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322B1 -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322B1
KR102131322B1 KR1020180170878A KR20180170878A KR102131322B1 KR 102131322 B1 KR102131322 B1 KR 102131322B1 KR 1020180170878 A KR1020180170878 A KR 1020180170878A KR 20180170878 A KR20180170878 A KR 20180170878A KR 102131322 B1 KR102131322 B1 KR 10213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user input
image
camera
fram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882A (ko
Inventor
전상철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스노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노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노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고,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와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할 때,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에서 변경된다.

Description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PUTING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VIDEO}
본 발명은 촬영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변경시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의 촬영은 동영상 촬영 시 매초 24 프레임 보다 많은 프레임 수 또는 적은 프레임 수로 촬영을 하고 그것을 재생함으로써, 슬로모션, 퀵모션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촬영 이후에 촬영 시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는 없었다.
JP 특개 2006-180315호
본 발명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변경시키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중복시킴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고,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와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할 때,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에서 변경된다.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다 느린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할 재생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는 시간 단위, 프레임 세트 단위, 또는 각 프레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할 재생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기초하여 편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촬영 요청 및 재생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는 카메라; 및 동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고,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 및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이용하여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될 때,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부분의 모션 빠르기에서 변경된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다 느린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도록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촬영 종료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촬영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할 재생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는 시간 단위, 프레임 세트 단위, 또는 각 프레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파일 생성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제1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여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인 제2 시점에 재생 속도를 제1 속도에서 제2 속도로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여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들을 편집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 시에, 상기 제2 시점에 대응하는 시점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속도에 대응하는 모션 빠르기를 갖도록 재생되고, 상기 제2 시점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속도에 대응하는 모션 빠르기를 갖도록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중복시킴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8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듈은,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집적 회로 칩과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촬영 시에 입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영상 프레임들(영상 프레임 세트)이 편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모든 컴퓨팅 장치 또는 카메라와 연결되는 제어 장치, 카메라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생 속도는 재생 시, 체감적으로 느껴지는 모션 빠르기를 지칭할 수 있다. 재생 속도의 변화는 체감적으로 느껴지는 모션 빠르기의 변화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체감적으로 느껴지는 모션 빠르기, 즉 재생 속도를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자유자재로 변경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저장 매체(150), 동영상 처리 모듈(160)을 포함하거나, 프로세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저장 매체(150), 동영상 처리 모듈(16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의 컴퓨팅 장치(100)는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웨어러블 컴퓨터,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IoE)) 장치, 또는 드론(drone) 등의 다양한 사용자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통상적으로 컴퓨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40)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카메라(130)에 의해 획득된 동영상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출력부(140)는 출력하는 장치 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속도(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화상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카메라(130), 프로세서(11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 매체(150)에 저장되거나 외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3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30)는 외부의 음향 신호 역시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및 드라이버와 같은, 컴퓨팅 장치(100)의 동작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매체(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동영상 촬영을 제어하고, 동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동영상 처리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동영상 처리 모듈(160)은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 데이터 생성부(162), 재생 속도 결정부(163),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처리 모듈(160)은 촬영 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로 재생될 수 있도록 재생 속도와 관련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동영상 파일은 프레임 레이트의 변동 없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된 재생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동영상 처리 모듈(160)은 카메라(130)로부터 획득된 화상 프레임을 동영상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 및 데이터 생성부(162)는 동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카메라(130)로부터 획득된 화상 프레임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방향 및 길이(크기)를 고려하여, 재생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재생 속도를 프레임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재생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촬영된 속도를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이에 비교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촬영된 속도와 비교한 재생 속도의 변화 방향(슬로우 또는 퀵) 또는 변경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 방향에 대한 정보는 빠르게 재생, 느리게 재생, 기준 속도 재생 중 하나일 수 있고, 변경 크기에 대한 정보는 0.7배속, 0.8 배속, 0.9 배속, 1배속, 1.1배속, 1.2 배속, 1.3 배속 중 하나일 수 있다.
재생 속도를 변경시키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실시예의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의 이동 방향, 이동 길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드래그(drag) 입력이 수신된 경우,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화 방향에 대한 정보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이동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경 크기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이동 길이(크기)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입력 또는 터치된 시점의 화상 프레임(들)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또는 제1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제1 시간에 해당하는 제1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 제1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제1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또는 제2 방향으로 제2 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제2 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 제2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제2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제1 시간(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동안 지속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제2 시간(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 동안 지속될 경우, 제1 시간(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에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는 제1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제2 시간(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에 촬영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는 제2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시각 t0, t1, t2, t3에 촬영 시작 요청,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촬영 종료 요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기 시작한 경우(즉, t0 < t1 < t2 < t3), 입력 시작 시간을 기초로, 제1 시간(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에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는 제1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제2 시간(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에 촬영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는 제2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속도 조절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 단위, 소정의 프레임 세트 단위, 또는 각 프레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재생 속도가 동일한 구간의 화상 프레임들과 대응하여 하나의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하고, 각 화상 프레임에 대해서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출력부는 속도의 변화 방향 또는 변경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촬영 요청을 수신하고,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는 촬영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화상 프레임 세트)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프레임들을 동영상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생성부(162)는 화상 프레임들 및 속도 조절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는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재생 시 모션 빠르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화상 프레임들을 편집하고, 편집한 화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는 화상 프레임들에 대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들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화상 프레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복시킬 수 있다.
