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424B1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424B1
KR102133424B1 KR1020187035262A KR20187035262A KR102133424B1 KR 102133424 B1 KR102133424 B1 KR 102133424B1 KR 1020187035262 A KR1020187035262 A KR 1020187035262A KR 20187035262 A KR20187035262 A KR 20187035262A KR 102133424 B1 KR102133424 B1 KR 10213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ransmission path
connector component
optical
optic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786A (ko
Inventor
마사토시 츠노다
다카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2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rods, pins or balls to align a pair of ferru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위치 결정 기구의 상대 위치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측정 가능한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는, 제 1 광 전송로(20) 및 제 2 광 전송로(30)를 광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로서, 제 1 광 전송로(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커넥터 부품(11)을 구비하고,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1 위치 결정부(115)와, 제 1 커넥터 부품(11)에 접속되는 제 2 커넥터 부품(12)에 보지된 제 2 광 전송로(3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2 위치 결정부와, 제 2 위치 결정부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가지며, 제 1 위치 결정부(115) 및 측정용 보조부(116)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6월 7일에 일본국에 특허 출원된 특원2016-113837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선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 전송로끼리를 광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전송로끼리를 광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히, 기판에 마련된 광 도파로와, 복수의 광 파이버로 구성되는 광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광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에서는, 광 도파로 상에 형성된 돌기부가, 기판 상에 탑재되는 리셉터클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되어, 광 도파로에 대한 리셉터클의 위치가 조정된다.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접속되어, 광 도파로와 광 파이버의 위치가 조정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029624
상기와 같은 위치 맞춤의 방법에서는, 리셉터클의 제작시에, 광 도파로에 대한 리셉터클의 위치 결정 기구와,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위치 결정 기구와의 사이의 상대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 커넥터에서는, 각각의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확인할 수 없어, 고정밀도의 3차원 치수 측정기에 의한 측정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측정에서는, 측정에 관한 공수(工數)가 증가하여, 치수 측정의 비용이 증대한다. 그 결과, 광 커넥터의 생산성이 저하한다.
이러한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결정 기구의 상대 위치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측정 가능한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관련된 광 커넥터는,
기체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광 전송로, 및 제 2 광 전송로를 광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광 전송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제 1 광 전송로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에 접속되는 제 2 커넥터 부품이 접속되는 측의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는 삽입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커넥터 부품에 보지(保持)된 상기 제 2 광 전송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2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 구멍에 대하여 상기 최외면과 반대측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표면에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측정용 보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측정용 보조부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관점에 관련된 광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부품과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상기 삽입 구멍이고,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상기 삽입 구멍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제 3 관점에 관련된 광 커넥터에서는,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4 관점에 관련된 광 커넥터에서는,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상기 표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 기구의 상대 위치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측정 가능한 광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를 이용하여 제 1 광 전송로 및 제 2 광 전송로를 광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광 전송로의 결합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커넥터 부품 단체(單體)를 하면시(下面視)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커넥터 부품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이드핀 고정부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광 커넥터의 각 구성부, 제 1 광 전송로 및 제 2 광 전송로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 1 커넥터 부품, 제 1 광 전송로 및 기체(基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1 커넥터 부품보다 후방의 기체 상의 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례 1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례 2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형례 3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례 4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 및 제 1 광 전송로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를 이용하여 제 1 광 전송로(20) 및 제 2 광 전송로(30)를 광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광 전송로(20)의 결합면(R1)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광 커넥터(10)는, 제 1 커넥터 부품(11)과, 제 2 커넥터 부품(12)과, 가이드핀(13)과, 가이드핀(13)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핀 고정부(14)를 가진다. 도 3은, 제 1 커넥터 부품(11)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커넥터 부품(12)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이드핀 고정부(14)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광 전송로(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리지드식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4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 1 광 전송로(20)는, 제 2 광 전송로(30)와 광결합하기 위해, 전단면(前端面)이 기체(40)의 전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 1 광 전송로(20)의 도파 모드는, 싱글 모드 및 멀티 모드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제 1 광 전송로(20)는 기체(4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광 전송로(20)는, 기체(40)의 내부에 매설되어, 전단면이 기체(40)의 전단면과 일치하고, 결합면(R1)이 기체(40)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광 전송로(20)는, 기체(40)의 상면에 적층하도록 형성된 클래드(21)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는 복수의 코어(22)를 가진다. 클래드(21) 및 코어(22)는, 예를 들면, 석영계의 유리에 의해 형성된다. 코어(22)의 굴절률은 클래드(21)의 굴절률보다 높다. 이하에서는, 제 1 광 전송로(20)는, 예를 들면, 매설형의 광 도파로라고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래브형 또는 반매설형 등의 적절한 방식의 광 도파로여도 된다.
