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609B1 -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609B1
KR102423609B1 KR1020170127751A KR20170127751A KR102423609B1 KR 102423609 B1 KR102423609 B1 KR 102423609B1 KR 1020170127751 A KR1020170127751 A KR 1020170127751A KR 20170127751 A KR20170127751 A KR 20170127751A KR 102423609 B1 KR102423609 B1 KR 10242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bus ba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922A (ko
Inventor
임지훈
김관용
이태구
황재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609B1/ko
Priority to US16/139,905 priority patent/US11024871B2/en
Priority to CN201811156225.0A priority patent/CN109616606B/zh
Priority to DE102018123974.2A priority patent/DE102018123974A1/de
Publication of KR2019003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탭 연결을 위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탭 연결을 위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유해성분으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고자 무공해 자동차인 전기자동차가 주목을 받고 있다.
실질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해선 고 에너지 밀도, 고 출력 밀도, 긴 수명, 경량화 등의 고 성능을 갖춘 이차전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납 이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알칼리 이차전지, 금속-공기 이차전지, 연료 이차 전지 등이 개발 중이거나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이차전지로는 그 성능이 부족하므로 다수개의 이차전지를 직렬로 접속하여 수백 볼트 정도의 높은 전압이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하나하나의 이차전지는 보통 양극의 단자와 음극의 단자가 이차전지에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이차전지를 하나의 트레이에 넣고 일체화 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전지(이하 '배터리'라 한다)는 복수개의 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는 복수개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탭이 형성되며, 각각의 전극탭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Busbar)를 사용한다. 부스바는 전극탭과 전극탭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그의 일종으로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또는 스팟 용접이나, 볼트 또는 리벳 등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전극탭을 연결한다.
최근에는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무게가 증가되는 패스너를 사용한 연결 방법은 지양되고, 용접 방법 중에서도 시간이 절약되고 용접 품질이 우수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연결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레이저 용접은 용접 대상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한 쌍의 용접 대상 중 어느 하나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 대상이 맞닿는 부위를 서로 녹여 붙이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레이저 용접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측의 용접 대상의 두께가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는 측의 용접 대상의 두께보다 얇아야 용접품질이 우수하고, 반대의 경우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는 측의 용접 대상에 구멍이 생겨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에는 전극탭을 밴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부스바를 전극탭의 상측에 레이저 용접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용접 방법은 부스바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하기 때문에 부스바의 두께를 전극탭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경우 용접 품질이 저하되어 부스바의 두께를 얇게 구성해야 하나, 부스바의 두께가 얇아질 경우 고용량의 배터리 또는 오래 사용하는 배터리의 경우 적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탭 밴딩을 이용한 부스바 용접 방식을 적용하되, 부스바의 용접 부위는 두께를 얇게 하여 레이저 용접 품질을 높이고, 전체적인 부스바의 단면적은 유지되도록 하여 고용량 및 장시간 사용되는 배터리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이차전지와, 각각의 이차전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용접되는 전극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탭과 이웃하는 전극탭을 레이저 용접하기 위해 전극탭 연결부에 밀착 배치되는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는, 레이저 용접부에 함몰 형성되는 용접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는, 평균 두께가 상기 전극탭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용접홈이 형성된 부스바 측의 두께는 상기 전극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은, 하나의 부스바에 복수의 전극탭이 연결되며, 상기 용접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홈의 레이저 용접부는, 상기 전극탭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극탭이 돌출 형성된 파우치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전극탭 연결부는, 상기 전극탭과 이웃하는 전극탭이 서로 절곡되어 맞대어지며, 상기 전극탭이 이차전지의 상측에 돌출된 경우 상기 부스바는 상기 전극탭 연결부의 상측에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전극탭 연결부와 상기 부스바는, 상기 부스바의 상측에 배치된 레이저 조사기로 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홈은, 상기 전극탭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홈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부스바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스바는, 상기 용접홈과 이웃하여 함몰 형성되는, 방열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접홈은, 단면이 사각형, 또는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열홈은, 내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은 각각의 이차전지의 전극탭을 레이저 용접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함에 있어서, 부스바의 전체적인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용접부의 두께만 줄어들기 때문에 용접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고용량 배터리나, 장시간 사용되는 배터리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전극탭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통상의 이차전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전극탭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레이저 용접 비드가 형성된 용접홈의 단면도 (1줄 용접)
도 6은 레이저 용접 비드가 형성된 용접홈의 단면도 (2줄 용접)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평면도
도 9는 도 7의 AA'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B'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접홈 및 방열홈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평면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에 앞서 배터리 모듈의 기본 구성인 이차전지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이차전지(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는 전극 조립체(10)와,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2)와 케이스(2) 내부에 충전되는 비수 전해액(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 조립체(10)는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 적층되며, 분리막을 통해 분리 적층될 수 있다. 각각의 양극판과 음극판은 케이스(2)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13, 14)을 통해 전류를 전달하거나 전달받는다. 도면상에는 케이스(2)의 어느 한 측에 복수의 전극탭(13, 14)이 모두 배치된 이차전지(1)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전극탭(13, 14)이 케이스(2)의 대향 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하나의 이차전지는 그 성능이 부족하므로 다수개의 이차전지를 직렬로 접속하여 수백 볼트 정도의 높은 전압이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이 다수개의 이차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조립체를 배터리 모듈이라고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의 전극탭(120)을 레이저 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 개의 이차전지(110)를 복수 개 적층하고, 각각의 이차전지(110)에 구비된 전극탭(120)을 부스바(150)를 통해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부스바(150)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전극탭(120)을 밴딩하여 맞대기 한 후 전극탭 밴딩부(121)의 상측에 부스바(150)를 배치하고, 이를 레이저 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부스바(150)는 레이저 용접 품질 향상을 위해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용접홈(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150)의 평균 두께는 전극탭(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하여 고용량의 이차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접홈(151)이 형성된 부스바(150)의 두께는 전극탭(120)의 두께보다 얇게 또는 같게 구성하여 레이저 용접 품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용접홈(151)은 전극탭(120)의 용접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하여 부스바(150)의 평균 두께 감소를 최소화하였고, 용접홈(151) 부위를 통해 레이저 용접을 진행하도록 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켰다.
