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12B1 -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12B1
KR102140212B1 KR1020140014186A KR20140014186A KR102140212B1 KR 102140212 B1 KR102140212 B1 KR 102140212B1 KR 1020140014186 A KR1020140014186 A KR 1020140014186A KR 20140014186 A KR20140014186 A KR 20140014186A KR 102140212 B1 KR102140212 B1 KR 10214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opening
bus bar
refl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426A (ko
Inventor
정익재
배민철
이지호
최홍근
노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12B1/ko
Priority to EP14178826.5A priority patent/EP2905826B1/en
Priority to US14/459,103 priority patent/US9673438B2/en
Priority to CN201410840946.9A priority patent/CN104835934B/zh
Priority to JP2015019652A priority patent/JP6566544B2/ja
Publication of KR2015009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단자부에 용접되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개구부가 형성된 버스바, 및 상기 단자부 상에 위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사부에 의해 레이저가 반사되어 버스바와 단자부 간의 용접부가 견고하게 형성되는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출력 배터리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터리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대용량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을 채용하는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배터리모듈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기들의 외관이 다양해지면서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모듈의 형태도 다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배터리모듈은 기본적으로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바, 이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버스바를 통해 각 배터리셀을 연결할 때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각각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단자부 상에 위치되는 반사부, 및 상기 단자부에 용접되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가 반사한 상기 레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의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용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상기 개구부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개구부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개구부에 비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개구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버스바의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를 상기 경사면으로 반사시켜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으로 안내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버스바의 일부에 접촉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사부의 노출된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개구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는 상기 경사면에 반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내벽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상기 단자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부에 가해지는 레이저의 적어도 80%를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은, 알루미늄, 구리, 및 유리층과 상기 유리층에 코팅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거울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은, 각각 상면에 반사부가 위치된 복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버스바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가 만나는 지점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버스바와 단자부 간의 용접부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접부를 견고하게 할 수 있어 버스바의 연결에 따른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과 비교하기 위한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A-A'선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반사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은 복수의 배터리셀(110), 배터리셀(11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20), 및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에 위치하는 반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셀(110)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배터리셀(110)은 일면이 개구된 전지케이스와 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110)의 일면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0)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단자부(111), 즉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셀(110)의 안전수단으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로 작용하는 벤트부(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배터리셀(110)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직렬 연결시에는 인접한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정렬되고, 병렬 연결시에는 인접한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의 극성이 서로 같도록 정렬될 수 있다.
버스바(120)는 복수의 배터리셀(11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에 예를 들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버스바(120)와 단자부(111)는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버스바(120)와 단자부(111)가 결합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는 복수의 배터리셀(110) 중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 간을 연결하여 직렬 또는 병렬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는 단자부(111)에 용접될 수 있는데, 이때 용접에 이용되는 레이저가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버스바(120)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배터리셀(110)을 고정하거나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플레이트 등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과 비교하기 위한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A-A'선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반사부(13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의 반사부(1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바에는 용접을 위한 레이저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은 버스바(10) 구조의 경우 개구부(11)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버스바(10)와 단자부(20) 사이로 레이저를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용접부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바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도 4와 같은 구조의 버스바(30)를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구조와 같이 버스바(30)의 개구부(31)가 단차진 형상을 갖는 경우,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를 직접 개구부(31)의 내벽과 단자부(40) 사이, 즉 용접부(50)에 안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레이저를 경사지게 조사하더라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하지 않으려는 곳에 레이저가 닿아 용접부(50) 외의 버스바(30) 부분에 손상이 갈 수 있고, 이는 전기적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130)를 단자부(111) 상에 두어 레이저를 용접부(140)에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31)을 구비하며, 개구부(121)를 통해 인입된 레이저는 경사면(131)에 반사되어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사이, 즉 용접부(140)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21)는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단자부(111)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1 개구부(122), 및 제1 개구부(122)와 연통되되 상대적으로 단자부(111)에 인접 위치하고 제1 개구부(122)보다 직경이 큰 제2 개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30)는 제2 개구부(12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레이저를 