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286B1 -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286B1
KR102134286B1 KR1020200023598A KR20200023598A KR102134286B1 KR 102134286 B1 KR102134286 B1 KR 102134286B1 KR 1020200023598 A KR1020200023598 A KR 1020200023598A KR 20200023598 A KR20200023598 A KR 20200023598A KR 102134286 B1 KR102134286 B1 KR 10213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ag
mixture
suppor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철
Original Assignee
석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철 filed Critical 석정철
Priority to KR102020002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286B1/ko
Priority to US17/800,541 priority patent/US11841100B2/en
Priority to JP2022576782A priority patent/JP7333678B2/ja
Priority to PCT/KR2021/000410 priority patent/WO20211727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16L3/24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7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e.g. by expanding, behind the flanges of a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C04B2111/00706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around pipelin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원재료의 비용이 감소하여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고정장치는 내부의 제1 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강슬래그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모서리들 일부는 상기 제1공간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PIPE SUPPORT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파이프들은 바닥에 볼트나 파일을 박아 지상이나 건물의 옥상에 고정시키는데 지상바닥이 모래, 자갈, 흙 등으로 볼트나 파일고정이 어려운 경우는 파이프 설치에 난해한 경우가 많으며, 석재, 콘크리트 아스팔트의 경우 보수 및 재시공 작업이 난해하며, 건물의 옥상의 방수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파이프들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고무나 고분자로 제작되는 경우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콘크리트로 제작된 제품은 양생기간(평균 28일 소요)이 매우 길어 생산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중금속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2793호는 슬라이드식 파이프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8820호는 파이프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제작비용 감소가 가능하면서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지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원재료의 비용이 감소하여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 고정장치는 내부의 제1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강슬래그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모서리들 일부는 상기 제1공간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강슬래그를 가공한 슬래그볼 및 고분자 소재의 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하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서로 이격된 하단부의 일부분들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는 각각의 일단은 상기 상단모서리들과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개구부를 지나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배치된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 각각과 밀착되며 서로 결합되는 클램프들을 구비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파이프 고정장치 제작방법은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슬래그볼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성형몰드에 주입하고 다지는 성형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건조하여 상기 지지부를 제작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슬래그볼 70~80 중량부, 세라믹 파우더 5~1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15 중량부 및 경화제 1~5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고정장치는 제철소에서 철강이 만들어지는 과정동안 배출되는 제강슬래그(Slag)로 제작된 슬래그볼(Precios Slag Ball: PS Ball)들과 제강슬래그들과 혼합되어 제강슬래그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활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장치는 제철소 고로에서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강슬래그를 원료로 제조되는 슬래그볼은 중금속이 발생되지 않고 친환경 복합수지와 혼합되어 생산성, 제작편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전도성이 없어 감전이나 스파크 발생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도 1의 파이프 고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1의 파이프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 도 1의 파이프 고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파이프들은 바닥에 볼트나 파일을 박아 지상이나 건물의 옥상에 고정시키는데 지상바닥이 모래, 자갈, 흙 등으로 볼트나 파일고정이 어려운 경우는 파이프 설치에 난해한 경우가 많으며, 석재, 콘크리트 아스팔트의 경우 보수 및 재시공 작업이 난해하며, 건물의 옥상의 방수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파이프들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고무나 고분자로 제작되는 경우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콘크리트로 제작된 제품은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파이프 고정장치(100)는 제철소에서 철강이 만들어지는 과정동안 배출되는 제강슬래그(Slag)들과 제강슬래그들과 혼합되어 제강슬래그들을 경화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활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장치(100)는 제철소 고로에서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도성이 낮은 제강슬래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전이나 스파크 발생 위험이 낮고, 제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장치(100)는 고정부(200), 지지부(400) 및 클램프부(600)를 포함한다.
고정부(200)는 내부의 제1 공간(205)이 외측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06)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206)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해당하는 고정부(200)의 상단모서리들의 일부는 제1 공간(205)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200)는 프레임(210) 및 스토퍼(220, 230)들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일측에 해당하는 제1 방향(1) 또는 타측에 해당하는 제2 방향(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파이프 채널(Pipe Channel)(찬넬)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제1 공간(205)은 제1 방향(1), 제2 방향(2) 및 개구부(206)를 향해 개방된다.