제 2 광 전송로(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 파이버(31)에 의해 구성된다. 각 광 파이버(31)는, 코어 및 클래드, 및 필요에 따라 피막을 가지고 있다. 각 광 파이버(31)의 도파 모드는, 싱글 모드 및 멀티 모드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각 광 파이버(31)는, 범용의 싱글 모드 파이버, 분산 시프트 싱글 모드 파이버, 또는 스텝 인덱스 멀티 모드 광 파이버 등, 임의의 종류의 광 파이버여도 된다. 복수의 광 파이버(31)는, 시스에 의해 덮이도록 묶여도 되고, 묶이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광 파이버(31)는,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 부품(12)의 내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부품(12)에 배열된 복수의 광 파이버(31)의 코어의 간격은, 제 1 광 전송로(20)의 코어(22)의 간격과 대략 일치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리셉터클이고, 제 2 커넥터 부품(12)과 접속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대략 L자 형상이고, 제 1 광 전송로(20) 상에 배치되는 기부(基部)(111)와, 기부(111)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기부(111)와 연속하도록 성형되는 제 1 개구 구성부(112)를 가진다. 제 1 개구 구성부(112)는, 기체(40)의 전단부로부터 전후 방향(기체(4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고, 기부(111)로부터 하방으로 튀어나온 프레임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개구 구성부(112)는, 그 하면이 제 1 광 전송로(20)의 상하 위치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개구 구성부(112)를 기체(40)의 전면(前面)에 맞닿도록 또는 근접시키도록 하여, 제 1 광 전송로(20) 및 기체(40) 상에 배치된다. 즉, 제 1 커넥터 부품(1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 전송로(20)의 상면으로부터 기체(40)의 전면에 걸쳐, 제 1 광 전송로(20) 및 기체(40)의 일부를 덮는 형상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광 전송로(20)가 기체(40)의 내부에 매설되는 경우, 기체(40)의 일부를 개재하여 제 1 광 전송로(20)의 상방에 배치되고, 기체(40)의 일부와 함께 제 1 광 전송로(20)의 일부를 덮어도 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개구 구성부(112)의 전면에 제 1 개구부(113)를 추가로 가진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광 전송로(20)의 결합면(R1)을 제 1 개구부(113)로부터 전방에 노출한 상태에서, 제 1 광 전송로(20) 및 기체(40)측에 장착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2 커넥터 부품(12)과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핀(13)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114)(제 2 위치 결정부)을 추가로 가진다. 삽입 구멍(114)은, 제 1 개구 구성부(112)의 전면의 좌우 양단에 한 쌍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부품(11)은, 기부(111)의 좌우 양측면의 일부에, 대칭적인 배치가 되도록 한 쌍의 제 1 위치 결정부(115)를 가진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위치 결정부(115)에 의해,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한 쌍의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기부(111)의 좌우 측면부의 후반부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부품(11)의 내측으로 파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직사각 형상으로 파여 있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삽입 구멍(114)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측정용 보조부(116)를 가진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제 1 위치 결정부(115) 및 측정용 보조부(116)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일례로서,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과 함께 1부재로 형성되고, 삽입 구멍(114)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과 연통하는 동심원 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으로부터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전벽(前壁)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의 상하 방향 위치에 따른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3에서는, 삽입 구멍(114)은 원 형상이고, 그 상반부가 기부(111)의 하면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정용 보조부(116)는, 기부(111)의 하면의 좌우 양단에 반원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된다. 