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560B1 -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 Google Patents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560B1
KR102148560B1 KR1020177030640A KR20177030640A KR102148560B1 KR 102148560 B1 KR102148560 B1 KR 102148560B1 KR 1020177030640 A KR1020177030640 A KR 1020177030640A KR 20177030640 A KR20177030640 A KR 20177030640A KR 102148560 B1 KR102148560 B1 KR 10214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ylinder
cylinder
key
push rod
tumb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580A (ko
Inventor
카판 추
Original Assignee
카판 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130241.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83200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386558.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15592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476069.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31727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485977.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33255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495818.X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350834B/zh
Application filed by 카판 추 filed Critical 카판 추
Publication of KR2017013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57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 E05B27/0075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by movable roto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07Rotors
    • E05B27/001Rotors having relatively movable parts, e.g. coaxial- or split-plu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46Axially movable r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9/0026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longitudinally movable cyl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9/0053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 E05B29/006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by movable roto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14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with keys of which different parts operate separat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05B9/041Double cylind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10Coupling devices for the two halves of double cylinder locks, e.g. devices for coupling the rotor with the locking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42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with key-operated locks, e.g.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41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key blad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key
    • E05B19/0052Rectangular flat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2043/007Time lock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reta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9/0066Side bar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으로서, 일단 먼저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전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은 키 실린더2(121, 23, 321, 53)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121, 23, 321, 53)는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프리셋한 위치차를 이용하여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가능하게 되지만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2(121, 23, 321, 53)의 패스워드 디코딩 제한을 해제하고, 키 실린더2(121, 23, 321, 53)는 여전히 키 실린더1(111, 24, 322, 52)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다시 키 실린더2(121, 23, 321, 53)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2(121, 23, 321, 53)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키 실린더1(111, 24, 322, 52)과 키 실린더2(121, 23, 321, 53)가 비로소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본 발명은 일종 더블 실린더 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각종 자물쇠 제품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은 핀 텀블러 자물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핀 텀블러 자물쇠는 실제 응용 과정 중 여러가지 결점들이 존재하는 바 락픽스로 인위적으로 열기 쉬운 것이다. 언로킹 방법은 아주 간단한 바 언락용 철사 갈고리로 실린더 보디와 키 실린더 중의 마블을 차례로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의 배합면에 돋우어 키 실린더를 회전시켜 자물쇠를 열거나; 은박지 키를 자물쇠 구멍에 삽입하여 로킹 후 은박지에 마블 흔적을 찍히게 하여 마블이 전부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의 배합면에 떨어지게 함으로서 따라서 키 실린더를 회전시켜 언로킹하거나; 또는 톱니가 있는 공구로 키 실린더 중의 마블을 부딪치거나 반복으로 젖히어 언로킹하거나; 심지어 트립 기어로 키 실린더를 강제로 비틀어 언로킹하게 되는 바; 기술적 또는 폭력적으로 핀 텀블러 자물쇠를 열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래식 핀 텀블러 자물쇠가 이와 같은 각종 결함으로 인하여 보안성이 대폭 하락되어 절도자에게 편이를 제공하게 되는 셈으로 절도사건의 빈발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관련해 보안성 강화를 위하여 종래기술은 일종 더블 키 실린더 구조의 록 세트(예를 들어 특허 공개번호 CN203925006U, CN203603627U 와 CN203769466U등의 발명)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와 같은 더블 키 실린더 구조는 키 실린더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보통 키 2개로 언로킹을 하게 되는 것인 바 기술적 또는 폭력적으로 쉬운 언로킹이 가능한 폐단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개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를 이용하여 기술적 또는 폭력적 언로킹 난이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록 세트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방안은: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당 방법에는 하기와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먼저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전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키 실린더1은 프리셋한 위치차를 이용하여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가능하게 되지만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 제한을 해제하고 키 실린더2는 여전히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다시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비로소 함께 회전하게 되어 언로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 나아가 키 실린더1의 변위 과정 중 키 실린더1은 또한 키 실린더1이 위치1에서 위치2로의 이동으로 인하여 형성된 시차를 이용하여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하도록 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과 키 실린더2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은 같은 디코드 유닛의 부동한 디코드 구역 채택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정확한 디코드 유닛을 적용하는 상황 하에서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이 키 실린더2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 시 디코드 유닛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도 디코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은 패스워드 디코딩 후 여전히 회전 불가함에 있어서 키 실린더1의 자체 회전에 대한 제한도 포함되는 바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에야만 키 실린더1은 비로소 자체 회전 제한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여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과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연관하고 키 실린더1이 변위 전 키 실린더2 의 패스워드는 정확한 디코드 유닛에 의하여 디코딩 불가이지만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후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로킹을 자연스럽게 해제 가능함으로써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정확한 디코드 유닛에 의하여 디코딩 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여 키 실린더2의 회전 동작과 키 실린더1의 회전 동작을 연관하고 키 실린더2가 회전 불가 시 키 실린더1도 단독 회전 불가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은 또한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되는 상태로 변하게 하여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과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연관하고 키 실린더1이 동작 전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에 영향을 가하지 않지만 키 실린더1이 정확하게 동작 후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는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의 영향을 받아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물쇠와 키로 구성된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포함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와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키 실린더1에는 락 메커니즘2를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있고 키 실린더1에는 프리셋한 위치차가 설정되어 있어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전까지 락 메커니즘2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락 메커니즘1을 디코딩 후 키로 키 실린더1을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고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락 메커니즘2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가 락 메커니즘2를 디코딩하게 함으로써 키 실린더1, 2가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를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키 실린더1을 리어 키 실린더로, 상기 키 실린더2를 프론트 키 실린더로 정하고;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를 각각 리어 락 메커니즘, 프론트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프론트 락 메커니즘, 리어 락 메커니즘을 각각 설치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리어 키 실린더에는 프론트 락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프론트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리어 키 실린더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게 되면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이 프론트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가 해제되어 키로 프론트 락 메커니즘에 대하여 디코딩 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전부 반원기둥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은 다운 실린더 코어로, 상기 키 실린더2는 톱 실린더 코어로 설정하며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는 각각 톱 락 메커니즘, 다운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상기 키는 톱, 다운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할 수 있도록 키의 위/아래면에는 키 슬롯이 갖추어져 있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의 아래면의 키 슬롯이 다운 락 메커니즘을 먼저 디코딩 후 키로 다운 실린더 코어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게 되면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톱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가 해제되어 키의 윗면 키 슬롯이 톱 락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게 되고 톱/다운 실린더 코어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내, 외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은 내부 실린더 코어로, 상기 키 실린더2는 외부 실린더 코어로 설정하며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는 각각 내부 락 메커니즘, 외부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외부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외부 락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그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부 키 실린더는 외부 키 실린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외부 키 실린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내부 락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그와 대응된 외부 키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외부 키 실린더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내부 키 실린더에는 외부 락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도 설치되어 있어 내부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외부 락 메커니즘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내부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내부 키 실린더를 회전시켜 내부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외부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를 해제함으로서 키가 외부 락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해지고 내/외부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 나아가 키홀 앞부분에 설치한 게이트 메커니즘도 포함되며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과 키 실린더1은 서로 연동되고 키 실린더가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은 키홀을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에는 키홀 앞부분 상단에 설치한 톱 게이트와 키홀 앞부분 하단에 설치한 다운 게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키 실린더1은 연동 유닛을 통하여 상기 톱 게이트, 다운 게이트와 연동하고 키 실린더1이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시 상기 톱 게이트, 다운 게이트는 키홀이 폐쇄 시까지 스위치 온 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동 유닛은 키홀의 축선 방향에 따라 설치한 톱 게이트 푸시로드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가 포함되고 상기 톱 게이트 푸시로드,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는 각각 톱 게이트, 다운 게이트와 경사면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 나아가 딜레이어도 포함되며 해당 딜레이어는 실린더 보디와 상기 제어 메커니즘사이에 설치하고 키 실린더1이 위치차 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딜레이어가 축적 에너지를 압축하도록 딜레이어를 드라이브하고;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함께 회전 시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고 제어 메커니즘이 리턴하도록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는 설정한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하여 제어 메커니즘을 드라이브해 락 메커니즘2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딜레이어는 유압식 딜레이어 또는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 또는 시계형 딜레이어 또는 감쇠식 딜레이어일 수 있다;
상기 유압식 딜레이어에는 보디, 밸브, 이너 튜브, 스프링과 샤프트가 포함되며 상기 이너 튜브는 보디 내에 고정되고 이너 튜브와 보디사이에는 오일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스프링 슬라이드를 통하여 이너 튜브 중에 설치되고 밸브와 이너 튜브사이에는 이너 튜브 포켓이 설치되어 상기 오일 포켓의 댐핑홀을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의 한 쪽은 밸브와 서로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다른 한 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연결되며 상기 이너 튜브에는 체크 밸브도 설치되어 있어 이너 튜브 포켓이 오일 포켓으로의 빠른 배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에는 맨드릴, 트랜지션 블랙, 고정 브래킷과 프레셔 스프링이 포함되고 상기 맨드릴, 트랜지션 블랙과 프레셔 스프링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고정 브래킷의 내부 포켓에 설치하고 맨드릴의 보스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 중에 설치하며 프레셔 스프링 후단은 고정 브래킷 후단 내벽에 받쳐져, 프레셔 스프링 앞단은 트랜지션 블랙 후단 내경 말단에 받쳐져 있고 트랜지션 블랙 앞단은 맨드릴 후단 내경 말단에 액티브 설치하며 트랜지션 블랙의 보스는 또한 고정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과 서로 매칭되고 맨드릴의 앞단과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서로 연동되며 맨드릴에 추력을 가할 경우 트랜지션 블랙이 뒤쪽으로 이동 동시에 프레셔 스프링을 압축하여 프레셔 스프링이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트랜지션 블랙이 고정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에서 이탈 시 트랜지션 블랙의 경사면과 맨드릴의 경사면, 고정 브래킷의 경사면이 서로 배합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발생하게 되며 트랜지션 블랙의 회전속도는 트랜지션 블랙의 경사면, 맨드릴의 경사면, 고정 브래킷의 경사면의 경사각 및 마찰 계수의 제어를 받아 트랜지션 블랙이 지연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계형 딜레이어에는 래크, 감속 메커니즘, 이스케이프먼트, 진동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과 단향 송신 메커니즘이 포함되며; 상기 래크의 한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래크와 감속 메커니즘은 서로 매칭되며; 상기 감속 메커니즘과 상기 이스케이프먼트는 서로 연동되고; 상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과 상기 이스케이프먼트는 서로 연동되며; 상기 단향 송신 메커니즘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과 상기 감속 메커니즘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상기 진동기는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감쇠식 딜레이어에는 래크, 댐핑 기어, 프레셔 스프링과 댐퍼가 포함되며; 상기 래크의 한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셔 스프링은 래크의 다른 한쪽에 받쳐져 있으며; 래크의 기어 구조는 댐핑 기어와 서로 매칭되며; 상기 댐퍼에는 댐핑 밸브 플러그와 댐핑 케이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댐핑 밸브 플러그는 댐핑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고 댐핑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락 메커니즘2는 마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키 실린더2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하여 키 실린더2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키 실린더2에는 축방향에 따라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홀과 연결되는 푸시로드 슈트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는 키 실린더2의 푸시로드 슈트 중에 설치되어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을 제어하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은 키 실린더2와 서로 연동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에는 사면형 슈트가 있으며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에는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 사면형 슈트와 매칭 가능한 돌출부가 있으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와 마블 돌출부의 매칭을 통하여 마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함으로서 마블이 키가 디코딩 불가인 위치와 키가 디코딩 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에는 넥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이 있으며 한개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과 키 실린더1 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과 키 실린더1이 서로 연동하게 하고 키 실린더1 이 위치차 방향에 따라 이동 시 키 실린더1은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2에는 1개 돌출부도 있고 해당 키 실린더2의 돌출부는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과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2 의 돌출부에는 픽스쳐 블록 슈트가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를 관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과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서 매칭되며 키 실린더1이 픽스쳐 블록를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축방향을 따라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사면형 슈트로 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과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이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하며, 키 실린더2가 위치차 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시 상기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픽스쳐 블록의 밑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 중에 설치하며 상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는 상기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 의 사면형 슈트 중에 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톱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보디사이의 톱 락 메커니즘은 베인 메커니즘이고 상기 베인 메커니즘에는 레이디얼에 따라 톱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하여 톱 실린더 코어 회전을 제한하는 템블러 및 톱 실린더 코어 내에 설치하여 상기 템블러와 연동 가능한 베인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톱 실린더 코어에는 축방향에 따라 상기 템블러와 연결되는 푸시 로드슈트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템블러 푸시로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 중에 설치하여 베인 메커니즘의 템블러를 제어하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은 다운 실린더 코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에는 템블러를 대비하여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슈트가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중에는 경사면이 있고 상기 템블러에는 돌출부가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경사면은 위로 향하여 상기 템블러의 돌출부와 매칭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뒤로 향하여 정확히 미 이동 시 템블러가 레이디얼에 따라 하락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에는 넥이 있고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이 있으며 1개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를 연결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이 다운 실린더 코어와 서로 연동하도록 하게 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다운 실린더 코어는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의 밑부분에는 축방향의 픽스쳐 블록 슈트가 있고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과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를 관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서 매칭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축방향을 따라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사면형 슈트로 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과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가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이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변위 성공 시 상기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픽스쳐 블록의 밑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 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는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 중에 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부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의 외부 락 메커니즘은 마블 메커니즘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외부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 키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외부 키 실린더에는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 홀과 연결된 푸시로드 슈트도 축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는 외부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슈트 중에 설치하여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을 제어하게 되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뒷부분과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은 서로 연동되고 상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은 외부 키 실린더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앞부분에는 경사면이 있고 내부 키 실린더에는 축방향에 따라 두드러진 돌출부가 있으며 제어 메커니즘의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경사면과 내부 키 실린더의 돌출부가 서로 배합하면서 내부 키 실린더를 회전 시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이 축방향에 따른 변위를 일으키게 함으로써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도 함께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를 전후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키 실린더1을 리어 키 실린더로, 상기 키 실린더2를 프론트 키 실린더로 정하고;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를 각각 리어 락 메커니즘, 프론트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상기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베인 메커니즘이고 해당 베인 메커니즘에는템블러 1개와 템블러 밑부분과의 매칭용으로 사용하는 베인이 최소 1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베인에는 패스워드 슬롯 1개와 트랩 슬롯이 최소 1개가 있으며; 리어 키 실린더에는 템블러를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도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는 하락 불가이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먼저 리어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리어 키 실린더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여 템블러가 떨어지도록 하고 템블러가 베인의 패스워드 슬롯으로 하락 및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딩하게 되며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되며 템블러가 베인의 트랩 슬롯으로 하락 및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딩이 안되고 베인도 이동 불가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템블러 푸시로드 및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사이에 설치하여 매칭하는 구조이고;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에는 축방향의 푸시로드 슬롯이 있으며 해당 프론트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슬롯과 프론트 키 실린더 중 템블러를 삽입하는 템블러 슬롯은 서로 연동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프론트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슬롯 중에 슬라이딩하여 설치하고 템블러와 매칭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과 상기 리어 키 실린더는 서로 연동되어 리어 락 메커니즘이 미디코딩 시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이동 불가이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정확히 이동 전까지 템블러는 하락 불가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사이의 매칭구조에는 하기와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에 설치된 슈트. 상기 템블러는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중에서 슬라이딩 매칭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가 서로 교차적인 상대적 이동이 가능케 하게 한다.