재생 속도 결정부(163)는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읽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추출하고, 속도 조절 데이터를 고려하여,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재생 속도 결정부(163)는 속도 조절 데이터로부터 재생 속도의 변화 방향 또는 변경 크기를 추출하고 상기 속도의 변화 방향 및 크기와 대응되는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제1 구간에 포함되는 화상 프레임들을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변경율은 제거하거나 중복되는 프레임의 비율과도 연관된 것으로, 촬영된 시간에 대한 변경된 재생 속도를 통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빠르게 재생’의 변화 방향을 가지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과 관련하여, 체감적으로 빠르게 느껴질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누락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재생’ 또는 ‘2 배속’)의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1/2의 비율을 변경율로 산출하고, 상기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누락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느리게 재생’ 또는 ‘0.5 배속’의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하여, 체감적으로 느리게 느껴질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재생 속도를 0.5배로 하기 위해서, 1/0.5=2의 비율을 변경율로 산출하고,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이 한 번 더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모듈(160)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재생 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모듈(160)은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프레임의 일부를 중복시킴으로써,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되는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제1 구간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오디오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사이의 동기 여부를 고려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가 BGM, 나레이션 중 하나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촬영 당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지 않는다.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BGM 또는 나레이션의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 조절 데이터와 무관하게, 원래의 재생 속도에 맞게 BGM 또는 나레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a)는 도 1의 컴퓨팅 장치(10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 요소의 일부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a)는 프로세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저장 매체(150), 동영상 처리 모듈(160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저장 매체(150)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영상 처리 모듈(160a)은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 데이터 생성부(16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처리 모듈(160a)은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프레임을 편집하고, 편집한 화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 및 데이터 생성부(162a)는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을 편집하여, 촬영 속도와 다른 재생 속도로 재생되도록 화상 프레임들을 변환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속도와 다른 재생 속도로 변환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촬영 중 또는 촬영 이전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길이(크기)를 고려하여, 촬영 속도와 대비되는 재생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산출된 재생 속도를 근거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재생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촬영된 기준 속도를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이에 비교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촬영된 속도와 비교한 재생 속도의 변화 방향 또는 변경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 방향에 대한 정보는 빠르게 재생, 느리게 재생, 촬영 속도와 동일 중 하나일 수 있다. 변경 크기에 대한 정보는 0.7배속, 0.8 배속, 0.9 배속, 1배속, 1.1배속, 1.2 배속, 1.3 배속 중 하나일 수 있다.
재생 속도를 변경시키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실시예의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의 이동 방향, 이동 길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드래그(drag) 입력이 수신된 경우,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화 방향에 대한 정보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이동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경 크기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이동 길이(크기)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조절 데이터는 최초 터치 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촬영 속도에 비해서 증가하는 변화 방향(빠르게 재생)을 가지도록 생성되며, 최초 터치 지점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촬영 속도에 비해서 감소하는 변화 방향(느리게 재생)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재생 속도의 변경 크기는 사용자 입력의 이동 길이(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는 촬영되는 화상 프레임의 미리 보기 화면의 일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변경되는 경우, 미리 보기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도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미리 보기 화면 위에 투명 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출력부는 재생 속도의 변화 방향 또는 변경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촬영 중에 수회에 걸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는 각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작 시점 또는 소멸 시점에 맞춰 생성될 수 있다. 즉,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입력 또는 터치된 시점의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1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제1 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 제1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a)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제2 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해서 제2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속도 조절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 단위, 소정의 프레임 세트 단위, 또는 각 프레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재생 속도가 동일한 구간의 화상 프레임들과 대응하여 하나의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하고, 각 화상 프레임에 대해서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속도 조절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속도가 촬영 시의 속도와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촬영 요청을 수신하고,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촬영 모드 중에 카메라로부터 기 설정된 촬영 속도로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화상 프레임 세트)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고, 편집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수신하고, 화상 프레임들에 대해서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고려하여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재생 시 체감적으로 모션 빠르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중복 시킬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촬영 시 기준 속도보다 빠른 재생 속도로 변환하기 위해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촬영 시 기준 속도보다 느린 재생 속도로 변환하기 위해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중복시킬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62a)는 촬영 종료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편집한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촬영 속도와 다른 재생 속도로 재생되도록 화상 프레임들을 변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0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1), 카메라의 모드를 촬영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S12),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S13),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4),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5),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여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S16),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7)를 포함할 수 있다.