스토퍼(220)는 프레임(210)의 전방 상부에 해당하는 상단모서리의 일부분이 제1 공간(205)을 향해 절곡되어 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스토퍼(230)는 프레임(210)의 후방 상부에 해당하는 하단모서리의 일부분이 제1 공간(205)을 향해 절곡되어 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400)의 상단부는 고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되며, 제강슬래그로 제작된 슬래그볼(PS Ball) 및 고분자 수지(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으로 제조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지지부(400)는 제1 본체(410)를 포함한다.
제1 본체(410)의 상단부는 프레임(210)의 전면, 배면 및 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된다.
제1 본체(410)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PS Ball: Precious Slag Ball)과 고분자 수지(폴리우레탄)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된 몰드에 넣고 다진 후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상기 슬래그볼 77~82wt%, 규사 10~15wt% 및 폴리우레탄 수지 2~6wt%이고, 규사를 제외하고 상기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상기 슬래그볼 70~80wt%, 파우더(세라믹 또는 고분자 파우더) 5~15wt% 및 폴리우레탄 수지 5~15wt%, 경화제 1~5wt%, 기타첨가물 2~5wt%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파우더를 제외하고 상기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수동(자동)믹싱기의 내부에 상기 슬래그볼 및 파우더(세라믹 또는 고분자)를 넣고 믹싱하는 과정에서 미리 준비해둔 폴리우레탄 수지를 투입하고 5분 이상 충분하게 교반하에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의 색상은 컬러가 입혀진 상기 파우더를 상기 슬래그볼과 혼합하여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전동 또는 수동믹싱기에서 충분히 교반된 상기 혼합물은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성형몰드에 주입된 후 다져진다.
1차로 다져진 상기 혼합물의 상부에 고정부(200)를 배치하고 하부를 향해 고정부(200)를 이동시키면, 고정부(200)가 상기 혼합물에 삽입되고, 상기 혼합물은 고정부(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다시 하부를 향해 다져진다.
2차로 다져진 혼합물 및 고정부(200)는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 건조되면 고정부(200)가 다져진 혼합물과 접착되고, 상기 혼합물 및 고정부(200)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되며, 상기 혼합물은 지지부(400)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고정부(200)는 지지부(400)가 경화되면서 지지부(400)의 접착력에 의해 지지부(400)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고정부(200) 및 지지부(400)를 연결하는 별도의 결합구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성형몰드에서 건조되어 제작되는 제1 본체(410)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 표면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공되고, 가공되면서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성 및 접착성을 가진 고분자로서, 상기 슬래그볼과 혼합되면 상기 슬래그볼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경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클램프부(600)의 하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부(200)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파이프(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파이프(10)를 고정부(2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하여 제작되는 상기 슬래그볼들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가공될 수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제1 단계는 일정 입도 범위를 가지도록 제강슬래그들을 체로 걸러서 균일한 입도의 제강슬래그를 세척한다.
제2 단계로서, 체로 걸러진 상기 제강슬래그는 벨트 콘베이어를 지나 드럼세척기로 이송되고, 물이 첨가되면서 드럼세척기 내부의 제강슬래그는 점성이 있는 슬러리 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제강슬래그는 상기 드럼세척기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제강슬래그를 압출 또는 파쇄시키는 크러셔장치로 이송되어 균일한 크기로 파쇄된 후 상기 벨트 콘베이어를 통해 상기 드럼세척기로 이송될 수 있다.
제3 단계로서, 물을 공급받으면서 습식 진동체로 이송되는 제강슬래그 슬러리는 분리된 미분들이 습식제거되고, 물기가 빠진 제강슬래그 입자는 건조로에 이송되어 건조된다.
상기 건조로에서 건조된 제강슬래그들은 건식 진동체를 통해 통과되면서 제강슬래그와 함께 잔류하는 작은 미분들이 제거되며, 이렇게 분리 제조된 제강슬래그로 가공된 슬래그볼은 저장탱크를 거쳐 포장된다.
