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390B1 -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390B1
KR102131390B1 KR1020190057551A KR20190057551A KR102131390B1 KR 102131390 B1 KR102131390 B1 KR 102131390B1 KR 1020190057551 A KR1020190057551 A KR 1020190057551A KR 20190057551 A KR20190057551 A KR 20190057551A KR 102131390 B1 KR102131390 B1 KR 10213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or
engine sound
windshield glass
coupling portion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390B1/ko
Priority to CN201921510314.0U priority patent/CN210652915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는,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장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는 상기 장착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STRUCUTRE FOR MOUNTING ENGINE SOUND GENERATOR}
본 발명은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윈드쉴드 글래스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ESG, Engine Sound Generator)는 다양한 엔진 사운드를 만들기 위하여 차체에 장착되고 윈드쉴드 글래스를 가진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는 금속재질의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카울구조의 상단에 장착되고, 카울구조의 상단이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위치한다. 즉, 장착브라켓이 차체의 카울구조의 상단에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은 장착브라켓에 체결구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이 카울구조의 카울패널('카울 탑 커버'로 지칭되기도 함)의 상단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글래스 실러(glass sealer)가 카울패널의 상단 및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 사이를 밀봉한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는 그 축선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하고,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차체의 카울구조를 통해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윈드쉴드 글래스를 가진한다.
이와 같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차체를 거쳐 윈드쉴드 글래스로 전달됨에 따라 래틀(rattle) 문제, 음색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글래스 실러를 거쳐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진동의 전달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원가 및 중량 등의 적용조건이 불리해질 수 있다. 또한, 래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 및 카울패널의 상단 사이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 접착제로 인해 진동의 전달효율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카울구조로 전달됨에 따라 카울구조의 카울패널 및 주변부품들에 공진이 발생하는 공진 품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울구조 측면에서 장착브라켓을 카울패널에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장착브라켓을 카울패널에 용접을 통해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장착브라켓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져 진동의 전달효율이 상대적으로 악화될 수 있고, 용접건이 카울패널 및 장착브라켓 측으로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차체 이원화에 따른 사양 구분, 적재, 금형 대응 등과 같은 투자비 발생요인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윈드쉴드 글래스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는,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장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는 상기 장착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의 제1결합부는 상기 끼움홈 및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 사이에 도포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은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실외면에 접합되는 제1접합면과,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실내면에 접합되는 제2접합면과,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결합가장자리에 접합되는 제3접합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은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은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접합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1결합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복수의 리브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 리브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센터라인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결합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매칭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공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매칭돌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가진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그 외면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보강재의 외면으로부터 외경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장자리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의 일부가 커팅됨으로써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으로부터 윈드쉴드 글래스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매칭돌기가 상기 장착브라켓의 제2결합부의 결합공 내에서 회전함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매칭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될 때 서로 간에 끼움결합되는 키홈 및 키 형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윈드쉴드 글래스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진동의 전달경로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동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래틀(rattle) 문제, 음색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경량화 및 원가 절감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이 윈드쉴드 글래스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이 카울구조로 전달됨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울구조의 카울패널 및 주변부품들에 공진이 발생하는 공진 품질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에 적용되는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의 장착브라켓의 제1결합부 및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이 결합된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의 장착브라켓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의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10)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20)과, 장착브라켓(2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쉴드 글래스(5)는 차량의 실외측을 향하는 실외면(3)과, 차량의 실내측을 향하는 실내면(4)을 가질 수 있다.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은 카울구조(7)의 카울패널(8)의 상단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 실러(9)가 윈드쉴드 글래스(5) 및 카울멤버(8) 사이에 실링될 수 있다. 윈드쉴드 글래스(5)은 그 하단 가장자리의 일부에 형성된 결합가장자리(6)를 가질 수 있고, 장착브라켓(20)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에 끼움구조,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20)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파손,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참조하면, 장착브라켓(20)은 그 외측가장자리가 반원형, 부채꼴 등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평면 상에서 반원형, 부채꼴 등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외에도 장착브라켓(20)은 사각형, 오각형, 6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브라켓(20)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1) 및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의 두께(t2)는 제1결합부(21)의 두께(t1)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의 두께(t1)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경우에는 윈드쉴드 글래스(5) 측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로부터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결합부(21)의 두께(t1)는 제2결합부(22)의 두께(t2)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아질 필요가 있다.
