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783B1 -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783B1
KR102150783B1 KR1020187030971A KR20187030971A KR102150783B1 KR 102150783 B1 KR102150783 B1 KR 102150783B1 KR 1020187030971 A KR1020187030971 A KR 1020187030971A KR 20187030971 A KR20187030971 A KR 20187030971A KR 102150783 B1 KR102150783 B1 KR 10215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psule
containment member
annular troug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710A (ko
Inventor
앤드류 채프만
스튜어트 배니스터
시몬 젤리
이삭 샤부딘
앤드류 할리데이
Original Assignee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9427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507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GBGB1308925.5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30892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308929.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308929D0/en
Application filed by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1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성분들을 수용하는 캡슐 및 음료 조제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캡슐은 컵-형상 몸체 및 덮개를 포함하고, 컵-형상 몸체는 기부 및 측벽을 갖고, 덮개는 컵-형상 몸체에 밀봉된다. 삽입 전에, 측벽은, -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의 이동 시에 음료 조제기의 봉쇄 부재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환형 홈통, - 기부와 환형 홈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벽 섹션, 및 - 환형 홈통과 캡슐의 림(rim)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벽 섹션을 포함한다. 캡슐 및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조제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를 포함하는 유형의 것인데, 여기서 캡슐은 캡슐 내에 수용된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압된 액체가 캡슐을 통해 유동되게 하도록 음료 조제기 내로 삽입되게 설계된다.
음료 조제기, 및 음료 성분들을 수용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음료 조제 시스템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시스템이, 컵-유사 기부 몸체 및 폐쇄 포일(foil) 부재를 포함하는 캡슐을 개시하는 EP 1700548호에 교시되어 있다. 캡슐은 소비를 위한 출력인 음료를 형성하도록 캡슐 내의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압력 하의 액체가 캡슐에 유입되는 음료 제조 장치 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EP 1700548호의 캡슐에는 사용 시 캡슐의 외부 주위에서의 물의 바이패스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용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밀봉 부재는 캡슐의 외측 표면 상의 중공 밀봉 부재의 형태, 예를 들어 음료 조제기의 봉쇄 부재(enclosing member)의 폐쇄 시에 접촉되는 단차(step)의 형태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음료 조제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캡슐을 제공한다. 이 캡슐은 사용 시에 효과적인 밀봉을 생성하고 제공하기에 경제적일 수 있다.
제1 태양에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음료 제조 시스템은,
음료 성분들을 수용하는 캡슐; 및
음료 조제기를 포함하고,
캡슐은 컵-형상 몸체 및 덮개를 포함하며, 컵-형상 몸체는 기부 및 측벽을 가지고, 덮개는 컵-형상 몸체에 밀봉되며,
캡슐은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압된 액체가 캡슐을 통해 유동되게 하도록 음료 조제기 내로 삽입되게 설계되고,
음료 조제기는 봉쇄 부재를 갖고, 봉쇄 부재는 음료 조제기 내로의 캡슐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봉쇄 부재가 캡슐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삽입 전에, 측벽은,
-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환형 홈통(annular trough),
- 기부와 환형 홈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벽 섹션, 및
- 환형 홈통과 캡슐의 림(rim)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벽 섹션을 포함한다.
제2 태양에서, 본 발명은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캡슐을 제공하는데, 캡슐은 컵-형상 몸체 및 덮개를 포함하고, 컵 형상 몸체는 기부 및 측벽을 가지고, 덮개는 컵-형상 몸체에 밀봉되며,
캡슐은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압된 액체가 캡슐을 통해 유동되게 하도록 음료 조제기 내로 삽입되게 설계되고,
음료 조제기는 봉쇄 부재를 갖는 유형의 것이고, 봉쇄 부재는 음료 조제기 내로의 캡슐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봉쇄 부재가 캡슐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측벽은,
- 봉쇄 부재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환형 홈통,
- 기부와 환형 홈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벽 섹션, 및
- 환형 홈통과 캡슐의 림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벽 섹션을 포함한다.
제3 태양에서, 본 발명은 음료 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 전술된 바와 같은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 봉쇄 부재를 갖는 음료 조제기를 제공하는 단계;
- 봉쇄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음료 조제기 내로 캡슐을 삽입하는 단계;
- 봉쇄 부재를 캡슐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게 하도록 봉쇄 부재를 폐쇄시키는 단계;
-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도록 캡슐을 통해 가압된 액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및
- 소비를 위한 음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폐쇄 시에, 봉쇄 부재는 캡슐의 측벽의 환형 홈통과 맞물림으로써 측벽을 변형시키고,
측벽의 상기 변형은 봉쇄 부재와 측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경계부의 형성을 초래한다.
상기 태양들은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홈통은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leading edge)를 환형 홈통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될 수 있다.
제2 측벽 섹션은 환형 홈통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리지 구역(ridge zone)을 한정할 수 있다.
측벽은 봉쇄 부재의 폐쇄 동안에 소성 변형을 겪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벽은, 사용 시에, 봉쇄 부재의 폐쇄가 측벽을 변형시켜 제2 측벽 섹션이 봉쇄 부재의 외측 면에 대항하여 내향으로 가압되게 하여 봉쇄 부재의 외측 면과 밀봉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형 홈통은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와 밀봉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밀봉 경계부는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 및 외측 면 둘 모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환형 홈통의 변형은 또한 봉쇄 부재의 내측 면 상에 외향 압력이 측벽에 의해 가해지게 하여 추가의 밀봉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은 봉쇄 부재의 폐쇄 동안에 측벽이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에 걸쳐 소성 인발되도록(plastically drawn)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측벽이 선단 에지에 제공되는 임의의 홈(groove)(또는 유사물)의 형상에 정합되게 할 수 있다.
삽입 전에, 환형 홈통은 내측 벽, 외측 벽 및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봉쇄 부재의 폐쇄 시에,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는 환형 홈통의 외측 벽과 접촉하여 외측 벽과 시일(seal)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벽 및 외측 벽은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외측 벽은 바닥과 외측 벽 사이의 접합부에서의 내부 각도가 9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5°이도록 바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봉쇄 부재와의 시일은 테이퍼형 시일일 수 있다.
리지 구역은 정점(apex)을 포함할 수 있고,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는 내측 림 및 외측 림, 그리고 내측 림과 외측 림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봉쇄 부재의 폐쇄 시에 리지 구역의 정점은 내측 림과 외측 림 사이의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환형 홈통은 음료 조제기 부분의 캡슐 홀더에 대항하여 물리도록(nipped) 구성될 수 있다.
삽입 전에, 환형 홈통의 바닥이 림에 비해 상승될 수 있다. 환형 홈통의 바닥은 0.1 내지 2.0 mm의 거리만큼 측벽의 말단 단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일례에서, 오프셋은 비교적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는 1.55 내지 2.0 mm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오프셋은 1.85 mm일 수 있다. 오프셋이 비교적 큰 경우, 환형 홈통의 바닥은 리지 구역(존재하는 경우)의 정점 아래로 0.75 내지 1.2 mm에 있을 수 있다. 일례에서, 거리는 0.9 mm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삽입 전에, 환형 홈통의 바닥은 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은 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일례에서, 오프셋은 0.2 mm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구성에서, 환형 홈통의 바닥은 리지 구역(존재하는 경우)의 정점 아래로 2.0 내지 2.5 mm에 있을 수 있다. 일례에서, 거리는 2.2 mm이다.
측벽은, 사용 시에, 봉쇄 부재의 폐쇄가 측벽을 변형시켜 환형 홈통의 바닥이 실질적으로 림과 정렬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벽 섹션, 환형 홈통 및 제2 측벽 섹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림은 컵-형상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림은 측벽의 말린(rolled-over)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전에, 측벽은 기부에 근접한 절두 원추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전에, 측벽은 절두 원추형 섹션과 환형 홈통 사이에 원통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홈통은 1.3 내지 2.0 mm의 내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환형 홈통은 대략 1.5 mm 내지 1.8 mm의 내부 폭을 갖는다.