측정용 보조부(116)가 이와 같은 배치 및 형상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하방으로부터 기부(111)의 하면을 시인했을 때,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일부 및 측정용 보조부(116)의 일부를 동일 수평면 내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플러그이고, 제 1 커넥터 부품(11)과 접속된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기부(121)와, 기부(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기부(121)와 연속하도록 성형되는 감합부(122)와, 기부(121)와 전방으로 연속하도록 성형되는 제 2 개구 구성부(123)를 가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개구 구성부(123)에는, 제 2 광 전송로(30)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제 2 개구부(124)가 형성된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복수의 광 파이버(31)를 보지하기 위한 보지부(125)를 기부(121) 내에 가진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보지부(125) 내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홈(126)을 가진다. 복수의 가이드홈(126)은, 제 2 광 전송로(3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31)를 각각 보지하기 위한 홈이다. 가이드홈(126)의 수는, 제 2 광 전송로(30)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31)의 개수 이상이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복수의 가이드홈(126)의 후방에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127)을 가진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제 2 광 전송로(30)의 결합면(R2)을 연통 구멍(127)으로부터 후방에 노출한 상태에서, 제 2 광 전송로(30)를 보지한다. 제 2 커넥터 부품(12)은, 제 1 커넥터 부품(11)과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핀(13)을 보지하는 관통 구멍(128)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128)은, 제 2 개구 구성부(123) 및 기부(121)의 좌우 양단을 관통하도록, 제 2 커넥터 부품(12)의 좌우 양단에 한 쌍 형성된다. 한 쌍의 관통 구멍(128)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한 쌍의 삽입 구멍(114)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핀 고정부(14)는, 오목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광 전송로(30)가 배치되는 오목부(141)를 가진다. 가이드핀 고정부(14)는, 그 후면에, 제 1 커넥터 부품(11)과 제 2 커넥터 부품(12)을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핀(13)을 보지하는 고정 구멍(142)을 가진다. 고정 구멍(142)은, 가이드핀 고정부(14)의 좌우 양단에 한 쌍 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 구멍(14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한 쌍의 삽입 구멍(114)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도 6은, 도 1의 광 커넥터(10)의 각 구성부, 제 1 광 전송로(20) 및 제 2 광 전송로(3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이용하여, 제 1 커넥터 부품(11)과 제 2 커넥터 부품(12)을 접속함으로써 제 1 광 전송로(20) 및 제 2 광 전송로(30)를 광결합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제 1 광 전송로(20)의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제 1 광 전송로(20)의 상면에는, 좌우 양단에 한 쌍의 스터드핀(2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이 제 1 광 전송로(20)에 장착될 때,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일부가 스터드핀(23)의 대응하는 부분과 맞닿는다. 즉, 한 쌍의 스터드핀(23)에 한 쌍의 제 1 위치 결정부(115)를 맞닿게 함으로써,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한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위치가 결정되면,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 1 커넥터 부품(11)을 제 1 광 전송로(20) 또는 기체(40) 상에서 고정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113)로부터 제 1 광 전송로(20)의 결합면(R1)이 노출된다.
제 2 커넥터 부품(12)에 제 2 광 전송로(30)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제 2 광 전송로(30)의 결합면(R2)이 연통 구멍(127)으로부터 후방에 노출되도록, 제 2 광 전송로(30)를 보지부(125)에 의해 보지한다.
좌우 한 쌍의 가이드핀(13)을, 가이드핀 고정부(14)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 구멍(142)에 고정한다.
가이드핀 고정부(14)에 고정된 가이드핀(13)을, 제 2 광 전송로(30)를 보지한 제 2 커넥터 부품(12)의 관통 구멍(128)에 관통시켜, 가이드핀 고정부(14)와 제 2 커넥터 부품(12)을 고정한다.