템블러에 설치된 볼록대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에 설치된 경사면, 및 경사면에서 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클립스.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의 경사면 밑부분에는 볼록대가 있어 상기 클립스의 한쪽을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의 경사면 밑부분의 볼록대에 고정시키며 상기 클립스의 다른 한쪽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위쪽에 걸어져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템블러의 볼록대의 볼록 사이즈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볼록대 넓이의 합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 넓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클립스의 넓이는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넓이와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뒤쪽으로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리미트의 영향을 받아 템블러가 하락 불가로 되고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변위 성공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리미트에서 벗어나 템블러를 하락되게 하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앞으로 이동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에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되고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앞으로 변위 성공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클립스의 상단에 다시 리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템블러의 위쪽에 락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락 블록의 위쪽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락 블록의 위쪽과 실린더 보디사이에 받쳐져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스워드 슬롯과 트랩 슬롯의 절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사다리꼴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2개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를 적용하였기에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전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키 실린더1은 변위가 가능하지만 회전은 불가하게 되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하게 되지만 키 실린더2는 여전히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에야만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는 비로소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하게 되는 것으로서 기술적 언로킹 또는 폭력적 언로킹의 난이도를 대폭 향상시켜 록 세트의 안전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은 또한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을 삽입하여 디코딩용으로 사용하는 입구를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하였기에 해당 방법과 구조는 키 실린더1이 열어진 상황 하에서도 실린더2를 열 수 있는 난이도가 대폭 향상된 것이다.
실린더 보디와 제어 메커니즘사이에 딜레이어도 설치하였기에 키 실린더1이 위치차 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딜레이어를 드라이브하여 딜레이어가 축적 에너지를 압축하도록 하게 하고;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함께 회전 시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아 제어 메커니즘의 리턴을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미 회전 시 딜레이어는 설정한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하고 제어 메커니즘을 락 메커니즘2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도록 드라이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지연 제어를 통하여 록 세트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차로 시차를 대체하는 새 방법으로서 시공변환의 콘셉트를 적용하였는 바 록 세트 산업 내의 독창으로서 기술적으로도 앞서가고 있는 것이다; 즉 키 실린더1이 정확히 이동(위치차)하고;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후에야만 키 실린더2는 비로소 디코딩 조건이 구비되며 키 실린더1이 정확히 이동함으로 인하여 시간의 틈(시차)이 생기게 되며; 해당 시간의 틈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개의 제한조건을 설치한 것이다; 즉 키 실린더1은 추진하는 동시에 키홀 입구의 게이트는 점차 닫아지고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키 실린더1이 정확히 추진 이동 후에야만 키 실린더2는 비로소 디코딩 조건이 구비되게 되며 이때 게이터는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되어 기술적 언로킹의 경로가 없게 되고; 동시에 딜레이어가 작동되어 언로킹의 시간이 딜레이어가 설정한 시간범위 내로 한정됨으로 지정 시간을 초과하면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석방하여 키 실린더2는 디코딩 조건이 미 구비된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것이다. 이로부터 알수 있다 싶이 시공변환의 콘셉트를 통하여 로직 상 기술적 언로킹 가능성을 근절함으로써 록 세트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실시예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도1은 실시예1에서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 록 세트의 구조도;
도2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분해도;
도3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다른 회전 각도)분해도;
도4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프론트 키 실린더 부분의 구조도;
도5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프론트 키 실린더 부분(다른 회전 각도)의 구조도;
도6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제어 메커니즘이 프론트 락 메커니즘과의 매칭 구조도;
도7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제어 메커니즘이 프론트 락 메커니즘(다른 회전 각도)과의 매칭 구조도;
도8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의 구조도;
도9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전 구조도;
도10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가 미 이동 시의 구조도;
도11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 이동 과정1의 구조도;
도12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 이동 과정2의 구조도;
도13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 이동 과정3의 구조도;
도14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후의 구조도;
도15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진입 후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후 두 키 실린더 미 회전으로 딜레이어가 작업을 시작하는 구조도;
도16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를 정확하게 추진 후의 구조도;
도17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리어 키 실린더 전진 이동 과정1의 구조도;
도18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리어 키 실린더 전진 이동 과정2의 구조도;
도19는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리어 키 실린더 전진 이동 과정3의 구조도;
도20은 실시예2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리어 키 실린더가 초기 위치에 리턴 시의 구조도.
도21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분해도이도;
도22는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구조 단면도;
도23은 도22 중의 A부 확대개략도;
도24는도22 중의 B부 확대개략도;
도25는도22 중의 C부 확대개략도;
도26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전의 구조도;
도27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미 이동한 구조도;
도28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정확하게 미 이동 시의 구조도;
도29는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정확하게 이동 시의 구조도;
도30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변위 성공 후 리어 키 실린더 미 회전으로 딜레이어가 작업을 시작하는 구조도;
도31은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를 정확하게 추진한 후의 구조도;
도32는 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다운 실린더 코어 위치 회복 과정의 구조도;
도33은실시예3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다운 실린더 코어 위치 회복 완성 후의 구조도;
도34는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분해도;
도35는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구조단면도;
도36은 도35 중의 D부 확대 개략도;
도37은 도35 중E-E라인를 따른 단면도;
도38은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전의 구조도;
도39는 도38 중F-F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40은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미 이동한 구조도;
도41은 도40 중 G-G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42는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정확하게 미 이동 시의 구조도;
도43은 도42 중 H-H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44는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정확하게 이동 시의 구조도;
도45는 도44 중I-I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46은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다운 실린더 코어가 정확하게 이동하고 리어 키 실린더 미 회전으로 딜레이어가 작업을 시작하는 구조도;
도47은 도46 중 J-J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48은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를 정확하게 추진한 후의 구조도;
도49는 도48 중 K-K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50은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다운 실린더 코어 위치 회복 과정의 구조도;
도51은 도50 중 L-L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52는 실시예4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다운 실린더 코어가 위치회복 완성 후의 구조도;
도53은 도52 중 M-M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54는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분해도;
도55는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다른 회전 각도에서의 입체구조 분해도;
도56은 도55 중의 S1부 확대개략도;
도57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미회전 시의 입체구조도;
도58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미 회전 시의 단면도;
도59는 도58 중의 S2보조도;
도60은 도58 중 S3-S3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61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미 회전 시 내부 키 실린더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매칭개략도;
도62는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였지만 정확하게 미 도착 시의 입체구조도;
도63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였지만 정확하게 미 도착 시의 단면도;
도64는 도63 중의 S4보조도;
도65는 도63 중 S5-S5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66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였지만 정확하게 미 도착 시의 내부 키 실린더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매칭개략도;
도67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정확히 회전하였지만 외부 락 메커니즘이 미 디코딩 시의 입체구조도;
도68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정확히 회전하였지만 외부 락 메커니즘이 미 디코딩 시의 단면도;
도69는 도68 중의 S6보조도;
도70은 도68 중 S7-S7라인에 따란 단면도;
도71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정확히 회전하였지만 외부 락 메커니즘이 미 디코딩한 내부 키 실린더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매칭개략도;
도72는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정확히 회전하고 외부 락 메커니즘이 디코딩 한 입체구조도;
도73은 실시예5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내부 키 실린더가 정확히 회전하고 외부 락 메커니즘이 디코딩 한 단면도;
도74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입체구조 분해도;
도75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가 미 삽입 시의 구조도;
도76은 도75 중 R1-R1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77은 도75중 R2-R2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78은 도75 중의 R3부 확대개략도;
도79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가 미 삽입된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80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미 추진 된 구조도;
도81은 도80중 R4-R4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82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미 추진한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83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미 추진한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다른 회전 각도);
도84는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정확하게 미 추진된 구조도;
도85는 도84 중 R5-R5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86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정확하게 미 추진된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87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정확히 추진되고 템블러가 미 하락 순간의 구조도;
도88은 도87 중 R6-R6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89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정확히 추진되고 템블러가 미하락 순간의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90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키 실린더가 정확히 추진되고 템블러가 하락 순간의 구조도;
도91은 도90 중 R7-R7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92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를 삽입 후 리어 키 실린더가 정확히 추진되고 템블러가 하락 순간의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93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리턴 과정1의 구조도;
도94는 도93 중 R8-R8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95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리턴 과정1의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96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리턴 과정2의 구조도;
도97은 도96 중 R9-R9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98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 리턴 과정2의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99는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가 정확하게 리턴 시의 구조도;
도100은 도99 중 R10-R10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101은 실시예6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키가 정확하게 리턴 시의 템블러, 푸시로드, 프론트 키 실린더의 매칭개략도;
도102는 실시예7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의 구조도;
도103은 실시예8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의 구조도;
도104는 실시예9 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딜레이어의 구조도.
실시예1
도 1과 같이 이하 키 실린더 1과 키 실린더 2가 전부 마블 메커니즘을 적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록 세트는 더블 키 실린더 구조로 키 실린더 1(111)과 키 실린더 2(121)가 포함되어 있으며, 키 실린더 1(111)은 마블 메커니즘 1(112)로 키 실린더 1(111)에 대하여 락업과 디코딩을 진행하며, 키 실린더 1(111)의 마블 메커니즘 1(112)이 락업 될 경우, 즉 마블 메커니즘 1(112)이 키 실린더 1(111)과 실린더 보디(110) 사이에 락업 될 경우, 키 실린더 1(111)이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 1(111)의 마블 메커니즘 1(112)이 디코딩 시 기타 조건이 없이 락업하는 상황 하에서 키 실린더 1(111)은 회전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키 실린더 2(121)는 마블 메커니즘 2(122)로 키 실린더 2(121)에 대하여 락업과 디코딩을 진행하며, 키 실린더 2(121)의 마블 메커니즘 2(122)가 락업 될 경우, 즉 마블 메커니즘 2(122)가 키 실린더 2(121)와 실린더 보디(110) 사이에 락업 될 경우 키 실린더 2(121)는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 2(121)의 마블 메커니즘 2(122)가 디코딩 시 기타 조건이 없이 락업하는 상황 하에서 키 실린더 2(121)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종의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키 실린더 1(11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 1의 패스워드 즉 마블 메커니즘1(112)이 디코딩 전 키 실린더 1(111)이 키 실린더 2(121)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 2(121)는 키 실린더 1(111)의 회전을 제한한다;
먼저 키 실린더 1(11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즉 마블 메커니즘 1(112)을 디코딩하게 하고, 이때 반드시 정확한 디코드 유닛 즉 정확한 키(120)로 마블 메커니즘 1(112)에 대하여 디코딩하여야 하고; 키 실린더 1의 패스워드 (즉, 마블 메커니즘 1(112))를 디코딩 전 키 실린더 1(111)은 키 실린더 2(121)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 2(121)는 마블 메커니즘 2(122)를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키 실린더 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려면 실제로 마블 메커니즘 2(122)의 디코딩 동작을 제한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키 실린더 1(111)의 동작 유닛(113)과 키 실린더 2(12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 2(122))를 연결하고 키 실린더 1(111)의 동작 유닛(113)을 이용하여 마블 메커니즘 2(122)를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동작 유닛(113)으로 마블 메커니즘 2(122)의 1개 또는 여러 개의 마블을 이동 못하게 스턱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마블 메커니즘 2(122) 중의 가장 안쪽의 1개 마블(1221)을 활동하지 못하게 제어하면, 해당 제어 방식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키 실린더 1(111)이 동작 전 키 실린더 2(12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는 정확한 디코드 유닛{즉 키(120)의 정확한 디코드 구역}에 의하여 디코딩 불가이며; 키 실린더 2(121)는 키 실린더 1(11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고; 키 실린더 2의 회전 동작과 키 실린더 1의 회전 동작을 서로 연동하고 해당 구현 방식으로는 강성 유닛(123)으로 키 실린더 1(111)과 키 실린더 2(121)를 연결하고, 강성 유닛(123)은 편심접합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때 키 실린더 2(121)가 회전 불가 시 키 실린더 1(111)도 단독 회전 불가인 바, 키 실린더 1(111)이 회전 불가 시 키 실린더 2(121)도 단독 회전 불가라고도 할 수 있으며, 키 실린더 1(111)과 키 실린더 2(121)를 함께 하여야만 회전 가능한 것이다;
키 실린더 1(11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1(112))를 디코딩 후 키 실린더 1(111)은 변위가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이다;
키 실린더1(11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 즉 키(120)와 키 실린더1의 마블 메커니즘(112)이 매칭된 후 외치적인 기타 조건 제한이 없을 경우 키 실린더1(111) 자체는 회전 가능하나 본 발명의 구조 설계는 키 실린더1(111)을 변위만 가능하게 하고 회전 불가하게 하여, 즉 외치적 조건을 도입하여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1(111)의 변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키 실린더1(111)의 변위가 가능해지고 회전은 불가하게 되는 것이며; 키 실린더2(121)가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하였기에 이때 키 실린더2는 한가지 외치적 조건으로 된 것이다. 물론 한가지 외치적 조건을 더 추가, 즉 키 실린더1(111)이 자체적으로 발생하게 하는 것인 바 실제로 키 실린더1(111)과 실린더 보디(110)사이의 구조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1과 같이 1개 키바(114)를 사용하여 실린더 보디(110)와 키 실린더1(111)사이에 걸려놓고 키 실린더1(111)에 축라인을 따라 링 홈(115)과 바 홈(116)을 설치하며 키바(114)가 링 홈(115)과 바 홈(116)에서 매칭되는 것을 통하여 실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키 실린더1(111)은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1(112))가 디코딩 된후 여전히 회전 불가 인 바, 이는 키 실린더1(111)의 스스로의 자체 회전에 대한 제한도 포함되며 오직 키 실린더1(111)이 변위 성공(키바(114)가 링 홈(115)에서 매칭되도록 이동 시)시 키 실린더1(111)은 스스로 자체 회전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다.
키 실린더1(111)가 정확히 변위 시 키 실린더1(111)은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 디코딩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게 되지만 키 실린더2(121)는 여전히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한다;
키 실린더1(111)은 변위 시 동작 유닛(113)의 이동을 일으키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하기와 같이 디자인 할 수 있다. 즉 동작 유닛(113)이 이동 전 동작 유닛(113)은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즉 마블(1221))을 락업하여 마블 메커니즘(122)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동작 유닛(113)이 정확하게 이동 후 동작 유닛(113)은 마블(1221)에 대한 스턱에서 이출하여 키 실린더2(121)의 마블 메커니즘(122)에 대한 락업을 해제함으로서 마블 메커니즘(122)이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키 실린더1(111)가 정확하게 이동 시 키 실린더1(111)은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 (즉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 할 수 있는 바 즉 키 실린더1(111)이 정확하게 이동 후 키 실린더1(111)의 동작 유닛(113)은 자연적으로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한 락업을 해제하여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즉 마블 메커니즘2(122))는 정확한 디코드 유닛(키(120))에 의하여 디코딩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 (즉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하여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가 디코딩 된 후에야만 키 실린더1(111)과 키 실린더2(121)는 비로소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에 대하여 디코딩, 즉 마블 메커니즘2(122)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정확한 디코드 유닛 즉 정확한 키(120)를 사용하면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게 되며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2(122)가 디코딩 된 후 두개 키 실린더가 전부 디코딩 됨으로서 키 실린더1(111)과 키 실린더2(121)는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결국 언로킹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디자인 방식도 추가 할 수 있다. 즉 더 나아가 키 실린더1(11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111)은 또한 키 실린더2(121)의 디코드 유닛을 삽입하여 디코딩용으로 사용하는 입구(즉 키구멍)를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해당 방안의 디자인도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113)과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를 서로 연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마블 메커니즘2(122) 중 가장 바깥쪽의 1개 마블(1222)을 제어하여 해당 마블(1222)이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하락 및 스턱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마블(1222)의 밑부분과 키(120)사이의 틈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키구멍의 부분적 폐쇄를 형성 할 수 있으며 키 실린더1(111)이 동작 전 키 실린더1(111)은 키 실린더2(121)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즉 키 실린더1(111)이 이끄는 동작 유닛(113)은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1222)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되지만, 키 실린더1(111)이 변위 성공 후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는 키 실린더1(111)의 동작 유닛(113)의 영향 하에 키 실린더2(121)의 디코드 유닛을 삽입하여 디코딩용으로 사용하는 입구(즉 키구멍)를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마블 메커니즘2를 스턱하는 방식으로 마블 메커니즘2 중의 마블(1222)을 키구멍에 디밀어 키구멍을 작게 하였다.
