)의 사이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유연 지지체로서 드럼(123)을 이용해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경계층의 대류가 억제되고, 그 결과,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제3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풍 부재를 마련한 양태이다. 제3 실시형태는, 차풍 부재를 마련하는 것 이외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 등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차풍 부재는,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c, 42d, 42e, 42f)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단부 가장자리(42c) 및 단부 가장자리(42d)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망(42)의 단부 가장자리, 즉 측단부 가장자리이다. 또, 단부 가장자리(42f)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망(42)의 상류 측 단부 가장자리이다. 차풍 부재는, 유연 지지체(이 예에서는 드럼(123))와 망(42)의 사이(이하, 간극으로 칭함)(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풍 부재로서 폭 방향(Y)로 뻗어 있는 차풍판(81), 및 주행 방향(X)로 뻗어 있는 차풍벽(82L, 82R)을 이용한다. 또한, 차풍벽(82L)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방향(X)를 향하여 좌측의 차풍벽이고, 차풍벽(82R)은 우측의 차풍벽이다. 차풍판(81)은, 폭 방향(Y)로 뻗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 부재가, 둘레면(123a)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로 마련되어 있고, 차풍벽(82)는, 주행 방향(X)로 뻗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 부재가, 둘레면(123a)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의 벽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차풍판(81)은, 폭 방향(Y)로 뻗어 있고,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망(42)의 하류 측에, 드럼(123)과 떨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차풍판(81)은, 간극(90)의 주행 방향(X)에서의 하류 측의 개구(이하, 제1 개구라고 칭함)를 봉하도록 좁히며,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e)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차풍벽(82L) 및 차풍벽(82R)은, 주행 방향(X)으로 뻗고, 또한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망(42)의 양측에, 드럼(123)과 떨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차풍벽(82L)은,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차풍벽(82L 및 82R)은, 간극(90)의 폭 방향(Y)에서의 개구(이하, 제2 개구라고 칭함)를 봉하도록 하여, 각각,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c 및 42d)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한다.
도 6에 있어서, 주행 방향(X)는, 지면 앞방향이다. 따라서, 차풍판(81)의 지면 깊이 방향에 망(42)가 있다. 도 6에 있어서, 망(42)의 깊이 방향에 있는 다이(28)은,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다. 차풍판(81)은, 망(42)의 하류 측의 단부 가장자리(42e)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1 개구를 일부 봉함으로써,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풍판(81)은 망(42)보다 둘레면(123a)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차풍판은, 간극(90)을 제1 개구에 있어서 봉하면 되기 때문에,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둘레면(123a)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돌출 상태는 불문한다.
망(42)는, 폭 방향(Y)의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42c) 및 단부 가장자리(42d)에 있어서, 주행 방향(X)를 향하여 좌측에서 차풍벽(82L)과 접하고, 우측에서 차풍벽(82R)과 접하고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차풍벽(82L)과 차풍벽(82R)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풍벽(82)로 기재한다. 차풍벽(82)는, 간극(90)을 제2 개구에 있어서 일부 봉하고, 이로써, 드럼(123)과 망(42)의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풍벽(82)는 망(42)보다 드럼(123)의 둘레면(123a)에 대하여 수직 방향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차풍벽은, 간극(90)을 제2 개구에 있어서 봉하면 되기 때문에,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둘레면(123a)에 대한 수직 방향 상부로의 돌출 상태는 불문한다.
여기에서, 차풍판과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를 D2로 한다. 이 예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드럼(123)이기 때문에, 거리(D2)는 차풍판(81)의 하단면(81a)와 둘레면(123a)와의 거리이다. 거리(D2)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거리(D2)는, 예를 들면 5mm이다.