환형 홈통은 27.5 내지 30.0 mm의 내경 및 29.3 내지 32.5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덮개는 측벽의 환형 홈통에 밀봉될 수 있다. 덮개는 환형 홈통의 바닥의 내측 표면에 밀봉될 수 있다.
밀봉 부재의 선단 에지는 복수의 홈들 또는 만입부(indentation)들을 포함할 수 있고, 측벽은 측벽의 소성 변형이 측벽의 환형 홈통을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배열에서, 측벽의 소성 변형은 환형 홈통의 외측 벽을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한다.
컵-형상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컵-형상 몸체의 전체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래커(lacquer) 층이 컵-형상 몸체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적합하게 연성인 재료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은, 예를 들어 그레이드(grade) 3005, 3105, 8011 또는 8079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은 'O' 템퍼 등급(temper rating)을 가질 것이다.
라미네이트는, 사용될 경우,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탄성 층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연성 구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도포된 하나 이상의 선택적 래커 층, 타이(tie) 층 또는 접착제 층과 함께 중합체의 단일 층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단일 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컵-형상 몸체는 라미네이트 재료의 단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EPDM), 폴리클로로프렌 또는 아이소부틸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층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40 D 쇼어 경도(Shore Hardness) 이하의 경도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라미네이트의 외측 층에 대해 비교적 연성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재료가 봉쇄 부재의 불완전부 및 특징부 주위에서 변형되게 하여 더 효과적인 유압 시일을 제공한다.
덮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적합하게 연성인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덮개는 컵-형상 몸체에 대한 덮개의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 밀봉 래커 또는 열 밀봉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컵-형상 몸체는 재료의 일체형 단일편(single integral piec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의 단일편은, 환형 홈통을 포함하는, 컵-형상 몸체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냉간 인발될 수 있다. 컵-형상 몸체를 냉간 성형하기 위해 딥-드로잉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컵-형상 몸체의 재료가 중합체 층을 갖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알루미늄 층의 재료 특성에 악영향 없이 중합체 재료의 더 용이한 변형을 촉진하도록 재료가 증가된 온도에 처해지는 열간-인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컵-형상 몸체 및 림은 일체일 수 있다.
컵-형상 몸체는 8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태양들에서, 두께는 9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컵-형상 몸체가 오로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래커 층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80 내지 12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의 두께가 바람직할 수 있다. 컵-형상 몸체가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재료의 두께는 컵-형상 몸체 전체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림은 대략 37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삽입 전에, 캡슐은 25 내지 31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태양들에서, 높이는 28.5 내지 30 mm일 수 있다. 사용 동안의 캡슐의 변형은 종방향 높이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컵-형상 몸체는 채워지고 덮개와 조립되기 전에 용이하게 적층 및 적층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캡슐은 단일 사용의 일회용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캡슐은 음료 성분 또는 음료 성분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음료 성분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오직 예시의 목적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세부의 확대도.
도 3은 음료 조제기의 봉쇄 부재와 함께 도 1의 캡슐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세부의 확대도.
도 5는 봉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3의 배열의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세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세부의 확대도.
도 9는 음료 조제기의 봉쇄 부재와 함께 도 7의 캡슐의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세부의 확대도.
도 11은 봉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9의 배열의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세부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세부의 확대도.
도 15는 음료 조제기의 봉쇄 부재와 함께 도 13의 캡슐의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세부의 확대도.
도 17은 봉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15의 배열의 개략도.
도 18은 도 17의 세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제 시스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음료 조제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 및 캡슐(1)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캡슐(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캡슐(1)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지만, 전반적인 형태가 일 단부에 있는 기부(42), 및 덮개(41)에 의해 폐쇄되는 반대편 단부를 향해 기부(42)로부터 연장되는 측벽(43)을 갖는 컵-형상 몸체(4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조제기는 봉쇄 부재(2) 및 캡슐 홀더(20)를 포함한다. 봉쇄 부재(2)는 음료 조제기 내로의 캡슐(1)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아래에서 기술될 방식으로 봉쇄 부재(2)가 캡슐 홀더(20)에 대항하여 캡슐(1)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캡슐 홀더(20)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봉쇄 부재(2)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적인 기구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단은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적 기구 또는 이동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 또는 반자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봉쇄 부재(2)는 캡슐 홀더(2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봉쇄 부재(2)는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캡슐 홀더(20)가 이동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적인 배열에서, 봉쇄 부재(2) 및 캡슐 홀더(20) 둘 모두가 개방 및 폐쇄 작동들 동안에 이동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의 봉쇄 부재(2) 및 캡슐 홀더(20)는 함께, 분배 작동 동안에 캡슐(1)을 유지하기 위한 리셉터클(3)을 한정한다.
음료 조제기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음료 조제기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른 통상적인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조제기는 내부 저장조와 같은 수성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설비, 또는 상수도 물과 같은 수성 매체의 외부 공급원에의 연결을 위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성 매체는 전형적으로 물일 것이다. 캡슐(1)에 가압된 상태의 수성 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 또는 등가물이 제공될 수 있다. 수성 매체는 전형적으로 최대 9 내지 14 bar의 압력으로 공급될 것이다. 수성 매체를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히터는 저장조(존재하는 경우) 내의 수성 매체를 가열할 수 있거나, 수성 매체가 리셉터클(3)까지 도관을 통해 또는 써모블록(thermoblock) 위로 지나감에 따라 요구되는 대로 수성 매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음료 조제기는 수성 매체가 캡슐(1)에 유입되어 캡슐 내의 음료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게 하도록 캡슐(1)의 기부(42)를 천공하기 위한 기부 천공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캡슐(1)에는 리셉터클(3)로부터 캡슐(1) 내로의 수성 매체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미리-형성된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봉쇄 부재(2)는 환형 림의 형태인 선단 에지(23), 리셉터클(3)에 대면하는 내측 면(25) 및 외부에 대면하는 외측 면(24)을 갖는 환형 요소(22)를 포함하는, EP 1700548호에 기술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선단 에지(23)에는 EP 1700548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봉쇄 부재(2)의 상단부(도시되지 않음)가 수성 매체의 공급원에 결합될 수 있고, 사용 시에 캡슐(1)의 기부(42)를 천공하도록 의도된 하나 이상의 천공 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할 수 있다.
캡슐 홀더(20)는 캡슐(1)의 덮개(41)를 인열시켜 천공하도록 설계된 릴리프 요소(relief element)(21)를 포함하는, EP 1700548호에 기술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덮개(41)의 인열은 수성 매체를 유입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캡슐(1)의 내부 가압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릴리프 요소(21)는 포일 부재의 부분적인 인열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임의의 돌출 형상, 예컨대 피라미드, 니들(needle), 범프(bump), 원통 또는 기다란 리브(rib)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1)의 컵-형상 몸체(40) 및 덮개(41)는 음료 성분 또는 음료 성분들의 혼합물로 채워질 수 있는 음료 성분 챔버(50)를 함께 둘러싼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음료 성분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컵-형상 몸체(4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및 중합체의 라미네이트와 같은 다른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컵-형상 몸체(40)는 기부(42) 및 측벽(4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견부(shoulder)(57)의 형태로, 기부(42)와 측벽(43) 사이의 접합부에 기하학적 불연속부가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부(42) 및 측벽(43)은 매끄러운 기하학적 전이부를 가질 수 있다.
컵-형상 몸체(40)는 8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재료의 두께는 컵-형상 몸체(40) 전체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두께는 100 마이크로미터이다.