도 5에는, 1줄 용접 시 레이저 용접 비드(Bead)가 형성된 용접홈(15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2줄 용접 시 레이저 용접 비드(Bead)가 형성된 용접홈(15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줄 용접 시 용접홈(151)의 폭(w1)은 2mm~ 5mm 일 수 있다. 용접홈(151)의 폭이 2mm 미만 일 경우 용접으로 인한 비드(bead) 발생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용접 품질의 저하가 우려되며, 용접홈(151)의 폭이 5mm 를 초과할 경우 용접홈(151) 대비 부스바(150)의 단면적 증가 효과가 미약해지기 때문이다.
2줄 용접 시 용접홈(151)의 폭(w2)은 6mm ~ 8mm 일 수 있다. 2줄 용접의 경우 1줄 용접에 비례하여 폭이 증가 되지 않고 더 넓게 형성하는 이유는 2줄 용접 시 발생되는 비드와 비드 사이의 간격(iv)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150)의 세부 형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15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15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부스바(15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용접홈(151)의 폭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은 용접홈(151)의 길이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15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예로 부스바(150)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스바(150)는, 전도성 재질 일예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스바(150)는 복수의 용접홈(151)과 복수의 방열홈(152)을 포함한다.
용접홈(151)은 부스바(15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성되며, 전극탭(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탭(12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전극탭(120)이 돌출되는 이차전지(110)의 둘레부와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용접홈(151)은 부스바(150)의 일측에 배치된 이차전지(110)의 전극탭(120)과, 부스바(150)의 타측에 배치된 이차전지(110')의 전극탭(1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51)을 따라 형성되는 레이저 용접 비드(Bead)는, 전극탭(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극탭(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로 레이저 용접 비드(Bead)가 형성됨에 따라 용접 품질 향상은 물론 전극탭과 전극탭의 견고한 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접홈(151)은 용접부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부스바(15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부스바(150)의 평균 두께 감소를 최소화 하였다.
부스바(150)에는 용접홈(151) 외에도 용접홈(151)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방열홈(152)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홈(152)은 부스바(15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성되며, 용접홈(151)과 이웃하여 용접홈(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방열홈(152)은 부스바(150)의 상면 표면적을 넓혀 부스바(150)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홈(151) 및 방열홈(15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51)은 기본적으로 사각형태의 용접홈(151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스바(150)의 두께 감소를 줄이도록 사다리꼴 형태의 용접홈(151b)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위 용접홈(151b)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스바(150)의 두께 감소를 극단적으로 줄이도록 'V'자 형태의 용접홈(151c)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홈(152)은 표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요철부(15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15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스바(150)에 형성된 용접홈(151)의 평면 형상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51a)의 평면 형상은 양단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51b)의 평면 형상은 양단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51c)의 평면 형상은 양단이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형태의 용접홈은 사각 단면을 갖는 용접 홈에 비해 부스바(150)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배터리 모듈
110 : 이차전지
120 : 전극탭
150 : 부스바
151 : 용접홈
152 : 방열홈
Bead : 레이저 용접 비드

Claims (10)

  1. 복수의 이차전지와, 각각의 이차전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용접되는 전극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탭과 이웃하는 전극탭을 레이저 용접하기 위해 전극탭 연결부에 밀착 배치되는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탭은 이웃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탭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는 레이저 용접부에 함몰 형성되는 용접홈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홈이 형성된 부분의 부스바 두께는 상기 전극탭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게 형성되고, 용접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부스바 두께는 용접홈이 형성된 부분의 부스바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하나의 부스바에 복수의 전극탭이 연결되며, 상기 용접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홈은, 상기 전극탭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파우치 셀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연결부는, 상기 전극탭과 이웃하는 전극탭이 서로 절곡되어 맞대어지며,
    상기 전극탭이 이차전지의 상측에 돌출된 경우 상기 부스바는 상기 전극탭 연결부의 상측에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전극탭 연결부와 상기 부스바는, 상기 부스바의 상측에 배치된 레이저 조사기로 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홈은,
    상기 전극탭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홈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부스바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상기 용접홈과 이웃하여 함몰 형성되는, 방열홈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홈은,
    단면이 사각형, 또는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홈은,
    내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KR1020170127751A 2017-09-29 2017-09-29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KR10242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51A KR102423609B1 (ko) 2017-09-29 2017-09-29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US16/139,905 US11024871B2 (en) 2017-09-29 2018-09-24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CN201811156225.0A CN109616606B (zh) 2017-09-29 2018-09-26 二次电池的电池模块