또, 차풍벽과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를 D3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드럼(123)이기 때문에, 거리(D3)은, 차풍벽(82L)의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c)와 대향하는 면(82a)와 드럼(123)의 차풍벽(82L)과 대향하는 면(123c)와의 거리이고, 또 차풍벽(82R)의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d)와 대향하는 면(82a)와 드럼(123)의 차풍벽(82R)과 대향하는 면(123c)와의 거리이다. 거리(D3)은,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D3)은, 이 범위 내이면, 동일한 거리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망(42)와 차풍판(81)은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또 망(42)와 차풍벽(82)는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망(42)에 의하여, 경계층의 용매의 변동을 보다 억제하고, 또한 유연막(29)의 건조를 진행시킬 수 있다. 차풍 부재로서, 차풍판(81)과 차풍벽(82)를 조합하여 사용하는(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망(42)과 차풍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유연막(29)는 드럼(123)에 의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드럼(123)의 둘레면(123a)을 따라 반송된다. 따라서, 드럼(123)의 형상 상, 급기부로부터 공급되는 건조 기체는, 제2 배기부(49)에 의한 배기 및 드럼(123)의 주행도 함께, 유연막(29)에 행평인 흐름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가 유연막(29)의 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부딪치는 바람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수직 방향으로 부딪치는 바람 등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유연막(29)에 대한 맞바람, 즉 역류풍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역류풍은, 그 일부가 간극(90)에 들어가, 망(42)를 통과하는 유연막(29) 상의 경계층의 대류를 흩어지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역류풍은 경계층보다 용매 가스 농도가 낮다. 따라서, 역류풍이, 유연 직후이며 건조가 진행되지 않고, 용매 가스 농도가 비교적 높은 대류 부분에 들어가는 경우, 용매 가스 농도차 때문에, 용매 가스 농도의 큰 변동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용매 가스 농도의 변동이 클수록, 유연막(29)의 건조 불균일도 강해진다. 건조 불균일은, 필름(11)의 두께 불균일 등의 원인이 되어, 필름(11)의 평활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유연막(29)의 반송로에 망(42)가 있고,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차풍 부재가 마련된다. 망(42)와 차풍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유연막(29)의 건조를 진행하고, 또한 유연막(29) 상의 경계층에 있어서의 대류를 억제하며, 가스 농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차풍 부재가, 폭 방향(Y)로 뻗은 차풍판(81)이고, 망(42)의 하류 측 단부에, 드럼(123)과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차풍판(81)과 드럼(123)과의 거리(D2)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이면, 1mm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주행하는 드럼(123)과의 접촉이 보다 확실히 회피되고, 또한 차풍판(81)이 망(42)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되어, 평활성이 향상된 필름(11)이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또, 거리(D2)가 50mm 이하이면, 50mm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차풍판(81)이 망(42)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주행 방향(X)로 뻗어 있는 차풍벽(82)가, 단부 가장자리(42c) 측과 단부 가장자리(42d) 측 양쪽 모두에, 망(42)와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고, 차풍벽(82)와 드럼(123)과의 거리(D3)은,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이면,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되어, 평활성이 향상된 필름(11)이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풍 부재를 마련한 양태이다. 제4 실시형태는, 차풍 부재를 더 마련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1~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이미 설명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차풍벽(82L) 및 단부 가장자리(42c)의 도시는 하고 있지 않다. 또, 도 8에 있어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제2 급기부(46)의 도시는 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망(42)는 미풍 영역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차풍판(81), 차풍벽(82L) 및 차풍벽(82R)도 미풍 영역에 마련된다. 차풍판(81), 차풍벽(82L) 및 차풍벽(82R)은, 망(42)와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차풍판(81)은,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e)와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차풍벽(82L) 및 차풍벽(82R)은, 각각,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c) 및 단부 가장자리(42d)와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차풍 부재는, 간극(90)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고, 유연막(29) 상의 경계층에 있어서의 대류를 억제하여, 가스 농도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유연막(29)의 근방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차풍벽(82)는,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가, 유연면(23a)이고 유연막(29)가 없는 부분, 즉 유연면(23a)의 폭 방향(Y)의 양단부의 상방에 마련된다.
이 예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벨트(23)이기 때문에, 거리(D2)는 차풍판의 하단면(81a)와 유연면(23a)와의 거리이다. 또, 이 예에서는, 유연 지지체가 벨트(23)이기 때문에, 거리(D3)은, 차풍벽(82R)의 하단면(82b)와, 유연면(23a)와의 거리, 또는 차풍벽(82L)의 하단면(82b)와 유연면(23a)와의 거리이다.
