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404B1 -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 Google Patents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404B1
KR102143404B1 KR1020187031016A KR20187031016A KR102143404B1 KR 102143404 B1 KR102143404 B1 KR 102143404B1 KR 1020187031016 A KR1020187031016 A KR 1020187031016A KR 20187031016 A KR20187031016 A KR 20187031016A KR 102143404 B1 KR102143404 B1 KR 10214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nning
fitting
inner circumferenti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985A (ko
Inventor
히로시 스가하라
다츠로우 바바
마사히로 야마사키
요시로우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0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32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wind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 pipe being formed inside the old pipe by winding strip-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29L2023/225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의 직경 또는 둘레 길이를 가변 조정하면서 제관 가능한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을 제공한다. 제관 장치(3)의 제관부(3a)에 의해, 띠 형상 부재(90)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91)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92)의 테두리(94)를, 선행 관부(91)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93)와 감합시킨다. 감합에 수반하여, 제관 장치(3a)가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추진된다. 조작 레버(30) 등의 감합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감합이 이루어지는 위치(9q)를 장치 높이 방향(HD) 또는 관내외 방향(VD)으로 가변 조정한다.

Description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본 발명은, 띠 형상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나선관을 제관하는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관하면서 추진되는 소위 자주식(自走式)의 제관 장치 및 해당 제관 장치를 사용한 제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의 매설 기설관은, 금속관이나 흄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설관은, 장기 사용에 의해 노화하여 깨짐이나 부식이 발생하고, 누수, 가스 누설, 함몰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 기설관의 내주에 합성 수지제의 갱생관을 라이닝하는 갱생 공법이 알려져 있다. 갱생관의 일례로서, 합성 수지제의 띠 형상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나선관이 알려져 있다.
나선관을 제관하는 제관 장치로서, 소위 자주식의 제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관 장치는,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 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의 테두리를, 선행 관부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와 감합시킨다. 감합에 수반하여, 제관 장치가,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자주(추진)된다. 이에 의해, 나선관이 점차 연신된다(특허문헌 1, 2 등 참조).
이러한 종류의 제관 공법에 있어서는, 제관이 진행함에 따라서, 나선관이 축경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제관 장치는, 소위 링크 롤러라고 칭해지는 환상의 내주 규제체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내주 규제체에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를 휘감아서 축경을 저지하고 있다. 나아가서는, 내주 규제체에 의해 나선관의 단면(형상 및 직경 내지는 둘레 길이를 포함함)이 내주측으로부터 규제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제관 장치에 있어서는, 내주 규제체로서, 복수의 지지 아암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들 지지 아암의 선단부의 안내 롤러에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를 누름으로써, 축경을 저지하고 있다. 나아가서는, 내주 규제체에 의해 나선관의 단면이 내주측으로부터 규제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866428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05142호 공보
상술한 종래 제관 장치에 있어서는, 환상의 내주 규제체(특허문헌 1)나 방사상의 내주 규제체(특허문헌 2)가 있기 때문에, 대형화되었다. 또한, 환상의 내주 규제체를 구비하는 제관 장치에 있어서는, 기설관의 내경 변화나 단면 형상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을 직경 또는 둘레 길이를 가변 조정하면서 제관 가능한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 장치는, 띠 형상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나선관을 제관함과 함께 상기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추진되는 제관 장치이며,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에 배치된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의 테두리를, 상기 선행 관부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와 감합시키는 제관부와,
상기 감합이 이루어지는 감합 위치를,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나선관의 관내외 방향으로 가변 조정하는 감합 높이 조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연신 단부가 내주측으로 해방된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신 단부가 내주측으로 해방된 상태란, 상기 제관 장치가,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단면(형상, 둘레 길이, 직경)을 내주측으로부터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를 갖지 않는 비내주 규제 구조가 되어 있고, 상기 연신 단부가 내주 규제체에 의해 내주측으로부터 규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당해 제관 장치에 의하면,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감합 위치를,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측 또는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외측(외주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확경할 수 있다.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감합 위치를,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상측 또는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내측(내주측)에 변위시킴으로써, 나선관을 축경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로 나선관의 내경을 규제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확경」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일 때, 직경이 커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관이 임의의 단면일 때의, 둘레 길이가 커지는 것(둘레 길이 확장)도 포함한다. 「축경」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일 때,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관이 임의의 단면일 때의, 둘레 길이가 작아지는 것(둘레 길이 축소)도 포함한다.
또한, 「연신 단부」란, 선행 관부가 관축을 따라 연신되어 가는 방향(연신 방향)의 전단의 약 일주 부분을 말한다. 연신 방향의 전방을 「연신 전방」이라고 칭하고, 연신 방향의 후방을 「연신 후방」이라고 칭한다.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이, 상기 나선관의 관축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를 관내외 방향으로 가변 조정할 수 있고, 나선관을 확경축경 제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폭 방향(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나선관의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기울도록, 제관 장치를 각도 조정하면, 상기 감합 위치를 외주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폭 방향을 나선관의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기울도록 각도 조정하면, 상기 감합 위치를 내주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작 레버에 의해 장치 폭 방향이 나선관의 관축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나선관을 간단하면서 저렴한 수단으로 확경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폭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관을 둘러싸는 외주 규제체의 내주면 또는 상기 선행 관부의 내주면에 접해 버티는 버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버팀 부재를 선행 관부의 내주면에 부딪힘으로써, 제관 장치 전체를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버팀 부재를 외주 규제체에 부딪힘으로써, 제관 장치 전체를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에 걸림결합되는 관단(管端) 걸림결합부와,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치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높이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 기구에 의해 관단 걸림결합부를 높이 조절함으로써, 관단 걸림결합부에 걸림결합된 감합 위치를 높이 조절할 수 있다. 감합 위치를 장치 높이 방향의 기부측(관내외 방향의 관외측과 대응하는 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확경 제관할 수 있다. 감합 위치를 장치 높이 방향의 정상부측(관내외 방향의 관내측과 대응하는 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걸림결합의 형태로서는 걸림, 누름, 걸침, 끼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연신 단부에 내주측으로부터 걸리는 내주측 걸림 부재와, 외주측으로부터 걸리는 외주측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신 단부를 확실하게 걸 수 있다. 또는, 연신 단부를 내주 및 외주 양측으로부터 끼울 수 있다.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의 근방 또한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의 근방 또한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제관부가, 상기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비스듬히 압출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연신 단부를 가이드하는 관단 가이드를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을 확실하게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는, 상기 연신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감합 위치보다도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방의 가이드와, 상기 감합 위치보다도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후방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신 단부에 있어서의 감합 위치의 양측 부분을 가이드함으로써, 감합 위치에 있어서 확실하게 감합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나선관을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내주면에 접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관단 내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의 축선을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하는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해 관단 내주 가이드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감합 위치의 변위량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나선관의 확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연신 단부를 내주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관단 내주 가이드와, 상기 연신 단부를 외주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관단 외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가, 상기 관단 외주 가이드의 띠 형상 부재와의 걸림부보다도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 외측에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관단 외주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후 어느 한쪽 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 및 관단 외주 가이드에 의해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관단 내주 가이드를 관단 외주 가이드의 추진 후방에 배치하면, 연신 단부가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기울어져, 확경 제관할 수 있다. 관단 내주 가이드를 관단 외주 가이드의 추진 전방에 배치하면,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띠 형상 부재로부터 나선관을 제관 장치에 의해 제관하는 제관 방법이며,
상기 제관 장치의 제관부에 의해,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의 테두리를, 상기 선행 관부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와 감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합에 수반하여, 상기 제관 장치가 상기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추진되는 공정과,
상기 감합이 이루어지는 감합 위치를, 상기 제관 장치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나선관의 관내외 방향으로 가변 조정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연신 단부가 내주측으로 해방된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 공정에 의해, 나선관을 확경 제관하거나 축경 제관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제관 장치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이 상기 나선관의 관축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관 장치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조작 레버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정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을 직경 또는 둘레 길이를 가변 조정하면서 제관할 수 있다.