측벽(43)에는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2)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되는 환형 홈통(60)이 제공된다. 제1 측벽 섹션(61)이 기부(42)와 환형 홈통(60) 사이에서 연장되어 제공되고, 제2 측벽 섹션(62)이 환형 홈통(60)과 캡슐(1)의 측벽(43)의 말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제공된다.
환형 홈통(60)은 내측 벽(65), 외측 벽(66),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닥(6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내측 벽(65) 및 외측 벽(66)은, 음료 조제기 내에서의 캡슐(1)의 삽입 전에, 바닥(64)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벽(65)은 제1 측벽 섹션(61)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지 구역(63)이 환형 홈통(6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리지 구역(63)은 리지 구역(63)의 정점(67)이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레벨 위로 상승되도록 기부(42)의 전반적인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점(67)은 0.75 내지 2.5 mm의 거리만큼 바닥(64)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는 0.9 mm이다. 리지 구역(63)은 제2 측벽 섹션(62)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외측 벽(68) 및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에 의해 제공된 내측 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통(60) 및 리지 구역(63)을 포함하는 측벽(4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43) 및 기부(42)를 포함하는 컵-형상 몸체(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통(60)은 1.3 내지 2.0 mm의 내부 폭을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환형 홈통(60)의 내부 폭은 환형 요소(22)의 선단 에지(23)의 폭보다 미미하게 크도록 선택된다. 일례에서, 환형 홈통(60)은 대략 1.5 mm 내지 1.8 mm 의 내부 폭을 갖는다.
환형 홈통(60)은 27.5 내지 30.0 mm의 내경(이는 환형 홈통(60) 내로 대면하는 내측 벽(65)의 표면의 직경임) 및 29.3 내지 32.5 mm의 외측 직경(이는 환형 홈통(60) 내로 대면하는 외측 벽(66)의 표면의 직경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내경은 폐쇄 시에 봉쇄 부재(2)의 외측 면(24)과 내측 벽(65) 사이에 약간의 억지 끼워맞춤이 존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봉쇄 부재(2)와 환형 홈통(60)의 양호한 정렬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1)는 환형 홈통(60)에 밀봉된다. 특히, 덮개(41)는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내측 표면에 밀봉된다.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은 측벽(43)의 말단 단부에 대해 상승된다. 결과적으로, 덮개(41)는 또한 측벽(43)의 말단 단부에 대해 상승된다. 바닥(64)은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0.1 내지 2.0 mm의 거리만큼 측벽(43)의 말단 단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은 1.85 mm이다. 바닥(64)에 덮개(41)를 밀봉하는 것은 시일의 유체-기밀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캡슐 홀더(20)와 선단 에지(23) 사이 내에서의 음료 성분들을 포획하도록 봉쇄 부재(2)가 캡슐(1)의 중공 부분에 접근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덮개(41)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라미네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 섹션(61)은 기부(42)에 근접한 절두 원추형 섹션(44) 및 기부(42)에서 멀리 있는 원통형 섹션(4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원통형 섹션(45)의 일부분은 환형 홈통(60)의 내측 벽(65)을 형성한다.
캡슐(1)에는 기부(42)로부터 먼 컵-형상 몸체(40)의 단부에, 즉 측벽(43)의 말단 단부에 형성된 림(47)이 제공될 수 있다. 림(47)은 컵-형상 몸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림(47)은 측벽(43)의 말린 부분(48)에 의해 형성된다.
음료 조제 시스템의 사용 시, 봉쇄 부재(2)는 먼저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캡슐(1)은 캡슐 홀더(20)와 봉쇄 부재(2) 사이 내의 위치로 삽입된다. 음료 조제기의 설계에 따라, 캡슐(1)은 중력에 의해 또는 수동 배치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게다가, 초기 삽입은, 봉쇄 부재(2)의 후속 이동이 캡슐(1)을 봉쇄 부재와 함께 캡슐 홀더(20)와의 맞물림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봉쇄 부재(2)에 근접하여 캡슐(1)을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초기 삽입은, 봉쇄 부재(2)의 폐쇄 동안에 캡슐(1)이 실질적으로 정지하여 유지되도록, 캡슐 홀더(20)에 근접하여 캡슐(1)을 배치할 수 있다.
봉쇄 부재(2)는 이어서 봉쇄 부재(2)를 캡슐(1)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게 하도록 폐쇄된다. 이 단계 동안에, 캡슐(1)의 기부(42)는 봉쇄 부재(2)의 천공 요소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가압된 수성 매체(이는 가열되거나, 주변 온도이거나, 냉각될 수 있음)는 이어서 캡슐(1) 내로 유동되어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한다. 이 단계 동안에, 음료 성분 챔버(50)의 내부 가압은 덮개(41)가 캡슐 홀더(20)의 릴리프 요소(21)에 대항하여 외향으로 변형되게 하여, 캡슐(1)로부터 음료를 위한 출구 경로를 개방하는 덮개(41)의 적어도 부분적인 인열을 초래한다.
이어서, 음료가 소비를 위해 출력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20)에 대하여 봉쇄 부재(2)를 폐쇄하는 단계 동안에, 캡슐(1)의 측벽(43)은 봉쇄 부재(2)와 접촉됨으로써, 측벽(43)을 변형시킨다. 특히, 선단 에지(23)는 환형 홈통(60)에 들어가서 바닥(64) 및/또는 내측 벽(65) 및/또는 외측 벽(66)에 지탱한다. 바닥(64)은 캡슐 홀더(20)에 대항하여 바닥(64)(및 바닥(64)에 밀봉된 덮개(41))을 물도록 봉쇄 부재(2)의 작용에 의해 하향으로 구동된다. 선단 에지(23)는 또한, 결과적으로 리지 구역(63)의 정점(67) 및/또는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요소(22)의 외측 면(24)과 밀봉 결합하게 되도록 리지 구역(63)이 내향으로 피벗되게 하는 이러한 이동 동안에, 측벽(43)의 재료를 집도록 작용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선단 에지(23)와 바닥(64) 사이의 초기 접촉점은, 측벽(43)이 캡슐 홀더(20)에 대항하여 물리기 전에 리지 구역(63)의 내향 피벗을 허용할 정도로 측벽(43)이 캡슐 홀더(20)를 향해 충분히 하향으로 변형될 여유가 있도록, 캡슐 홀더(2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측벽(43)의 유도된 이동은 측벽(43)이 소성 변형을 겪게 한다. 특히, 측벽(43)이 하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측벽(43)(특히, 환형 홈통(60)의 부분들)은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에 걸쳐 소성 인발될 수 있고, 이는 측벽(43)의 재료가 선단 에지(23)의 홈들에 밀착 정합되도록 조장한다. 따라서, 환형 홈통(60)은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와 밀봉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환형 홈통(60)의 변형은 또한 봉쇄 부재(2)의 내측 면(25) 상에 외향 압력이 측벽(43)에 의해 가해지게 하여 추가의 밀봉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캡슐(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의 특징부들에 대응하는 특징부들이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에 의해 표시된다.
제1 실시예 및 이 실시예의 특징부들은 필요에 따라 상호교환되고 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하기의 설명에서는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만이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른 태양들에서, 독자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으로 안내된다.
컵-형상 몸체(40)는 환형 홈통(60)의 구성 및 기하학적 형상에서 제1 실시예의 컵-형상 몸체와 상이하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 홈통(60)은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2)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환형 홈통(60)의 내측 벽(65)은, 이전과 같이, 바닥(6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외측 벽(66)은 바닥(64)과 외측 벽(66) 사이의 접합부에서의 내부 각도(α)가 9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5°이도록 바닥(64)에 대해 경사진다.