상기 키 실린더2(121)의 디코드 유닛을 삽입하여 디코딩용으로 사용하는 입구(키구멍)가 부분적 폐쇄 상태로 변할 경우, 부분적 폐쇄 상태인 입구(키구멍)와 서로 대응되는 패스워드(즉 마블(1222))는 디코딩 상태로 된다. 즉 키구멍에 디민 마블(1222)은 디코드 위치에 있어야 키(120)의 사용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방안은 마블(1222)의 길이 설정 및 키(120)와의 매칭 관계로 실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키 실린더1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과 키 실린더2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은 같은 디코드 유닛(키(120))의 서로 다른 디코드 구역을 사용하여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안은 같은 1개 키로 키(120)에 마블 메커니즘1(112)과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한 디코드 구역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정확한 디코드 유닛(즉 키(120))을 사용한 상황 하에서 키 실린더1(111)이 변위 성공시 실린더1(111)이 키 실린더2(121)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 시, 디코드 유닛(즉 키(120))도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즉 마블 메커니즘2(122))에 대한 디코딩을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및 디코드 방법은 두개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를 이용하여 기술적 언로킹 또는 폭력적 언로킹의 난이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록 세트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키 실린더의 패스워드 부분은 마블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실현 할 수 있으며, 디코드 유닛은 키를 적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매칭키(120)가 키홀에 미 삽입 시, 키 실린더1의 마블 메커니즘(112)과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122)은 전부 폐쇄 상태로 되고, 이때 키 실린더1의 마블 메커니즘(112)은 키 실린더1(111)과 대응된 실린더 보디 동작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122)은 키 실린더2(121)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 동작을 제한하게 되며, 키 실린더1(111)에 위치해 있는 동작 유닛(113)은 또한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 즉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122)과 서로 연동하고, 키 실린더2(121)의 회전은 키 실린더1(111)의 회전과 서로 연동됨으로 키 실린더1(111)은 키 실린더2(121)의 마블 메커니즘의 디코딩을 제한하게 되고, 키 실린더2(121)는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매칭키(120)가 키홀에 삽입 시 먼저 키 실린더1(111)을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1(111)을 디코딩 후 키 실린더1(111)은 변위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 상태로 되며; 이때 매칭키(120)는 키 실린더1의 마블 메커니즘(112)에 있어서 키 실린더1(111)에 대한 락업을 해제하게 하여 키 실린더1(111)과 대응된 실린더 보디 동작이 가능해지고 해당 동작은 변위만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인 상태로 된다. 이는 키 실린더2(121)의 회전과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서로 연동하였기 때문에 키 실린더2(121)는 여전히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키 실린더1(11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111)은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즉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하였지만, 키 실린더2(121)는 여전히 키 실린더1(11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매칭 키(120)의 배합 하에서 키 실린더1(111)을 변위시킬 경우 키 실린더1(111)은 변위 성공 시, 매칭키는 키 실린더2(121)의 패스워드 (즉 키 실린더2의 마블 메커니즘(122))에 대한 디코딩도 동시에 실현하게 되어 키 실린더1(111)과 키 실린더2(121)는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 구조로 되어 있다.
톱/다운 키 실린더 구조와 내부/외부 키 실린더 구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현 할 수 있다.
실시예2
도2~도20과 같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자물쇠와 키(21)가 포함되고;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22), 키 실린더1(24)과 키 실린더2(23)가 포함되며;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는 실린더 보디(22)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와 실린더 보디(22)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락 메커니즘1(26), 락 메커니즘2(25)가 각각 설치되어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22)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키 실린더1(24)에는 락 메커니즘2(25)를 제어하는 메커니즘(27)이 설치되어 있으며, 키 실린더1(24)은 프리셋한 위치차가 설정되어 있으며 키 실린더1(24)이 변위 성공 전까지 락 메커니즘2(25)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21)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락 메커니즘1(26)을 디코딩 후 키(21)로 키 실린더1(24)을 드라이브하여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하게 하고, 키 실린더1(24)이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27)은 락 메커니즘2(25)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21)가 락 메커니즘2(25)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해짐으로서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는 키(21)의 작용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상기 키 실린더1(24), 키 실린더2(23)는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키 실린더1(24)은 리어 키 실린더로, 상기 키 실린더2(23)는 프론트 키 실린더로 정하고; 상기 락 메커니즘1(26), 락 메커니즘2(25)를 각각 리어 락 메커니즘, 프론트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는 실린더 보디(22)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와 실린더 보디(22)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프론트 락 메커니즘(25), 리어 락 메커니즘(26)을 각각 설치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22)의 회전을 제한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리어 키 실린더(24)에는 프론트 락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27)도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변위 성공 전까지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21)를 키홀에 삽입 후 키(21)는 먼저 리어 락 메커니즘(26)을 디코딩 후 키(21)로 리어 키 실린더(24)를 드라이브하여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27)은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21)가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프론트/리어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23)와 실린더 보디(22)사이의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은 마블 메커니즘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프론트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에는 톱 마블1(251), 다운 마블1(252), 마블 스프링1(253), 실린더 보디(22)에 설치한 마블 실린더 홀1(254)과 프론트 키 실린더(23)에 설치한 마블 실린더 홀2(255)가 포함되며,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의 마블 모듈은 여러 개가 가능하며; 실린더 보디(22)에 설치한 마블 실린더홀1(254)과 프론트 키 실린더(23)에 설치한 마블 실린더 홀2(255)는 서로 매칭된 위치에 있으며 톱 마블1(251), 마블 스프링1(253)과 다운 마블1(252)은 마블 실린더 홀1(254)과 마블 실린더 홀2(255)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키가 미 디코딩 시 다운 마블1(252)은 동시에 마블 실린더 홀1(254)과 마블 실린더 홀2(255) 내에 위치해 있어 프론트 키 실린더(23)와 실린더 보디(22)사이에서 회전 불가하게 하고 키가 디코딩 시 톱 마블1(251)은 마블 실린더 홀1(254) 내에 유지해 있고 다운 마블1(252)은 마블 실린더 홀2(255) 내에 후퇴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23)와 실린더 보디(22)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23)에는 축방향에 따라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 실린더 홀과 연결된 푸시로드 슈트(231)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271)가 포함되며 상기 마블 푸시로드(271)는 프론트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슈트(231)에 설치하여 마블 메커니즘의 다운 마블1(252)을 제어하고 마블 푸시로드(271)의 한쪽은 리어 키 실린더(24)와 서로 연동함으로서, 즉 리어 키 실린더(24)가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271)의 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271)에는 사면형 슈트(27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다운 마블1(252)에는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2711)와 매칭 가능한 돌출부(2521)가 있으며 마블 푸시로드(27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2711)와 마블의 돌출부(2521)의 매칭을 통하여 다운 마블1(252)의 상하이동을 제어하여 다운 마블1(252)을 키가 디코딩 불가인 위치와 키가 디코딩 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 즉 마블 푸시로드(271)의 이동으로 다운 마블(252)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고 다운 마블1(252)이 적절한 위치에 있을 경우 키는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을 디코딩 가능하며, 이때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고 다운 마블1(252)이 다른 위치에 있을 경우 키는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을 디코딩 불가로서 이때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은 디코드 조건이 미 구비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이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운 마블1(252)에는 대칭되는 2개 돌출부(2521)가 있고, 상기 마블 푸시로드(271)에는 2개 사면형 슈트가 있는데 각각 다운 마블1(252)의 2개 돌출부(2521)와 서로 매칭되어 있는 바, 이로서 다운 마블1(252)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확보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프론트 키 실린더의 키홀 앞쪽에 설치한 게이트 메커니즘(28)도 포함되고,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28)은 리어 키 실린더 또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를 통하여 리어 키 실린더와 서로 연동하여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정확히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28)은 키홀을 폐쇄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28)은 키홀 앞쪽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톱 게이트(281)가 포함되고, 상기 톱 게이트(281)와 마블 푸시로드(271)의 다른 한 쪽이 서로 매칭되며 톱 게이트(281)에는 경사면(2811)이 있고, 마블 푸시로드의 다른 한쪽에는 경사면(2712)이 있으며 톱 게이트의 경사면(2811)과 마블 푸시로드의 경사면(2712)이 서로 매칭된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마블 푸시로드(271)를 뒤로 이동시킬 경우 톱 게이트의 경사면(2811)과 마블 푸시로드의 경사면(2712)의 상호 매칭을 통하여 톱 게이트(281)를 하강시켜 톱 게이트(281)는 키홀 일부를 가리게 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마블 푸시로드(271)를 앞으로 이동시킬 경우 톱 게이트의 경사면(2811)과 마블 푸시로드의 경사면(2712)의 상호 매칭을 통하여 톱 게이트(281)를 올림으로서 톱 게이트(281)는 키홀을 막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에는 키홀의 앞쪽 하단에 설치한 다운 게이트(282)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도 포함되고, 상기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의 한쪽은 리어 키 실린더(24)와 서로 고정되어 있고 다운 게이트(282)에는 경사면(2821)이 있고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의 다른 한쪽에는 경사면(2831)이 있으며, 다운 게이트의 경사면(2821)과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2831)이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을 뒤로 이동시킬 경우 다운 게이트(282)의 경사면(2821)과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2831)의 상호 매칭을 통하여 다운 게이트(282)를 올림으로 다운 게이트(282)는 키홀 일부를 가리게 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를 앞으로 이동시킬 경우 다운 게이트(282)의 경사면(2821)과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2831)의 상호 매칭을 통하여 다운 게이트(282)를 하강시켜 다운 게이트(282)는 키홀을 더 이상 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271)의 한쪽에는 넥(2713)이 있고 상기 리어 키 실린더(24)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241)이 있으며, 한개 픽스쳐 블록(272)은 마블 푸시로드의 넥(2713)과 리어 키 실린더의 픽스쳐 블록고정 홈(241)사이에 삽입 연결되어 있어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과 리어 키 실린더(24)가 서로 연동하게 하여 리어 키 실린더(24)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리어 키 실린더(24)는 픽스쳐 블록(272)을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271)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뒷부분에는 한개 돌출부(232)도 있으며, 해당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돌출부(232)는 리어 키 실린더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241)과 마블 푸시로드의 넥(2713)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돌출부(232)에는 픽스쳐 블록 슈트(2321)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272)은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2321)를 관통하여 마블 푸시로드의 넥(2713)과 리어 키 실린더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241)사이에 매칭되어 있으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픽스쳐 블록(272)을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271)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272)은 축방향에 따라 픽스쳐 블록 슈트(2321)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픽스쳐 블록 슈트(2321)는 사면형 슈트(23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272)과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2322)는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272)이 픽스쳐 블록 슈트(2321)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되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상기 픽스쳐 블록(272)은 마블 푸시로드의 넥(2713)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블록(272)의 밑단에는 스프링(27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272)의 양쪽에는 익상부(2721)가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2322)는 아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272)은 상기 스프링(273)을 통하여 리어 키 실린더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24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2721)는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2322) 중에 괴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딜레이어도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딜레이어는 유압식 딜레이어(29)로 되어 있고; 해당 유압식 딜레이어(29)는 실린더 보디(22)와 마블 푸시로드(271)의 한쪽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271)는 딜레이어(29)를 드라이브하여 축적 에너지를 압축하게 하고; 리어 키 실린더(24)가 회전 시 딜레이어(29)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아 마블 푸시로드(271)의 리턴을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가 미 회전 시 딜레이어(29)는 설정한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하고 마블 푸시로드(271)를 드라이브하여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도록 하게 한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초기 위치로 리턴 시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된다.
상기 유압식 딜레이어(29)는 보디(291), 밸브(292), 이너 튜브(293), 스프링(294)와 샤프트(295)가 포함되고 상기 이너 튜브(293)는 보디(291)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너 튜브(293)와 보디(291)사이에는 오일 포켓이 있고 상기 밸브(292)는 스프링(294)을 통하여 이너 튜브(293) 중에 슬라이딩하여 설치되어 있고 밸브(292)와 이너 튜브(293)사이에는 이너 튜브 포켓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오일 포켓의 댐핑홀을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295)의 한쪽과 밸브(292)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95)의 다른 한쪽과 상기 마블 푸시로드(271)의 한쪽이 서로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이너 튜브(293)에는 체크 밸브도 설치되어 있어 이너 튜브 포켓이 오일 포켓으로의 빠른 배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해당 유압식 딜레이어(29)의 체크 밸브는 역지 밸브라고도 하며 이너 튜브에서 배출하는 유압 오일의 대유량 단방향 통로이고, 댐핑홀은 유압 오일이 이너 튜브에서 양방향으로 유통하는 조절 가능한 매우 작은 통로이다. 샤프트(295)가 외력의 영향을 받을 경우 밸브(292)가 스프링(294)을 압출하게 하여 이너 튜브(293)의 유압 오일을 역지 밸브 및 댐핑홀에서 배출하게 하며; 외력이 사라질 경우 압축된 스프링(294)은 복구하면서 밸브(292)를 압출하며 밸브(292)는 이동하면서 유압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유압 오일은 압축을 받은 후 댐핑홀로부터 이너 튜브(293)로 진입하게 되며 (댐핑홀의 사이즈는 조절 가능함으로 해당 과정은 밸브 이동 과정에 있어서 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지연 역할을 발휘 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294)은 밸브(292)를 초기 위치까지 밀어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딜레이어는 변위 물체의 지연 복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 키 실린더(24)와 실린더 보디(22)사이의 리어 락 메커니즘은 마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꼬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리어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물론 리어 키 실린더(24)와 실린더 보디(22)사이의 리어 락 메커니즘은 베인 메커니즘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언로킹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 한다.