상기 건조로에서 건조된 제강슬래그들로 가공된 슬래그볼들은 자력선별기를 통해 내부에 잔존하는 철분이 상기 자력선별기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자력선별기를 통한 상기 철분 제거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클램프부(600)는 제1 클램프(610) 및 제2 클램프(620)들을 포함한다.
제1 클램프(61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공간(205)에 삽입되고,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통해 스토퍼(220, 230)들 각각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스토퍼(220, 230)들과 결합된다.
제1 클램프(610)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개구부(206)를 지나 파이프(10)의 일측면을 둘러싸면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된다.
제2 클램프(62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공간(205)에 삽입되고,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통해 스토퍼(220, 230)들 각각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스토퍼(220, 230)들과 결합된다.
제2 클램프(620)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개구부(206)를 지나 파이프(10)의 타측면을 둘러싸면서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610, 620)들 각각의 타단은 파이프(10)의 상부에서 서로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볼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610, 620)들의 타단은 파이프(10)를 하부를 향해 압박하거나 느슨하게 한다.
제1 및 제2 클램프(610, 620)들 각각의 타단은 파이프(10)의 상부에서 서로 볼트를 통해 결합되면, 제1 및 제2 클램프(610, 620)들 각각의 일단은 스토퍼(220, 230)들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스토퍼(220, 230)들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610, 620)들 각각의 일단은 스토퍼(220, 230)들을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한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파이프 고정장치(100)는 제철소에서 발생되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을 이용하여 제작하므로 경제성이 개선되고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에서 제작되어 외부 온도변화의 영향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장치(100)는 물 또는 습기의 영향이 낮고 기존의 콘크리트, 고무 또는 고분자 제품과 비교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20)는 지지부(500)를 제외하면, 도 1 및 2들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장치(120)는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지지부(500)의 하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서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고정부(200)의 저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00)는 제2 본체(510)를 포함하고, 제2 본체(510)는 프레임(511), 돌출부(512, 513)들 및 보강유닛(514)을 포함한다.
제2 본체(510)의 하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서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고정부(200)의 저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본체(510)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들과 폴리우레탄 수지가 서로 혼합되고, 성형몰드에 주입된 후 경화되면서 제작되며, 성형몰드의 내부에서 섭씨 5도 이상의 온도로 24시간동안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511)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바닥과 밀착되어 지지부(500)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부(200) 및 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돌출부(512)의 하단부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511)의 제1 방향(1)쪽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피라미드(사각뿔)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고정부(200)의 저면에 결합된다.
돌출부(513)의 하단부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511)의 제2 방향(2)쪽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사각뿔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고정부(200)의 저면에 결합된다.
보강유닛(514)은 돌출부(512, 513)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프레임(511)의 상부면에서 상부를 향해 격벽 형태로 돌출되어 프레임(51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보강유닛(514)의 중앙부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테두리가 프레임(511)에 결합되고, 외측부는 중앙부에서 격벽 형태로 프레임(511)의 코너들 각각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프레임(511)은 외력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프레임(511)의 중앙부의 변형을 야기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보강유닛(514)에 의해 폴딩되거나 변형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고정부(200)는 볼트(516)들 각각이 고정부(200)의 상부에서 고정부(200)를 관통하여 돌출부(512, 513)들 각각의 상단부를 향해 삽입되면서 고정부(200) 및 돌출부(512, 513)들 각각을 나사 결합시킨다.
따라서, 파이프 고정장치(120)는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내구성은 확보하면서 변형이 억제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부(200) 및 고정부(200)에 결합된 파이프(10)를 지지한다.
한편, 파이프 고정장치(120)의 고정부(200)에는 도 1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에 결합된 클램프부(600) 및 클램프부(600)를 통해 파이프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결합된 파이프(10)가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40)는 지지부(700)를 제외하면, 도 1 및 2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장치(140)는 지지부(700), 볼트(800)들 및 지지판(820)을 포함한다.
파이프 고정장치(140)는 외부를 커버하는 고분자 케이스의 내부에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시키고 다져서 제작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개선되며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700)는 제3 본체(710), 제4 본체(720), 스페이서(730, 740, 750)들, 충진재(760, 770, 772, 774)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를 포함한다.