리지 구역(63)은 다시 환형 홈통(6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리지 구역(63)의 정점(67)이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레벨 위로 상승되도록 기부(42)의 전반적인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기를 포함한다. 정점(67)은 0.75 내지 2.5 mm의 거리만큼 바닥(64)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는 2.2 mm이다. 리지 구역(63)은 제2 측벽 섹션(62)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외측 벽(68) 및 환형 홈통(60)의 경사진 외측 벽(66)에 의해 제공된 내측 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 섹션(62)은 림(47)의 말린 부분(48)과 외측 벽(68) 사이에서, 플랜지의 외측 부분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환형 리지(7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환형 리지(70)의 높이는 0.7 내지 0.8 mm일 수 있다.
환형 홈통(60) 및 리지 구역(63)을 포함하는 측벽(4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43) 및 기부(42)를 포함하는 컵-형상 몸체(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통(60)은 1.3 내지 2.0 mm의 내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홈통(60)은 대략 1.5 mm 내지 1.8 mm의 내부 폭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1)는 환형 홈통(60)에 밀봉된다. 특히, 덮개(41)는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내측 표면에 밀봉된다.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은 삽입 전에 측벽(43)의 말단 단부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와 측벽(43)의 말단 단부로부터의 오프셋은 단지 0.2 mm이다.
음료 조제 시스템의 사용 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과 같이 봉쇄 부재(2)는 먼저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캡슐(1)은 캡슐 홀더(20)와 봉쇄 부재(2) 사이 내의 위치로 삽입된다. 도 9는 (원주 주위에서 중단부를 가질 수 있지만) 대체로 환형일 수 있는 리세스(23c)를 사이에 한정하도록 서로 이격되고 동심인 내측 림(23a) 및 외측 림(23b)을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가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20)에 대하여 봉쇄 부재(2)를 폐쇄할 때, 캡슐(1)의 측벽(43)은 봉쇄 부재(2)와 접촉됨으로써, 측벽(43)을 변형시킨다. 특히, 선단 에지(23)의 내측 림(23a)이 환형 홈통(60) 내에 수용되고 외측 벽(66)에 지탱됨과 동시에(또는 약간 후에) 리지 구역(63)의 정점(67)이 리세스(23c) 내에 수용된다. 리지 구역(63)(및 바닥(64))은 외측 벽(66) 및/또는 정점(67) 상에서의 봉쇄 부재(2)의 작용에 의해 하향 구동되어,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 및 리지 구역(63)의 외측 벽(68)이 좌굴되고 변형되게/구겨지게 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에,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의 재료는 선단 에지(23)에 걸쳐 소성 인발되어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을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리지 구역(63)의 하향 이동은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20)에 대항하여 바닥(64)(및 바닥(64)에 밀봉된 덮개(41))을 문다.
리지 구역(63)의 외측 벽(68)의 기하학적 형상은, 추가적인 환형 리지(70)와 함께, 측벽(43)의 말단 단부를 강화시키는 것을 돕고 림(47)이 아래로 편향되어 캡슐 홀더(2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봉쇄 부재(2)의 하향 이동은 내측 림(23a)이 환형 홈통(60)의 바닥(64)에 접촉하고 이에 지탱될 때까지 도 12에 도시된 지점을 지나 계속될 수 있다.
캡슐(1)의 천공 및 캡슐로부터의 음료의 브루잉(brewing)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캡슐(1)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및/또는 제2 실시예의 특징부들에 대응하는 특징부들은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에 의해 표시된다. 제1 및/또는 제2 실시예 및 이 실시예의 특징부들은 필요에 따라 상호교환되고 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하기의 설명에서는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만이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른 태양들에서, 독자는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안내된다.
컵-형상 몸체(40)는 환형 홈통(60)의 구성 및 기하학적 형상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들의 컵-형상 몸체와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 홈통(60)은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2)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2)의 선단 에지(23)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환형 홈통(60)의 내측 벽(65)은 바닥(6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외측 벽(66)은 바닥(64)과 외측 벽(66) 사이의 접합부에서의 내부 각도(α)가 9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5°이도록 바닥(64)에 대해 경사진다.
리지 구역(63)은 다시 환형 홈통(6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리지 구역(63)의 정점(67)이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레벨 위로 상승되도록 기부(42)의 전반적인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기를 포함한다. 정점(67)은 제2 실시예에서보다 다소 더 둥글다. 정점(67)은 0.75 내지 2.5 mm의 거리만큼 바닥(64)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는 2.2 mm이다. 리지 구역(63)은 제2 측벽 섹션(62)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외측 벽(68) 및 환형 홈통(60)의 경사진 외측 벽(66)에 의해 제공된 내측 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벽(68)은 림(47)의 말린 부분(48) 내로 합쳐지기 전에 3개의 구별되는 섹션들 ― 삽입 전에 바닥(64)에 수직인 상부 섹션(73), 수직에 대하여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의 각도(β)로 경사지는 중간 섹션(71), 및 수평 부분(바닥(64)에 평행함)을 포함하는 하부 섹션(72) - 을 포함한다.
환형 홈통(60) 및 리지 구역(63)을 포함하는 측벽(4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43) 및 기부(42)를 포함하는 컵-형상 몸체(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통(60)은 1.3 내지 2.0 mm의 내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홈통(60)은 대략 1.5 mm 내지 1.8 mm의 내부 폭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1)는 환형 홈통(60)에 밀봉된다. 특히, 덮개(41)는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의 내측 표면에 밀봉된다. 환형 홈통(60)의 바닥(64)은 삽입 전에 측벽(43)의 말단 단부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와 측벽(43)의 말단 단부로부터의 오프셋은 단지 0.2 mm이다.
음료 조제 시스템의 사용 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과 같이 봉쇄 부재(2)는 먼저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캡슐(1)은 캡슐 홀더(20)와 봉쇄 부재(2) 사이 내의 위치로 삽입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20)에 대하여 봉쇄 부재(2)를 폐쇄할 때, 캡슐(1)의 측벽(43)은 봉쇄 부재(2)와 접촉됨으로써, 측벽(43)을 변형시킨다. 특히, 선단 에지(23)의 내측 림(23a)이 환형 홈통(60) 내에 수용되고 외측 벽(66)에 지탱됨과 동시에(또는 약간 후에) 리지 구역(63)의 정점(67)이 리세스(23c) 내에 수용된다. 리지 구역(63)(및 바닥(64))은 외측 벽(66) 및/또는 정점(67) 상에서의 봉쇄 부재(2)의 작용에 의해 하향 구동되어,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 및 리지 구역(63)의 외측 벽(68)이 좌굴되고 변형되게/구겨지게 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에,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의 재료는 선단 에지(23)에 걸쳐 소성 인발되어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환형 홈통(60)의 외측 벽(66)을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리지 구역(63)의 하향 이동은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20)에 대항하여 바닥(64)(및 바닥(64)에 밀봉된 덮개(41))을 문다.
리지 구역(63)의 외측 벽(68)의 기하학적 형상은, 상부 섹션(73), 중간-섹션(71) 및 하부 섹션(72)과 함께, 측벽(43)의 말단 단부를 강화시키는 것을 돕고 림(47)이 아래로 편향되어 캡슐 홀더(2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봉쇄 부재(2)의 하향 이동은 내측 림(23a)이 환형 홈통(60)의 바닥(64)에 접촉하고 이에 지탱될 때까지 도 12에 도시된 지점을 지나 계속될 수 있다.