제1결합부(21)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이 끼워지는 끼움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23)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실외면(3)에 접합되는 제1접합면(31)과, 윈드쉴드 글래스(5)의 실내면(4)에 접합되는 제2접합면(32)과,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에 접합되는 제3접합면(33)을 가질 수 있다.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이 제1결합부(21)의 끼움홈(23)에 끼워지고, 접착층이 장착브라켓(20)의 끼움홈(23)의 제1 내지 제3접착면(31, 32, 33)과 윈드쉴드 글래스(5)의 실외면(3), 실내면(4), 결합가장자리(6) 사이에 도포됨으로서 장착브라켓(20)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는 그 상면 및 하면에 복수의 리브(24)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리브(24)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윈드쉴드 글래스(5) 측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4)는 진동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서로 간에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1)는 복수의 리브(24)에 의해 자체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각 리브(24)는 제2결합부(22)로부터 제1결합부(21)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각 리브(24)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센터라인(CL)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a)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브(24)의 경사구조에 의해 재료비용 및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제1결합부(21)의 강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21)가 반원형, 부채꼴 등과 같은 외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 리브(24)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리브(24)는 방사형으로 서로 간에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결합부(22)의 두께(t2)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가 결합되는 결합공(25)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는 그 축선(X1)을 따라 진동(화살표 V1 참조)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축선(X1)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센터라인(CL)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에서 발생된 진동(V1)은 장착브라켓(20)을 통해 윈드쉴드 글래스(5)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윈드쉴드 글래스(5)에는 진동(화살표 V2 참조)이 발생할 수 있고, 윈드쉴드 글래스(5)에서 발생된 진동(V2)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센터라인(CL)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브라켓(20)이 윈드쉴드 글래스(5)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에서 발생된 진동(V1)이 글래스 실러(9)를 거쳐 카울구조(7)의 카울멤버(8) 측으로 전달되는 이상진동 경로(V3)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울구조(7)의 카울패널(8) 및 그 주변부품들에 공진이 발생하는 공진 품질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는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에 결합되는 매칭돌기(26)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돌기(26)는 수나사부를 가진 스터드(threaded stud)일 수 있다.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가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에 삽입된 이후에 체결너트(27)가 매칭돌기(26)의 상단에 체결됨으로써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는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결합부(22)는 결합공(25)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보강재(40)는 스틸 등과 같은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 및 그 주변은 보강재(40)에 의해 자체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강재(40)는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 내에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보강재(40) 및 장착브라켓(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재(40)는 매칭돌기(26)가 통과하는 관통공(42)을 가진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통공(42)은 매칭돌기(26)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관통공(42)의 내경면에는 매칭돌기(26)의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40)는 그 외면에 형성된 삽입돌기(41)를 가질 수 있고, 삽입돌기(41)는 보강재(40)의 외면으로부터 외경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더불어 보강재(40)의 외면에서 보강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재(40)는 그 외면에 형성된 삽입돌기(41)에 의해 단턱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은 결합공(25)의 내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28)을 가질 수 있고, 보강재(40)의 외면이 제2결합부(22)의 제1삽입홈(2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는 보강재(40)의 삽입돌기(41)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29)을 가질 수 있고, 보강재(40)의 삽입돌기(41)가 제2결합부(22)의 제2삽입홈(29)에 삽입됨으로써 보강재(40)는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 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가장자리의 일부가 커팅됨으로써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가장자리부터 윈드쉴드 글래스(5)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20)의 끼움홈(23)의 제3접합면(33)은 결합가장자리(6)의 홈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 및 끼움홈(23)의 제3접합면(33)은 타원형, 반원형, 부채꼴 형상 등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가 원호 형상으로 함몰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에서 크랙 등의 발생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장착브라켓(20)이 윈드쉴드 글래스(5)의 중심을 향해 인입함으로써 장착브라켓(20)을 통해 윈드쉴드 글래스(5)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전달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결합가장자리(6a)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a)는 윈드쉴드 글래스(5)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해 동일 면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a)는 평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20)의 끼움홈(23)의 제3접합면(33a)은 결합가장자리(6a)의 평탄구조에 대응하여 평탄하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장착브라켓(20)은 끼움홈(23)에 형성된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45)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가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45)에 수용됨으로써 장착브라켓(20)의 끼움홈(23) 내에서 접착제의 도포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브라켓(20)이 윈드쉴드 글래스(5)의 결합가장자리(6)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45)은 제1접합면(31) 및/또는 제2접합면(32)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45)은 윈드쉴드 글래스(5)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45)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장착브라켓(20)의 금형빼기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10)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가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 내에서 회전함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51, 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지구조(51, 52)는 매칭돌기(26)가 결합공(25)에 결합될 때 서로간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 키홈(51) 및 키형상의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51)이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에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형상의 돌기(52)가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키홈(51) 및 키형상의 돌기(52)는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가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의 키홈(51)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가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 내에서 회전함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키홈(51)이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60)의 매칭돌기(26)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키형상의 돌기(52)가 장착브라켓(20)의 제2결합부(22)의 결합공(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실외면 4: 실내면
5: 윈드쉴드 글래스 6: 결합가장자리
7: 카울구조 8: 카울멤버
10: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20: 장착브라켓 21: 제1결합부
22: 제2결합부 23: 끼움홈
24: 리브 25: 결합공
26: 매칭돌기 27: 체결너트
28: 제1삽입홈 29: 제2삽입홈
31: 제1접합면 32: 제2접합면
33: 제3접합면 40: 보강재
41: 삽입돌기 45: 접착제 수용홈
51: 키홈 52: 키형상의 돌기
60: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Claims (16)