지지부(700)는 외부의 제3 본체(710)와 제3 본체(7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4 본체(720)들로 구성되고, 제3 본체(710)의 내부에 충진재(760, 770, 772, 774)들이 충진된다.
또한, 지지부(700)는 내부의 제4 본체(720)를 분리한 후 제3 본체(710)의 내부에 충진재(760, 770, 772, 774)들을 충진시켜 파이프 고정장치(140)로 활용 가능하고, 분리된 제4 본체(720)의 내부에 충진재(760)를 충진시켜 비상시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본체(710)는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이면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상부홈(701)이 형성된다.
제4 본체(720)는 제3 본체(71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이면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상부홈(702)이 형성된다.
제4 본체(720)가 제3 본체(710)의 제1 공간(7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 본체(710) 및 제4 본체(720)들 사이에는 제2 공간(721)이 형성되고, 제2 공간(721)에는 스페이서(730, 740, 750)들이 배치되어 제3 및 제4 본체(710, 720)들 사이의 형성된 제2 공간(721)을 유지시킨다.
스페이서(73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제4 본체(720)의 후방 하부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에 배치되며, 상부면은 제4 본체(720)의 저면에 밀착되고, 저면은 제3 본체(71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다.
스페이서(74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제4 본체(720)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에 배치되며, 상부면은 제4 본체(720)의 저면에 밀착되고, 저면은 제3 본체(71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다.
스페이서(75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제4 본체(720)의 상부홈(702)에 위치하는 제2 공간(721)에 배치되며, 상부면은 제3 본체(7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고, 저면은 제4 본체(72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스페이서(750)에는 스페이서(750)를 상하부로 관통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볼트홀들이 형성되고, 볼트(800)들 각각은 제3 본체(710)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볼트홀들을 따라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4 본체(720)를 관통한다.
따라서, 제4 본체(720)는 제3 본체(710), 스페이서(750) 및 제4 본체(720)들 각각을 관통하면서 제3 본체(710), 스페이서(750) 및 제4 본체(720)를 서로 결합시키는 볼트(800)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3 본체(7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충진재(760)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물로서, 제3 본체(710)의 내부에 충진되어 제3 본체(710)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제3 본체(710)의 내부에서 다져지면서 혼합되어 제3 본체(7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충진재(770)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물로서, 스페이서(730, 74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의 내부에서 충진되고 다져지면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충진재(772)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물로서, 스페이서(730, 75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의 내부에서 충진되고, 다져지면서 제2 공간(721)의 내부에서 제4 본체(720)의 전방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충진재(774)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물로서, 스페이서(740, 75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의 내부에서 충진되고, 다져지면서 제2 공간(721)의 내부에서 제4 본체(720)의 후방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들 각각은 커버프레임(782) 및 제1 내지 제4 삽입유닛(783, 784, 785, 786)들을 포함한다.
제1 커버(780)는 제3 본체(710)의 제2 방향(2)쪽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하여 제3 본체(710) 및 제4 본체(720)와 결합되고, 제3 본체(710) 및 제4 본체(7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공간(711)의 타측을 밀봉한다.
제2 커버(790)는 제3 본체(710)의 제1 방향(1)쪽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제3 본체(710) 및 제4 본체(720)와 결합되고, 제3 본체(710) 및 제4 본체(7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공간(711)의 일측을 밀봉한다.
커버프레임(782)은 등변사다리꼴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직사각형 형태로 함몰되어 상부홈(701)과 연결되는 커버상부홈이 형성된다.
커버프레임(782)의 테두리는 커버프레임(782)이 제3 본체(7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본체(710)의 테두리와 밀착되어 커버프레임(782)의 외측면 및 제3 본체(710)의 외측면은 서로 평면을 형성한다.
제1 삽입유닛(783)의 일단은 단면이 상부에 홈이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프레임(782)의 안쪽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프레임(782)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제1 공간(7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4 본체(7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삽입유닛(783)이 제4 본체(7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삽입유닛(783)의 외측면은 제4 본체(72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1 커버(78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충진재(770)를 압박한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커버(780, 790)들 각각에 형성된 제1 삽입유닛(783)들 각각은 충진재(760)를 압박하여 다진다.