도 1은, 기설관을, 나선관을 포함하는 갱생관의 라이닝에 의해 갱생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연신 전방으로부터 본 해설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관 장치에서 나선관을 제관하는 모습을 해설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IVa-IVa 선을 따르는, 상기 나선관을 구성하는 띠 형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2의 IVb-IV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c)는, 도 2의 IVc-IVc 선을 따르는, 상기 나선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전방측 관단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 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확경 제관된 나선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XXIV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경 제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7의 (a)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띠 형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7의 (b)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나선관의 감합 부분 주변부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확경 제관 시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XXIX-XXIX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를, 축경 제관 시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XXX-XXX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노화한 기설관(1)을 갱생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수력 발전용 도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갱생관(9)이 라이닝된다. 갱생관(9)은, 긴 띠 형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고, 나선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갱생관(9)을 적절히 「나선관(9)」이라고 칭한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부재(90)는, 평띠부(90x)와,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와, 복수의 리브(95)를 포함하고, 일정한 단면을 이루어, 동일 도면의 지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탄한 평띠부(90x)의 표측면(도 4의 (a)에 있어서 상면)이, 나선관(9)에 있어서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평띠부(90x)의 이면(도 4의 (a)에 있어서 하면)은, 나선관(9)의 외주로 향할 수 있다. 해당 이면에 리브(95)가 설치되고, 홈(95b)이 형성되어 있다.
평띠부(90x)의 폭 방향의 일방측(도 4의 (a)에 있어서 좌측)의 테두리에 오목 형상의 제1 감합부(93)가 설치되어 있다. 평띠부(90x)의 폭 방향의 타방측(도 4의 (a)에 있어서 우측)의 테두리에 볼록 형상의 제2 감합부(9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의 오목부와 제2 감합부(94)의 볼록부는 서로 상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의 (b) 및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관(9)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에 인접하는 감합부(93, 94)끼리 서로 요철 감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띠 형상 부재(90)의 거의 전체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95)에는 강철 등의 금속제의 보강 띠재(95d)가 매설되어 있다. 평띠부(90x)의 감합부(93, 94) 가까이에는, 지수성 고무 등을 포함하는 시일재(90s)(도 4에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도중의 띠 형상 부재(90)는, 이미 제관된 선행 관부(91)와, 이것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92)를 포함한다. 띠 형상 부재(90)가,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으로 권회됨으로써, 나선관 형상의 선행 관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제관이 진행함에 따라서, 선행 관부(91)가, 해당 선행 관부(91)의 관축(L9)을 따라 점차 연신된다. 선행 관부(91)의 관축(L9)을 따르는 연신 방향(ED)의 전방부(도 1에 있어서 좌측 단부)의 약 일주 부분을 「연신 단부(91e)」라고 칭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는, 지상의 권회 드럼(5)으로부터 맨홀(4)을 거쳐, 선행 관부(91)의 내부를 통과하고,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와 연속하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연속하는 바로 근처의 후속 띠부(92) 및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띠 형상 부재(90)의 폭 방향은, 연신 방향(ED)을 거의 따르게 하고, 또한 제1 감합부(93)가 연신 방향(ED)의 전방(이하, 적절히 「연신 전방」이라고 칭함. 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향해지고, 제2 감합부(94)가 연신 방향(ED)의 후방(이하, 적절히 「연신 후방」이라고 칭함. 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 상에 제관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제관 장치(3)는, 나선관(9)을 제관하면서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추진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의 추진 전후 방향(LD)은, 상기 권회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관 장치(3)의 폭 방향(WD)은, 상기 권회 방향과 직교되고, 나선관(9)의 관축(L9)에 거의 따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나아가서는 후기 장치 프레임(3f))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HD)은, 폭 방향(WD) 및 추진 전후 방향(LD)과 직교하고, 나선관(9)의 관내외 방향(VD)(직경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제관 장치(3)는, 비내주 규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단면(형상, 둘레 길이, 직경)을 내주측으로부터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를 갖고 있지 않다. 연신 단부(91e)는, 내주측으로 해방된 상태에서 제관이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는, 장치 프레임(3f)과, 제관부(3a)와, 감합 높이 조정 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것처럼, 장치 프레임(3f)은, 구동 유닛 프레임(15)과, 가이드 프레임(25)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 프레임(15)이, 제관 장치(3)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LD)의 전방측부(도 2에 있어서 좌측)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2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25)이, 구동 유닛 프레임(15)으로부터 추진 전후 방향(LD)의 후방(이하 「추진 후방」),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도 2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25)은, 3개의 프레임판(25a, 25b, 25c)을 포함한다. 이들 프레임판(25a, 25b, 25c)은, 제관 폭 방향(WD)(도 6에 있어서 좌우)에 배열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f)에 제관부(3a)가 설치되어 있다.