반사시켜 제2 개구부(123)에 의해 정의되는 내벽과 단자부(111)가 만나는 지점으로 레이저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부(111)와 버스바(120)가 안정적으로 용접되면서도 용접부(14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는 않아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용접부(140)가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제1 개구부(122)가 제2 개구부(123)보다 작아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한편, 반사부(130)는 단자부(111) 상에 위치하되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개구부(121)를 통해 직진으로 바라보았을 때 반사부(130)가 보여야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레이저를 반사부(130)에 직접 맞출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122)의 연직 하방에 반사부(130)를 위치시킴으로써 레이저를 반사부(130)의 경사면에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반사부(130)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일부가 용융될 수도 있으며, 용융된 일부는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사이로 개재되어 용접부(140)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저로 용융되지 않는 물질로 반사부(1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용접부(140)가 용융되는 경우에는 반사부(130)의 형상이 초기와는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반사부(1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b)와 같이 반사부(130, 13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31)을 갖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130")의 단면은 곡면(132)을 갖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부(130)의 형상은 개구부(121)를 통해 인입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반사부(130)의 반사율은 예를 들어 80% 이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반사부(130)에 가해지는 레이저의 적어도 80%를 반사시킬 수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반사부(130)는 반사율이 높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및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울은 유리층과 유리층에 코팅된 금속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부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전기적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스바(120) 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스바(120b)를 고려해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버스바(120b)의 경우 개구부(121b)가 단자부(111)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용접부(140)가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는 않을 수 있어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b)와 단자부(111)를 용접하기 위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되어, 레이저의 적어도 일부가 버스바(120b)와 단자부(111)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20b)와 단자부(111) 간을 용접하는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c)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c)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c)은 배터리셀(110), 버스바(120), 및 반사부(130)를 포함하되, 버스바(120)의 내벽 및 단자부(111)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요철(113, 124)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부(130)가 포함되는 경우 레이저의 일부가 용접될 지점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경사면(131)의 각도 또는 레이저 조사 각도의 오류로 인하여 처음부터 용접될 지점으로 안내되는 레이저의 양이 충분치 않거나, 반사부(130)가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면서 경사면(131)의 각도가 바뀌어 용접될 지점으로 안내되는 레이저의 양이 점차 충분치 않게 될 수 있다. 이때, 용접될 지점 주위에 난반사를 일으키게 되면 용접될 지점으로 안내되는 레이저의 양을 늘릴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난반사를 일으키기 위하여 버스바(120)의 개구부(121) 내벽 및/또는 단자부(111)의 상면에 요철(113, 124)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바(120)의 제2 개구부(123)의 내벽과 단차면(125)에 요철(124)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반사부(130)가 위치된 지점을 제외한 단자부(111)의 상면에 요철(1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가 용접될 지점으로 정확하게 안내되지 않더라도 제2 개구부(123)의 내측 공간에서 난반사되면서 용접부(140)로 점차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공정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용접부(140)를 견고하게 하여 버스바(120) 연결에 따른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d)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d)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d)은 배터리셀(110), 버스바(120), 및 반사부(130d)를 포함하되, 반사부(130d)의 적어도 일부 외측면이 제2 개구부(123)에 인접한 버스바(120)에 맞닿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130d)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31)을 포함하여 개구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를 경사면(131)으로 반사시켜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간으로 안내하는 제1 반사부(133), 및 제1 반사부(133)와 단자부(111) 사이에 위치하여 외측면이 제2 개구부(123)에 인접한 버스바(120)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제2 반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스바(120)를 설치할 때 제2 반사부(134)의 외측면에 제2 개구부(123)에 인접한 버스바(120)의 내벽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버스바(120)의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사이의 공간, 즉 용접될 지점과 실질적으로 맞닿아 있는 제2 반사부(134)의 일부가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면서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사이로 스며들어 용접부(140)의 일부가 될 수 있는바, 용접부(140)가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어 버스바(120)의 연결에 따른 전기적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난반사를 일으키기 위하여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123)의 내벽 및 단차면(125)에 요철(124)을 형성할 수도 있고, 난반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2 반사부(134)의 상면에 요철(13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반사부(134)의 상면에 요철(135)을 형성하는 경우 제1 반사부(133)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2 반사부(134)의 상면에 요철(135)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복수의 배터리셀(110)을 준비할 수 있다(S110). 이때 배터리셀(110)은 정렬된 상태로 준비할 수 있으며, 각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1) 상면에는 반사부(130)가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복수의 배터리셀(11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20)를 단자부(111)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S120). 이때, 직렬 연결, 병렬 연결에 따라 버스바(120)를 배치할 수 있고, 버스바(120)에는 반사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버스바(120)와 단자부(111) 간을 용접할 수 있다(S130). 이때, 버스바(120)의 개구부(121)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직진성의 레이저가 반사부(130)에 반사될 수 있도록 하며,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가 버스바(120)와 단자부(111)가 만나는 지점으로 안내되어 버스바(120)가 단자부(111)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배터리모듈이 제조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요철을 부가하거나 반사부의 형상을 달리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배터리셀 111 : 단자부
113, 124, 135 : 요철 120, 120b : 버스바
121, 121b : 개구부 122 : 제1 개구부
123 : 제2 개구부 130, 130', 130", 130d : 반사부
131 : 경사면 133 : 제1 반사부
134 : 제2 반사부 140 : 용접부

Claims (21)

  1. 각각 단자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단자부 상에 위치되는 반사부; 및
    상기 단자부에 용접되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버스바;