제2 삽입유닛(784)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삽입유닛(783)의 중앙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프레임(782)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된다.
제1 커버(78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삽입유닛(784)은 스페이서(730, 74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에 삽입되고, 제2 삽입유닛(784)의 외측면은 스페이서(730, 740)들, 제3 본체(710)의 내측면 및 제4 본체(72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커버(780, 790)들 각각에 형성된 제2 삽입유닛(784)들 각각은 충진재(770)를 압박하여 다진다.
제3 삽입유닛(785)은 제1 커버(78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730, 75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의 일부에 삽입되고, 제2 공간(7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 삽입유닛(785)의 외측면은 제3 본체(710)의 내측면과 제4 본체(72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커버(780, 790)들 각각에 형성된 제3 삽입유닛(785)들 각각은 제2 공간(721)에 충진된 충진재(772)를 압박하여 다진다.
제4 삽입유닛(786)은 제1 커버(78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740, 750)들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721)의 일부에 삽입되고, 제2 공간(7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4 삽입유닛(786)의 외측면은 제3 본체(710)의 내측면과 제4 본체(72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1 커버(780) 및 제2 커버(790)가 제3 본체(7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커버(780, 790)들 각각에 형성된 제4 삽입유닛(786)들 각각은 제2 공간(721)에 충진된 충진재(774)를 압박하여 다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버(780, 790)들 각각이 제3 본체(7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결합되면, 제1 내지 제4 삽입유닛(783, 784, 785, 786)들 각각은 충진재(760, 770. 772, 774)들 각각을 압박하기 때문에 충진재(760, 770, 772, 774)들을 별도로 다지는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4 본체(720)는 볼트(800)들을 제4 본체(720)에서 분리시켜 제3 본체(710)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고, 외부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부(200)를 제4 본체(720)의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지지판(820)을 제4 본체(7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703)에 위치하는 상부면에 밀착시킨 후 볼트(800)들을 통해 고정부(200)를 제4 본체(7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판(820)의 상하부 두께는 제4 본체(720) 및 제3 본체(710)들이 지면에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제4 본체(720)의 상부홈에 해당하는 제4 본체(720)의 상부면의 수평선상 및 제3 본체(710)의 상부홈(701)에 위치하는 제3 본체(710)의 상부면의 수평선상 사이에 해당하는 거리로 제작된다.
지지판(820)을 통해 제4 본체(720)에 결합되는 고정부(200)의 높이는 제3 본체(7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20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지지판(820)을 사용하여 제4 본체(720)가 지지 가능한 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는 제3 및 제4 본체(710, 72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공간(711)에서 볼트(800)들을 통해 제4 본체(720)의 상부 내측면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고정부(200)의 휴대성 또는 운송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지지판(820)은 제3 및 제4 본체(710, 72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공간(711)에서 볼트(800)들을 통해 고정부(200)의 안쪽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지지판(820)의 휴대성 또는 운송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50)는 지지부(420)를 제외하면, 도 1 및 2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420)의 상단부는 고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하부공간(426)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지지부(420)는 제강슬래그로 제작된 슬래그볼(PS Ball) 및 고분자 수지(우레탄소재)로 제작된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슬래그볼, 규소를 포함하는 세라믹 입자 및 고분자 수지(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우레탄 접착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20)는 하부공간(426)을 통해 지지부(420)의 제작원가 및 중량이 감소하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420)는 제5 본체(425)를 포함한다.
제5 본체(425)의 상단부는 프레임(210)의 전면, 배면 및 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저면에서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강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된다.
제5 본체(425)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성형몰드에 넣고 다진 후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제작된다.
상기 성형몰드에서 건조되어 제작되는 제5 본체(425)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 표면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공되고, 가공되면서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성 및 접착성을 가진 고분자로서,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혼합되면 상기 슬래그볼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경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60)는 보조고정부(300) 및 지지부(430)를 제외하면, 도 1 및 2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 고정장치(160)는 보조고정부(300) 및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지지부(430)의 상단부는 고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공간(427)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지지부(430)는 제강슬래그로 제작된 슬래그볼(PS Ball)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제작되며, 슬래그볼, 규소를 포함하는 세라믹 입자 및 고분자 수지(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우레탄 접착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30)는 하부공간(427)을 통해 지지부(430)의 제작원가 및 중량이 감소하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430)는 제6 본체(435)를 포함한다.