제관부(3a)는, 후속 띠부(92)의 일 테두리(제2 감합부(94))를 선행 관부(91)에 일주 선행하는 대향 테두리(제1 감합부(93))와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9)을 제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서 이루어진다. 해당 둘레 방향의 일부분을 감합 위치(9q)라고 칭한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부(3a)는, 구동 유닛(10)(구동부)과, 관단 가이드 유닛(20)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10)은, 한 쌍의 구동 롤러(11)를 갖고, 구동 유닛 프레임(15)에 격납되어 있다. 구동 롤러(11)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으로 향해져 있다. 한 쌍의 구동 롤러(11) 사이에 후속 띠부(92)가 끼워져 있다.
구동 롤러(11)는, 후속 띠부(92)를,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내주측에서 감합 위치(9q)로 비스듬히 압출한다.
제관 장치(3)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HD)의 기부(도 2에 있어서 하측부)에 관단 가이드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관단 가이드 유닛(20)은, 전방측 관단 가이드(21)와, 후방측 관단 내주 가이드(22)와, 후방측 관단 외주 가이드(23)를 포함한다. 이들 가이드(21, 22, 23)가, 가이드 프레임(25)에 내장되고,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에 대하여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려 있다(걸림결합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관단 가이드(21)는, 제관 장치(3)에 있어서의 감합 위치(9q)보다 추진 전후 방향(LD)의 전방(이하 「추진 전방」, 도 2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관단 가이드(21)는, 구동 유닛(10)의 구동 롤러(11)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WD)의 일측(도 2에 있어서 지면 안측)에, 나선관(9)의 1피치분만 어긋나 있다.
전방측 관단 가이드(21)는,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에 있어서의 감합 위치(9q)로부터 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주 미만 선행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관단 가이드(21)는, 장치 높이 방향(HD)에 있어서의 기부측의 외주 가이드부(21a)(관단 외주 가이드)와, 정상부측의 누름 부재(21d)를 포함한다. 이들 외주 가이드부(21a) 및 누름 부재(21d)에 의해,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에 있어서의 상기 일주 미만 선행하는 부분이 외주 및 내주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가이드부(21a)는,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와, 2개(복수)의 걸림 볼록부(21f)를 포함한다.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외면에 꼭 대어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의 전후 양측부에는, 롤러(21c)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21c)가 기설관(1)의 내주에 접하여 전동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로부터 걸림 볼록부(21f)가, 누름 부재(21d)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21f)가, 선행 관부(91)의 홈(95b)에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려 있다.
누름 부재(21d)는,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내주면에 눌러져 있다. 누르는 힘은, 볼트(21h)(누름력 조절부)에 의해 적절히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관 장치(3)의 추진에 수반하여, 전방측 관단 가이드(21)와 선행 관부(91) 사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걸림 볼록부(21f)에 의해 마찰 저항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관단 외주 가이드(23)는, 전방측 관단 가이드(21)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단 외주 가이드(23)는, 장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구동 롤러(11)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관 장치(3)의 추진 전후 방향(LD)에 있어서의 관단 외주 가이드(23)의 근처나, 또는 관단 외주 가이드(23) 상에, 감합 위치(9q)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단 외주 가이드(23)는,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3b)와, 걸림 볼록부(23f)를 갖고 있다.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3b)가,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연신 단부(91e)로부터 그의 일주 선행 부분에 걸치도록 하여, 선행 관부(91)의 외면에 꼭 대어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3b)의 전후 양측부에는, 롤러(23c)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23c)가 기설관(1)의 내주면에 접하여 전동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3b)의 장치 폭 방향(WD)의 일단부에 걸림 볼록부(23f)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23f)는, 선행 관부(91)의 상기 일주 선행 부분의 리브(95)에 걸려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단 내주 가이드(22)는, 관단 외주 가이드(23) 나아가서는 감합 위치(9q)보다도 추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관단 내주 가이드(22)는, 롤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의 축선이 제관 폭 방향(WD)으로 향해져 있다. 관단 내주 가이드(22)는,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연신 단부(91e)로부터 그의 일주 선행 부분에 조금 걸치는 동시에, 선행 관부(91)의 내주면에 눌러져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에는, 감합 높이 조정 수단으로서, 조작 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는 레버부(31)와, 파지부(32)를 포함한다. 레버부(31)의 기단부가, 연결 볼트(33)를 통하여 장치 프레임(3f)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부(31)는, 장치 프레임(3f)으로부터 제관 장치(3)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상방 내지는 나선관(9)의 관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버부(31)의 선단부에 파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3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선 자세로 힘을 가하기 쉬운 것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150cm 정도이다.
도 7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연결 볼트(33)를 이완하면, 조작 레버(30)를,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기울도록 연결 볼트(33)의 축선 둘레에 각도 조정할 수 있다. 연결 볼트(33)를 체결함으로써, 조작 레버(30)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30)를, 작업자가 조작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한 다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30)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각도 조절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 레버(30)는, 장치 프레임(3f)에 있어서의 중앙 프레임판(25b)에 설치되어 있지만, 연신 전방측(도 6에 있어서 좌측)의 프레임판(25a)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연신 후방측(도 6에 있어서 우측)의 프레임판(25c)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 레버(30)의 설치 위치는,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제관 장치(3)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갱생관(9)(나선관)이 제관되고, 기설관(1)이 갱생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1)의 구동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구동 유닛(10)으로부터 감합 위치(9q)로 향하여 비스듬히 압출한다.
이에 의해, 도 4의 (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 위치(9q)에 있어서,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와, 선행 관부(91)의 일주 선행하는 부분의 제1 감합부(93)가 감합된다(감합 공정). 이때,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 23b)가, 선행 관부(91)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감합력을 받는다.
또한, 감합에 의해, 추진 반력이 발생하고, 제관 장치(3)가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추진된다(추진 공정). 이에 의해, 제관 장치(3)를 자주시키면서, 기설관(1)의 내면을 따라 갱생관(9)을 제관할 수 있다.