DE102018123974.2A DE102018123974A1 (de) 2017-09-29 2018-09-27 BATTERIESCHWEIßNAHTMODUL FÜR SEKUNDÄRBATTERI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51A KR102423609B1 (ko) 2017-09-29 2017-09-29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22A KR20190037922A (ko) 2019-04-08
KR102423609B1 true KR102423609B1 (ko) 2022-07-21

Family

ID=6572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51A KR102423609B1 (ko) 2017-09-29 2017-09-29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4871B2 (ko)
KR (1) KR102423609B1 (ko)
CN (1) CN109616606B (ko)
DE (1) DE102018123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41B1 (ko) * 2018-06-12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각 방식 배터리
EP3736873A1 (de) * 2019-05-10 2020-11-11 Andreas Stihl AG & Co. KG Akkupack, bearb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kkupacks
CN111244376A (zh) * 2020-01-12 2020-06-05 泰州天科电源系统有限公司 软包锂电池串并联一体化连接方式
CN111872603A (zh) * 2020-07-08 2020-11-03 孙祺 一种串联电池极片焊接设备
KR20220046992A (ko) 2020-10-08 2022-04-15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실란트 필름, 이를 포함하는 셀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JP7459012B2 (ja) * 2021-04-23 2024-04-01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ラミネートセルの接続構造、組電池およびラミネートセルの接続方法
CN114388986A (zh) * 2022-01-21 2022-04-22 中能易电新能源技术有限公司 电池模组中的汇流排、激光焊接电池模组及激光焊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1896A (ja) *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及び蓄電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445B2 (ja) * 1999-05-18 2005-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KR100659856B1 (ko) * 2005-04-27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140449B1 (ko) * 2007-09-19 2012-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팩
US8257848B2 (en) * 2009-01-12 2012-09-04 A123 Systems, Inc. Safety venting mechanism with tearing tooth structure for batteries
CN103165837B (zh) 2011-12-16 2017-12-22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该蓄电装置中使用的汇流条
KR101298849B1 (ko) 2011-12-28 2013-08-23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20150031093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
JP2015099759A (ja) * 2013-11-20 2015-05-28 株式会社東芝 組電池用バスバーおよび組電池
KR102140212B1 (ko) * 2014-02-07 2020-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538B1 (ko) 2014-05-30 2021-02-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381777B1 (ko) * 2015-02-25 2022-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70002169A (ko) * 2015-06-29 2017-01-06 최대규 사용자 인증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패턴 정의 방법
KR101717115B1 (ko) 2015-08-17 2017-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조립체
KR20170021697A (ko) * 2015-08-18 2017-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버스바조립체
JP6579375B2 (ja) * 2015-10-23 2019-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検知端子及び検知端子の製造方法
US10532423B2 (en) * 2015-12-09 2020-01-14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1896A (ja) *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及び蓄電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16606B (zh) 2022-10-21
DE102018123974A1 (de) 2019-04-04
KR20190037922A (ko) 2019-04-08
US11024871B2 (en) 2021-06-01
CN109616606A (zh) 2019-04-12
US20190103624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609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KR101547814B1 (ko) 간접 공냉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865904B2 (en) Battery cell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EP3136497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water cooling structure
US2013023076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20060127754A1 (en) Battery pack
EP2535962A2 (en) Battery module having enhanced welding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1342632B2 (en) Battery module
KR102008740B1 (ko) 전지팩
EP379915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2055852B1 (ko)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147175B1 (ko) 이차전지
US20190006725A1 (en) Battery pack comprising member of edge cooling type
US11171371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tructure configured to block laser beam for welding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605859B2 (en) Battery modu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KR20130000750A (ko) 이종 접합 탭을 가지는 배터리
JP7210083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10892453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101653320B1 (ko) 낮은 저항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210202924A1 (en) Lithium-ion battery device for vehicle
KR10248073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398574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5242220B2 (ja) 組電池
KR102113156B1 (ko) 배터리 모듈
KR20200139417A (ko) 장폭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