차풍 부재가, 폭 방향(Y)로 뻗은 차풍판(81)이고, 망(42)의 하류 측 단부에, 벨트(23)과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차풍판(81)과 벨트(23)과의 거리(D2)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이면, 1mm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주행하는 벨트(23)과의 접촉이 보다 확실히 회피되고, 또한 망(42)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되어, 평활성이 향상된 필름(11)이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또, 거리(D2)가 50mm 이하이면, 50mm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망(42)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주행 방향(X)로 연장하는 차풍벽(82)가, 단부 가장자리(42c) 측과 단부 가장자리(42d) 측 양쪽 모두에, 벨트(23)과 이간한 상태로 마련되고, 차풍벽(82)와 벨트(23)과의 거리(D3)은,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이면, 유연막(29)의 막면의 변동이 보다 확실히 억제되어, 평활성이 향상된 필름(11)이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또, 차풍벽(82)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가 유연면(23a)이고 유연막(29)가 없는 부분, 즉 보다 유연막(29)에 가까운, 유연면(23a)의 폭 방향(Y)의 양단부의 상방에 마련되기 때문에, 유연막(29)의 막면에 대한 역류풍 등의 영향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풍 부재로서의 차풍판(81b)와 보조 차풍 부재를 더 마련한 양태이다. 도 9a와 도 9b에 나타내는 제5 실시형태는, 차풍판(81b)와 보조 차풍 부재를 더 마련하는 것 이외에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9a와 도 9b에 있어서 도 1~8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이미 설명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와 도 9b에 있어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차풍벽(82L)의 도시는 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망(42)의 상류 측에 차풍판(81b)를 마련하고, 또한 보조 차풍 부재로서, 망(42)의 대향면(42a)(도 2 참조)에 접하여, 폭 방향(Y)로 뻗은, 보조 차풍판(83a, 83b, 83c)가 마련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들 보조 차풍판(83a, 83b, 83c)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차풍판(83)이라고 기재한다. 보조 차풍판(83)은, 1개만 설치해도 되고, 복수 설치해도 되며, 이 예에서는, 3개의 보조 차풍판(83a, 83b, 83c)가 마련된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차풍판(81b) 그 자체를 마련하고 있지는 않고, 차풍판(81b)의 기능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28)가 대신한다.
도 9a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풍판(81b)는,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망(42)의 상류 측에, 벨트(23)과 떨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또, 차풍판(81b)는, 망(42)의 상류 측 단부 가장자리(42f)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벨트(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다이(28), 차풍판(81b), 망(42)의 순서로 배치된다. 차풍판(81b)에 의하여, 간극(90)의 주행 방향(X)의 상류 측의 개구(이하, 제3 개구라고 칭함)가 일부 봉해진다. 차풍판(81b)는, 간극(90)을 제3 개구에 있어서 봉하면 되기 때문에, 망(42)보다 벨트(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있으면 되고, 유연면(23a)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돌출 상태는 불문한다. 차풍판(81b)와 벨트(23)과의 거리(D21)(도시하지 않음)은,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차풍판(81b)와 벨트(23)과의 거리(D21)은, 거리(D2)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차풍판(81b)와 망(42)가 접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차풍판(81)과 차풍벽(82L), 차풍판(81)과 차풍벽(82R), 차풍판(81)과 망(42)는, 각각 서로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도 9b는, 다이(28)의 주행 방향(X)의 하류 측의 표면(이하, 측면이라고 칭함)(28a)를, 상술과 같이, 도 9a의 차풍판(81b)로서 기능시킨 것이다. 망(42)의 단부 가장자리(42f)와 측면(28a)는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측면(28a)는, 차풍벽(82L) 및 차풍벽(82R)에 접하고 있다. 차풍판 또는 차풍벽으로서는, 간극(90)의 개구를 봉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본 예와 같이 다이, 혹은 그 외의 장치 등을 이용해도 된다.
보조 차풍판(83a, 83b, 83c)는, 도 9a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42)의 대향면(42a)(도 2 참조)에 접하고, 폭 방향(Y)로 뻗어 있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보조 차풍판(83)은, 유연면(23a)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망(42)보다 벨트(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보조 차풍판(83)과 벨트(23)과의 거리(D22)(도시하지 않음)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보조 차풍판(83)과 벨트(23)과의 거리(D22)는, 차풍판(81)과 벨트(23)과의 거리(D2)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보조 차풍판(83a, 83b, 83c)는,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부호(83c, 83b, 83a)의 순서로, 망(42)의 주행 방향(X)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망(42)에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단, 보조 차풍판(83a, 83b, 83c)는,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보조 차풍판(83)은, 봉 형상 부재이고, 망(42)의 대향면(42a)에 접하여 배치되며, 이 봉 형상 부재의 폭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는, 차풍판(81 또는 81b)와 대략 동일하고, 차풍벽(81R) 및 차풍벽(81L)과 접하여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보조 차풍판(83a, 83b 및 83c) 모두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가 차풍판(81 및 81b)와 대략 동일하다. 차풍판(81b)와 보조 차풍판(83)은, 어느 한쪽을 이용해도 되고, 양쪽 모두를 이용해도 된다.