제6 본체(435)의 상단부는 프레임(210)의 전면, 배면 및 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저면에서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강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된다.
제6 본체(435)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성형몰드에 넣고 다진 후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제작된다.
상기 성형몰드에서 건조되어 제작되는 제6 본체(435)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 표면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공되고, 가공되면서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성 및 접착성을 가진 고분자로서,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혼합되면 상기 슬래그볼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경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보조고정부(300)는 보조프레임(310), 스토퍼(320) 및 스토퍼(330)들을 포함한다.
보조고정부(300)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채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430)의 하부공간(427)에 삽입되고, 지지부(430)와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고정부(200)보다 상하부 두께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파이프(10)가 배치된 경우, 보조고정부(300)가 상부를 향하도록 지지부(430)를 회전시키고, 클램프부(600)를 보조고정부(300)에 결합시켜 파이프(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보조고정부(300) 안쪽의 하부공간(427)을 활용하여 직선으로 연장된 파이프(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60)들을 일렬로 편리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60)들 각각의 하부공간(427)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의 가이드 스틱을 삽입시켜 편리하게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60)들을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보조프레임(310)은 일측에 해당하는 제1 방향(1) 또는 타측에 해당하는 제2 방향(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파이프 채널(Pipe Channel)(찬넬)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은 제1 방향(1), 제2 방향(2) 및 하부를 향해 개방된다.
스토퍼(320)는 보조프레임(310)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모서리의 일부분이 하부공간(427)을 향해 절곡되어 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스토퍼(330)는 보조프레임(310)의 후방 하부에 해당하는 모서리의 일부분이 하부공간(427)을 향해 절곡되어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파이프 고정장치(160)를 제작하는 경우, 작업자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성형몰드에 서로 연결된 고정부(200) 및 보조고정부(300)를 삽입시킨 후 폴리우레탄 수지 및 슬래그볼이 혼합된 혼합물을 주입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00) 및 보조고정부(30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볼트(800)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성형몰드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70)는 보조고정부(350) 및 지지부(440)를 제외하면, 도 1 및 2의 파이프 고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 고정장치(170)는 보조고정부(350) 및 지지부(440)를 포함한다.
지지부(440)의 상단부는 고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의 하부공간(428)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지지부(440)는 제강슬래그로 제작된 슬래그볼(PS Ball)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제작된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슬래그볼, 규소를 포함하는 세라믹 입자 및 고분자 수지(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우레탄 접착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40)는 하부공간(428)을 통해 지지부(440)의 제작원가 및 중량이 감소하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440)는 제7 본체(445)를 포함한다.
제7 본체(445)의 상단부는 프레임(210)의 전면, 배면 및 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저면에서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강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된다.
제7 본체(445)는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성형몰드에 넣고 다진 후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제작된다.
상기 성형몰드에서 건조되어 제작되는 제7 본체(445)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 표면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공되고, 가공되면서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사용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성 및 접착성을 가진 고분자로서,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과 혼합되면 상기 슬래그볼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경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복합소재로 제작된다.
보조고정부(35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440)의 하부공간(428)에 삽입되고, 외측면은 지지부(44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폴리우레탄 수지와 결합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불필요하다.
작업자는 보조고정부(350) 안쪽의 하부공간(428)을 활용하여 직선으로 연장된 파이프(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70)들을 일렬로 편리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70)들 각각의 하부공간(428)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태의 봉을 삽입시켜 편리하게 복수의 파이프 고정장치(170)들을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우천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 보조고정부(350) 안쪽의 하부공간(428)을 통해 물이 흘러내리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지반 침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파이프 고정장치(170)를 제작하는 경우,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의 성형몰드의 내부에 상기 혼합물의 일부를 넣고 보조고정부(350)를 삽입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의 일부를 상기 성형몰드에 주입한다.