관단 가이드(21, 22, 23)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19e)의 권회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림으로써(걸림결합 됨으로써), 제관 장치(3)를 상기 권회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감합 위치(9q)를 통과한 후의 선행 관부(91)를 내주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상기 감합부(93, 94)끼리를 한층 확실하게 감합할 수 있고, 감합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관 장치(3)에 의하면, 전술 특허문헌 1의 환상의 내주 규제체나, 전술 특허문헌 2의 방사상의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제관 가능하다. 따라서, 제관 장치(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관 장치(3)에는 조작 레버(3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작 레버(30)를 갖고 제관 장치(3)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관 장치(3)의 자세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제관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내경 또는 단면 형상이라고는 한정되지 않고, 단면 변화부(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제관 장치(3)에 의하면, 이러한 기설관(1)의 단면 변화에 대하여 자유자재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면 변화에 따라, 조작 레버(30)에 의해 제관 장치(3)의 장치 폭 방향(WD)이 관축(L9)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절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를, 해당 감합 위치(9q)에 있어서의 관내외 방향(VD)으로 가변 조정한다(감합 위치 조절 공정). 해당 감합 위치(9q)의 가변 조정에 의해, 나선관(9)을 확경시키거나 축경시키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경 변화 부분(1b)의 내면을 따라 나선관(9)을 제관할 때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를 연신 전방(도 8에 있어서 좌측)으로 쓰러뜨린다. 이에 의해, 장치 프레임(3f)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 전체가,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도 8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선행 관부(91) 및 후속 띠부(92)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와 걸림결합하는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따라서, 감합 위치(9q)가, 거기에서 1피치분만 연신 후방(도 8에 있어서 우측)으로 어긋난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8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된다. 이 결과,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띠 형상 부재(90)는, 제관에 의해 축경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 그래서, 기설관(1)에 있어서의 단면이 균일한 부분에 제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30)를 연신 전방(도 8에 있어서 좌측)으로 쓰러뜨리면 된다. 그러면, 제관 장치(3)가 나선관(9)을 확경시키도록 제관하기 때문에, 상기 축경 경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9)을 기설관(1)의 내주면에 꼭 따르게 하여 제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제관 장치(3)에 의하면, 전술 특허문헌 1의 환상의 내주 규제체나, 전술 특허문헌 2의 방사상의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9)이 축경하지 않도록 제관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축경 변화 부분(1c)(도 1)의 내면을 따라 나선관(9)을 제관 할 때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를 연신 후방(도 8에 있어서 우측)으로 쓰러뜨린다. 이에 의해, 장치 프레임(3f)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 전체가,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도 8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선행 관부(91) 및 후속 띠부(92)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와 걸림결합하는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따라서,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내주측(관내측, 도 8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된다. 이 결과, 나선관(9)을 확실하게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제관 장치(3)에 있어서는, 내주 규제체가 없기 때문에, 기설관(1)이 예를 들어 사각형 등의 비원형 단면이어도, 그의 내주면에 맞추어 비원형 단면의 나선관(9)을 용이하게 제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형태와 중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B)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B)에는, 감합 높이 조정 수단으로서, 버팀 부재(40)(기울임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버팀 부재(40)는, 장치 프레임(3f)의 장치 폭 방향(WD)의 일측 또는 타측의 외방으로부터 관내외 방향(VD)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관 장치(3B)에는, 확경 제관용의 버팀 부재(40)와, 축경 제관용의 버팀 부재(40)가 준비되어 있다. 이하, 이들 버팀 부재(40)를 서로 구별할 때는, 확경 제관용의 버팀 부재(40) 및 그의 구성 요소의 부호에 「A」를 붙이고, 축경 제관용의 버팀 부재(40) 및 그의 구성 요소의 부호에 「B」를 붙인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경 제관 시의 제관 장치(3B)에 있어서는, 버팀 부재(40A)가, 장치 프레임(3f)의 연신 후방의 측부(도 11에 있어서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버팀 부재(40A)는, 버팀 롤러(41A)와, 롤러 축(42A)을 포함한다. 롤러축(42A)이, 장치 프레임(3f)의 프레임판(25c)으로부터 연신 후방(도 11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롤러축(42A)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으로 향해져 있다. 롤러축(42A)의 선단부에 버팀 롤러(41A)가 설치되어 있다. 버팀 롤러(41A)는, 롤러축(42A)과 직교하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러축(42A)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버팀 롤러(41A)의 반경은, 롤러축(42A)의 축선으로부터 관단 내주 가이드(22)에 있어서의 나선관(9)으로의 접지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크다. 버팀 롤러(41A)의 일부가, 관단 내주 가이드(22)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관내외 방향(VD)에 있어서의 관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팀 롤러(41A)가, 장치 프레임(3f)보다도 연신 후방(도 11에 있어서 우측 방향)에 있어서의 선행 관부(91)의 내주면에 접해 버팀으로써, 장치 프레임(3f)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B) 전체가, 연신 전방(도 11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외주측(도 11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로 인해, 선행 관부(91) 및 후속 띠부(92)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B)와 걸림결합하는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굽힘 변형되고,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11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된다. 이 결과,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 제관 시의 제관 장치(3B)에 있어서는, 버팀 부재(40B)가, 장치 프레임(3f)의 연신 전방의 측부(도 12에 있어서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버팀 부재(40B)는, 버팀 롤러(41B)와, 롤러축(42B)을 포함한다. 롤러축(42B)이, 프레임판(25a)에 있어서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 가까이의 측부로부터 연신 전방(도 12에 있어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롤러축(42B)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으로 향해져 있다. 롤러축(42B)의 선단부에 버팀 롤러(41B)가 설치되어 있다. 버팀 롤러(41B)는, 롤러축(42B)과 직교하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축(42B)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버팀 롤러(41B)의 약반부(約半部)가, 장치 프레임(3f)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관내외 방향(VD)에 있어서의 관외측)으로 돌출되고, 추가로 선행 관부(91)보다 연신 전방(도 12에 있어서 좌측)의 기설관(1)의 내주면에 접해 버티고 있다. 이에 의해, 장치 프레임(3f)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B) 전체가, 연신 전방(도 12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내주측(도 12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로 인해, 선행 관부(91) 및 후속 띠부(92)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B)와 걸림결합하는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굽힘 변형되고,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내주측(관내측, 도 12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된다. 이 결과, 나선관(9)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축경 제관 시에 있어서, 기설관(1)의 관 정상 부근 등에서는, 버팀 롤러(41B)가 기설관(1)으로부터 이격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설관(1)의 적어도 관 바닥 부근에서는, 중력에 의해 버팀 롤러(41B)를 기설관(1)의 내주면에 부딪혀서 축경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기설관(1)은, 나선관(9)을 둘러싸는 외주 규제체를 구성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제관 장치(3B)를 경사지게 하여 나선관(9)을 확경축경 제관할 수 있다.