캡슐(1)의 천공 및 캡슐로부터의 음료의 브루잉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의 캡슐(1)은 중합체 층을 갖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라미네이트 재료로부터 형성된 측벽(43)을 포함할 수 있다. 봉쇄 부재(2)의 폐쇄는 위에서 언급된 밀봉 경계부들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때 라미네이트 재료의 적어도 중합체 층을 압축할 수 있다. 중합체 층의 압축은 선단 에지(23)의 형상에 대한 측벽(43)의 정합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중합체 층은 선단 에지(23)에서의 홈의 존재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임의의 간극의 채움을 도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층은 선단 에지(23)와 직접 접촉하도록 외향으로 지향된다. 컵-형상 몸체(40)는 라미네이트 재료의 단일편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사용될 경우,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탄성 층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연성 구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도포된 하나 이상의 선택적 래커 층, 타이 층 또는 접착제 층과 함께 중합체의 단일 층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단일 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EPDM), 폴리클로로프렌 또는 아이소부틸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 동안에, 리셉터클(3)을 통과한 고온수는 중합체 층의 재료를 약간 연화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연화는 봉쇄 부재(2)의 압축 로딩 하에 측벽(43)의 추가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효과는 고온수가 통과하여 누설되게 하는 임의의 간극을 밀봉하는 경향을 가짐으로써 봉쇄 부재(2)와 캡슐(1) 사이에서 유체 시일을 보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측벽(43)의 변형은 또한 전형적으로, 삽입 이전의 캡슐의 높이에 대한 캡슐(1)의 종방향 높이의 감소를 유발할 것이다.

Claims (16)

  1.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음료 성분들을 수용하는 캡슐; 및
    음료 조제기를 포함하고,
    캡슐은 컵-형상 몸체 및 덮개를 포함하며, 컵-형상 몸체는 기부 및 측벽을 가지고, 덮개는 컵-형상 몸체에 밀봉되며,
    캡슐은 음료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압된 액체가 캡슐을 통해 유동되게 하도록 음료 조제기 내로 삽입되게 설계되고,
    음료 조제기는 봉쇄 부재(enclosing member)를 갖고, 봉쇄 부재는 음료 조제기 내로의 캡슐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봉쇄 부재가 캡슐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삽입 전에, 측벽은,
    - 폐쇄 위치로의 봉쇄 부재의 이동 시에 봉쇄 부재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환형 홈통(annular trough),
    - 기부와 환형 홈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측벽 섹션, 및
    - 환형 홈통과 캡슐의 림(rim)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벽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봉쇄 부재의 폐쇄 동안에 소성 변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홈통은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leading edge)와 밀봉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삽입 전에, 상기 환형 홈통은 내측 벽, 외측 벽 및 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림은 컵-형상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림은 상기 측벽의 말린(rolled-over)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컵-형상 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컵-형상 몸체는 재료의 일체형 단일편(single integral piece)으로 형성되며,
    상기 컵-형상 몸체의 두께는 80 내지 12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인,
    음료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측벽 섹션은 환형 홈통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리지 구역(ridge zone)을 한정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벽은, 사용 시에, 봉쇄 부재의 폐쇄가 측벽을 변형시켜 제2 측벽 섹션이 봉쇄 부재의 외측 면에 대항하여 내향으로 가압되게 하여 봉쇄 부재의 외측 면과 밀봉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벽은 봉쇄 부재의 폐쇄 동안에 측벽이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에 걸쳐 소성 인발되도록(plastically drawn)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쇄 부재의 폐쇄 시에,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는 환형 홈통의 외측 벽과 접촉하여 외측 벽과 시일(seal)을 형성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내측 벽 및 외측 벽은 바닥에 수직이거나, 외측 벽은 바닥과 외측 벽 사이의 접합부에서의 내부 각도가 90° 내지 120°, 또는 105°이도록 바닥에 대해 경사져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측벽 섹션은 환형 홈통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리지 구역(ridge zone)을 한정하고, 상기 리지 구역은 정점(apex)을 포함하고,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는 내측 림 및 외측 림, 그리고 내측 림과 외측 림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며, 봉쇄 부재의 폐쇄 시에 리지 구역의 정점은 내측 림과 외측 림 사이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 홈통은 음료 조제기의 캡슐 홀더에 대항하여 물리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삽입 전에, 환형 홈통의 바닥은 림에 대해 상승되어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측벽은, 사용 시에, 봉쇄 부재의 폐쇄가 측벽을 변형시켜 환형 홈통의 바닥이 림과 정렬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삽입 전에, 환형 홈통의 바닥은 림과 정렬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 홈통은 1.3 내지 2.0 mm의 내부 폭을 갖고, 또는 1.5 mm 내지 1.8 mm의 내부 폭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 홈통은 27.5 내지 30.0 mm의 내경 및 29.3 내지 32.5 mm의 외경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쇄 부재의 선단 에지는 복수의 홈(groove)들 또는 만입부(indentation)들을 포함하고, 측벽은 측벽의 소성 변형이 측벽의 환형 홈통을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측벽의 소성 변형은 환형 홈통의 외측 벽을 홈들 또는 만입부들에 정합시켜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형성되거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로부터 형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0187030971A 2013-05-17 2014-05-16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KR102150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308925.5A GB201308925D0 (en) 2013-05-17 2013-05-17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GB1308929.7 2013-05-17
GB1308925.5 2013-05-17
GBGB1308929.7A GB201308929D0 (en) 2013-05-17 2013-05-17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PCT/IB2014/000858 WO2014184652A1 (en) 2013-05-17 2014-05-16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81A Division KR102149076B1 (ko) 2013-05-17 2014-05-16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10A KR20180119710A (ko) 2018-11-02
KR102150783B1 true KR102150783B1 (ko) 2020-09-01

Family

ID=509427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81A KR102149076B1 (ko) 2013-05-17 2014-05-16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KR1020187030971A KR102150783B1 (ko) 2013-05-17 2014-05-16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81A KR102149076B1 (ko) 2013-05-17 2014-05-16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0273076B2 (ko)
EP (4) EP3375333B1 (ko)
JP (4) JP2016524485A (ko)
KR (2) KR102149076B1 (ko)
CN (2) CN110239844B (ko)
AU (2) AU2014266921C1 (ko)
BR (2) BR112015028311B1 (ko)
CA (1) CA2901582C (ko)
DE (2) DE202014011505U1 (ko)
DK (3) DK3375333T3 (ko)
ES (3) ES2806724T3 (ko)
HK (1) HK1223804A1 (ko)
NO (1) NO2996521T3 (ko)
PL (3) PL2996521T4 (ko)
PT (3) PT3375333T (ko)
RU (1) RU2647791C2 (ko)
WO (1) WO2014184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2066B2 (en) * 2010-12-04 2020-07-28 Adrian Rivera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PT3023362T (pt) 2010-07-22 2018-04-04 K Fee System Gmbh Cápsula de dose individual com identificador
DE102012105282A1 (de) 2012-06-18 2013-12-19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DE102012223291A1 (de) 2012-12-14 2014-06-1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GB201308927D0 (en) 2013-05-17 2013-07-03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JP2016524485A (ja) 2013-05-17 2016-08-18 クラフト・フーズ・アール・アンド・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飲料調製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方法
ITVR20130243A1 (it) 2013-11-08 2015-05-09 Caffita System Spa Capsula e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ES2680630T3 (es) 2014-01-03 2018-09-10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Envase de suministro intercambiable para una máquina dispensadora de bebidas, dosificador, unidad de bomba y método de fabricación
GB201420262D0 (en) 2014-11-14 2014-12-31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forming a cup-shaped body for a beverage capsule
WO2016135105A1 (de) 2015-02-27 2016-09-01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it einem durch siegeln verbundenen filterelement
PL3134331T3 (pl) 2015-05-15 2018-12-31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Kapsułka, system do przygotowywania napoju z takiej kapsułki i zastosowanie takiej kapsułki w urządzeniu do przygotowywania napoju
CN107848703B (zh) * 2015-05-15 2020-03-20 皇家戴维艾格伯茨有限公司 胶囊、用于从这种胶囊制备饮用饮料的系统以及这种胶囊在饮料制备装置中的使用
WO2016186495A1 (en) 2015-05-15 2016-11-24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KR102602908B1 (ko) * 2015-05-15 2023-11-16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캡슐, 이러한 캡슐로부터 마실 수 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음료 제조 장치 내의 이러한 캡슐의 이용
RU2020134017A (ru) * 2015-05-15 2020-11-20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Капсула,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питья напитка из подобной капсулы и применение подобной капсулы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PL3134335T3 (pl) * 2015-05-15 2018-12-31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Kapsułka, system do przygotowywania napoju z takiej kapsułki i zastosowanie takiej kapsułki w urządzeniu do przygotowywania napoju
EP3134333A1 (en) * 2015-05-15 2017-03-01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U2016264686B2 (en) 2015-05-15 2021-07-29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PT3134334T (pt) * 2015-05-15 2019-06-14 Douwe Egberts Bv Cápsula, sistema para preparar uma bebida potável a partir de tal cápsula e utilização de tal cápsula num dispositivo de preparação de bebida
CH711126A1 (de) * 2015-05-27 2016-11-30 Swiss Coffee Company Ag Kapsel zur Verwendung in einer Extraktionsmaschine und Extraktions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r solchen Kapsel.