보조고정부(350)를 둘러싼 상기 혼합물을 다지고 다시 상기 혼합물을 성형몰드에 주입한 후 고정부(200)를 상기 성형몰드에 삽입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경화시키면 파이프 고정장치(17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액상 또는 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정석케미칼에서 판매 중인 KS F 4937 주차장 바닥용 표면 마감재 유니크리트 A액 회색 유광 AU-8551(동) [29462-8551] 제품(명칭: 유니크리트)을 사용하거나 상기 유니크리트에 칼라파우더를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파이프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장치(100)의 제작방법은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101), 상기 슬래그볼 및 수지의 혼합물을 성형몰드에 주입하고 다지는 성형단계(S102) 및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3)를 포함한다.
혼합단계(S101)에서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는 혼합장치를 통해 서로 혼합되어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은 소정의 시간동안 교반하여 상기 슬래그볼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1).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상기 슬래그볼 77~82wt%, 규사 10~15wt% 및 폴리우레탄 수지 3~13wt%이고, 규사를 제외하고 상기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단계 S101).
또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상기 슬래그볼 70~80wt%, 파우더(세라믹 또는 고분자 파우더) 5~15wt% 및 폴리우레탄 수지 5~15wt%, 경화제 1~5wt%, 기타첨가물 2~5wt%이고, 상기 파우더를 제외하고 상기 슬래그볼 및 폴리우레탄 수지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단계 S101).
한편,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부로 산출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슬래그볼 70~80 중량부, 세라믹 파우더 5~1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15 중량부 및 경화제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단계(S102)에서 상기 혼합물은 지지부(400)와 동일한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는 성형몰드에 주입되고, 상기 성형몰드에 주입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성형몰드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압착부를 통해 다져진다(단계 S102).
상기 혼합물이 다져지면 고정부(200)는 고정부(200)의 전면 배면 및 저면이 지지부(400)에 밀착되도록 지지부(40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혼합물이 경화되면, 상기 혼합물의 접착력에 의해 고정부(200)는 지지부(40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단계 S102).
건조단계(S103)에서는 상기 성형몰드에서 다져진 상기 혼합물은 상온(섭씨 5도 이상)에서 24시간동안 건조되면 경화되고, 경화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성형몰드에서 분리되어 지지부(400)로 사용된다(단계 S103).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50, 160, 170: 파이프 고정장치 200: 고정부
400, 500: 지지부 600: 클램프부

Claims (6)

  1. 내부의 제1 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성형몰드에 주입되고 다져진 후 상온에서 건조되며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모서리들 일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단모서리에 후크 형태로 결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며 서로 결합되는 클램프들을 통해 상기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및 타측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공간에 부착되는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서로 이격된 하단부의 일부분들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5.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제강슬래그를 재가공한 슬래그볼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슬래그볼 및 상기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성형몰드에 주입하고 다지는 성형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건조하여 상기 지지부를 제작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슬래그볼 70~80 중량부, 세라믹 파우더 5~1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15 중량부 및 경화제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제작방법.

















KR1020200023598A 2020-02-26 2020-02-26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KR102134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98A KR102134286B1 (ko) 2020-02-26 2020-02-26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US17/800,541 US11841100B2 (en) 2020-02-26 2021-01-12 Pipe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2576782A JP7333678B2 (ja) 2020-02-26 2021-01-12 パイプ固定装置及びこれを製作する製作方法
PCT/KR2021/000410 WO2021172741A1 (ko) 2020-02-26 2021-01-12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98A KR102134286B1 (ko) 2020-02-26 2020-02-26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286B1 true KR102134286B1 (ko) 2020-07-15

Family

ID=7160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98A KR102134286B1 (ko) 2020-02-26 2020-02-26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1100B2 (ko)
JP (1) JP7333678B2 (ko)
KR (1) KR102134286B1 (ko)