확경용 버팀 부재(40A) 및 축경용 버팀 부재(40B)는, 각각 제관 장치(3B)에 대하여 탈착 가능해도 된다. 확경 제관 시에는 확경용 버팀 부재(40A)를 설치하고, 축경 제관 시에는 축경용 버팀 부재(40B)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확경용 버팀 부재(40A) 및 축경용 버팀 부재(40B)가 모두 제관 장치(3B)에 상시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확경 제관 시에는, 축경용 버팀 부재(40B)가 기설관(1)에 닿지 않도록 퇴피 가능하고, 축경 제관 시에는, 확경용 버팀 부재(40A)가 선행 관부(91)에 닿지 않도록 퇴피 가능해도 된다.
버팀 부재(40)는, 롤러에 한정되지 않고, 버팀 막대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관 장치(3, 3B) 전체의 폭 방향(WD)이 관축(L9)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 감합 위치(9q)를 높이 조정하고 있었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관 장치에,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와의 관단 걸림결합부를 설치하고, 해당 관단 걸림결합부를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높이 조정함으로써, 감합 위치(9q)를 높이 조정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C)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C)는,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50)는, 관단 내주 가이드(22)와 접속되어 있다.
제관 장치(3C)에 있어서는,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관단 걸림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50)가, 높이 조정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50) 및 관단 내주 가이드(22)에 의해,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50)는, 조정 볼트(51, 51)와,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을 포함한다.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이, 관단 내주 가이드(22)에 있어서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에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수용되어 있다. 관단 내주 가이드(22)의 축부가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f)의 프레임판(25a, 25b)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25d)에는, 2개(복수)의 조정 볼트(51, 51)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조정 볼트(51, 51)는, 제관 장치(3C)의 장치 폭 방향(WD)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 조정 볼트(51, 51)의 선단부(도 13에 있어서 하단부)가,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에 부딪치거나, 또는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조정 볼트(51, 51)를 비틀어 넣는 양을 서로 조절함으로써, 내주 가이드 프레임(52)을 통하여, 관단 내주 가이드(22)의 축선이 장치 폭 방향(WD)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각도 조정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정에 의해, 예를 들어 관단 내주 가이드(22)를,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연신 전방(도 13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외주측(도 13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이면,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에 있어서의 관단 내주 가이드(22)와 맞닿아진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으로 굽힘 변형된다. 이로 인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13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된다. 이 결과,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조정 볼트(51, 51)에 의해 관단 내주 가이드(22)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나선관(9)의 확경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관단 내주 가이드(22)와 감합 위치(9q)는, 제관 장치(3C)의 추진 전후 방향(LD)(도 13의 지면 직교 방향)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관단 내주 가이드(22)에서의 상기 굽힘 변형이 감합 위치(9q)에도 달함으로써, 감합 위치(9q)가 높이 조정(관내외 방향(VD)으로 변위)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도 14에 도시하는 것처럼, 나선관(9)의 확경 정도를 일정하게 하여 제관하는 경우에는, 관단 내주 가이드(22C)를 테이퍼 형상으로 해도 된다.
테이퍼 형상의 관단 내주 가이드(22C)는,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을 구성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D)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D)에 있어서는, 감합 위치(9q)보다 추진 전방의 누름 부재(21d)에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것처럼, 확경 제관하는 경우의 누름 부재(21d)에 있어서는,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를 향하는 면의 연신 전방측(도 15에 있어서 좌측)의 부분에, 경사면부(21e)(감합 높이 조정 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21e)는,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측(도 15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고 있다.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에 눌러져, 경사면부(21e)를 따라 굽힘 변형됨으로써,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도 15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15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 제관하는 경우의 누름 부재(21d)에 있어서는,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를 향하는 면의 연신 후방측(도 16에 있어서 우측)의 부분에, 경사면부(21g)(감합 높이 조정 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21g)는, 연신 후방을 향하여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측(도 16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외주 가이드 플레이트(21b)에 눌러져, 경사면부(21g)를 따라 굽힘 변형됨으로써, 나선관(9)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누름 부재(21d)와 감합 위치(9q)는, 추진 전후 방향(LD)(도 15 및 도 16의 지면 직교 방향)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확경, 축경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누름 부재(21d)에서의 상기 굽힘 변형이 감합 위치(9q)에 달함으로써, 감합 위치(9q)가 높이 조정(관내외 방향(VD)으로 변위)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E)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E)에 있어서는, 전방측 관단 가이드(21)와 관단 외주 가이드(23) 사이에,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은, 감합 위치(9q)보다도 추진 전방(도 17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은, 승강 로드(61)(승강 부재)와, 승강 기구(62)(높이 조정 기구)와, 걸림 부재(63, 64)(관단 걸림결합부)를 포함한다. 승강 로드(61)는, 축선이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향하고, 중간 프레임판(25b)에 내장되어 있다. 승강 기구(62)에 의해, 승강 로드(61)가, 장치 높이 방향(HD) 나아가서는 관내외 방향(VD)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 기구(62)는, 파워 실린더 등의 직동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승강 로드(61)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또한 승강 기구(62)가,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승강 로드(61)에 한 쌍의 걸림 부재(63, 64)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부재(63, 64)는, 승강 로드(6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걸림 부재(63, 64)가, 서로 평행하게 승강 로드(61)로부터 연신 후방(도 18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의 걸림 부재(63)는,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내주측(도 18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측의 걸림 부재(64)는, 연신 단부(91e)의 외주측(도 18에 있어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 부재(63, 64)끼리의 사이에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끼워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걸림 부재(63, 64)가, 연신 단부(91e)에 걸려 있다(걸림결합 되어 있다).