  1.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장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의 제1결합부는 상기 끼움홈 및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 사이에 도포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는 상기 장착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가장자리를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실외면에 접합되는 제1접합면과,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실내면에 접합되는 제2접합면과,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결합가장자리에 접합되는 제3접합면을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을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은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접합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착제 수용홈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1결합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복수의 리브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각 리브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센터라인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결합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매칭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공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매칭돌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가진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그 외면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보강재의 외면으로부터 외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장자리는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의 일부가 커팅됨으로써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의 하단으로부터 윈드쉴드 글래스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 구조로 형성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의 매칭돌기가 상기 장착브라켓의 제2결합부의 결합공 내에서 회전함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매칭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될 때 서로 간에 끼움결합되는 키홈 및 키 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KR1020190057551A 2019-05-16 2019-05-16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KR10213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51A KR102131390B1 (ko) 2019-05-16 2019-05-16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CN201921510314.0U CN210652915U (zh) 2019-05-16 2019-09-11 发动机声音发生器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51A KR102131390B1 (ko) 2019-05-16 2019-05-16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390B1 true KR102131390B1 (ko) 2020-07-08

Family

ID=7084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551A KR102131390B1 (ko) 2019-05-16 2019-05-16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1390B1 (ko)
CN (1) CN210652915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07A (ko) 2021-11-11 2023-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090055A (ko) 2021-12-14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각 경험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90058A (ko) 2021-12-14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094849A (ko) 2021-12-21 2023-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0411A (ko) 2022-03-03 202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25A (ko) 2022-03-15 2023-09-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137104A (ko) 2022-03-21 2023-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US11902753B2 (en) 2021-06-09 2024-02-13 Hyundai Motor Company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1904769B2 (en) 2021-05-04 2024-02-2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engine sound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032A (ko) * 2020-08-03 2022-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식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88U (ko) * 1990-05-30 1992-02-10
KR20020065534A (ko) * 1999-11-25 2002-08-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스피커 및 차량 조립체
JP2003520726A (ja) * 2000-01-25 2003-07-08 ソシエタ イタリアーナ ベトロ − エスアイブイ −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機械的部材を接着されたガラス窓
KR20140110126A (ko) * 2013-03-04 2014-09-17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가상 엔진 사운드 발생 장치
KR20150057446A (ko) * 2013-11-19 2015-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엔진음 시스템의 스피커 장착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88U (ko) * 1990-05-30 1992-02-10
KR20020065534A (ko) * 1999-11-25 2002-08-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스피커 및 차량 조립체
JP2003520726A (ja) * 2000-01-25 2003-07-08 ソシエタ イタリアーナ ベトロ − エスアイブイ −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機械的部材を接着されたガラス窓
KR20140110126A (ko) * 2013-03-04 2014-09-17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가상 엔진 사운드 발생 장치
KR20150057446A (ko) * 2013-11-19 2015-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엔진음 시스템의 스피커 장착용 브라켓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4769B2 (en) 2021-05-04 2024-02-2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engine sound of vehicle
US11902753B2 (en) 2021-06-09 2024-02-13 Hyundai Motor Company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230069307A (ko) 2021-11-11 2023-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090055A (ko) 2021-12-14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각 경험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90058A (ko) 2021-12-14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US11893973B2 (en) 2021-12-14 2024-02-06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for vehicle
KR20230094849A (ko) 2021-12-21 2023-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0411A (ko) 2022-03-03 202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US11919446B2 (en) 2022-03-03 2024-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of electric vehicle
KR20230135225A (ko) 2022-03-15 2023-09-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137104A (ko) 2022-03-21 2023-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사운드 발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652915U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390B1 (ko) 엔진 사운드 제너레이터 장착구조
US5127698A (en) Support bearing
JP2016138564A (ja) グロメット組付構造
JPH04224328A (ja) 車両部分の受け口に組込まれた支持ブラケットの保安装置
JP2003291669A (ja) 燃料タンクへの遮熱板取付け構造
US7467643B2 (en) Fitting for fuel tanks
US11320014B2 (en) Articulating element for filtering and damping vibrations and articulating device
US10772392B2 (en) Fastening element and system with a fastening element
JP2001140964A (ja) 車両懸架装置における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の取付構造
KR10148864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JP2009085261A (ja) 防振ブッシュ
CN110446594B (zh) 用于连接至构件的附件
KR102540927B1 (ko) 차량용 클립
JP3211552U (ja) 送風ファン
JP4247375B2 (ja) 車両用ミラー
US10166941B1 (en) Light housing for mounting light on bumper of automobile
KR20130079935A (ko) 헤드 착탈형 절삭공구, 절삭 헤드 및 홀더
JP6376089B2 (ja)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パイプ固定構造
KR101989476B1 (ko) 차량용 너클 및 허브베어링의 어셈블리
JP5864167B2 (ja) 工具を主軸に組み付けるためのフランジ
JPH1047319A (ja) 樹脂製部品の締付部の構造
US20110268495A1 (en) Connec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f fastening a bolt
RU2639633C2 (ru) Шайб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между резьбовым крепежным средством и объектом, который должен крепиться резьбовым крепежным средством, и узел резьбового крепеж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7141729A (ja) 送風機
KR20060072139A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