    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가 반사한 상기 레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의 사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용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상기 개구부는 단차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개구부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개구부에 비하여 직경이 크고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개구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버스바의 일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를 상기 경사면으로 반사시켜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으로 안내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버스바의 일부에 접촉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의 노출된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개구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는 상기 경사면에 반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내벽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노출된 상기 단자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부에 가해지는 레이저의 적어도 80%를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은, 알루미늄, 구리, 및 유리층과 상기 유리층에 코팅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거울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9. 각각 상면에 반사부가 위치된 복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버스바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 간을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부가 만나는 지점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40014186A 2014-02-07 2014-02-07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14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86A KR102140212B1 (ko) 2014-02-07 2014-02-07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14178826.5A EP2905826B1 (en) 2014-02-07 2014-07-28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459,103 US9673438B2 (en) 2014-02-07 2014-08-13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410840946.9A CN104835934B (zh) 2014-02-07 2014-12-30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JP2015019652A JP6566544B2 (ja) 2014-02-07 2015-02-03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86A KR102140212B1 (ko) 2014-02-07 2014-02-07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26A KR20150093426A (ko) 2015-08-18
KR102140212B1 true KR102140212B1 (ko) 2020-07-31

Family

ID=5129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186A KR102140212B1 (ko) 2014-02-07 2014-02-07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3438B2 (ko)
EP (1) EP2905826B1 (ko)
JP (1) JP6566544B2 (ko)
KR (1) KR102140212B1 (ko)
CN (1) CN1048359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6478B1 (fr) * 2014-01-16 2017-09-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ccumulateur electrochimique avec boitier et borne de sortie en alliage d'aluminium, pack-batterie et procede de realisation associes
JP6635294B2 (ja) * 2015-12-15 2020-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及び蓄電モジュール
US11158911B2 (en) * 2016-05-31 2021-10-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battery stack body, and method for form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6907633B2 (ja) * 2017-03-27 2021-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部品およびモジュール部品の製造方法
US10158104B1 (en) * 2017-07-21 2018-12-18 Swift Engineering, Inc. Power cell casing
KR102423609B1 (ko) * 2017-09-29 2022-07-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KR102598811B1 (ko) 2018-03-06 2023-11-0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208127292U (zh) * 2018-03-15 2018-11-2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汇流排以及电池模组
DE102019001893A1 (de) * 2019-03-18 2019-11-14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ischen Verbindungen wenigstens zweier Batteriezellen für eine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eines Kraftwagens
EP4303997A1 (en) * 2021-03-01 2024-01-10 Vehicle Energy Japan Inc. Assembl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ssembled battery
DE102021122892A1 (de) * 2021-09-03 2023-03-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it einem Fenster zum Laserschweißen versehenes Halbfabrikat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und elektrisches Kontakt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378A1 (en) 2011-03-10 2013-12-26 Sanyo Electric Co., Ltd. Assembled battery and cell conn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786A (ja) * 1986-12-03 1988-06-13 Fuji Electric Co Ltd レ−ザ−溶接方法
JP5122857B2 (ja) * 2007-04-23 2013-01-16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接続方法
KR101250093B1 (ko) * 2009-05-15 2013-04-0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용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JP5657307B2 (ja) * 2010-08-20 2015-01-21 株式会社東芝 溶接方法、電池並びに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WO2012063381A1 (ja) 2010-11-08 2012-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電池モジュール溶接方法
KR101240453B1 (ko) 2010-11-12 2013-03-11 아이피지 포토닉스 코리아(주) 이차전지 전극의 용접 장치 및 방법
KR20130047506A (ko) 2011-10-31 2013-05-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레이저 용접장치
KR101649131B1 (ko) * 2012-04-12 2016-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부재를 갖는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378A1 (en) 2011-03-10 2013-12-26 Sanyo Electric Co., Ltd. Assembled battery and cell conn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6544B2 (ja) 2019-08-28
CN104835934A (zh) 2015-08-12
JP2015149282A (ja) 2015-08-20
US9673438B2 (en) 2017-06-06
EP2905826A1 (en) 2015-08-12
CN104835934B (zh) 2020-01-17
EP2905826B1 (en) 2017-03-01
US20150228957A1 (en) 2015-08-13
KR20150093426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212B1 (ko)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6806217B2 (ja) 二次電池
CN108321346B (zh) 电池模块
US9818989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382441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
CN108370017B (zh) 汇流条和蓄电模块
JP6089784B2 (ja) 角形二次電池
US20150004469A1 (en) Battery module
KR101038680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
KR102271377B1 (ko) 배터리 모듈
CN103378318A (zh) 装置箱体及装置箱体的制造方法
US9722218B2 (en) Welded structure in battery, forming method of the same, secondary battery cell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271383B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5742792B2 (ja) 電池
US20130344378A1 (en) Assembled battery and cell connection method
JP5480335B2 (ja) 角型電池及び角型電池の製造方法
KR2019010585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01591A (zh)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JP2019084540A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13051185A (ja) 組電池
JP2009087707A (ja) セル端子構造、セル端子間接続構造およびセル端子製造方法。
CN215310189U (zh) 模型车
JP5682781B2 (ja) バスバーとリード線との接続構造
US20220376351A1 (en) Power storage module
KR20230025339A (ko) 원통형 이차전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