도9~도20과 같이 키를 키홀에 미 삽입 시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은 프론트 키 실린더(23)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22)의 회전을 제어하고 리어 키 실린더(24)의 리어 락 메커니즘(26)은 리어 키 실린더(24)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22)의 회전을 제어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는 리어 키 실린더의 회전(이는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사이에 마블 푸시로드(271)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가 존재하기 때문이다.)을 제어하고, 리어 키 실린더(24)는 제어 메커니즘(27)을 통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23)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게 되며; 이때 톱 게이트(281), 다운 게이트(282)는 오픈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매칭키를 키홀에 삽입하여 리어 키 실린더 디코드 위치에 도달 시 리어 키 실린더의 리어 락 메커니즘은 마블 메커니즘 아니면 베인 메커니즘을 불구하고 매칭된 키는 모두 리어 락 메커니즘(26)을 디코딩 가능하며 리어 락 메커니즘(26)을 디코딩 후 리어 키 실린더(24)는 실린더 보디(22)와 대응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이동 전 제어 메커니즘의 제어로 인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23)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여 있지 않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의 뒤로 이동은 마블 푸시로드(271)의 뒤로 이동을 드라이브하게 되고 마블 푸시로드(271)의 뒤로 이동은 다운 마블1(252)을 점진적으로 하락시키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이동 시 픽스쳐 블록(272)도 점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다운 마블1(252)도 정확하게 하락하여 다운 마블1(252)을 키로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부터 키로 디코딩 가능한 위치로 전환시키며 이때 프론트 키 실린더(23)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픽스쳐 블록(272)도 마블 푸시로드(271)의 넥(2713)을 완전히 이탈하게 되고 마블 푸시로드(271)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283)의 영향을 받아 톱 게이트(281), 다운 게이트(282)는 폐쇄하게 되며 리어 키 실린더(24)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딜레이어(29)는 샤프트(295)에 압축되어 딜레이어(29)는 에너지 축적 상태로 되는 것이다.
매칭된 키로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이 언락되였기에 이때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는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며, 키를 뽑을 경우 리어 키 실린더(24)는 초기 위치로 리턴하고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위치로 리턴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딜레이어(29)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 내 일단 프론트 키 실린더(23), 리어 키 실린더(24)가 함께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29)는 작업하면서 딜레이어(29)의 스프링이 복구되고 딜레이어(29)는 샤프트(295)를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271)를 앞으로 이동하게 하며, 마블 푸시로드(271)의 전진 이동은 다운 마블1(252)을 상승하게 하여 다운 마블1(252)을 디코딩 가능한 위치에서 키가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 전환하게 하며 제어 메커니즘은 다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25)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3
도21~도3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자물쇠와 키(310)가 포함되고;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31)와 키 실린더가 포함되며; 상기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31)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상기 키 실린더는 톱 실린더 코어(321)(즉 키 실린더2)와 실린더 코어(322)(즉 키 실린더1)로 분할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실린더 보디(31) 내에 축방향에 따라 변위 가능하며;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는 톱 락 메커니즘(33)(즉 락 메커니즘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는 다운 락 메커니즘(34)(즉 제1 락 메커니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310)는 위/아래면 키 슬롯이 있고 톱/다운 락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에 사용되며;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에는 톱 락 메커니즘(33)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도 설치되어 있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전까지 톱 락 메커니즘(33)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310)를 키홀에 삽입 후 키(310)의 아래면 키 슬롯은 먼저 다운 락 메커니즘(34)을 디코딩 후 키(310)로 다운 실린더 코어(322)를 드라이브하여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서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톱 락 메커니즘(33)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310)의 윗면 키 슬롯이 톱 락 메커니즘(33)을 디코딩 할 수 있게 되고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키(310)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의 톱 락 메커니즘(33)은 마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 설치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의 회전을 제한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에는 축방향에 따른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 홀에 연결되는 푸시로드 슈트(3211)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35)가 포함되며, 상기 마블 푸시로드(35)는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3211)에 설치하여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331)을 제어하고 마블 푸시로드(35)의 뒷부분과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서로 연동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35)에는 사면형 슈트(351)가 있고,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331)에는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351)와 매칭 가능한 돌출부(3311)가 있으며 마블 푸시로드(35)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351)와 마블의 돌출부(3311)의 매칭을 통하여 마블(331)의 상하 이동을 제어 가능함으로서 마블(331)도 키가 디코딩 불가인 위치와 키가 디코딩 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톱 락 메커니즘(33)의 마블 메커니즘은 주로 종래기술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마블 모듈을 사용하며 다른 점이라면 마블(331)에는 돌출부(3311)가 있어 이와 대응된 마블 홀을 돌출부(3311)에 매칭하여 이동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마블(331)에는 대칭된 두개 돌출부(3311)이 있으며 상기 마블 푸시로드(35)에는 마블의 두개 돌출부(3311)와 서로 매칭된 두개의 사면형 슈트(351)가 있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35)의 뒷부분에는 넥(352)이 있고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1)이 있으며 1개 픽스쳐 블록1(353)은 마블 푸시로드의 넥(352)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1)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마블 푸시로드(35)의 뒷부분과 다운 실린더 코어(322)를 서로 연동시키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픽스쳐 블록(353)을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35)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의 푸시로드 슈트(3211)의 밑부분에는 축방향에 따른 픽스쳐 블록 슈트(3212)도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3212)는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1)과 마블 푸시로드의 넥(352)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353)은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3212)를 관통하여 마블 푸시로드의 넥(352)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1)사이에서 매칭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픽스쳐 블록(353)을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35)을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353)은 축방향에 따라 픽스쳐 블록 슈트(3212)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3212)에는 사면형 슈트(32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53)과 픽스쳐 블록 슈트(3212)의 사면형 슈트(3213)가 서로 매칭하여 픽스쳐 블록(353)이 픽스쳐 블록 슈트(3212)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하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상기 픽스쳐 블록(353)은 마블 푸시로드의 넥(352)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블록(353)의 밑단에는 스프링(35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53)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3213)는 아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53)은 상기 스프링(354)를 통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353)의 익상부는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3213) 중에 괴고 있는 것이다.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는 키홀 앞쪽에 설치한 게이트 메커니즘도 포함되고,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과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서로 연동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은 키홀을 패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에는 키홀 앞쪽에 있는 상/하측의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가 포함되고, 상기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는 각각 톱 게이트 푸시로드(363),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364)의 앞부분과 서로 매칭되며 상기 톱 게이트 푸시로드(363),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364)의 뒷부분은 각각 다운 실린더 코어(32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톱 게이트(361)에는 경사면(3611)이 있고, 톱 게이트 푸시로드(363)의 앞부분에는 경사면(3631)이 있으며 톱 게이트의 경사면(3611)과 톱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3631)은 서로 매칭되며; 상기 다운 게이트(362)에는 경사면(3621)이 있고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364)의 앞부분에는 경사면(3641)이 있으며, 다운 게이트의 경사면(3621)과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3641)은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초기 위치로 리턴 시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는 딜레이어(37)도 포함되며, 해당 딜레이어(37)는 실린더 보디(31)와 마블 푸시로드(35)의 뒷부분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정확히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35)는 딜레이어(37)를 드라이브하여 축적 에너지를 압축하게 하고;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회전 시 딜레이어(37)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고 마블 푸시로드(35)의 리턴을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미 회전 시 딜레이어(37)는 설정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 및 마블 푸시로드(35)를 드라이브하여 톱 락 메커니즘(33)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도록 하게 함으로서 즉 마블(331)을 다시 스턱하는 것이다.
딜레이어(37)는 실시예2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와 실린더 보디(31)사이의 다운 락 메커니즘(34)은 마블 메커니즘(341)로 되어 있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341)은 레이디얼에 따라 다운 실린더 코어(322)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 설치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마블 메커니즘(341)은 기존의 일반적 마블 모듈 및 해당 구조를 적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언로킹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 한다.
도26~도33과 같이 키를 키홀에 미 삽입 시 톱 실린더 코어(321)의 톱 락 메커니즘(33)은 톱 실린더 코어(321)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31)의 회전을 제한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다운 락 메커니즘(34)은 다운 실린더 코어(322)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31)의 회전과 축방향에 따른 이동을 제한하며; 톱 실린더 코어(321)는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회전을 제어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제어 메커니즘을 통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게 되는 바; 이때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는 오픈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
매칭된 키를 키홀에 삽입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다운 락 메커니즘(34)과 위치를 맞출 경우, 즉 키(310) 밑단 키 슬롯과 마블 메커니즘(341)의 위치를 맞추어 다운 락 메커니즘(34)을 디코딩하고 다운 락 메커니즘(34)을 디코딩 후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이론상에서 실린더 보디(31)와 대응되는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가능해지지만 톱 실린더 코어(321)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축방향 이동만 가능하고; 키(310)는 다운 실린더 코어(322)를 축방향에 따라 뒤로 이동하게 드라이브할 수 있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전 제어 메커니즘의 제어로 인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게 된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뒤로의 이동은 마블 푸시로드(35)의 뒤로의 이동을 추진하게 되어 마블 푸시로드(35)의 뒤로의 이동은 마블(331)을 점진적으로 하락하게 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시 픽스쳐 블록(353)도 점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마블(331)도 정확하게 하락하여 마블(331)을 키로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부터 키로 디코딩 가능한 위치로 전환하게 하여 이때 톱 실린더 코어(321)는 디코드 조건을 구비하게 되고, 이때 픽스쳐 블록(353)도 마블 푸시로드(35)의 넥(352)을 완전히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시 톱 게이트 푸시로드(363)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364)도 뒤로 이동하게 하고 경사면의 배합 하에서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는 점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정확히 이동 시 딜레이어(37)가 압축되어 딜레이어(37)는 에너지 축적 상태로 처하게 되는 것이다.
매칭된 키로 톱 락 메커니즘(33)이 언락되였기에 이때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을 실현 할 수 있으며, 키를 뽑을 경우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초기 위치로 리턴하고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딜레이어(37)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내 일단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함께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37)는 작업하면서 복구되고 딜레이어(37)는 마블 푸시로드(35)를 앞으로 이동하게 하며, 마블 푸시로드(35)의 전진 이동은 마블(331)을 상승하게 하여 마블(331)을 키로 디코딩 가능한 위치에서 키로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 전환하게 하며 제어 메커니즘은 다시 톱 락 메커니즘(33)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4
도34~도5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와 실시예3이 차별이 있다면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의 톱 락 메커니즘(33)이 서로 다르고 대응된 제어 메커니즘 및 해당 기타 유닛의 매칭 부분도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 중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의 톱 락 메커니즘(33)은 베인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고, 상기 베인 메커니즘에는 레이디얼에 따라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 설치한 톱 실린더 코어 회전을 제한하는 템블러(332) 및 톱 실린더 코어 내에 설치하고, 상기 템블러(332)와 서로 연동 가능한 베인 모듈(333)이 포함되며, 베인 모듈(333)은 톱 실린더 코어(321) 내에 설치되고 템블러(332)는 락 블록, 스프링을 통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와 실린더 보디(31)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톱 실린더 코어(321)에는 축방향에 따른 상기 템블러와 연결되는 푸시로드 슈트(3214)가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템블러 푸시로드(38)가 포함되며,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38)는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3214)에 설치되어 베인 메커니즘의 템블러(332)를 제어하며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뒷부분과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서로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38)에는 템블러 대비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슈트(381)가 있고,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381)에는 경사면(3811)이 있으며, 상기 템블러(332)에는 돌출부(3321)가 있으며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의 경사면(3811)은 위로 향하고 상기 템블러의 돌출부(3321)와 서로 매칭되어 템블러 푸시로드(38)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템블러(332)의 레이디얼에 따른 하락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템블러(332)에는 대칭된 두개 돌출부(3321)가 있고,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381) 중에는 두개 경사면(3811)이 있어 각각 템블러의 두개 돌출부(3321)와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뒷부분에는 넥(382)이 있고,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322)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2)이 있으며, 1개 픽스쳐 블록(383)은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382)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2) 사이에 연결되어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뒷부분과 다운 실린더 코어(322)를 서로 연동되게 하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픽스쳐 블록(383)의 작용 하에 템블러 푸시로드(38)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3214)의 밑부분에는 축방향에 따른 픽스쳐 블록 슈트(3215)도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3215)는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2)과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382)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383)은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3215)을 관통하여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382)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2)사이에서 매칭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픽스쳐 블록(383)을 통하여 템블러 푸시로드(38)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383)은 축방향에 따라 픽스쳐 블록 슈트(3215)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픽스쳐 블록 슈트(3215)는 사면형 슈트(32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83)과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3216)는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383)이 픽스쳐 블록 슈트(3215)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하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상기 픽스쳐 블록(383)은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넥(382)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블록(383)의 밑단에는 스프링(38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83)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3216)는 아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383)은 상기 스프링(384)을 통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3222) 중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383)의 익상부는 상기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3216) 중에 괴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언로킹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 한다.
도38~도53과 같이 키를 키홀에 미 삽입 시 톱 실린더 코어(321)의 톱 락 메커니즘(33)은 톱 실린더 코어(321)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31)의 회전을 제한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다운 락 메커니즘(34)은 다운 실린더 코어(322)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31)의 회전과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며; 톱 실린더 코어(321)는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회전을 제한하고,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제어 메커니즘을 통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게 되는 바; 이때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는 오픈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
매칭된 키를 키홀에 삽입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다운 락 메커니즘(34)과 위치를 맞출 경우, 즉 키(310) 아래면 키 슬롯과 마블 메커니즘(341)의 위치를 맞추어 다운 락 메커니즘(34)을 디코딩 하고 다운 락 메커니즘(34)을 디코딩 후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이론상에서 실린더 보디(31)와 대응되는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가능해지지만 톱 실린더 코어(321)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축방향 이동만 가능하고; 키(310)는 다운 실린더 코어(322)를 축방향에 따라 뒤로 이동하게 드라이브할 수 있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전 제어 메커니즘의 제어로 인하여 톱 실린더 코어(321)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게 된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의 뒤로의 이동은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뒤로의 이동을 추진하게 되고,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뒤로의 이동은 템블러(332)의 돌출부(3321)에 대한 스턱을 점진적으로 해제하게 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시 픽스쳐 블록(383)도 점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템블러 푸시로드(38)의 경사면(3811)은 템블러(332)의 돌출부(3321)에 대한 스턱이 사라지고 이때 톱 실린더 코어(321)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픽스쳐 블록(383)도 템블러 푸시로드(38)의 넥(382)을 완전히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이동 시 톱 게이트 푸시로드(363)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364)도 뒤로 이동하게 하고 경사면의 배합 하에서 톱 게이트(361), 다운 게이트(362)는 점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뒤로 정확히 이동 시 딜레이어(37)가 압축되어 딜레이어(37)는 에너지 축적 상태로 처하게 되는 것이다.