WO (1) WO20211727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550B1 (ko) * 2020-07-22 2020-12-15 석정철 텐트고정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72741A1 (ko) * 2020-02-26 2021-09-02 석정철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090U (ja) * 1994-04-13 1994-10-11 渡部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機器据付け並びに管路敷設に適する支持台
JPH0842761A (ja) * 1994-08-04 1996-02-16 Toyohiko Minatoya 配管支持固定具
KR100663267B1 (ko) * 2004-07-13 2007-01-02 김종한 지하 매설용 파이프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4321U (ko) * 1989-03-02 1990-09-13
KR200172793Y1 (ko) 1999-09-14 2000-03-15 이영우 슬라이드식 파이프 지지장치
AU2006320668A1 (en) * 2005-11-30 2007-06-07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Rooftop equipment support and method of use
US20080054143A1 (en) * 2006-09-05 2008-03-06 Christopher Collins Mounting system
US8181916B2 (en) * 2009-03-17 2012-05-22 Advance Co., Ltd. Pipe support base
KR20090051729A (ko) * 2009-05-04 2009-05-22 김영수 파이프 배관 고정용 배관 클램프
WO2011004432A1 (ja) 2009-07-08 2011-01-13 株式会社アドヴァンス パイプ支持台
KR101157504B1 (ko) * 2010-04-28 2012-06-15 케이엠비(주) 친환경 탄성 모르타르
US20120025034A1 (en) * 2010-07-29 2012-02-02 Thomas Turner Pipe support
USD738711S1 (en) * 2013-08-30 2015-09-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ooftop support
KR101458417B1 (ko) * 2014-01-08 2014-11-07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슬래그볼을 이용한 인보도 및 도로 포장용 속경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몰탈 조성물
WO2015147682A1 (ru) 2014-03-28 2015-10-01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ционерная компания по транспорту нефти "Транснефть" (ОАО "АК "Транснефть") Неподвижная оп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687662B1 (ko) * 2015-06-24 2016-12-21 이은숙 차열성이 강한 인터록킹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JP6312896B1 (ja) 2017-04-17 2018-04-18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ゴム製支持ブロック
KR102008820B1 (ko) 2019-02-23 2019-08-08 김현동 파이프 지지 장치
CN110054500A (zh) * 2019-03-11 2019-07-26 南京思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炼钢废渣制备环保砖的方法
KR102134286B1 (ko) * 2020-02-26 2020-07-15 석정철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090U (ja) * 1994-04-13 1994-10-11 渡部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機器据付け並びに管路敷設に適する支持台
JPH0842761A (ja) * 1994-08-04 1996-02-16 Toyohiko Minatoya 配管支持固定具
KR100663267B1 (ko) * 2004-07-13 2007-01-02 김종한 지하 매설용 파이프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41A1 (ko) * 2020-02-26 2021-09-02 석정철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KR102191550B1 (ko) * 2020-07-22 2020-12-15 석정철 텐트고정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19502A1 (ko) * 2020-07-22 2022-01-27 석정철 텐트고정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1100B2 (en) 2023-12-12
JP7333678B2 (ja) 2023-08-25
JP2023514758A (ja) 2023-04-07
WO2021172741A1 (ko) 2021-09-02
US20230079642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286B1 (ko) 파이프 고정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US5800752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polymer composite products
CN104446138B (zh) 一种利用gfrp废弃物制备环氧树脂基人造花岗岩的方法
US9919452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N1407178A (zh) 步行路用铺装材料及其制造方法
US10787820B1 (en) Artificial stone tile comprising natural r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02069B1 (ko) 벽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돌 제조설비
CN103408274B (zh) 用于生产混凝土预制件的矿渣粉混凝土材料及其混凝土预制件的生产方法
CA2242466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polymer composite products
CN102432253A (zh) Grc和xj复合材料制备方法及复合井盖
KR102191550B1 (ko) 텐트고정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049136A3 (en) Method of making constructional elements
KR100490260B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
KR100586066B1 (ko) 재생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165087Y1 (ko)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KR100309177B1 (ko) 폐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재생방법
KR100533288B1 (ko) 재생골재를 이용한 인터로킹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654314B1 (ko) 유리 폐기물 재생 골재로 제조된 인공암 시공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KR200355191Y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
KR100508543B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의 제조방법
KR100621409B1 (ko) 버력을 이용한 토목자재의 제조방법
CN2512842Y (zh) 复合型坚韧排水水箅
CN117985974A (zh) 一种渣土免烧砖及其制备方法
KR100917929B1 (ko) 폐전주 잔골재의 제조 방법
JP3973079B2 (ja) シラス高圧プレス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