차풍판(81) 및/또는 차풍벽(82)에 더하여, 차풍판(81b) 및/또는 보조 차풍판(83)을 마련함으로써, 다이(28)로부터 유출된 직후이며, 건조가 진행되지 않은 유연막(29) 상의 경계층에 있어서 용매 가스의 대류가 활발히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차풍 부재를 더 마련한 양태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는, 보조 차풍 부재를 더 마련한 것 이외에는,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1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제3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풍 부재에 더하여, 보조 차풍 부재로서, 망(42)의 드럼(123)과의 대향면(42a)(도 2 참조)에 접하고, 주행 방향(X)(도 10 및 도 11의 지면 깊이 방향)로 뻗어 있는, 벽 형상의 부재인 보조 차풍벽(84aR, 84aL, 84bR, 84bL)이 마련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들 보조 차풍벽(84aR, 84aL, 84bR, 84bL)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차풍벽(84)라고 기재한다. 보조 차풍벽(84)는, 주행 방향(X)를 향하여 우측과 좌측 양측에 마련된다. 보조 차풍벽(84)로서는,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연막(29)의 외측에 마련되는 보조 차풍벽(84aR) 및 보조 차풍벽(84aL)(이하, 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차풍벽(84a)"라고 기재함)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연막(29) 상에 마련되는 보조 차풍벽(84bR) 및 보조 차풍벽(84bL)(이하, 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차풍벽(84b)"라고 기재함)과의 2종류 중, 어느 1종이 마련된다. 보조 차풍벽(84)는, 망(42)의 폭 방향(Y)의 양측에, 드럼(123)과 떨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또, 보조 차풍벽(84)는, 망(42)의 대향면(42a)에 접하여 배치되고,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보조 차풍벽(84)는, 망(42)의 대향면(42a)에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보조 차풍벽은, 간극(90) 내부에 있어서, 망(42)보다 드럼(123)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면 되기 때문에, 둘레면(123a)에 대한 수직 방향 상부로의 돌출 상태는 불문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차풍벽(84aR)과 보조 차풍벽(84aL)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가, 드럼(123)의 둘레면(123a)이고 유연막(29)가 없는 부분, 즉 둘레면(123a)의 폭 방향(Y)의 양단부(123aL, 123aR)이다. 보조 차풍벽(84aR) 및 보조 차풍벽(84aL)은, 양단부(123aL, 123aR)의 상방에 있는, 망(42)의 대향면(42a)에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차풍벽(84a)는, 드럼(123)과 멀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보조 차풍벽(84aL) 및 보조 차풍벽(84aR)과 드럼(123)과의 거리(D31)은, 각각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차풍벽(84bR) 및 보조 차풍벽(84bL)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가, 유연막(29)의 제품 폭(제품 영역)(29P)가 아닌 부분, 즉 유연막(29)의 폭 방향(Y)의 양단부(29SL, 29SR)이다. 보조 차풍벽(84bR) 및 보조 차풍벽(84bL)은, 양단부(29SL 및 29SR) 상방에 있는, 망(42)의 대향면(42a)에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차풍벽(84b)는, 유연막(29)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고, 보조 차풍벽(84bL) 및 보조 차풍벽(84bR)과 드럼(123)과의 거리(D32)는, 각각,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보조 차풍벽(84bL, 84bR)과 망(42)가, 접한 상태로 마련된다.
차풍판(81) 및/또는 차풍벽(82)에 더하여, 보조 차풍벽(84a) 또는 보조 차풍벽(84b)를 마련함으로써, 다이(28)로부터 유출된 직후이고, 건조가 진행되지 않은 유연막(29) 상의 경계층에 있어서 용매 가스의 대류가 활발히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든다. 상세는 실시예에 기재하고, 비교예에 대해서는 실시예와 다른 조건만을 기재한다.