가이드핀 고정부(14)에 고정된 제 2 커넥터 부품(12)과, 제 1 광 전송로(20) 또는 기체(40) 상에 고정된 제 1 커넥터 부품(11)을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나열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가이드핀(13)을,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한 쌍의 삽입 구멍(114)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제 1 개구부(113)와 제 2 커넥터 부품(12)의 감합부(122)가 감합하고, 제 1 커넥터 부품(11) 및 제 2 커넥터 부품(12)이 감합한다. 이 때, 삽입 구멍(114)에 의해, 제 1 커넥터 부품(11)에 대한 제 2 커넥터 부품(1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제 1 광 전송로(20)의 결합면(R1) 및 제 2 광 전송로(30)의 결합면(R2)이 대략 일치하고, 제 1 광 전송로(20)를 구성하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 도파로와, 제 2 광 전송로(30)를 구성하는 대응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31)가 각각 광결합한다.
도 7은, 도 1의 제 1 커넥터 부품(11), 제 1 광 전송로(20) 및 기체(40)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1 커넥터 부품(11)보다 후방의 기체(40) 상의 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를 이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종래의 광 커넥터를 이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1 커넥터 부품(11)에 형성하는 삽입 구멍(11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에서는, 한 쌍의 삽입 구멍(114)은, 제 1 광 전송로(20)의 높이 내에 삽입 구멍(114)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7에서는, 일례로서, 삽입 구멍(114)은, 그 일부가 제 1 광 전송로(20)의 높이 내에 위치하도록, 제 1 개구 구성부(112)의 전면의 대응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형성된다.
도 8의 (a)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40) 상에는, 제 1 커넥터 부품(11) 및 제 1 광 전송로(20) 외에, 제 1 광 전송로(20)와 접속되는 집적 회로(41)와, 집적 회로(41)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42)이 배치된다.
도 8의 (a)에서는,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제 1 개구 구성부(112)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114)의 상하 방향 위치는, 도 7에 나타낸 상하 방향 위치에 대응한다. 방열판(42)은,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상면의 상하 방향 위치는, 집적 회로(41)의 상면의 상하 방향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방열판(42)은,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상면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41)의 상면에도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상면의 상하 방향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집적 회로(41)의 상면의 상하 방향 위치보다 하방이어도 된다. 즉, 제 1 커넥터 부품(11)의 기부(111)의 높이는, 집적 회로(41)의 높이에 비해 낮아도 된다.
광 커넥터(10)와의 비교를 위해 종래예의 설명을 행한다. 도 8의 (b)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판 상에는, 리셉터클, 광 도파로, 집적 회로 및 방열판이 배치된다. 반면에, 종래예의 리셉터클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의 제 1 개구 구성부(112)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가이드핀은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본체에 삽입할 필요가 있고, 리셉터클 본체의 높이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의 기부(111)의 높이에 비해 커진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의 전후 폭도 길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는,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일부 및 측정용 보조부(116)의 일부가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치 결정 기구의 상대 위치의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즉, 광 커넥터(10)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개재하여, 제 1 위치 결정부(115) 및 삽입 구멍(114)의 위치 관계를 동일 평면에서 확인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10)는, 고정밀도의 3차원 치수 측정기에 의한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3차원이 아니라 2차원으로 측정이 가능하므로, 광 커넥터(10)는, 각각의 상대 위치의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마이크로미터 오더의 미세한 구조라고 고정밀도로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측정에 관한 공수가 감소하여, 생산 비용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광 커넥터(10)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3차원 치수 측정기를 이용한 경우, 파괴 검사로 치수를 측정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는, 2차원 치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비파괴로 효율적으로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는, 고정밀도의 치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터드핀(23), 및, 삽입 구멍(114) 및 가이드핀(13)을 성형한 후의 위치 어긋남 또는 그 밖의 불량에 관한 확인을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광 커넥터(10)는, 측정용 보조부(116)가 삽입 구멍(114)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므로, 측정용 보조부(116)를 개재하여,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제 1 위치 결정부(115)와 삽입 구멍(114)의 위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
광 커넥터(10)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삽입 구멍(114)의 형상에 대응시켜 동심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제작를 용이하게 한다. 즉, 광 커넥터(10)에서는, 삽입 구멍(114) 및 측정용 보조부(116)는, 1부재에 의해 1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용 보조부(116)가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표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광 커넥터(10)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측정용 보조부(116)의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광 커넥터(10)는, 제 1 개구 구성부(112)를 마련하여 제 1 커넥터 부품(11)을 L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가이드핀(13)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114)을, 제 1 광 전송로(20) 주변의 상하 방향 위치 부근에 형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도 8의 (b)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달리, 기부(111)를 저배화(低背化)할 수 있어,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에 수반하여, 제 1 커넥터 부품(11)에 접속되는 제 2 커넥터 부품(12)도 소형화 가능하므로, 광 커넥터(10) 전체로서도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광 커넥터(10)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사용한 상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소형화한 상태라도 측정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광 커넥터(10)는, 삽입 구멍(114)이 제 1 광 전송로(20)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 1 개구 구성부(112)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커넥터 부품(11) 및 제 2 커넥터 부품(12)에 대하여 고정밀도의 치수 설계가 가능하다. 