JP6580714B2 (ja) 2015-06-10 2019-09-25 ケイ‐フィー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3層不織布を用いたポーションカプセル
ES2749154T3 (es) 2015-07-13 2020-03-19 K Fee System Gmbh Elemento filtrante con una escotadura
ES2767691T3 (es) 2015-09-18 2020-06-18 K Fee System Gmbh Adaptador para una cápsula monodosis
PT3368447T (pt) 2015-10-27 2020-05-07 Douwe Egberts Bv Cápsula, sistema e método para preparação de uma bebida
ES2580155B1 (es) 2016-01-05 2017-08-01 Cup Out Of The Box, S.L. Conjunto, cápsula y procedimiento para preparar infusiones
NL2016779B1 (en) * 2016-05-13 2017-11-16 Douwe Egberts Bv A capsule and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NL2016780B1 (en) * 2016-05-13 2017-11-16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O2018019570A1 (en) * 2016-07-26 2018-02-01 Nestec S.A. Capsule and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11724873B2 (en) 2016-08-03 2023-08-1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ontaining pellets
IT201600082459A1 (it) * 2016-08-04 2018-02-04 Bisio Progetti Spa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d infusione e solubili
AT519177B1 (de) * 2016-10-06 2019-04-15 Trotec Laser Gmbh Verfahren zum Gravieren, Markieren und/oder Beschriften eines Werkstückes mit
WO2018067009A1 (en) 2016-10-07 2018-04-12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trecht)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NL2019254B9 (en) * 2016-10-07 2018-09-10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DE102016012044A1 (de) * 2016-10-07 2018-04-12 Xpressivo Ag Kapseldichtung mit doppelter Zentrierfunktion
KR20180043876A (ko) * 2016-10-20 2018-05-02 주식회사 자로 검은콩 캡슐
BR112019008836A2 (pt) 2016-11-09 2019-07-09 Pepsico Inc conjuntos de fabricação de bebida carbonatada, métodos, e sistemas
EP3372528A1 (en) * 2017-03-10 2018-09-12 ITC Packaging, S.L.U. An in-mould labelled container for preparing drinks
CN110382373B (zh) 2017-04-04 2021-07-27 雀巢产品有限公司 具有一体形成密封构件的用于饮料制备的胶囊
NL2019253B1 (en) 2017-07-14 2019-01-28 Douwe Egberts Bv Assembly of a capsule and a brew chamber, brew chambe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sule and use of a capsule.
RU2665595C1 (ru) * 2017-08-23 2018-08-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ИМИ" (ООО "ОРИМИ")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WO2019091588A1 (en) * 2017-11-13 2019-05-16 David Rubinstein Caps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KR102185677B1 (ko) * 2017-11-21 202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EP3733556A4 (en) * 2017-12-28 2021-09-15 AMV Caps, S.L. TEA CAPSULE
IT201800002310A1 (it) * 2018-02-01 2019-08-01 Sarong Spa Capsula per bevande
IT201800003290A1 (it) 2018-03-05 2019-09-05 Marco Agostini Impianto di essiccazione delle pelli
US20210007540A1 (en) * 2018-04-23 2021-01-14 2266170 Ontario Inc. Capsules,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Fabrics With Optimum Filtration Characteristics
JP1643129S (ko) * 2018-06-28 2019-10-07
JP1643001S (ko) * 2018-06-28 2019-10-07
TW202023919A (zh) 2018-09-14 2020-07-01 瑞士商雀巢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飲料製備之具有一體地形成的密封部件之膠囊
WO2020074550A1 (en) 2018-10-10 2020-04-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with integrally formed sealing member
EP3863945A1 (en) 2018-10-10 2021-08-1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with integrally formed sealing member
NL2022265B1 (en) * 2018-12-20 2020-07-15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using a fluid supplied under pressure into the capsule and a capsule for use in such a system
NL2022269B1 (en) * 2018-12-20 2020-07-15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using a fluid supplied under pressure into the capsule and a capsule for use in such a system
AU2020222222A1 (en) * 2019-02-13 2021-08-19 Gcs German Capsule Solution Gmbh Single-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said single-serve capsule
EP3702298A1 (de) 2019-03-01 2020-09-02 Delica AG Kapsel und system für die zubereit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NL2022931B1 (nl) 2019-04-11 2020-10-20 Stas I P B V Bereidingssysteem voor het extraheren van in een capsule aanwezig product
IT201900011385A1 (it) * 2019-07-10 2021-01-10 Sandro Mizzon Capsula in alluminio contenente una sostanza in polver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3151478A1 (en) * 2019-10-02 2021-04-08 Novelis Inc. Aluminum flat rolled products with high recycled content for light gauge packaging solutions and related methods
TW202136130A (zh) * 2019-12-17 2021-10-01 瑞士商雀巢製品股份有限公司 由鋁合金製成之用於製備飲料之膠囊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RU204761U1 (ru) * 2021-03-22 2021-06-09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Держатель с капсуло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652A (ja) * 2006-05-29 2009-11-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変形可能なシール要素を有するコーヒーカプセル
JP2012515601A (ja) * 2009-01-23 2012-07-12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JP2012530527A (ja) 2009-06-17 2012-12-06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摂取に適する所定量の飲料を用意するためのカプセル、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8560A (en) 1959-02-06 1961-01-17 Sealpak Corp Infusion packag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US3233813A (en) 1963-07-31 1966-02-08 Reynolds Metals Co Pie plate receptacle with stepped flange
CA941663A (en) 1969-11-26 1974-02-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irradi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imaging and fix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FR2082002A5 (ko) 1969-12-09 1971-12-10 Ethylene Plastique Sa
US3695084A (en) 1970-11-24 1972-10-03 Reynolds Metals Co Nest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87720A (en) 1975-09-15 1976-10-26 The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No drip pie plate
CH605293A5 (ko) 1976-12-17 1978-09-29 Nestle Sa
IT1194662B (it) 1980-06-11 1988-09-22 Giuseppe Stefano Pia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cappuccino,te',brodo o di altri infusi,azionata automaticamente,mediante un filtro a perdere,contenente una o piu' dosi di prodotti,introdotto a mo' di gettone
GB2104049B (en) 1981-02-27 1985-06-19 Nestle Sa Sealing process for filled containers
US4762514A (en) 1985-11-01 1988-08-09 Fujimori Kogyo Co., Ltd. Method of making beverage packaging bag
US5178293A (en) 1986-04-08 1993-01-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DE3641127A1 (de) 1986-12-02 1988-06-16 Lent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oelbteilen aus metall-thermoplast-verbunden
US4865217A (en) 1987-08-31 1989-09-12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CA2007748C (en) 1989-08-31 1996-01-02 Eiji Tamura Food packaging container
FR2660220B1 (fr) 1990-04-03 1995-02-24 Lorraine Laminage Procede et dispositif de formage d'une partie en relief sur un flan de tole et produit obtenu selon ce procede.