실시예
[실시예 1]~[실시예 20]
용액 제막 설비(10)에 의하여, 필름(11)을 제조하고, 실시예 1~20으로 했다. 표 1에 있어서, 다공 부재로서 금속제의 망(42)를 이용한 경우에는, "다공 부재의 종류" 란에 "금속망"이라고 기재하고, 다공판을 이용한 경우에는 "다공판"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다공판은, 두께가 1mm이고, 관통 구멍이 60°의 각도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 표 1에 있어서, "설치 구간"은, 벨트(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공 부재의 설치 구간을 나타낸다. "전체 영역"이란, 유연 위치(PC)로부터 박리 위치(PP)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마련한 경우를 의미하고, "건조 전"은 유연 위치(PC)로부터 급기 건조 유닛(41)에 이르는 구간에 마련한 경우, 즉 유연 위치(PC)와 급기 건조 유닛(41)의 사이에 마련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 "미풍 영역"은, 상술한 미풍 영역에 마련한 경우를 의미한다. 표 1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설치 구간" 란에, 설치한 것을 의미하는 "○"를 기재하고 있다. 도프(21)의 고형분을,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과의 혼합물에 용해하여 도프(21)을 만들었다. 도프(21)의 고형분은 이하이다. 조건은, 표 1에 나타낸다.
TAC 17.1질량부
제1 가소제 1.7질량부
제2 가소제 0.7질량부
얻어진 각 필름(11)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샘플링한 샘플 시트(62)(도 12 참조)에 대하여, 하기 방법 및 기준에 의하여, 평활성과 주름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1. 평활성
도 12를 참조하면서 평활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샘플 평가판으로서, 평활한 유리판(61)을 준비했다. 이 유리판(61)의 일면에 상술한 샘플 시트(62)를 첩부하고, 다른 면에 흑색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63)을 첩부함으로써, 유리판(61)과 샘플 시트(62)와 흑색 PET 필름(63)이 적층된 적층체(64)를 만들었다. 첩부에는,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했다. 형광등(67)이 마련되어 있는 평활성 평가계에, 샘플 시트(62)가 상향이 되도록 적층체(64)를 두었다. 이 평활성 평가계에는 관찰점(PW)가 설정되어 있고, 이 관찰점(PW)로부터 샘플 시트(62)에 비친 형광등(67)의 상을 관찰한다. 형광등(67)으로서는, 관 직경 32.5mm의 40W 직관형(直管型)의 것을 이용했다.
적층체(64)를 두는 곳은 수평으로 되어 있고, 이로써 샘플 시트(62)의 상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다. 또, 일 방향으로 뻗은 형광등(67)의 길이 방향도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형광등(67)과 샘플 시트(62)의 상면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형광등(67)과 관찰점(PW)는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고, 형광등(67)로부터의 광의 샘플 시트(62)에 대한 입사각이 60°가 되도록, 또한 반사각(즉 60°)에서의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적층체(64)를 두는 곳은 위치 결정되어 있고, 관찰점(PW)로부터는 샘플 시트(62)의 상면의 중앙(62c)에 형광등(67)의 상이 관찰된다. 형광등(67)과 샘플 시트(62)의 상면의 중앙(62c)와의 거리, 및 관찰점(PW)와 상술한 중앙(62c)와의 거리는, 모두 2m로 하고 있고, 도 12에 있어서는 부호 L1을 붙이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입사각과 반사각에 부호 θ1을 붙이고 있고, 형광등(67)의 광을 조사한 상태에 있어서의 형광등(67)의 상의 외곽선(Li)를 2점 파선으로 그리고 있다. 이 외곽선(Li)는, 샘플 시트(62)의 평활성이 매우 양호한 경우에는 직선으로서 관찰되지만, 평활성이 나쁠수록, 진폭이 보다 큰 파형의 선으로서 관찰된다.