즉, 광 커넥터(10)는, 제 1 커넥터 부품(11) 및 제 2 커넥터 부품(12)을 양호한 정밀도로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10)는, 제 1 광 전송로(20) 및 제 2 광 전송로(30)를 양호한 정밀도로 광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결합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기부(111)가 저배화되면, 방열판(42)을 집적 회로(41)의 상면과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광 커넥터(10)는, 집적 회로(41)의 방열 효율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를 사용하면, 도 8의 (b)의 종래예와 달리, 집적 회로(41)의 상면과 방열판(42)이 맞닿고, 집적 회로(41)의 방열 효율이 향상한다. 광 커넥터(10)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종래의 리셉터클 본체의 전후 폭보다 기부(111)의 전후 폭이 작아지므로, 기부(111)와 집적 회로(41)의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열 축적을 경감할 수 있다. 광 커넥터(10)는, 기부(111)와 집적 회로(41)의 사이의 간격을 보다 짧게 하여, 종래예에 비해, 기체(40)의 전후 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10)는 기체(40) 전체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변형례 1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11)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례 2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11)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형례 3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11) 단체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배치 및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하여 위치 결정 가능하면, 임의의 배치 및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기부(111)의 좌우 양측면의 일부에 비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좌우 양측면 이외의 외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반원 형상으로 내측으로 파이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오목 형상이 아니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한 쌍 형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하여 위치 결정 가능하면, 1개의 부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도 3에서는,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좌우 방향의 단벽(端壁)이, 삽입 구멍(114) 및 측정용 보조부(116)보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좌우 방향의 단벽이, 삽입 구멍(114) 및 측정용 보조부(116)보다,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측정용 보조부(116)의 배치 및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위치 결정부(115)와 함께 그 일부가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 가능하면, 임의의 배치 및 형상이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으로부터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전벽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기부(111)의 하면의 좌우 양단에 임의의 전후 폭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반대로,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으로부터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전벽을 넘어,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후벽으로부터 기부(111)의 후면에 이르기까지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과 연통하고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구멍(114)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형성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즉,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과 일체가 되도록 1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과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전벽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되고, 제 1 위치 결정부(115)의 후벽과 기부(111)의 후면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측정용 보조부(116)는, 제 1 커넥터 부품(11)의 가이드핀(13) 삽입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동심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삽입 구멍(114)의 형상이 원형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측정용 보조부(116)는, 삽입 구멍(1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측정용 보조부(116)는,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표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부위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한 쌍의 삽입 구멍(114)은, 도 7과 같은 높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대응하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기부(111) 상에 형성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에서는, 제 1 커넥터 부품(11)은, 스터드핀(23)에 의해 제 1 광 전송로(20)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변형례 4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11) 및 제 1 광 전송로(2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변형례 4에 관련된 제 1 커넥터 부품(11)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2의 (b)는, 변형례 4에 관련된 제 1 광 전송로(20)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 전송로(20) 상에는, 스터드핀(23) 대신에, 원통 형상의 핀(231)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제 1 광 전송로(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231)에 대응하도록, 기부(111)의 하면에 오목부 또는 개구부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제 1 커넥터 부품(11)이 제 1 광 전송로(20)에 장착될 때, 제 1 위치 결정부(115)는 핀(231)과 감합한다.