매칭된 키로 톱 락 메커니즘(33)이 언락되였기에 이때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을 실현 할 수 있으며, 키를 뽑을 경우 다운 실린더 코어(322)는 초기 위치로 리턴하고 전체 유닛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딜레이어(37)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 내에 일단 톱 실린더 코어(321), 다운 실린더 코어(322)가 함께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37)는 작업하면서 복구되고 딜레이어(37)는 템블러 푸시로드(38)를 앞으로 이동하게 하며, 템블러 푸시로드(38)가 앞으로 이동 후 템블러 푸시로드(38)의 경사면(3811)은 다시 템블러(332)의 돌출부(3321)를 스턱하고 제어 메커니즘은 다시 톱 락 메커니즘(33)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5
도54~도7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는 자물쇠와 키(59)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51), 내부 키 실린더(52)(즉 키 실린더1)와 외부 키 실린더(53)(즉 키 실린더2)가 포함되어 있으며; 외부 키 실린더(53)는 실린더 보디(51)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그와 실린더 보디(51)사이에는 키(59)를 통하여 디코딩이 가능한 외부 락 메커니즘(55)(즉 락 메커니즘2)이 설치되어 그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51)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부 키 실린더(52)는 외부 키 실린더(53) 내에 설치되어 있고 그와 외부 키 실린더(53)사이에는 키(59)를 통하여 디코딩 가능한 내부 락업 메커니즘(54)(즉 락 메커니즘1)이 설치되어 그와 대응된 외부 키 실린더(53)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부/외부 키 실린더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내부 키 실린더(52)에는 외부 락 메커니즘(55)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56)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 키 실린더(52)가 정확하게 회전 이동 전까지 외부 락 메커니즘(55)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59)를 키홀에 삽입 후 키(59)는 먼저 내부 락 메커니즘(54)을 디코딩 후 키로 내부 키 실린더(52)를 정확하게 회전시키면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56)은 외부 락 메커니즘(55)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가 외부 락 메커니즘(55)을 디코딩 할 수 있게 하고 내부/외부 키 실린더는 키(59)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키 실린더(53)와 실린더 보디(51)사이의 외부 락 메커니즘(55)은 마블 메커니즘1(551)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1(551)은 레이디얼에 따라 외부 키 실린더(53)와 실린더 보디(51)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키 실린더(53)의 회전을 제한하며; 외부 락 메커니즘(55)에는 톱 마블1(5511), 다운 마블1(5512), 스프링1(5513), 실린더 보디(51)에 있는 마블 실린더 홀1(513)과 외부 키 실린더(53)에 있는 마블 실린더 홀2(532)가 포함되며, 외부 락 메커니즘(55)의 마블 모듈은 여러 개 일 수 있고; 실린더 보디(51)의 마블 실린더 홀1(513)과 외부 키 실린더(53)의 마블 실린더 홀2(532)는 서로 어울리는 위치에 처해 있으며 톱 마블1(5511)과 다운 마블1(5512)은 스프링1(5513)을 통하여 마블 실린더 홀1(513)과 마블 실린더 홀2(53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키 실린더(53)가 미 디코딩 시 다운 마블1(5512)은 동시에 마블 실린더 홀1(513)과 마블 실린더 홀2(532) 내에 위치해 있어 외부 키 실린더(53)와 실린더 보디(51)사이에서 회전 불가되게 하며 외부 키 실린더(53)가 디코딩 시 다운 마블1(5512)은 마블 실린더 홀2(532) 내로 물러서 외부 키 실린더(53)와 실린더 보디(51)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외부 키 실린더(53)에는 축방향에 따른 상기 마블 메커니즘 1(551)의 마블홀과 연결되는 푸시로드 슈트(531)도 포함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56)에는 마블 푸시로드(561)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포함되고, 상기 마블 푸시로드(561)는 외부 키 실린더(53)의 푸시로드 슈트(531)에 설치되어 마블 메커니즘1(551)의 다운 마블1(5512)을 제어하고 상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은 외부 키 실린더(53)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마블 푸시로드(561)의 뒷부분과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은 서로 연동되는 바 즉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561)를 이동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 메커니즘(56)의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의 앞쪽에는 경사면(5622)이 있고, 내부 키 실린더(52)에는 축방향에 따라 돌출된 돌출부(521)가 있으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에 있는 경사면(5622)은 내부 키 실린더(52)에 있는 돌출부(521)과 서로 매칭되어 내부 키 실린더(52)를 회전 시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은 일정한 축방향 변위가 가능해져 마블 푸시로드(561)도 함께 축방향 변위가 생기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561)에는 사면형 슈트(5611)가 있고, 상기 마블 메커니즘1(551)의 다운 마블1(5512)에는 마블 푸시로드(561)의 사면형 슈트(5611)와 매칭 가능한 돌출부(55121)가 있으며 마블 푸시로드(561)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561)의 사면형 슈트(5611)와 다운 마블1(5512)의 돌출부(55121)과의 매칭을 통하여 마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해 마블을 디코딩 불가인 위치와 디코딩 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며; 즉 마블 푸시로드(561)의 이동을 통하여 다운 마블1(5512)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고 다운 마블1(5512)이 한 위치에 있을 경우 키(59)는 외부 락 메커니즘(55)에 대하여 디코딩이 가능해지며 이때 외부 락 메커니즘(55)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게 되고 다운 마블1(5512)이 다른 한 위치에 있을 경우 키(59)는 외부 락 메커니즘(55)에 대하여 디코딩이 안되며 이때 외부 락 메커니즘(55)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게 되는 바 즉 제어 메커니즘(56)이 외부 락 메커니즘(55)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운 마블1(5512)에는 대칭된 두개 돌출부(55121)가 있고, 상기 마블 푸시로드(561)에는 두개의 사면형 슈트(5611)이 있으며 각각 다운 마블1(5512)의 두개 돌출부(55121)와 서로 매칭되는 바 이로서 다운 마블1(5512)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외부 키 실린더(53)의 키홀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 메커니즘(57)도 포함되어 있고,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57)은 톱 게이트(571)와 다운 게이트(572)로 나뉘며 내부 키 실린더(52)가 정확하게 회전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57)은 키홀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57)의 톱 게이트(571)는 레이디얼에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내부 키 실린더(52)와 매칭되고 톱 게이트(571)에는 볼록축1(5711)이 있으며 외부 키 실린더(53)에는 가이드 트랙 그루브1(533)가 있으며 톱 게이트의 볼록축1(5711)과 외부 키 실린더(53)의 가이드 트랙 그루브1(533)은 서로 매칭되어 내부 키 실린더(52)가 회전 시 톱 게이트(571)가 레이디얼에 따라 이동하게 하며; 동시에 게이트 메커니즘(57)의 다운 게이트(572)는 레이디얼에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내부 키 실린더와 매칭되고, 다운 게이트(572)에는 볼록축2(5721)이 있고 외부 키 실린더(53)에는 가이드 트랙 그루브2(534)가 있으며, 다운 게이트(572)의 볼록축2(5721)와 외부 키 실린더(53)의 가이드 트랙 그루브2(534)는 서로 매칭되어 내부 키 실린더(52)가 회전 시 다운 게이트(572)가 레이디엘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내부 키 실린더(52)가 게이트 메커니즘(57)을 드라이브하여 순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톱 게이트(571)의 볼록축1(5711)과 외부 키 실린더(53)의 가이드 트랙 그루브1(533)와의 매칭을 통하여 톱 게이트(571)를 하락하게 하여 톱 게이트(571)가 키홀을 일부 가리게 하고 반대로 내부 키 실린더(52)가 게이트 메커니즘(57)을 드라이브하여 역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톱 게이트(571)를 상승하게 하여 톱 게이트(571)가 키홀을 더 이상 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키 실린더(52)가 게이트 메커니즘(57)을 드라이브하여 순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다운 게이트(572)의 돌출축2(5721)와 외부 키 실린더(53)의 가이드 트랙 그루브2(534)의 상호 매칭을 통하여 다운 게이트(572)를 상승하게 하고, 다운 게이트(572)는 키홀을 일부 가리게 하며 반대로 내부 키 실린더(52)가 게이트 메커니즘(57)을 드라이브하여 역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다운 게이트(572)를 하락하게 하여 다운 게이트(572)는 키홀을 더 이상 가리지 않게 하는 것이로서 톱/다운 게이트가 함께 운동하는 것으로 키홀의 폐쇄 또는 오픈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마블 푸시로드(561)의 한쪽에는 넥(5612)이 있고, 상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5621)이 있으며 1개 픽스쳐 블록(563)은 마블 푸시로드(561)의 넥(5612)과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5621)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마블 푸시로드(561)의 한쪽과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서로 연동하게 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은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마블 푸시로드(561)를 드라이브하여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 보디(51)의 뒷부분에는 사면형 슈트(514)도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563)은 실린더 보디(51)의 사면형 슈트(514)와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이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에 따라 추진하는 과정 중 축방향에 따라 이동 동시에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상기 픽스쳐 블록은 마블 푸시로드(561)의 넥(5612)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블록(563)의 밑단에는 스프링(56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양쪽에는 익상부(5631)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보디(51)의 사면형 슈트(514)는 아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스프링(5632)을 통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5621) 중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의 헤드부는 상기 실린더 보디(51)의 사면형 슈트(514) 중에 괴고 있으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5631)는 상기 마블 푸시로드의 넥(5612) 중에 배합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딜레이어(58)도 포함되고, 해당 딜레이어는 실린더 보디(51)와 마블 푸시로드(561)의 한쪽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키 실린더(52)가 정확하게 회전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을 드라이브하여 뒤로 정확히 이동 시 마블 푸시로드(561)는 딜레이어를 드라이브하여 딜레이어가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하게 하고; 외부 키 실린더(53)가 회전 시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고 마블 푸시로드(561)의 리턴을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외부 키 실린더(53)가 미 회전 시 딜레이어(58)는 설정한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하여 마블 푸시로드(561)를 드라이브하여 외부 락 메커니즘(55)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게 하는 것이다.
내부 키 실린더(52)가 초기 위치로 리턴 시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상기 딜레이어(58)은 실시예2의 구조를 적용한다.
상기 내부 키 실린더(52)와 외부 키 실린더(53)사이의 내부 락 메커니즘(54)은 마블 메커니즘2(541)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2(541)는 레이디얼에 따라 내부 키 실린더(52)와 외부 키 실린더(53)사이에 설치되어 내부 키 실린더(52)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부 키 실린더(52)와 외부 키 실린더사이의 내부 락 메커니즘(54)은 종래기술의 관용 메커니즘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언로킹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 한다.
도57~도73과 같이 키(59)가 키홀에 미 삽입 시 외부 키 실린더(53)의 외부 락 메커니즘(55)은 외부 키 실린더(53)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51)의 회전을 제한하고, 내부 키 실린더(52)의 내부 락 메커니즘(54)은 내부 키 실린더(52)와 대응된 외부 키 실린더(53)의 회전을 제한하며; 또한 외부 키 실린더(53)만이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을 회전시켜 언로킹 할 수 있으며, 내부 키 실린더(52)는 제어 메커니즘(56)을 통하여 외부 키 실린더(53)의 디코드 조건을 제어하고; 키(59)가 미 삽입 전 톱 게이트(571), 다운 게이트(572)는 오픈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
매칭된 키(59)를 키홀에 삽입하여 내부 키 실린더(52)와 위치를 맞출 경우 내부 락 메커니즘(54)이 어떠한 메커니즘 인지를 불구하고 매칭된 키(59)는 내부 락 메커니즘(54)을 디코딩 시킬 수 있으며, 내부 락 메커니즘(54)이 디코딩 후 내부 키 실린더(52)는 외부 키 실린더(53)와 대응된 회전이 가능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을 드라이브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은 1개 스프링을 통하여 축방향에 따라 실린더 보디(51) 내에 설치 가능한 바 이럴 경우 키(59)는 내부 키 실린더(52)를 통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을 드라이브하여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어 위치 관계로부터 놓고 볼 때 내부 키 실린더(52)가 뒤로 이동하는 것과 마찬가지 인 것이다.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뒤로 이동 전 마블 푸시로드(561)의 제어로 인하여 외부 키 실린더(53)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게 된다.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의 뒤로의 이동은 마블 푸시로드(561)의 뒤로의 이동을 드라이브하게 되고, 마블 푸시로드(561)의 뒤로의 이동은 다운 마블1(5512)을 점진적으로 하락하게 하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이 뒤로 이동 시 픽스쳐 블록(563)도 점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내부 키 실린더(52)가 정확하게 회전하여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562)을 뒤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경우 다운 마블1(5512)도 정확하게 하락되어 다운 마블1(5512)을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부터 디코딩 가능한 위치로 전환시키고 이때 외부 키 실린더(53)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게 되고 이때 픽스쳐 블록(563)도 마블 푸시로드(561)의 넥(5612)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내부 키 실린더(52)는 게이트 메커니즘(57)을 정확하게 회전시키고 외부 키 실린더(53)의 가이드 트랙 그루브의 영향을 받아 톱 게이트(571), 다운 게이트(572)는 동시에 폐쇄하게 되고 내부 키 실린더(52)가 정확하게 회전 시 딜레이어(58)는 압축되어 딜레이어는 에너지 축적 상태로 처하게 되는 것이다.
매칭된 키(59)는 외부 락 메커니즘(55)를 언락시킴으로서 이때 외부 키 실린더(53), 내부 키 실린더(52)는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을 실현 할 수 있고, 키(59)를 뽑을 경우 내부 키 실린더(52)는 초기 위치로 리턴하고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딜레이어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 내에 일단 외부 키 실린더(53), 내부 키 실린더(52)가 함께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는 작업하면서 복구되고 딜레이어는 마블 푸시로드(561)를 앞으로 이동하게 하며 마블 푸시로드(561)의 전진 이동은 다운 마블1(5512)을 상승하게 하여 다운 마블1(5512)을 디코딩 가능한 위치로부터 디코딩 불가인 위치로 전환하게 하고 제어 메커니즘(56)은 다시 외부 락 메커니즘(55)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6
도74~도10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는 자물쇠와 키(610)가 포함되고;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61), 프론트 키 실린더(62)와 리어 키 실린더(63)가 포함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고 리어 키 실린더(63)는 축방향에 따라 이동도 가능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각각 키(610)로 디코딩 가능한 프론트 락 메커니즘(65), 리어 락 메커니즘(6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락 메커니즘(65)은 베인 메커니즘이고 해당 베인 메커니즘에는 1개 템블러(651)와 여래 개의 템블러 밑부분의 돌출부(6512)와 매칭되는 베인(652)이 포함되며, 베인(652)에는 여러 개의 베인 슬롯(6521)이 있으며 여러 개의 베인 슬롯(6521) 중에는 단 1개인 베인 슬롯(6521)만 패스워드 슬롯이고 기타 베인 슬롯(6521)은 전부 트랩 슬롯이며; 리어 키 실린더(63)에는 템블러를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66)도 설치되어 있고 리어 키 실린더(63)가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651)는 하락 불가이며; 키(610)를 키홀에 삽입 후 키(610)는 먼저 리어 락 메커니즘(64)을 디코딩 후 키(610)로 리어 키 실린더(63)를 축방향에 따라 뒤로 정확하게 이동시켜 템블러(651)를 낙하시키고 템블러 밑부분의 돌출부(6512)가 베인(652)의 패스워드 슬롯에 낙하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65)은 디코딩하고 프론트/리어 키 실린더는 키(610)의 작용하에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되며 템블러 밑부분의 돌출부(6512)가 베인(652)의 트랩 슬롯으로 낙하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65)은 미 디코딩 및 베인(652)도 이동 불가로 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63)와 실린더 보디(61)사이의 리어 락 메커니즘(64)은 마블 메커니즘(641)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641)은 레이디얼에 따라 리어 키 실린더(63)과 실린더 보디(61)사이에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실린더 보디(61)에는 템블러 술롯1(611)이 있고, 프론트 키 실린더(62)에는 템블러 술롯2(621)가 있으며 템블러(651)가 실린더 보디(61)의 템블러 술롯1(611)과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템블러 술롯2(621)에 위치해 있을 경우 프론트 키 실린더(62)는 실린더 보디(61)와 대응된 회전이 불가이며 템블러(651)가 실린더 보디(61)의 템블러 술롯1(611)을 이탈하고 키 실린더(62)의 템블러 술롯2(621)에 완전히 진입 전 프론트 키 실린더(62)는 실린더 보디(61)와 대응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어 메커니즘(66)은 템블러 푸시로드(661) 및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651)사이에 설치한 매칭 구조이고;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62)에는 축방향의 푸시로드 슬롯(622)이 있고, 해당 푸시로드 슬롯(622)과 프론트 키 실린더(62) 중 템블러를 삽입하는 템블러 술롯2(621)는 서로 연통되며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661)는 슬라이딩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푸시로드 슬롯(622) 중에 설치하고 템블러(651)와 서로 배합하며;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661)의 뒷부분과 상기 리어 키 실린더(63)는 서로 연동하고 클램핑 또는 인테그럴 방식으로 고정 가능하며, 리어 락 메커니즘(64)이 미 디코딩 시 템블러 푸시로드(661)는 이동 불가이며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651)는 하락 불가인 것이다.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661)와 템블러(651)사이의 배합 구조에는 하기와 같은 부분을 포함한다.