정상부측의 걸림 부재(63)는, 기부측의 걸림 부재(64)보다 짧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62)에 의해 승강 로드(61)를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도 18에 있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걸림 부재(63)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를 외주측(도 18에 있어서 하측)으로 눌러 움직이게 한다. 이로 인해, 연신 단부(91e)가 연신 전방(도 18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외주측(도 18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18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62)에 의해 승강 로드(61)를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19에 있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걸림 부재(64)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를 내주측(도 19에 있어서 상측)으로 눌러 움직이게 한다. 이로 인해, 연신 단부(91e)가 연신 전방(도 18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내주측(도 18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내주측(관내측, 도 18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E)에 있어서는, 감합 위치(9q)의 추진 전방에서,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에 의한 연신 단부(91e)의 상기 굽힘 변형이 행해진다.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과 감합 위치(9q)가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감합 높이 조정 수단(60)에서의 상기 굽힘 변형이 감합 위치(9q)에도 달하여, 감합 위치(9q)가 높이 조정(관내외 방향(VD)으로 변위)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F)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F)에 있어서는, 추진 전후 방향(LD)(도 20의 좌우)에 있어서의 관단 외주 가이드(23)와 동일 위치에, 감합 높이 조정 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 높이 조정 수단(70)은, 승강 기구(72)(높이 조정 기구)와, 걸림 부재(73, 74)(관단 걸림결합부)를 포함한다. 승강 기구(72)는, 볼트나 직동 기구를 포함하고, 프레임판(25a)에 내장되어 있다. 승강 기구(72)에 걸림 부재(73, 74)가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주측 걸림 부재(73)와 외주측 걸림 부재(74)는, 서로 독립하여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승강 가능하다.
걸림 부재(73, 74)끼리의 사이에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끼워져 있다. 걸림 부재(73, 74)가, 연신 단부(91e)에 걸려 있다(걸림결합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내주측 걸림 부재(73)는, 걸림 롤러(73a)와, 축부(73b)를 포함하고, 연신 단부(91e)의 내주측(도 21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73b)가, 프레임판(25a)으로부터 연신 후방(도 21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73b)의 선단부에 걸림 롤러(73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걸림 롤러(73a)는, 감합 위치(9q)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롤러(73a)의 폭은, 띠 형상 부재(90)의 폭보다 충분히 작고, 제1 감합부(93)의 폭과 동일 정도이다.
외주측 걸림 부재(7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신 단부(91e)의 외주측(도 21에 있어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측 걸림 부재(74)는, 프레임판(25a)으로부터 연신 후방(도 21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주측 걸림 부재(74)의 돌출 길이(도 2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치수)는, 축부(73b)의 축 길이보다 짧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72)에 의해 걸림 부재(73, 74)를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도 21에 있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내주측 걸림 부재(73)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를 외주측(도 21에 있어서 하측)으로 누른다. 또한, 관단 외주 가이드(23)의 걸림 볼록부(23f)가 연신 단부(91e)보다 일주 선행하는 부분에 걸린다. 이에 의해,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부분보다 연신 전방(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외주측(도 21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21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72)에 의해 걸림 부재(73, 74)를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22에 있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외주측 걸림 부재(74)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를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걸림 볼록부(23f)보다 연신 전방(도 22에 있어서 좌측)의 부분이, 연신 전방을 향하여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내주측(관내측, 도 22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경, 축경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감합 위치(9q)의 추진 후방(도 20에 있어서 우측)에 있어서, 연신 단부(91e)의 상기 굽힘 변형이 행해진다. 감합 높이 조정 수단(70)과 감합 위치(9q)가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굽힘 변형이 감합 위치(9q)에 달하고, 감합 위치(9q)가 관내외 방향(VD)으로 변위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G)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G)에 있어서는, 감합 위치(9q)에 감합 높이 조정 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감합 높이 조정 수단(80)은, 고정 블록(81)과, 가동 블록(83)을 포함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블록(81)은, U자형 또는 C자형(역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 블록(81)의 내부에 가동 블록(83)(관단 걸림결합부)이 수용되어 있다. 가동 블록(83)은, 고정 블록(81)보다도 소형이고, 또한 U자형 또는 C자형(역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블록(83)은, 고정 블록(81)에 대하여 제관 장치(3G)의 장치 높이 방향(HD)(도 24에 있어서 상하)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볼트나 직동 가이드 등을 포함하는 승강 기구(82)(높이 조정 기구)에 의해, 가동 블록(83)이 고정 블록(81) 나아가서는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장치 높이 방향(HD)에 위치 조정된다.
가동 블록(83)의 상편부(83a)에는, 관단 내주 롤러(84)(관단 내주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블록(83)의 바닥편부(83b)(관단 외주 가이드)에는, 걸림 볼록부(83f, 83g)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블록(81)의 상편부(81a)는, 승강 기구(82)보다도 연신 후방측(도 24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해당 돌출 부분에 선행 내주 롤러(8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블록(81)의 바닥편부(81b)는, 승강 기구(82)보다도 연신 후방측(도 24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해당 돌출 부분에 선행 외주 걸림부(86)가 설치되어 있다. 선행 외주 걸림부(86)는, 복수의 걸림 볼록부(86f)를 갖고 있다.
고정 블록(81)의 상편부(81a)와 바닥편부(81b)끼리의 사이, 및 가동 블록(83)의 상편부(83a)와 바닥편부(83b)끼리의 사이에, 선행 관부(91)가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관단 내주 롤러(84)가,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의 내주면에 접하는 동시에, 감합 위치(9q)에 있어서의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 사이에 걸쳐 있다.
걸림 볼록부(83f, 83g)가, 연신 단부(91e)의 홈(95b)에 걸려 있다(걸림결합 되어 있다).