DK0468079T3 (ko) 1990-07-27 1997-03-03 Nestle Sa
EP0468080B1 (fr) 1990-07-27 1994-12-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d'extraction de cartouches ouvertes de café, cartouche de café et dispositif d'extrac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ATE93373T1 (de) 1990-07-27 1993-09-15 Nestle Sa Verfahren zum aufbruehen von geschlossenen portionspackung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US5897899A (en) 1991-05-08 1999-04-27 Nestec S.A. Cartridges containing substances for beverage preparation
AU1505192A (en) * 1991-05-10 1992-11-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ealed cartridge for the prepartion of a beverage
EP0521186B1 (fr) 1991-07-05 1994-11-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Emballage souple ouver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ES2096677T3 (es) 1991-07-05 1997-03-16 Nestle Sa Cartucho rigido para cafe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ZA924490B (en) 1991-07-05 1993-03-31 Nestle Sa A flexible package with a stiffening element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EP0554469B1 (fr) 1992-01-28 1994-09-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rtouche fermée pour la confection d'une boisson
IL110837A (en) 1993-09-10 2001-03-19 Plastipak Packaging Inc Preform of multilayer polyethylene traptalate used for plastic blowing design and method of making the preform
IT1285563B1 (it) 1996-02-13 1998-06-18 Pelliconi & C Spa Coperchio, in particolare per contenitori di prodotti alimentari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SI0806373T1 (en) 1996-05-10 2002-02-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losed cardtridge with zones of lesser thickness
ZA985765B (en) 1997-07-02 1999-08-04 Merck & Co Inc Polymorphic form of a tachykinin receptor antagonist.
ES2216791T3 (es) 2000-09-26 2004-11-0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rtucho cerrado para la confeccion de una bebida, prevista para estraerse por presion.
EP1203554A1 (fr) 2000-11-03 2002-05-0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substance alimentaire contenue dans un élément de recharge
US6371335B1 (en) 2000-12-07 2002-04-16 Sealright Co., Inc. Folded end construction for food sauce dispensing cartridges
EP1344724B1 (en) 2002-03-14 2006-05-10 Robert Hale Beverage cartridge, method for fabricating it and corresponding filter
ITTO20020481A1 (it) 2002-06-07 2003-12-09 Sgl Italia Srl Metodo e dispositivo di foratura di una capsula sigillata in una macchina da caffe'.
GB2407758B (en) 2003-01-24 2006-07-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509B (en) * 2003-01-24 2005-11-23 Kraft Foods R & D Inc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S2401736T3 (es) 2003-11-11 2013-04-24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Recipiente de cartón encajable
ITCO20030012U1 (it) 2003-12-29 2005-06-30 Ilenaig Sas Di Giannelli Giuseppe Capsula condensati bevande
US7556191B2 (en) 2004-05-18 2009-07-07 Evergreen Packaging, Inc. Rupturable opening for sealed container
DK1702543T3 (da) 2004-10-25 2008-01-07 Nestec Sa Kapsel med forseglingsmidler
AU2005298955B2 (en) 2004-10-25 2012-01-1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apsule with biasing sealing member
ATE428657T1 (de) * 2005-09-21 2009-05-15 Illycaffe Spa Kapsel enthaltend einer substanz zum extrahieren eines getränks
EP1839543B1 (en) 2006-03-31 2008-06-25 Nestec S.A. Capsule with outer sealing material pressurized by a fluid
ES2326909T3 (es) 2006-04-24 2009-10-21 Nestec S.A.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con un elemento de cierre hermetico unido a la mism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la misma.
DK2012994T3 (da) 2006-04-24 2012-07-30 Nestec S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kapsel til tilberedning af en drik med en forseglingsdel til vandtæthed hæftet dertil
US7947316B2 (en) 2006-08-04 2011-05-24 The Coca-Cola Company Pod for dispersible materials
NL2000400C2 (nl) 2006-12-22 2008-06-24 Friesland Brands Bv Cup voor concentraat en werkwijze voor bereiding van een vloeibaar product.
DE502007004474D1 (de) 2007-01-15 2010-09-02 Swiss Caffe Asia Ltd Kapsel, Mittel zum Penetrieren des Bodens einer Kapsel und Vorrichtung für die Zubereitung eines Getränks
US7910145B2 (en) 2007-05-31 2011-03-22 Marco Reati Precharged ground coffee capsule,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EP2152607B1 (en) 2007-06-05 2012-01-11 Nestec S.A. Single-use capsule for preparing a food liquid by centrifugation
PL2155021T3 (pl) * 2007-06-05 2011-09-30 Nestec Sa System kapsułki, urządzenie i sposób przygotowywania płynu spożywczego zawartego w zbiorniku poprzez odwirowanie
BR122019014122B1 (pt) * 2007-06-05 2020-02-18 Nestec S.A. Dispositivo e sistema para a preparação de bebida ou alimento líquido
WO2008155749A1 (en) 2007-06-18 2008-12-24 Pt. Alcan Packaging Flexipack Laminate packaging opening device
ES2365642T3 (es) 2008-03-12 2011-10-07 Nestec S.A. Cápsula con control del flujo y elemento de filtro.
DE102008014758A1 (de) * 2008-03-18 2009-10-08 Inde Plastik Betriebsgesellschaft Mbh Geschlossene Portionspackung mit Dichtung
EP2142054B2 (en) 2008-03-20 2015-06-17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single-use capsule
ES2377030T3 (es) 2008-07-15 2012-03-21 Nestec S.A. Procedimiento para la aplicación de un caucho de junta líquido sobre una cápsula
EP2165937A1 (en) 2008-09-23 2010-03-24 Nestec S.A. Bicoloured aluminium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container
JP4399022B1 (ja) 2008-10-21 2010-01-13 泉化成工業株式会社 延伸合成樹脂シートの成形方法
MX2011005991A (es) 2008-12-03 2011-06-27 Nestec Sa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mediante centrifugacion.
RU2527176C2 (ru) 2008-12-09 2014-08-27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методом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EP2384305A1 (en) 2009-01-05 2011-11-09 Nestec S.A. Capsule with flow control and filtering member
PT2210827E (pt) 2009-01-22 2012-11-21 Nestec Sa Cápsula com meios de injecção delamináveis
EP2364930B1 (en) 2009-03-19 2018-12-05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coffee in a device comprising a cartridge holder with relief and recessed elements
JP5702779B2 (ja) 2009-07-24 2015-04-15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プセルから抽出される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デバイス
ES2366821T3 (es) 2009-08-05 2011-10-25 Nestec S.A. Cápsula con medios de estanqueidad dedicados.
ES2402596T5 (es) 2009-08-05 2022-03-23 Nestle Sa Cápsula con elemento de estanqueidad en forma de relieve
EP2287090B1 (en) 2009-08-19 2013-05-29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RU2011129119A (ru) 2009-11-19 2013-01-20 Нестек С.А. См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такого как кофе, из вышеуказанного смен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EP2335529B1 (de) * 2009-12-18 2012-08-08 Delica AG Vorrichtung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und Kapsel
ITGE20100009A1 (it) 2010-01-26 2010-04-27 Marco Reati Carica preconfezionata di polvere di caffe'.