템블러 푸시로드에 설치한 슈트(6611). 상기 템블러(651)는 슬라이딩하면서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6611) 중에서 매칭되어 템블러 푸시로드(661)와 템블러(651)사이에서 교차적인 상대적 이동이 가능케 하게 한다;
템블러(651)에 설치한 볼록대1(6511)과 템블러 푸시로드에 설치한 슈트(6611)의 경사면1(6612) 및 경사면1에서 매칭하고 수평 방향에 따라 설치한 클립스1(662); 상기 경사면1(6612)의 밑단에는 볼록대2(6613)가 있고 상기 클립스1(662)의 한쪽은 상기 볼록대2(6613)에 고정하고 상기 클립스1(662)의 다른 한쪽은 경사면(16612)의 위쪽에 걸어져 있는 것이다. 볼록대2(6613)의 작용은 클립스1(662)을 수평으로 설치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의 볼록 사이즈와 볼록대2(6613)의 넓이의 합은 경사면1(6612)의 넓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클립스1(662)의 넓이는 경사면1(6612)의 넓이와 같은 것이다. 해당 사이즈는 매칭되어 볼록대1(6511)이 볼록대2(6613)를 피하면서 경사면1(6612)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뒤로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의 리미트 영향을 받아 템블러(651)가 하락 불가로 되고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정확하게 이동 시 템블러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의 리미트에서 벗어나 템블러(651)가 하락되게 하며;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앞으로 이동 시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6611)의 경사면1(6612)에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되고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앞으로 변위 성공 시 템블러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클립스1(662)의 상단에 다시 리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템블러(651)의 위쪽에는 락 블록(653)이 설치되어 있고, 락 블록(653)의 위쪽에는 스프링1(6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1(654)은 블록(653)의 위쪽과 실린더 보디(61)사이에 받쳐져 있는 것이다. 설치 시 실린더 보디(61)의 템블러 슬롯1(611) 중에 헤드(655)를 설치하고 스프링1(654)을 락 블록(653)의 위쪽과 실린더 보디(61)의 헤드(655)사이에 받쳐놓는 것이다.
상기 패스워드 슬롯과 트랩 슬롯의 절단면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록 세트는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키홀 앞부분에 설치한 게이트 메커니즘(67)도 포함되고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67)과 리어 키 실린더(63)은 서로 연동되며 리어 키 실린더(63)이 뒤로 정확하게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67)은 키홀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은 톱 게이트(671)와 다운 게이트(672)가 포함되고, 톱/다운 게이트와 리어 키 실린더(63)사이에는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가 설치되어 있으며 톱/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한쪽과 리어 키 실린더(63)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톱/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다른 한쪽은 각각 상기 톱/다운 게이트와 서로 매칭되며 키(610)가 리어 키 실린더(63) 및 톱/다운 게이트 푸시로드를 드라이브하여 뒤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톱/다운 게이트는 키홀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는 독립적인 유닛이 일수도 있고 템블러 푸시로드(661)와 함께 제작할 수도 있는 바, 즉 템블러 푸시로드(661)의 연장 부분이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톱 게이트(671)는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키홀 앞 상부에 있고, 톱 게이트(671)에는 위로 향한 경사면2(6711)가 있으며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의 앞에는 아래로 향한 경사면3(6731)이 있으며 톱 게이트의 경사면2(6711)와 톱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3(6731)이 서로 매칭하여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가 뒤로 이동 시 톱 게이트(671)를 아래로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다운 게이트(672)는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키홀 앞 하부에 있고, 다운 게이트(672)에는 아래로 향한 경사면4(6721)가 있으며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의 앞에는 위로 향한 경사면5(6741)가 있으며 다운 게이트의 경사면4(6721)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의 경사면5(6741)는 서로 매칭하여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가 뒤로 이동 시 다운 게이트(672)를 위로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리어 키 실린더3이 초기 위치로 리턴 시 전체 유닛은 전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록 세트에 있어서 키(610)가 키홀에 미 삽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65), 리어 락 메커니즘(64)은 모두 미 디코딩으로 되어 있고 리어 락 메커니즘(64)의 마블 메커니즘(641)은 리어 키 실린더(63)과 실린더 보디(61)사이에 걸려 있고 프론트 락업 매커니즘(65)의 템블러(651)는 프론트 키 실린더(62)와 실린더 보디(61)사이에 걸려 있으며 템블러 푸시로드(661)는 이동하지 않고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에 처해 있고 클립스1(662)은 템블러(651)의 하락을 저지하며 이때 게이트 메커니즘(67)은 오픈 상태에 처해 있는 바, 즉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는 각각 키홀의 위/아래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키(610)를 키홀에 삽입하여 리어 락 메커니즘과 서로 매칭 시 리어 락 메커니즘(64)의 마블 메커니즘은 언락되고 이때 프론트 키 실린더(62)의 영향을 받아 리어 키 실린더(63)는 축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회전은 불가이며, 프론트 락 메커니즘(65)의 템블러(651)는 여전히 프론트 키 실린더(62)와 실린더 보디(61)사이에 걸려 있으며 템블러 푸시로드(661)도 이동하지 않고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여전히 클립스1(662)에 처해 있으며 클립스1(662)은 템블러(651)의 하락을 저지하며 이때 게이트 메커니즘은 여전히 오픈 상태에 처해 있는 바, 즉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는 각각 키홀의 위/아래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키(610)가 뒤로 드라이브 시 리어 키 실린더(63)는 뒤로 이동하고 리어 키 실린더(63)는 템블러 푸시로드(661)를 뒤로 이동하게 하며 템블러(651)와 템블러 푸시로드(661)는 상대적 이동하고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에서 이동하게 되고 클립스1(662)은 여전히 템블러(651)의 하락을 저지하게 되며 리어 키 실린더(63)가 뒤로 이동함에 따라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의 영향을 받아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는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키(610)가 뒤로 정확히 이동 시 리어 키 실린더(63)는 템블러 푸시로드(661)를 뒤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하며,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에서 이탈하고 템블러(651)는 하락하게 되며 이때 키(610)가 또한 동시에 프론트 락 메커니즘(65)과 서로 매칭 시 템블러(651) 밑부분의 돌출부(6512)는 패스워드 슬롯에 떨어지고 템블러(651)는 실린더 보디(61)의 템블러 술롯1(611)을 완전히 이탈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62)와 실린더 보디(61)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키(610)의 드라이브 하에 프론트 키 실린더(62), 리어 키 실린더(63)는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을 실현하는 것이다.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의 영향을 받아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도 정확하게 맞붙이게 되고 이때 키(610)가 프론트 락 메커니즘(65)과 미 매칭(예를 들어 비상언로킹 상황하에서 리어 키 실린더가 기타 도구에 의하여 브레이크되었을 경우)시 템블러(651)는 하락 가능하지만 템블러(651)밑부분의 돌출부(6512)가 트랩 슬롯에 떨어져 템블러(651)는 실린더 보디(61)의 템블러 술롯1(611)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아 프론트 키 실린더(62)와 실린더 보디(61)사이에서 여전히 회전 불가하게 되고 트랩 슬롯이 베인의 이동을 제한하였기에 기타 도구로 프론트 락 메커니즘에 대한 브레이크가 불가능해진 것이다. 템블러(651)밑부분의 돌출부(6512)가 트랩 슬롯에 떨어졌을 경우 템블러(651)와 대응되는 베인은 리미트되어 이동 불가이며 리어 키 실린더(63)을 리셋하여야만, 즉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리셋되어 템블러(651)를 다시 들어올려야 템블러(651)밑부분의 돌출부(6512)가 트랩 슬롯을 이탈 시 베인은 이동 가능한 바, 사전에 베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베인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여야만 비로소 프론트 키 실린더(62)를 디코딩 할 수 있는 것이다.
리셋 시 키(610)는 퇴출하고 리어 키 실린더(63)는 축방향 스프링의 영향 또는 키를 뽑음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면서 리셋되고 리어 키 실린더(63)의 앞으로 이동하는 영향을 받아 템블러 푸시로드(661)도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즉 템블러(651)가 템블러 푸시로드(661)를 대비하여 뒤로 이동하게 되고 템블러(651)의 볼록대1(6511)은 경사면1(6612)에 따라 상승, 즉 템블러 푸시로드(661)가 템블러(651)를 들어올리는 식이며 톱 게이트 푸시로드(673)와 다운 게이트 푸시로드(674)의 영향으로 인하여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도 점차적으로 분리하게 되며 리어 키 실린더(63)가 초기 위치로 리턴 시 템블러의 볼록대1(6511)은 클립스1(662)의 자유단을 밀어 클립스1(662)의 상단에 리턴하게 하고 템블러(651)밑부분도 베인과 미 매칭인 상태로 처해 있게 되며; 톱 게이트(671), 다운 게이트(672)도 오픈 상태로 처해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7
도10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 있어서 실시예1과 차별이 있다면 딜레이어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딜레이어는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72)이고, 해당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72)는 맨드릴(721), 트랜지션 블랙(722), 고정 브래킷(723)과 프레셔 스프링(724)이 포함되며, 상기 맨드릴(721), 트랜지션 블랙(722)과 프레셔 스프링(724)은 슬라이딩하여 고정 브래킷(723)의 내부 포켓에 설치하고, 맨드릴의 보스(7211)는 슬라이딩하여 고정 브래킷 슬라이드 레일(7231)에 설치하며 프레셔 스프링(724) 뒷부분은 고정 브래킷(723) 뒷부분 내벽에 받쳐져 있고 프레셔 스프링(724) 앞부분은 트랜지션 블랙(722)의 뒷부분 내부홀 말단에 받쳐져 있으며 트랜지션 블랙(722)의 앞부분은 맨드릴(721)의 뒷부분 내부홀 말단에 액티브 설치되어 있으며 트랜지션 블랙 의 보스(7221)는 고정 브래킷 슬라이드 레일(7231)과도 서로 매칭되어 맨드릴(721)이 외력을 받을 경우 트랜지션 블랙을 뒤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프레셔 스프링(724)을 압축하여 프레셔 스프링은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트랜지션 블랙(722)이 고정 브래킷 슬라이드 레일(7231)을 이탈 시 트랜지션 블랙의 경사면(7222)과 맨드릴의 경사면(7212), 고정 브래킷의 경사면(7232)과 서로 매칭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트랜지션 블랙(722)의 회전 속도는 세번째 경사면 경각 및 마찰 계수의 제어 하에 트랜지션 블랙(722)은 지연 동작을 하게 된다. 트랜지션 블랙의 보스(7221)가 고정 브래킷의 그 다음의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에 회전하게 되면 이때 맨드릴(721)이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경우 프레셔 스프링(724)은 에너지를 석방하여 트랜지션 블랙(722)과 맨드릴을 초기 위치로 다시 밀어 놓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딜레이어(72)는 변위 물체의 지연 복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실시예8
도10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와 실시예1이 차별이 있다면 딜레이어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딜레이어는 시계형 딜레이어(81)이고; 해당 시계형 딜레이어(81)는 래크(811), 감속 메커니즘, 이스케이프먼트, 진동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 단향 송신 메커니즘과 고정 브래킷(810)이 포함되고, 고정 브래킷(810)은 대응된 메커니즘 설치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래크(811)의 한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래크(811)와 감속 메커니즘은 서로 매칭되며; 상기 감속 메커니즘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서로 연동되며; 상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서로 연동되며; 상기 단향 송신 메커니즘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상기 감속 메커니즘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상기 진동기는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감속 메커니즘은 피니언(812), 감속 기어(813)와 드라이브 기어(814)가 포함되고, 피니언(812)과 감속 기어(813)는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래크(811)의 기어 구조는 피니언(812)과 서로 매칭되고 감속 기어(813)와 드라이브 기어(814)는 서로 맞물리며 감속 기어(813)를 비교적 크게 디자인하고 드라이브 기어(814)를 비교적 작게 디자인하였기에 감속 역할을 발휘하게 되며;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에는 이스케이프휠(815)과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가 포함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814)와 이스케이프휠(815)은 같은 회전축(817)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에는 에너지 축적 비틀림 스프링(818)이 포함되고, 상기 에너지 축적 비틀림 스프링(818)은 상기 회전축(817)에 설치되어 있으며; 진동기는 스윙 비틀림 스프링(819)과 플라이휠(820)이 포함되고, 상기 스윙 비틀림 스프링(819)은 상기 플라이휠(8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는 디스크 리벳을 통하여 상기 플라이휠(820) 중에 설치하여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의 한쪽이 플라이휠(820)의 스윙에 따라 스윙하도록 하게 하며;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의 한쪽에는 팰릿(8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은 팰릿(821)을 통하여 상기 이스케이프휠(815)와 서로 배합하며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을 통하여 이스케이프휠(815)가 연속으로 빠르게 회전 못하게 하며; 상기 단향 송신 메커니즘은 탄성편(822)과 상기 이스케이프휠(815)에 있는 쐐기형 보스(823)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편(822)의 한쪽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814)와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편(822)의 다른 한쪽은 상기 이스케이프휠(815)의 쐐기형 보스(823)와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이 뒤로 이동 동시에 래크(811)를 뒤로 이동하게 하고 래크(811)는 피니언(812)를 회전하게 하며 피니언(812)은 감속 기어(813)를 회전하게 하며 감속 기어(813)는 드라이브 기어(814)를 회전하게 하여 에너지 축적 비틀림 스프링(818)이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하게 한다.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이 정확하게 이동하고 에너지 축적 비틀림 스프링(818)은 에너지 축적을 완성하는 동시에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은 래크(811)에 대한 제어에서 벗어나 래크(811)가 리턴하기 시작하며 드라이브 기어(814)의 드라이브 하에서 앞으로 이동 동시에 드라이브 기어(814)와 이스케이프휠(815)은 한데 고정되기에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는 이스케이프휠(815)의 회전을 제어하기 시작하게 되고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이 한번씩 스윙 시 이스케이프휠(815)은 비로소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고 드라이브 기어(814)는 비로소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래크(811)는 비로소 앞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는 고유빈도에 따라 스윙되고 래크(811)를 제어하여 천천히 리턴하게 하여 지연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가 고유빈도에 따라 스윙하는 것은 그와 스윙 비틀림 스프링(819) 및 플라이휠(820)이 공동으로 작용을 일으킨 결과이고 플라이휠(820)은 비틀림 스프링(819)을 스윙하는 영향으로 인하여 고유빈도에 따라 왕복 스윙하게 되고 플라이휠(820)의 디스크 리벳은 이스케이프먼트 레버(816)를 제어하여 연동 스윙하는 것이다. 탄성편(822)의 한쪽과 드라이브 기어(814)가 서로 고정되어 있고 탄성편(822)의 다른 한쪽과 이스케이프휠(815)의 쐐기형 보스(823)가 서로 매칭되기에 드라이브 기어(814)와 이스케이프휠(815)사이는 단일 방향으로 매칭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예9
도10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에 있어서 실시예1과 차별이 있다면 딜레이어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상기 딜레이어는 감쇠식 딜레이어(91)이고, 해당 감쇠식 딜레이어(91)은 래크(911), 댐핑 기어(912), 프레셔 스프링(913)과 댐퍼가 포함되며; 상기 래크(911)의 한쪽과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셔 스프링(913)은 래크(911)의 다른 한쪽에 받쳐져 있으며; 래크(911)의 기어 구조와 댐핑 기어(912)는 서로 매칭되며; 상기 댐퍼에는 댐핑 밸브 플러그(914)와 댐핑 케이스(915)가 포함되고, 상기 댐핑 밸브 플러그(914)는 댐핑 케이스(915) 내에 설치되어 있고 댐핑 기어(912)와 동축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이 뒤로 이동 동시에 래크(911)를 뒤로 이동하게 하여 강제로 프레셔 스프링(913)의 축적 에너지를 압축시킨다.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이 정확하게 이동하고 프레셔 스프링(913)이 에너지 축적을 완성하는 동시에 제어 메커니즘(리어 키 실린더로도 가능하다.)은 래크(911)에 대한 제어에서 벗어나 래크(911)가 리턴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래크(911)는 댐핑 기어(912)를 회전하게 하여 댐핑 기어(912)는 프레셔 스프링(913)의 구동력과 댐퍼의 회전 저항의 영향을 받아 천천히 회전할 수밖에 없으며 래크(911)도 천천히 회전할 수밖에 없기에 래크(911)는 지연 리턴할 수 있는 것이다. 댐퍼는 밸브 플러그(914)와 케이스(915)로 구성되어 있고 밸브 플러그(914)와 케이스(915)사이에 테이프를 사용하여 케이스(915)는 불회전하고 밸브 플러그(914)의 회전은 테이프의 영향으로 인하여 회전속도가 빠를 수록 받는 테이프 접착력은 더 크게 되는 것이다.