또한, 선행 내주 롤러(85)가,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연신 단부(91e)보다 1 내지 수 피치 선행하는 부분(91b)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걸림 볼록부(86f)가,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1 내지 수 피치 선행하는 부분(91b)의 홈(95b)에 걸려 있다(걸림결합 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띠 형상 부재(90G)는, 염화비닐로 만든 띠본체(90a)와는 별체의 강으로 만든 보강 띠재(96)를 갖고 있다. 보강 띠재(96)가 띠본체(90a)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90G)에 있어서의 제1 감합부(93)측의 단부에는, 보조 감합편(97)(서브록)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감합편(97)은, 리브(95)와 걸린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G)에 있어서, 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82)에 의해 가동 블록(83)을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도 25에 있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블록(83) 내의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외주측(도 25에 있어서 하측)으로 변위된다. 한편, 선행 내주 롤러(85)와 선행 외주 걸림부(86) 사이의 선행 부분(91b)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 인해, 연신 단부(91e)와 선행 부분(91b) 사이의 부분이, 연신 단부(91e)를 향하여 외주측(도 25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25에 있어서 하측)으로 어긋나,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G)에 있어서, 축경 제관할 때는, 승강 기구(82)에 의해 가동 블록(83)을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26에 있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블록(83) 내의 선행 관부(91)의 연신 단부(91e)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내주측(도 26에 있어서 상측)으로 변위된다. 한편, 선행 내주 롤러(85)와 선행 외주 걸림부(86) 사이의 선행 부분(91b)은,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 인해, 연신 단부(91e)와 선행 부분(91b) 사이의 부분이, 연신 단부(91e)를 향하여 내주측(도 26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도록 굽힘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내주측(관내측, 도 26에 있어서 상측)으로 어긋나,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제관 장치(3H)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H)에 있어서는, 관단 가이드 유닛(20)에 있어서의 관단 내주 가이드(22)와 관단 외주 가이드(23)의 위치 관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22, 23)에 의해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경 제관 시에는,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관단 외주 가이드(23)보다도 추진 후방(도 28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에 있어서,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관단 외주 가이드(23)의 걸림 볼록부(23f)(띠 형상 부재(90)와의 걸림부)의 정상부(상단)보다도 기부측(도 28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단 외주 가이드(23)보다도 추진 후방에 있어서의 연신 단부(91e)가, 연신 전방(도 29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외주측(도 29에 있어서 하측)으로 기울어진다. 이 변형이 감합 위치(9q)에 달하고, 감합 위치(9q)가, 1피치 선행 위치(9p)보다도 외주측(관외측, 도 29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어, 나선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경 제관 시에는,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관단 외주 가이드(23)보다도 추진 전방(도 30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에 있어서, 관단 내주 가이드(22)가, 관단 외주 가이드(23)의 걸림 볼록부(23f)(띠 형상 부재(90)와의 걸림부)의 정상부(상단)보다도 기부측(도 30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단 외주 가이드(23)보다도 추진 후방에 있어서의 연신 단부(91e)가, 연신 전방(도 31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내주측(도 31에 있어서 상측)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의해, 나선관(9)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 개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조작 레버(30)를, 다른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B 내지 3H)에도 설치해도 된다.
감합 위치(9q)가, 선행 관부(91)에 있어서의 수 피치 선행하는 위치에 대하여 관내외 방향(VD)으로 어긋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구동부(10)의 구동 롤러(11, 11)를, 장치 프레임(3f)에 대하여 추진 전후 방향(LD) 및/또는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위치 조절함으로써, 구동부(10)로부터 나온 후속 띠부(92)의 감합 위치(9q)로의 반송 각도를 조정해도 된다. 반송 각도를 깊게 하면, 확경할 수 있다. 반송 각도를 얕게 하면, 축경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도 23 내지 도 27)에 있어서도, 그 이외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띠 형상 부재(90)를 사용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이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7 실시 형태와 동일한 띠 형상 부재(90G)를 사용해도 된다.
띠 형상 부재(90, 90G)의 제1 감합부(93) 또는 제2 감합부(94)가, 띠 형상 부재(90, 90G)의 본체와 별체여도 된다. 제관 전에 상기 본체와 감합부(93, 94)를 결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ED: 연신 방향
VD: 관내외 방향
LD: 추진 전후 방향
WD: 장치 폭 방향
HD: 장치 높이 방향
L9: 관축
1: 기설관(외주 규제체)
3, 3B 내지 3H: 제관 장치
3a: 제관부
3f: 장치 프레임
9: 갱생관(나선관)
9q: 감합 위치
9p: 1피치 선행 위치
90, 90G: 띠 형상 부재
91: 선행 관부
91e: 연신 단부
92: 후속 띠부
93: 제1 감합부
94: 제2 감합부
10: 구동 유닛(구동부)
21: 전방측 관단 가이드
21a: 외주 가이드부(관단 외주 가이드)
21d: 누름 부재(관단 내주 가이드)
21e: 경사면부(감합 높이 조정 수단)
21g: 경사면부(감합 높이 조정 수단)
21h: 볼트(누름력 조절부)
23: 관단 외주 가이드
23f: 걸림 볼록부
22: 관단 내주 가이드
30: 조작 레버(감합 높이 조정 수단)
40: 버팀 부재(감합 높이 조정 수단)
50: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높이 조정 기구)
60: 감합 높이 조정 수단
62: 승강 기구(높이 조정 기구)
63: 내주측 걸림 부재(관단 걸림결합부)
64: 외주측 걸림 부재(관단 걸림결합부)
70: 감합 높이 조정 수단
72: 승강 기구(높이 조정 기구)
73: 내주측 걸림 부재(관단 걸림결합부)
74: 외주측 걸림 부재(관단 걸림결합부)
80: 감합 높이 조정 수단
82: 승강 기구(높이 조정 기구)
83: 가동 블록(관단 걸림결합부)
83b: 바닥편부(관단 외주 가이드)
84: 관단 내주 롤러(관단 내주 가이드)

Claims (16)

  1. 띠 형상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나선관을 제관함과 함께 상기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추진되는 제관 장치이며,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둘레 방향 일부에 배치된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의 테두리를, 상기 선행 관부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와 감합시키는 제관부와,
    상기 감합이 이루어지는 감합 위치를,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나선관의 관내외 방향으로 가변 조정하는 감합 높이 조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연신 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상기 연신 단부의 단면을 내주측에서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나선관의 직경 또는 둘레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제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이, 상기 나선관 관축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폭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나선관을 둘러싸는 외주 규제체의 내주면 또는 상기 선행 관부의 내주면에 접해 버티는 버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에 걸림결합되는 관단(管端) 걸림결합부와,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치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높이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연신 단부에 내주측으로부터 걸리는 내주측 걸림 부재와, 외주측으로부터 걸리는 외주측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의 근방 및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의 근방 및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걸림결합부가, 상기 감합 위치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관부가, 상기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비스듬히 압출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연신 단부를 가이드하는 관단 가이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감합 위치보다도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방의 가이드와, 상기 감합 위치보다도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후방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내주면에 접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관단 내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의 축선을, 상기 장치 프레임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하는 내주 가이드 각도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연신 단부를 내주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관단 내주 가이드와, 상기 연신 단부를 외주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관단 외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가, 상기 관단 외주 가이드의 띠 형상 부재와의 걸림부보다도 상기 관내외 방향의 관외측에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관단 외주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의 전후 어느 한쪽 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관단 내주 가이드 및 관단 외주 가이드에 의해 상기 감합 높이 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4. 띠 형상 부재로부터 나선관을 제관 장치에 의해 제관하는 제관 방법이며,
    상기 제관 장치의 제관부에 의해, 상기 띠 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 형상으로 제관된 선행 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의 테두리를, 상기 선행 관부의 일주 선행하는 대응 테두리와 감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합에 수반하여, 상기 제관 장치가 상기 나선 형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추진되는 공정과,
    상기 감합이 이루어지는 감합 위치를, 상기 제관 장치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나선관의 관내외 방향으로 가변 조정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선행 관부의 연신 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관 장치가 배치된 부분 이외의 부분이 상기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상기 연신 단부의 단면을 내주측에서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나선관의 직경 또는 둘레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제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제관 장치의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이 상기 나선관 관축에 대해 기울도록 각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관 장치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조작 레버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방법.