형광등(67)의 광을 조사한 상태로, 중앙(62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적층체(64)를 회전시키면서 관찰점(PW)로 샘플 시트(62)에 비친 형광등(67)의 상을 관찰하고, 상의 외곽선(Li)의 진폭이 가장 큰 위치에서 적층체(64)의 회전을 멈춰, 그 자세를 평가 대상 자세로서 특정했다. 외곽선(Li)의 진폭 중 가장 큰 값을 V1로 하고, 형광등의 폭(직경)에 대응하는 상의 폭을 V2로 하여, V1/V2의 산출식으로 구해지는 값을 하기의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며, 이것을 평활성의 평가로 했다. A는 합격이고, B와 C는 불합격이다. 또한, 외곽선(Li)에 진폭이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외곽선(Li)의 진폭의 중앙으로부터 다른 쪽의 외곽선(Li)의 진폭의 중앙까지의 치수를 V2로 했다.
A: 1/10 미만이었다
B: 1/10 이상 1/5 미만이었다
C: 1/5 이상이었다
2. 주름
유연막(29)의 건조 조건에 따라서는 박리 위치(PP)의 용매 함유율이 높아져, 박리 롤(33) 상에서 필름(11)에 주름이 발생하고, 샘플 시트(62) 상에 있어서도 주름이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샘플 시트(62)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하여 주름의 평가를 행했다. A는 합격이고, B는 불합격이다.
A: 샘플 시트에 주름이 확인되지 않았다.
B: 샘플 시트에 주름이 확인되었다.
주름의 평가가 B였던 실시예 1을 실시한 후에, 벨트(23)의 주행 속도를 약간 내리고(구체적으로는 1분간당 주행 거리를 실시예 1에 대하여 10% 내림), 그 외의 조건은 변경하지 않으며, 즉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차 필름(11)을 제조했다.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11)에 대하여, 평활성과 주름의 평가를 행한바, 평활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A의 평가 결과가 얻어지고, 주름은 실시예 1의 경우보다 향상되어, A의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주름의 평가가 B였던 실시예 17을 실시한 후에, 벨트(23)의 주행 속도를 약간 내리고(구체적으로는 1분간당 주행 거리를 실시예 17에 대하여 10% 내림), 그 외의 조건은 변경하지 않으며, 즉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차 필름(11)을 제조했다.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11)에 대하여, 평활성과 주름의 평가를 행한바, 평활성은 실시예 17의 경우와 동일하게 A의 평가 결과가 얻어지고, 주름은 실시예 17의 경우보다 향상되어, A의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비교예 5]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에 의하여, 필름을 제조했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평활성과 주름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9031953038-pct00001
[실시예 21]~[실시예 30]
도 1의 용액 제막 설비(10)의 유연 장치(13)을,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유연 장치(113)에 치환한 용액 제막 설비(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필름(11)을 제조하고, 실시예 21~30으로 했다. 조건은, 표 2에 나타낸다. 망(42)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건조 전" 구간인, 유연 위치(PC)로부터 급기 건조 유닛(141)에 이르는 구간이고, 또한 미풍 영역에 마련했다. 차풍판(81) 및 차풍벽(82L 및 82R)은, 드럼(123)과 망(42)와의 간극(90)을 봉하도록, 망(42)와 밀접한 상태로 마련했다. 표 2에 있어서, "차풍판 설치 거리"란, 상술한 바와 같이, 차풍판(81)과 드럼(123)과의 거리(D2)이고, "차풍벽 설치 거리"란, 드럼(123)과 차풍벽(82)와의 거리(D3)이며, 둘레면(123c)와의 거리이다. 그 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다.