*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두개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를 이용하여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전에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에 프리셋의 위치차를 이용하여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드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게 되지만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계속 제한하며; 다시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에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는 비로소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 되며 그중 키 실린더1이 프리셋한 위치차 완성에 필요한 시간은 시차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개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를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차도 이용하여 여러가지 제한 조건을 설치하여 로직 상 기술적 언로킹 가능성을 근절하고, 더블 키 실린더 및 더블 키 실린더사이의 상호 제어 구조는 산업적으로도 실현이 용이하고, 본 발명의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의 각종 유닛도 산업적으로도 가공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 할 수 없는 바, 즉 본 발명 특허 신청 범위 및 설명서 내용에 따라 작성한 등가 변화와 손질은 전부 본 발명 특허가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하여야 하는 것이다.

Claims (31)

  1.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에 있어서,
    먼저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드 전에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고,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에 키 실린더1은 프리셋한 위치차를 이용하여 위치1로부터 위치2로 이동 가능하나 회전 불가이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하고, 키 실린더2는 여전히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며;
    다시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하고,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디코딩 후에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는 비로소 함께 회전하면서 언로킹을 실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더 나아가 키 실린더1의 변위 과정 중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1이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함으로 인하여 형성된 시차를 이용하여 키 실린더2의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상기 키 실린더1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과 키 실린더2에 대한 패스워드 디코딩은 같은 디코드 유닛의 부동한 디코드 구역 채택으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정확한 디코드 유닛을 적용하는 상황 하에서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이 키 실린더2에 대한 디코딩 제한을 해제 시 디코드 유닛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도 디코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상기 키 실린더1은 패스워드 디코딩 후 여전히 회전 불가함에 있어서 키 실린더1의 자체 회전에 대한 제한도 포함되는 바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에야만 키 실린더1은 비로소 자체 회전 제한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상기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디코딩을 제한하여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과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연관하고, 키 실린더1이 변위 전 키 실린더2 의 패스워드는 정확한 디코드 유닛에 의하여 디코딩 불가이지만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후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은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 로킹을 해제 가능함으로써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정확한 디코드 유닛에 의하여 디코딩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상기 키 실린더2는 키 실린더1의 회전을 제한하여 키 실린더2의 회전 동작과 키 실린더1의 회전 동작을 연관하고, 키 실린더2가 회전 불가 시 키 실린더1도 단독 회전 불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은
    상기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키 실린더1은 또한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되는 상태로 변하게 하여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과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를 연관하고, 키 실린더1이 동작 전에 키 실린더1은 키 실린더2에 영향을 가하지 않지만 키 실린더1이 정확하게 동작 후에 키 실린더2의 패스워드는 키 실린더1의 동작 유닛의 영향을 받아 키 실린더2의 디코드 유닛 삽입으로 디코딩을 진행하게 되는 입구를 점차 부분적 폐쇄 또는 전부 폐쇄 상태로 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9. 일종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자물쇠와 키가 포함되고; 상기 자물쇠에는 실린더 보디,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포함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와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키 실린더1에는 락 메커니즘2를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있고 키 실린더1에는 프리셋한 위치차가 설정되어 있어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전까지 락 메커니즘2는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락 메커니즘1을 디코딩 후 키로 키 실린더1을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고 키 실린더1이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락 메커니즘2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여 키가 락 메커니즘2를 디코딩하게 함으로써 키 실린더1, 2가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를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키 실린더1을 리어 키 실린더로, 상기 키 실린더2를 프론트 키 실린더로 정하고;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를 각각 리어 락 메커니즘, 프론트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 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프론트 락 메커니즘, 리어 락 메커니즘을 각각 설치하여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프론트 키 실린더, 리어 키 실린더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리어 키 실린더에는 프론트 락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프론트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리어 키 실린더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게 되면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이 프론트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가 해제되어 키로 프론트 락 메커니즘에 대하여 디코딩 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전부 반원기둥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은 다운 실린더 코어로, 상기 키 실린더2는 톱 실린더 코어로 설정하며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는 각각 톱 락 메커니즘, 다운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상기 키는 톱, 다운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할 수 있도록 키의 위/아래면에는 키 슬롯이 갖추어져 있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의 아래면의 키 슬롯이 다운 락 메커니즘을 먼저 디코딩 후 키로 다운 실린더 코어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게 되면 이때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톱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가 해제되어 키의 윗면 키 슬롯이 톱 락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게 되고 톱/다운 실린더 코어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는 내, 외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은 내부 실린더 코어로, 상기 키 실린더2는 외부 실린더 코어로 설정하며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는 각각 내부 락 메커니즘, 외부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외부 키 실린더는 실린더 보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실린더 보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외부 락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그와 대응된 실린더 보디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부 키 실린더는 외부 키 실린더 내에 회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외부 키 실린더사이에는 키로 디코딩 가능한 내부 락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그와 대응된 외부 키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내/외부 키 실린더는 제어 연결 가능하며; 내부 키 실린더에는 외부 락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도 설치되어 있어 내부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외부 락 메커니즘은 디코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키는 먼저 내부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내부 키 실린더를 회전시켜 내부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외부 락 메커니즘에 대한 제어를 해제함으로서 키가 외부 락 메커니즘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해지고 내/외부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더 나아가 키홀 앞부분에 설치한 게이트 메커니즘도 포함되며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과 키 실린더1은 서로 연동되고 키 실린더가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시 해당 게이트 메커니즘은 키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에는 키홀 앞부분 상단에 설치한 톱 게이트와 키홀 앞부분 하단에 설치한 다운 게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키 실린더1은 연동 유닛을 통하여 상기 톱 게이트, 다운 게이트와 연동하고 키 실린더1이 프리셋한 위치차에 따라 위치1에서 위치2로 이동 시 상기 톱 게이트, 다운 게이트는 키홀이 폐쇄 시까지 스위치 온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더 나아가 딜레이어도 포함되며 해당 딜레이어는 실린더 보디와 상기 제어 메커니즘사이에 설치하고 키 실린더1이 위치차 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딜레이어가 축적 에너지를 압축하도록 딜레이어를 드라이브하고;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함께 회전 시 딜레이어는 에너지를 석방하지 않고 제어 메커니즘이 리턴하도록 드라이브하지 않으며; 키 실린더1과 키 실린더2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딜레이어는 설정한 시간 내에 에너지를 석방하여 제어 메커니즘을 드라이브해 락 메커니즘2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위치로 리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딜레이어는 유압식 딜레이어 또는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 또는 시계형 딜레이어 또는 감쇠식 딜레이어일 수 있고;
    상기 유압식 딜레이어에는 보디, 밸브, 이너 튜브, 스프링과 샤프트가 포함되며 상기 이너 튜브는 보디 내에 고정되고 이너 튜브와 보디사이에는 오일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스프링 슬라이드를 통하여 이너 튜브 중에 설치되고 밸브와 이너 튜브사이에는 이너 튜브 포켓이 설치되어 상기 오일 포켓의 댐핑홀을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의 한 쪽은 밸브와 서로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다른 한 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연결되며 상기 이너 튜브에는 체크 밸브도 설치되어 있어 이너 튜브 포켓이 오일 포켓으로의 빠른 배유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계 마찰식 딜레이어에는 맨드릴, 트랜지션 블랙, 고정 브래킷과 프레셔 스프링이 포함되고 상기 맨드릴, 트랜지션 블랙과 프레셔 스프링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고정 브래킷의 내부 포켓에 설치하고 맨드릴의 보스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 중에 설치하며 프레셔 스프링 후단은 고정 브래킷 후단 내벽에 받쳐져, 프레셔 스프링 앞단은 트랜지션 블랙 후단 내경 말단에 받쳐져 있고 트랜지션 블랙 앞단은 맨드릴 후단 내경 말단에 액티브 설치하며 트랜지션 블랙의 보스는 또한 고정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과 서로 매칭되고 맨드릴의 앞단과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서로 연동되며 맨드릴에 추력을 가할 경우 트랜지션 블랙이 뒤쪽으로 이동 동시에 프레셔 스프링을 압축하여 프레셔 스프링이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트랜지션 블랙이 고정 브래킷의 슬라이드 레일에서 이탈 시 트랜지션 블랙의 경사면과 맨드릴의 경사면, 고정 브래킷의 경사면이 서로 배합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발생하게 되며 트랜지션 블랙의 회전속도는 트랜지션 블랙의 경사면, 맨드릴의 경사면, 고정 브래킷의 경사면의 경사각 및 마찰 계수의 제어를 받아 트랜지션 블랙이 지연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계형 딜레이어에는 래크, 감속 메커니즘, 이스케이프먼트, 진동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과 단향 송신 메커니즘이 포함되며; 상기 래크의 한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래크와 감속 메커니즘은 서로 매칭되며; 상기 감속 메커니즘과 상기 이스케이프먼트는 서로 연동되고; 상기 에너지 축적 메커니즘과 상기 이스케이프먼트는 서로 연동되며; 상기 단향 송신 메커니즘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과 상기 감속 메커니즘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와 상기 진동기는 서로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감쇠식 딜레이어에는 래크, 댐핑 기어, 프레셔 스프링과 댐퍼가 포함되며; 상기 래크의 한쪽은 상기 제어 메커니즘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셔 스프링은 래크의 다른 한쪽에 받쳐져 있으며; 래크의 기어 구조는 댐핑 기어와 서로 매칭되며; 상기 댐퍼에는 댐핑 밸브 플러그와 댐핑 케이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댐핑 밸브 플러그는 댐핑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고 댐핑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7.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락 메커니즘2는 마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키 실린더2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하여 키 실린더2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키 실린더2에는 축방향에 따라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홀과 연결되는 푸시로드 슈트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마블 푸시로드에는 사면형 슈트가 있으며 상기 마블 메커니즘에는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 사면형 슈트와 매칭 가능한 돌출부가 있으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사면형 슈트와 마블 돌출부의 매칭을 통하여 마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함으로서 마블이 키가 디코딩 불가인 위치와 키가 디코딩 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며; 동시에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 키 실린더2와 서로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에는 넥이 있고 상기 키 실린더1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이 있으며 한개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과 키 실린더1 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한쪽과 키 실린더1이 서로 연동하게 하고 키 실린더1 이 위치차 방향에 따라 이동 시 키 실린더1은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키 실린더2에는 1개 돌출부도 있고 해당 키 실린더2의 돌출부는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과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2 의 돌출부에는 픽스쳐 블록 슈트가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를 관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과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서 매칭되며 키 실린더1이 픽스쳐 블록를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축방향을 따라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사면형 슈트로 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과 키 실린더2의 돌출부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이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하며 키 실린더2가 위치차 방향에 따라 변위 성공 시 상기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넥에서 이탈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픽스쳐 블록의 밑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키 실린더1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 중에 설치하며 상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는 상기 키 실린더2의 픽스쳐 블록 슈트 의 사면형 슈트 중에 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톱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보디사이의 톱 락 메커니즘은 베인 메커니즘이고 상기 베인 메커니즘에는 레이디얼에 따라 톱 실린더 코어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하여 톱 실린더 코어 회전을 제한하는 템블러 및 톱 실린더 코어 내에 설치하여 상기 템블러와 연동 가능한 베인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톱 실린더 코어에는 축방향에 따라 상기 템블러와 연결되는 푸시 로드슈트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템블러 푸시로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 중에 설치하여 베인 메커니즘의 템블러를 제어하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은 다운 실린더 코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에는 템블러를 대비하여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슈트가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중에는 경사면이 있고 상기 템블러에는 돌출부가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경사면은 위로 향하여 상기 템블러의 돌출부와 매칭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뒤로 향하여 미 이동 시 템블러가 레이디얼에 따라 하락하는 것을 제한하고; 동시에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에는 넥이 있고 상기 다운 실린더 코어에는 픽스쳐 블록 고정 홈이 있으며 1개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를 연결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이 다운 실린더 코어와 서로 연동하도록 