KR1020187031016A 2016-03-31 2017-03-30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KR102143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0641 2016-03-31
JP2016070641 2016-03-31
PCT/JP2017/013247 WO2017170866A1 (ja) 2016-03-31 2017-03-30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985A KR20180124985A (ko) 2018-11-21
KR102143404B1 true KR102143404B1 (ko) 2020-08-11

Family

ID=599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016A KR102143404B1 (ko) 2016-03-31 2017-03-30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15757B2 (ko)
EP (2) EP3437836B1 (ko)
JP (1) JP6637593B2 (ko)
KR (1) KR102143404B1 (ko)
AU (1) AU2017245017B2 (ko)
NZ (1) NZ747710A (ko)
WO (1) WO2017170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67B1 (ko) 2016-08-30 2020-08-12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JP6889039B2 (ja) * 2017-06-06 202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帯状部材
JP6927828B2 (ja) * 2017-09-27 2021-09-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JP1616663S (ko) 2018-02-27 2018-10-29
JP7352427B2 (ja) * 2019-09-26 2023-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7023473B1 (ja) * 2021-03-05 2022-02-22 日本ノーディッグ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補強材付きプロファイルの保持具及び更生管の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545A (ja) * 2003-08-15 2005-03-10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用ライニング施工装置及びそ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2013155863A (ja) 2012-02-01 2013-08-15 Kubota Koken:Kk 製管装置
JP2015112790A (ja) * 2013-12-11 2015-06-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JP2015200410A (ja) * 2014-03-31 2015-11-12 タキロン株式会社 内面材押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05061B2 (en) * 1994-08-25 1999-05-13 Adachi Kensetsu Kogyo Kabushiki Kaisha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lining a pipeline
AUPP610698A0 (en) 1998-09-22 1998-10-15 Rib Loc Australia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lining of conduits
JP3766059B2 (ja) * 2002-11-14 2006-04-12 足立建設工業株式会社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
KR100646802B1 (ko) 2005-09-16 2006-11-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보수용 패커
WO2008075681A1 (ja) 2006-12-18 2008-06-26 Sekisui Chemical Co., Ltd.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EP2460643B1 (en) * 2009-07-27 2020-06-03 Sekisui Chemical Co., Ltd. Pipe making machine and pipe making method
AU2016253716C1 (en) * 2015-04-28 2021-04-22 Sekisui Chemical Co., Ltd. Pipe-making apparatus and pipe-making method for spiral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545A (ja) * 2003-08-15 2005-03-10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用ライニング施工装置及びそ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2013155863A (ja) 2012-02-01 2013-08-15 Kubota Koken:Kk 製管装置
JP2015112790A (ja) * 2013-12-11 2015-06-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JP2015200410A (ja) * 2014-03-31 2015-11-12 タキロン株式会社 内面材押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7593B2 (ja) 2020-01-29
EP3725495A1 (en) 2020-10-21
AU2017245017A1 (en) 2018-11-15
WO2017170866A1 (ja) 2017-10-05
JPWO2017170866A1 (ja) 2019-02-07
NZ747710A (en) 2019-08-30
EP3437836A1 (en) 2019-02-06
EP3437836A4 (en) 2019-10-30
KR20180124985A (ko) 2018-11-21
EP3437836B1 (en) 2023-02-22
EP3725495B1 (en) 2023-10-11
US11015757B2 (en) 2021-05-25
US20190107240A1 (en) 2019-04-11
AU2017245017B2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404B1 (ko)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US10920918B2 (en) Pipe-making apparatus and pipe-making method for spiral pipe
JP6936115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4463166B2 (ja) 拡径方法及び布設替え工法
JP6927828B2 (ja)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JP5329370B2 (ja) 螺旋巻き製管装置
JP5778479B2 (ja) ライ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方法
JP7092518B2 (ja) 螺旋管の製管方法、製管装置、及び帯状部材
JP5372840B2 (ja) 螺旋巻き製管装置及びその製管方法
JP6832109B2 (ja) 螺旋管の製造方法及び製管装置
JP6200307B2 (ja) 製管装置
JP2018052009A (ja)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6267327B2 (ja) 製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製管方法
JP5778480B2 (ja) ライ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方法
JP7321078B2 (ja) 製管機
JP5891152B2 (ja) 更生管の製管装置
JP7449146B2 (ja) 製管装置
JP6927778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2007285099A (ja) パイプベンダー、パイプ敷設装置及びパイプ敷設工法
JP2009180343A (ja) 製管装置
JP4762868B2 (ja) セグメントの形状保持装置
JPH0579285A (ja) 小口径埋設管の推進工法および小口径埋設管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