얻어진 각 필름(11)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샘플링한 샘플 시트(62)(도 12 참조)에 대하여, 실시예와 동일하게, 평활성과 주름의 평가를 행했다. 단, 평활성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AAA: 판정 불능(외곽선(Li)의 진폭이 없는, 즉 V1=0이었다)
AA: 0보다 크고 1/20 미만이었다
A: 1/20 이상 1/10 미만이었다
B: 1/10 이상 1/5 미만이었다
C: 1/5 이상이었다
[표 2]
Figure 112019031953038-pct00002

Claims (19)

  1. 주행하는 유연 지지체에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도프를 연속적으로 유연함으로써 유연막을 형성하는 유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유연막을 건조하는 유연막 건조 공정과,
    상기 유연막 건조 공정을 거친 상기 유연막을 상기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하는 박리 공정을 갖고,
    7mm 이하의 직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 부재가, 상기 유연 지지체의 상기 도프가 유연되는 유연면과 이간한 상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다공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와 대향한 상태이고, 또한 상기 다공 부재보다 상기 유연 지지체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 차풍 부재에 의하여, 상기 유연 지지체와 상기 다공 부재의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용액 제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는 망 또는 다공판인, 용액 제막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하여 개구가 형성된 부재면에 있어서의 개구율은 3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하여 개구가 형성된 부재면에 있어서의 개구율은 3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연 지지체와 상기 다공 부재와의 거리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연 지지체와 상기 다공 부재와의 거리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연 지지체와 상기 다공 부재와의 거리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연 지지체와 상기 다공 부재와의 거리는 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막 건조 공정은, 상기 유연 지지체의 상기 유연면에 대향한 상태로 마련된 건조 장치에 의하여, 상기 유연막을 건조하는, 용액 제막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는, 상기 도프가 유연되는 유연 위치와 상기 건조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용액 제막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는,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풍속이 0m/s보다 크고 1m/s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에 마련되는, 용액 제막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는,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풍속이 0m/s보다 크고 1m/s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에 마련되는, 용액 제막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는,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풍속이 0m/s보다 크고 1m/s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에 마련되는, 용액 제막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풍 부재는,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풍판이고,
    상기 차풍판은,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공 부재의 하류 측에, 상기 유연 지지체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용액 제막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풍판과 상기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풍 부재는,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풍벽이고,
    상기 차풍벽은, 상기 유연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공 부재의 양측에, 상기 유연 지지체와 떨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용액 제막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풍벽과 상기 유연 지지체와의 거리는, 1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용액 제막 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풍 부재는, 상기 다공 부재와 접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용액 제막 방법.
KR1020197009045A 2016-09-30 2017-09-14 용액 제막 방법 KR10215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2506 2016-09-30
JPJP-P-2016-192506 2016-09-30
JPJP-P-2017-161940 2017-08-25
JP2017161940A JP2018058345A (ja) 2016-09-30 2017-08-25 溶液製膜方法
PCT/JP2017/033322 WO2018061804A1 (ja) 2016-09-30 2017-09-14 溶液製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264A KR20190045264A (ko) 2019-05-02
KR102151892B1 true KR102151892B1 (ko) 2020-09-03

Family

ID=6190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045A KR102151892B1 (ko) 2016-09-30 2017-09-14 용액 제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58345A (ko)
KR (1) KR1021518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141A (ja) 2003-07-28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方法及び装置
JP2008532793A (ja) * 2005-02-25 2008-08-21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被覆されたシート材料を乾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2066483A (ja) 2010-09-24 2012-04-05 Fujifilm Corp 流延装置及び溶液製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8452B2 (ja) * 2014-03-04 2016-10-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ラビリンスシール、流延装置、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141A (ja) 2003-07-28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方法及び装置
JP2008532793A (ja) * 2005-02-25 2008-08-21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被覆されたシート材料を乾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2066483A (ja) 2010-09-24 2012-04-05 Fujifilm Corp 流延装置及び溶液製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264A (ko) 2019-05-02
JP2018058345A (ja)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807B1 (ko) 유연 장치 및 용액 제막 방법
JP5404497B2 (ja) 溶液製膜方法
KR101810523B1 (ko) 건조 장치 및 용액 제막 방법
KR101858752B1 (ko) 건조 장치, 막의 건조 방법 및 용액제막 방법
CN104890171B (zh) 流延装置、溶液制膜设备及方法
KR102151892B1 (ko) 용액 제막 방법
CN109789614B (zh) 溶液制膜方法
CN105949485B (zh) 溶液制膜方法及设备
JP2009243734A (ja) 塗布膜の乾燥装置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KR20150104028A (ko) 라비린스 시일, 유연장치, 용액제막 설비 및 방법
CN107225717B (zh) 溶液制膜装置及方法
KR20150129623A (ko) 유연막 건조 장치 및 용액 제막 방법
JP6008453B2 (ja) 流延装置、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KR102151891B1 (ko) 용액 제막 방법
JP5351477B2 (ja) 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9324363B (zh) 光学膜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WO2024084804A1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061803A1 (ja) 溶液製膜方法
JP6480883B2 (ja) 溶液製膜方法
JP2009078487A (ja) フイルムの延伸方法及び延伸装置、溶液製膜方法
JP5879314B2 (ja) フィルム浮上装置、テンタ、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KR20150035379A (ko) 유연 장치, 용액 제막 설비 및 방법
JP2012071475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流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