하게 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다운 실린더 코어는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푸시로드 슈트의 밑부분에는 축방향의 픽스쳐 블록 슈트가 있고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과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를 관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과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사이에서 매칭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픽스쳐 블록을 통하여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를 축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축방향을 따라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는 사면형 슈트로 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과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가 서로 매칭되어 픽스쳐 블록이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 중에서 축방향에 따라 이동 시 레이디얼에 따라서도 이동하게 되며 다운 실린더 코어가 축방향에 따라 뒤로 변위 성공 시 상기 픽스쳐 블록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넥에서 이탈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픽스쳐 블록의 밑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양쪽에는 익상부가 있으며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는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 블록은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다운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고정 홈 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 블록의 익상부는 상기 톱 실린더 코어의 픽스쳐 블록 슈트의 사면형 슈트 중에 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외부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의 외부 락 메커니즘은 마블 메커니즘이고 해당 마블 메커니즘은 레이디얼에 따라 외부 키 실린더와 실린더 보디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 키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외부 키 실린더에는 상기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 홀과 연결된 푸시로드 슈트도 축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는 마블 푸시로드와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는 외부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슈트 중에 설치하여 마블 메커니즘의 마블을 제어하게 되며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의 뒷부분과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은 서로 연동되고 상기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은 외부 키 실린더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앞부분에는 경사면이 있고 내부 키 실린더에는 축방향에 따라 두드러진 돌출부가 있으며 제어 메커니즘의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의 경사면과 내부 키 실린더의 돌출부가 서로 배합하면서 내부 키 실린더를 회전 시 스프링 볼트 슬라이드 블록이 축방향에 따른 변위를 일으키게 함으로써 제어 메커니즘의 마블 푸시로드도 함께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키 실린더1, 키 실린더2를 전후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키 실린더1을 리어 키 실린더로, 상기 키 실린더2를 프론트 키 실린더로 정하고; 상기 락 메커니즘1, 락 메커니즘2를 각각 리어 락 메커니즘, 프론트 락 메커니즘으로 설정하며; 상기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베인 메커니즘이고 해당 베인 메커니즘에는템블러 1개와 템블러 밑부분과의 매칭용으로 사용하는 베인이 최소 1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베인에는 패스워드 슬롯 1개와 트랩 슬롯이 최소 1개가 있으며; 리어 키 실린더에는 템블러를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도 설치되어 리어 키 실린더가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는 하락 불가이며; 키를 키홀에 삽입 후 먼저 리어 락 메커니즘을 디코딩 후 키로 리어 키 실린더를 축방향에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드라이브하여 템블러가 떨어지도록 하고 템블러가 베인의 패스워드 슬롯으로 하락 및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딩하게 되며 프론트, 리어 키 실린더는 키의 작용 하에서 함께 회전하여 언로킹되며 템블러가 베인의 트랩 슬롯으로 하락 및 진입 시 프론트 락 메커니즘은 디코딩이 안되고 베인도 이동 불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템블러 푸시로드 및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사이에 설치하여 매칭하는 구조이고; 상기 프론트 키 실린더에는 축방향의 푸시로드 슬롯이 있으며 해당 프론트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슬롯과 프론트 키 실린더 중 템블러를 삽입하는 템블러 슬롯은 서로 연동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프론트 키 실린더의 푸시로드 슬롯 중에 슬라이딩하여 설치하고 템블러와 매칭되며;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뒷부분과 상기 리어 키 실린더는 서로 연동되어 리어 락 메커니즘이 미디코딩 시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는 이동 불가이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이동 전까지 템블러는 하락 불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사이의 매칭구조에는 하기와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에 설치된 슈트. 상기 템블러는 상기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중에서 슬라이딩 매칭되어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와 템블러가 서로 교차적인 상대적 이동이 가능케 하며;
    템블러에 설치된 볼록대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에 설치된 경사면, 및 경사면에서 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클립스.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의 경사면 밑부분에는 볼록대가 있어 상기 클립스의 한쪽을 상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의 경사면 밑부분의 볼록대에 고정시키며 상기 클립스의 다른 한쪽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위쪽에 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상기 템블러의 볼록대의 볼록 사이즈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볼록대 넓이의 합은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 넓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클립스의 넓이는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의 넓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는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뒤쪽으로 변위 성공 전까지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리미트의 영향을 받아 템블러가 하락 불가로 되고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변위 성공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리미트에서 벗어나 템블러를 하락되게 하며;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앞으로 이동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의 슈트 경사면에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되고 제어 메커니즘의 템블러 푸시로드가 앞으로 변위 성공 시 템블러의 볼록대는 클립스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클립스의 상단에 다시 리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KR1020177030640A 2015-03-24 2016-02-03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KR102148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30241.2A CN104832006B (zh) 2015-03-24 2015-03-24 一种锁具的双锁芯互控及解码方法
CN201510130241.2 2015-03-24
CN201510386558.2 2015-07-03
CN201510386558.2A CN105155926B (zh) 2015-07-03 2015-07-03 一种后启式双芯互控锁具
CN201510476069.6 2015-08-06
CN201510476069.6A CN105317279B (zh) 2015-08-06 2015-08-06 一种双芯互控轴向位移式机械锁
CN201510485977.1A CN105332559B (zh) 2015-08-10 2015-08-10 一种双芯互控旋转错位式机械锁
CN201510486222 2015-08-10
CN201510485977.1 2015-08-10
CN201510486222.3 2015-08-10
CN201510495818.X 2015-08-13
CN201510495818.XA CN105350834B (zh) 2015-08-10 2015-08-13 一种双芯互控陷阱式叶片机构的机械锁
PCT/CN2016/073360 WO2016150258A1 (zh) 2015-03-24 2016-02-03 一种锁具的双锁芯互控、解码方法及其双芯互控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580A KR20170131580A (ko) 2017-11-29
KR102148560B1 true KR102148560B1 (ko) 2020-08-26

Family

ID=5697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640A KR102148560B1 (ko) 2015-03-24 2016-02-03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900257B2 (ko)
EP (1) EP3276109B1 (ko)
JP (1) JP6784692B2 (ko)
KR (1) KR102148560B1 (ko)
AU (1) AU2016236672B2 (ko)
BR (1) BR112017020492B1 (ko)
CA (1) CA2980783C (ko)
ES (1) ES2822973T3 (ko)
MY (1) MY188859A (ko)
PH (1) PH12017501753A1 (ko)
RU (1) RU2676012C1 (ko)
SG (1) SG11201707890WA (ko)
WO (1) WO2016150258A1 (ko)
ZA (1) ZA2017070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384A (zh) * 2016-12-14 2017-07-18 徐以华 一种双重防盗锁结构
CN108756479A (zh) * 2018-08-01 2018-11-06 葛广成 一种新型弹子锁
CN110644859A (zh) * 2019-08-26 2020-01-03 中山欧朗金属制品有限公司 锁具及其控制方法
CN110916698B (zh) * 2019-11-15 2023-05-02 东软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型ct机架及车载型ct机
CN113431441B (zh) * 2021-07-08 2022-06-21 泉州思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旋转防盗锁芯、锁具及其钥匙
CN114991582B (zh) * 2022-04-30 2023-05-23 余昊雨 一种全新锁
CN116742391B (zh) * 2023-08-15 2023-10-13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一次性使用电性插头和一次性内窥镜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630A (en) * 1880-11-16 Lock-cylinder
US1892419A (en) * 1929-08-12 1932-12-27 Frank E Best Inc Sectional key plug for locks
US2381136A (en) * 1943-12-09 1945-08-07 Sargent & Co Adjustable cylinder lock mechanism
US2431894A (en) * 1944-11-17 1947-12-02 Yale & Towne Mfg Co Lock
US3429154A (en) * 1966-10-18 1969-02-25 Taylor Lock Co Lock plug
US3500670A (en) * 1967-03-15 1970-03-17 Gen Alarm Corp Lock mechanism and alarm
IT1056958B (it) * 1976-03-09 1982-02-20 Fois Battist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serrature
US4194379A (en) * 1978-04-12 1980-03-25 George K. C. Hardesty Pick-proof lock
US4328692A (en) * 1978-04-12 1982-05-11 Dice Harry E Booby-trapped lock cylinder with integral intrusion detector
DE2900992A1 (de) * 1979-01-12 1980-07-24 Georg Dr Heimann Sicherheitszylinderschloss mit zylinderteilung zur ausloesung von voneinander unabhaengigen folgen von vorgaengen
US4490998A (en) * 1981-06-11 1985-01-01 John Wellekens Tamper-resistant lock assembly
US5038589A (en) * 1990-05-22 1991-08-13 Frank J. Martin Company Rekeyable cam lock
US5148690A (en) * 1991-06-18 1992-09-22 Wang Ruei Fang Two-section type pickproof lock assembly
US5475997A (en) * 1994-07-12 1995-12-19 Chung; Chia-Lieh Lock assembly
KR0115112Y1 (ko) * 1995-03-23 1998-10-01 김창학 실린더형 자물쇠
CN1138131A (zh) * 1995-06-09 1996-12-18 石淳民 用滚珠罗纹子的系列锁头配用钥匙联用外锁和配用锁体
US5758526A (en) * 1995-08-28 1998-06-02 Gorokhovsky; Mark Lock
US5964111A (en) * 1996-09-23 1999-10-12 Lambert; Carl L. Pick-resistant pin-tumbler lock
US5921121A (en) * 1997-04-18 1999-07-13 Tang; Xu Fai Adjustable key-type spring pin lock cylinder
US6058752A (en) * 1998-06-10 2000-05-09 Feder; George N. Pick-resistant lock system and method
HU224562B1 (hu) * 2000-01-24 2005-10-28 Ernst Keller Forgó zárhenger és ezekből álló zárrendszer biztonsági zárhoz, valamint az ehhez tartozó kulcs
JP4168162B2 (ja) 2001-11-06 2008-10-2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キーガイド
JP3087572U (ja) 2002-01-28 2002-08-09 淳逸 洪 二層連結施錠具
US6584819B1 (en) 2002-02-06 2003-07-01 Chung-I Hung Lock with two layers of lock mechanism
JP2003321956A (ja) 2002-05-02 2003-11-14 Daichi Horie シリンダー錠
US6758073B2 (en) * 2002-08-12 2004-07-06 Shih-Szu Yu Lock assembly
CN2628662Y (zh) * 2002-08-22 2004-07-28 张鹏 十字双芯互控防盗锁
CN1227436C (zh) 2003-01-13 2005-11-16 曹希文 一种可防万能钥匙开启的弹子锁
CN2604492Y (zh) 2003-01-23 2004-02-25 兴联泰股份有限公司 可固定钥匙的锁
US6748777B1 (en) * 2003-02-26 2004-06-15 Vsr Lock, Inc. Removable internal core pin tumbler lock
CN2620025Y (zh) 2003-03-05 2004-06-09 李善桐 一种叶片锁头
US20060096345A1 (en) * 2004-08-05 2006-05-11 Rick Chen Safety cylinder assembly for lock
CN2725445Y (zh) 2004-09-23 2005-09-14 夏荣建 锁及其配套钥匙
CN2760183Y (zh) 2004-12-24 2006-02-22 于广福 一种双锁芯机构
CN201050222Y (zh) * 2007-01-12 2008-04-23 资明广 带有相互垂直的弹子的多段式锁芯及其钥匙
US20080276673A1 (en) * 2007-05-11 2008-11-13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adjusting a lock assembly to fit with different keys
CN201095895Y (zh) 2007-09-30 2008-08-06 雷先鸣 一种角度弹子的空转锁头
AT506590B1 (de) * 2008-10-09 2009-10-15 Kaba Gmbh Schliesszylinder
GB0819220D0 (en) 2008-10-21 2008-11-26 Laliberte Jean Charles Automatic food dispenser
SE533361C2 (sv) 2009-02-18 2010-09-07 Winloc Ag Profilerad nyckel för cylinderlås
CN201581705U (zh) 2009-05-14 2010-09-15 李金锟 空转叶片型ab锁芯
DE102010036573A1 (de) * 2010-07-22 2012-01-26 Dom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insbesondere Doppelschließzylinder mit freilaufendem Schließglied
US20120192603A1 (en) 2011-02-02 2012-08-02 Tien Kao Liu High security lock core structure
CN202039690U (zh) 2011-03-07 2011-11-16 杨仁智 一种锁头
CN202055638U (zh) 2011-04-21 2011-11-30 上海理工大学 一种锁定角度的叶片空转锁芯
CN102230340A (zh) 2011-05-25 2011-11-02 汤学年 同轴双芯防盗锁及开启的钥匙
JP2013159907A (ja) 2012-02-01 2013-08-19 Miwa Lock Co Ltd シリンダー錠
CN102644415B (zh) 2012-05-13 2014-03-26 江典秋 双槽双珠同轴三防空转锁头
CN202913792U (zh) 2012-11-23 2013-05-01 胡德兴 一种带有闭门器的弹子锁及其钥匙
CN203223065U (zh) * 2013-03-25 2013-10-02 沈雄 弹子锁锁芯
US9038427B2 (en) * 2013-04-03 2015-05-26 Li-Szu Shen Lock cylinder
EP2982817B1 (en) * 2013-04-03 2018-05-02 Li-Szu Shen Lock core
CN203769466U (zh) 2013-11-14 2014-08-13 张其湘 一种双锁芯锁具结构
CN203603627U (zh) 2013-11-28 2014-05-21 绍兴斯科制锁工业有限公司 一种双锁芯结构的锁具
CN103790441B (zh) 2014-01-07 2016-01-13 瑞安市正全锁业有限公司 防盗锁具
CN203925006U (zh) * 2014-06-03 2014-11-05 卢林春 双锁芯防盗门锁
US9447608B2 (en) * 2014-10-28 2016-09-20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ing cartridges
CN104832006B (zh) * 2015-03-24 2017-04-05 朱嘉斌 一种锁具的双锁芯互控及解码方法
CN205012777U (zh) 2015-08-13 2016-02-03 朱嘉斌 双芯互控陷阱式叶片机构的机械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580A (ko) 2017-11-29
US20210108446A1 (en) 2021-04-15
RU2676012C1 (ru) 2018-12-25
BR112017020492B1 (pt) 2022-10-18
WO2016150258A1 (zh) 2016-09-29
SG11201707890WA (en) 2017-10-30
EP3276109B1 (en) 2020-07-15
CA2980783C (en) 2023-02-28
JP2018509543A (ja) 2018-04-05
AU2016236672B2 (en) 2021-05-27
CA2980783A1 (en) 2016-02-03
MY188859A (en) 2022-01-10
US10900257B2 (en) 2021-01-26
EP3276109A1 (en) 2018-01-31
JP6784692B2 (ja) 2020-11-11
PH12017501753A1 (en) 2018-04-02
BR112017020492A2 (pt) 2018-07-03
AU2016236672A1 (en) 2017-10-26
EP3276109A4 (en) 2018-11-21
ES2822973T3 (es) 2021-05-05
ZA201707053B (en) 2019-02-27
US11566444B2 (en) 2023-01-31
US20180058101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560B1 (ko) 일종 록 세트의 더블 키 실린더 상호 제어, 디코드 방법 및 해당 더블 실린더 상호 제어 록 세트
CN106401356A (zh) 列车门的回转型锁闭系统
CN201406903Y (zh) 一种自动门锁
EP1862616B1 (en) Safety lock for doors of dwellings, gates and the like
KR101207041B1 (ko) 후크형 도어록
CN101915029A (zh) 一种锁出控制机构以及具有该机构的联环门锁
CN105332559B (zh) 一种双芯互控旋转错位式机械锁
EP2106489B1 (en) Safety lock with high flexibility of use
CN102587743A (zh) 一种自动上锁的防盗门锁
CN102317561A (zh) 移动体的移动装置
CN201007137Y (zh) 一种锁具
CN105155926A (zh) 一种后启式双芯互控锁具
CN102159782A (zh) 带具有椭圆头部的闩锁件的改良锁
CN202483283U (zh) 一种自动上锁的防盗门锁
CN105317279B (zh) 一种双芯互控轴向位移式机械锁
CN205025217U (zh) 防盗双系统联动锁具装置
CN109629931B (zh) 合门触发自动锁
CN108278046B (zh) 一种快速开锁的静音自动锁
CN202926040U (zh) 互联子母锁
CN101463678A (zh) 具有磁控锁舌弹出机构的自动门锁
CN105442956A (zh) 一种安全门锁
CN101654982B (zh) 一体化门锁
CN105350832B (zh) 一种前后锁定机构互控径向位移式叶片锁
CN114482819B (zh) 一种带有防盗功能的防火门
CN104790862B (zh) 一种具有先启机构的自动开关锁及开关门的多扇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