JP5809171B2 (ja) 2010-01-29 2015-11-1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生成装置において遠心処理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システム
PL2374383T3 (pl) 2010-04-07 2013-04-30 Nestec Sa System ekstrakcyjny do produkcji napoju wykorzystujący kapsułkę
EP2394932B1 (fr) 2010-06-11 2013-06-05 Alain Frydman Capsule à zone d'amorce de rupture
CA2824099C (en) 2011-01-24 2017-09-19 Nestec S.A. Capsul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CN103347425A (zh) 2011-01-28 2013-10-09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饮料生产系统和具有力环的胶囊
IT1403541B1 (it) 2011-01-31 2013-10-31 Sarong Spa Macchina erogatrice per bevande
IT1403855B1 (it) 2011-02-17 2013-11-08 E T I S R L Capsula per il contenimento di un preparato per bevanda calda
WO2012144885A1 (en) * 2011-03-03 2012-10-26 Biserkon Holdings Ltd. Capsule
US9540167B2 (en) 2011-03-03 2017-01-10 Biserkon Holdings Ltd. Capsule,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extraction
FR2972180B3 (fr) * 2011-03-04 2013-04-12 Laurent Lombart Kit ou ensemble pour la formation de capsules remplissables pour la preparation d'infusions
PT2683626T (pt) 2011-03-07 2018-04-04 Ethical Coffee Company Sa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e porta-cápsula adaptado
GB2489409B (en) 2011-03-23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 capsule and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EP2562101A1 (en) 2011-08-22 2013-02-27 Nestec S.A. A capsule for us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NL2007417C2 (en) 2011-09-14 2013-03-18 Ahold Coffee Company B V Capsule, and method of producing it.
CA2850009A1 (en) 2011-09-28 2013-04-04 Tuttoespresso S.R.L. Beverage capsule with sealing element
ITMI20111847A1 (it) 2011-10-10 2013-04-11 Goglio Spa Cartuccia per caffe' e prodotti solubili in genere
ES1075815Y (es) 2011-10-25 2012-03-08 Inventos Para Sist S Vending S L Capsula monodosis para maquinas de cafe espresso
DE102011121647A1 (de) 2011-12-19 2013-06-20 riha WeserGold Getränke GmbH & Co. KG Getränkebehälter mit Trinkhalm-Einstichöffnung
WO2013092910A1 (de) 2011-12-21 2013-06-27 Delica Ag Kapsel, system und verfahren für die zubereitung eines getränks
US20130224340A1 (en) 2012-02-27 2013-08-29 Hanan BenDavid Optimal extraction rate coffee capsule with effective seal for diverse group heads
US8986763B2 (en) 2012-02-27 2015-03-24 Rialto Coffee Company Ltd. Optimal extraction rate coffee capsule with effective seal for diverse group heads
ITBO20120103A1 (it) 2012-03-05 2013-09-06 Macchiavelli Srl Capsula per prodotti da infusione
ITVR20120043A1 (it) * 2012-03-14 2013-09-15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WO2013157924A1 (en) 2012-04-17 2013-10-24 Biserkon Holdings Ltd.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sule
ES1077395Y (es) 2012-06-26 2012-10-15 Solubles S A Prod Cápsula para preparar infusiones
CA2878864A1 (en) 2012-07-16 2014-01-23 Tuttoespresso S.R.L. Capsule with improved sealing element
EP3199473B1 (en) 2012-07-16 2020-09-23 Tuttoespresso S.r.l. Capsule and system with sealing element
CA2881194C (en) 2012-08-24 2020-06-23 Nestec S.A. A capsule for use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CH707035A2 (de) 2012-09-26 2014-03-31 Alice Allison Sa Portionenpackung für Espressomaschinen.
DE112013002899A5 (de) 2012-10-29 2015-08-06 Cstec Gmbh Kapsel zur Aufnahme eines Brühguts wie Kaffee, Tee und desgleichen, sowie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solchen Kapsel
EP2757055A1 (en) 2013-01-17 2014-07-23 Tuttoespresso S.r.l. Capsule and system for beverage preparation
ITTO20130067A1 (it) 2013-01-29 2014-07-30 Bisio Progetti Spa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d infusione.
ES1078818Y (es) 2013-02-22 2013-06-10 Solubles S A Prod Cápsula para preparar infusiones
GB201308929D0 (en) 2013-05-17 2013-07-03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GB201308927D0 (en) 2013-05-17 2013-07-03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JP2016524485A (ja) 2013-05-17 2016-08-18 クラフト・フーズ・アール・アンド・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飲料調製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方法
WO2015101394A1 (en) 2013-12-30 2015-07-09 Landmax Ltd Caps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with deformable sealing element
WO2015128799A1 (en) 2014-02-28 2015-09-03 Sacmi Cooperativa Meccanici Imola Societa' Cooperativa Cup for a coffee capsule
GB201420262D0 (en) 2014-11-14 2014-12-31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forming a cup-shaped body for a beverage caps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652A (ja) * 2006-05-29 2009-11-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変形可能なシール要素を有するコーヒーカプセル
JP2012515601A (ja) * 2009-01-23 2012-07-12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JP2012530527A (ja) 2009-06-17 2012-12-06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摂取に適する所定量の飲料を用意するためのカプセル、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01582C (en) 2017-10-24
PT3375333T (pt) 2020-07-23
EP2996521A1 (en) 2016-03-23
CA2901582A1 (en) 2014-11-20
EP3656259B1 (en) 2022-11-09
BR122020005722B1 (pt) 2021-04-13
PL2996521T3 (pl) 2018-07-31
DK3375333T3 (da) 2020-09-07
EP4190211A1 (en) 2023-06-07
BR112015028311B1 (pt) 2021-01-12
DE202014011368U1 (de) 2019-11-07
US10273076B2 (en) 2019-04-30
ES2668289T3 (es) 2018-05-17
DK3656259T3 (da) 2022-12-19
JP2018187426A (ja) 2018-11-29
PL3375333T3 (pl) 2021-03-22
PL2996521T4 (pl) 2023-01-30
WO2014184652A1 (en) 2014-11-20
NO2996521T3 (ko) 2018-09-29
ES2806724T3 (es) 2021-02-18
JP2020179190A (ja) 2020-11-05
EP2996521B1 (en) 2018-05-02
PL3656259T3 (pl) 2023-02-13
PL3375333T4 (pl) 2023-02-06
AU2017201457A1 (en) 2017-03-23
CN110239844A (zh) 2019-09-17
EP3375333A1 (en) 2018-09-19
KR102149076B1 (ko) 2020-08-27
JP2016524485A (ja) 2016-08-18
RU2647791C2 (ru) 2018-03-19
JP6731018B2 (ja) 2020-07-29
BR112015028311A2 (pt) 2017-07-25
AU2014266921A1 (en) 2015-10-22
PT2996521T (pt) 2018-05-11
RU2015147727A (ru) 2017-06-22
DK2996521T3 (en) 2018-05-22
DE202014011505U1 (de) 2021-06-24
JP6900560B2 (ja) 2021-07-07
CN110239844B (zh) 2021-06-01
HK1223804A1 (zh) 2017-08-11
AU2014266921B2 (en) 2017-03-23
US20190225415A1 (en) 2019-07-25
KR20180119710A (ko) 2018-11-02
JP2017192807A (ja) 2017-10-26
CN105188488A (zh) 2015-12-23
JP6377223B2 (ja) 2018-08-22
AU2014266921C1 (en) 2018-01-25
EP3375333B1 (en) 2020-07-08
EP3656259A1 (en) 2020-05-27
US20160075506A1 (en) 2016-03-17
CN105188488B (zh) 2019-05-28
PT3656259T (pt) 2023-01-03
KR20150139604A (ko) 2015-12-11
ES2933099T3 (es)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783B1 (ko)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KR101900546B1 (ko)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AU2014266922B2 (en)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