예를 들면, 제 1 광 전송로(20) 또는 기체(40)에 스터드핀(23) 및 핀(231)과 같은 부가적인 위치 결정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광 전송로(20)의 측면 등을 이용하여 제 1 커넥터 부품(11)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도 된다. 이와 같은 위치 결정 방법에 대응하는 구조의 제 1 커넥터 부품(11)에 관해서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측정용 보조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 커넥터(10)에서는, 제 1 커넥터 부품(11)에 관한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위치 결정부(115) 및 측정용 보조부(116)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성부의 일부가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10 : 광 커넥터
11 : 제 1 커넥터 부품
111 : 기부
112 : 제 1 개구 구성부
113 : 제 1 개구부
114 : 삽입 구멍(제 2 위치 결정부)
115 : 제 1 위치 결정부
116 : 측정용 보조부
12 : 제 2 커넥터 부품
121 : 기부
122 : 감합부
123 : 제 2 개구 구성부
124 : 제 2 개구부
125 : 보지부
126 : 가이드홈
127 : 연통 구멍
128 : 관통 구멍
13 : 가이드핀
14 : 가이드핀 고정부
141 : 오목부
142 : 고정 구멍
20 : 제 1 광 전송로
21 : 클래드
22 : 코어
23 : 스터드핀
231 : 핀
30 : 제 2 광 전송로
31 : 광 파이버
40 : 기체
41 : 집적 회로
42 : 방열판
R1 : 결합면
R2 : 결합면

Claims (4)

  1. 기체에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광 전송로, 및 제 2 광 전송로를 광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광 전송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제 1 광 전송로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에 접속되는 제 2 커넥터 부품이 접속되는 측의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최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는 삽입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커넥터 부품에 보지된 상기 제 2 광 전송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제 2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 구멍에 대하여 상기 최외면과 반대측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표면에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측정용 보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측정용 보조부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광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부품과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상기 삽입 구멍이고,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상기 삽입 구멍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는, 광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의 형상에 대응시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보조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부품의 상기 표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커넥터.
KR1020187035262A 2016-06-07 2017-05-11 광 커넥터 KR102133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3837 2016-06-07
JPJP-P-2016-113837 2016-06-07
PCT/JP2017/017908 WO2017212861A1 (ja) 2016-06-07 2017-05-11 光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786A KR20190004786A (ko) 2019-01-14
KR102133424B1 true KR102133424B1 (ko) 2020-07-14

Family

ID=6057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262A KR102133424B1 (ko) 2016-06-07 2017-05-11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5827B2 (ko)
EP (1) EP3467557B1 (ko)
JP (1) JP6613374B2 (ko)
KR (1) KR102133424B1 (ko)
CN (1) CN109313314B (ko)
WO (1) WO2017212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0537A1 (ja) * 2018-02-01 2019-08-08 京セラ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623332B2 (ja) * 2018-03-20 2019-12-2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コネクタ及びこれを搭載する機器
CN110895361A (zh) * 2018-09-12 2020-03-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光模块
JP7222136B2 (ja) * 2019-01-24 2023-02-14 京セラ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光導波路基板の製造方法
JP7138056B2 (ja) * 2019-01-24 2022-09-15 京セラ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光導波路基板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491A (ja) * 2005-07-22 2007-02-08 Fujikura Ltd 多心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0562A (en) * 1996-03-12 1999-08-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ubless optoelectronic device receptacle
US6328479B1 (en) * 1999-05-24 2001-12-11 Stratos Lightwave, Inc. Multi-terminator optical interconnect system
US6450698B1 (en) 2000-05-09 2002-09-17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US6592268B2 (en) 2000-05-09 2003-07-15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JP3613210B2 (ja) * 2001-07-17 2005-01-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測定方法
JP2004191564A (ja) * 2002-12-10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光路変換コネクタ
JP2005202228A (ja) * 2004-01-16 2005-07-28 Fuji Xerox Co Ltd 光導波路、光導波路コネクタ及び光接続構造
JP2005345708A (ja) * 2004-06-02 2005-12-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導波路フィルムおよびその作製方法と接続方法
JP4337781B2 (ja) * 2005-06-27 2009-09-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熱線式人感センサ装置
JP2010191176A (ja) * 2009-02-18 2010-09-02 Nec Corp 光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408816B2 (en) * 2010-03-18 2013-04-02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JP5485116B2 (ja) * 2010-11-25 201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法
TWI479215B (zh) * 2010-12-16 2015-04-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纖連接器
WO2013015197A1 (ja) 2011-07-28 2013-01-31 京セラ株式会社 光コネクタ、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3029624A (ja) 2011-07-28 2013-02-07 Kyocera Corp 光コネクタおよび光伝送モジュール
JP5621070B1 (ja) * 2012-11-22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および光伝送モジュール
JP2014164270A (ja) * 2013-02-27 2014-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フェルール、光電気混載基板および電子機器
WO2014157363A1 (ja) * 2013-03-27 2014-10-02 京セラ株式会社 光伝送モジュール、光電気複合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コネクタ
CN105556357B (zh) * 2013-09-30 2019-06-28 京瓷株式会社 光连接器、光传输模块以及光连接器用插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491A (ja) * 2005-07-22 2007-02-08 Fujikura Ltd 多心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7557B1 (en) 2024-03-13
CN109313314A (zh) 2019-02-05
US10495827B2 (en) 2019-12-03
EP3467557A4 (en) 2020-01-22
WO2017212861A1 (ja) 2017-12-14
JPWO2017212861A1 (ja) 2019-04-11
KR20190004786A (ko) 2019-01-14
CN109313314B (zh) 2020-09-29
US20190137699A1 (en) 2019-05-09
EP3467557A1 (en) 2019-04-10
JP6613374B2 (ja)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424B1 (ko) 광 커넥터
US20240159973A1 (en) Alignment Adapter and Alignment Design for a Connector Therefor
CN109073835B (zh) 光波导用连接器构件和使用该光波导用连接器构件的光连接器组以及由此制得的光布线
JP2018194669A (ja) 光学素子及び光コネクタ
US9097862B2 (en) Connector
JPWO2014034458A1 (ja) 光モジュールと光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US20180231716A1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inspecting optical module
JP2013004437A (ja) 基板実装部品及び基板実装部品製造方法
JP2016071137A (ja) 導波路用のコネクタおよびアライメント方法
WO2017208285A1 (ja) 光コネクタ
JP2007272159A (ja) 光導波路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接続構造、並びに光導波路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2226384A (ja) 光導波路保持部材及び光トランシーバ
TWI824607B (zh) 光連接器系統
JP6506138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
US11086086B2 (en) Optical connector device
JP6475911B2 (ja) 光コネクタ保持具、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光学基板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
JPWO2016175126A1 (ja) 光伝送モジュール
JP5010023B2 (ja) 光導波路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接続構造、並びに光導波路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4191914A (ja) 光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及び光導波路部材の製造方法
WO2018181729A1 (ja) 光導波路部材コネクタキット、光導波路部材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474916B (zh) 光插座、光模块及测定方法
KR20230020985A (ko) 커넥터 부재, 광 전송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JP2011215269A (ja) 光モジュー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235633A1 (ja) レセプタクル、プラグ、及び接続装置
JP2005326711A (ja) 光導波路部材の製造方法、光導波路部材モジュール、及び光ジャンクショ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