S11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12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촬영 요청의 응답하여, 카메라의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S13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는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 프레임들을 촬영할 수 있다.
S14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된 화상 프레임들을 수신하면서 재생 속도로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5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시점 이후의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가 촬영된 화상 프레임의 미리 보기 화면의 일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S15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의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 동안에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도록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컴퓨팅 장치는 설정된 사용자 입력의 지속 시간 동안에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도록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의 생성 시점은 사용자 입력이 종료되는 시점 또는 사용자 입력의 지속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 일 수 있다.
S16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여 재생 시 체감적으로 모션 빠르기가 변경되는 제2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화상 프레임 세트 및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는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편집할 수 있다. 만약,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되는 재생 속도가 촬영된 기준 속도와 동일한 경우, 컴퓨팅 장치는 화상 프레임들 또는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중복시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촬영된 속도보다 빠른 재생 속도로 변환하기 위해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촬영 속도보다 느린 재생 속도로 변경하기 위해서, 제1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복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프레임의 편집 과정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도 편집될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도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S17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제2 화상 프레임들 또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S17은 촬영 종료 시 1회에 한해서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촬영 시 입력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한 파일로부터 생성된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방법이다.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로부터 생성된 동영상은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되는 재생 속도로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S110),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S120),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S130), 상기 변경율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율이 기준값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중복시켜 출력하는 단계(S14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한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편집 없이 출력하는 단계(S15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스킵(skip)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추출하고, 리드한다. S12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컴퓨팅 장치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속도의 변화 방향 및/또는 변경 크기와 대응되도록 해당 구간의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S13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한다. 변경율은 재생 속도로 변경하기 위한 화상 프레임들의 편집 비율을 말하며, 촬영 속도에 대한 재생 속도의 비율 값의 역수로 산출될 수 있다. 변경율은 빠르게 재생되는 경우에는 기준 값‘1’ 미만의 값으로 설정되고, 느리게 재생되는 경우에는 기준 값 ‘1’ 초과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변경율은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제거하거나 중복되는 프레임의 비율과도 연관된 것으로, 촬영된 시간에 대한 변경된 재생 속도를 통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S141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이 기준 값 ‘1’ 초과의 값인 경우에는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중복시킬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이 기준 값 ‘1’ 초과의 값인 경우에는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중복시켜 복수의 프레임들을 편집할 수 있다. 해당 구간의 화상 데이터는 체감적으로 촬영 시보다 더 느린 재생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S15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51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편집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변경율이 기준 값 ‘1’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편집 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S16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이 기준 값 ‘1’ 미만의 값인 경우에는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이 기준 값 ‘1’ 미만의 값인 경우에는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편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당 구간의 화상 데이터는 체감적으로 촬영 시보다 더 빠른 재생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화상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를 중복시킴으로써, 재생 속도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별도의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110, S120, S130 이후에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10),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BGM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상기 BGM을 기준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S230),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2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속도는 BGM의 원 재생 속도를 말할 수 있다.
S21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S22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와 동기를 이루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변경된 재생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 되지 않은 배경 음악, 나레이션 등인 경우, 컴퓨팅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재생 속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S231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동기를 이루는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되는 오디오 데이터(말소리, 노래 소리, 울음 소리 등)인 경우,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S231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S231은 오디오 데이터를 분절하는 단계(S2311),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변경율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S2312), 다시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S2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311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 일정 길이, 또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 단위로 분절할 수 있다.
S2312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변경율에 따라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S2313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 각각의 재생 시간을 조절한 후,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빠르거나 느려질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고 별도로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 데이터 수신 단계(S310),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S320),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 단계(S330), 동영상 파일 생성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S31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S32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S33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한다. S330의 동작은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 161a)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340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동영상 촬영 인터페이스(A1)를 도 8(a)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A1)는 컴퓨팅 장치(100)의 출력부를 통해 될 수 있다.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미리 보기 화면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출력부의 일 영역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상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i1)이 수신되면,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과 관련된 도 8(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 바(i5)의 형태 일 수 있다. 생성된 속도 조절 바(i5)에 따르면, 기 설정된 제1 방향(예를 들어 화면의 상단)으로 향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해서는 재생 시 모션 빠르기를 빠르게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방향과 반대(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로 향하는 사용자 입력(i1)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 재생 시 모션 빠르기를 느리게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i1)이 이동하는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변경시키게 된다. 속도 조절 바(i5)는 도 8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녹화 중을 알려주는 상태 아이콘(i2, i3) 및 녹화 중지와 대응되는 아이콘(i4)의 위치를 고려하여, 빈 공간(하단 또는 상단)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속도 조절 바(i5)는 미리보기 화면 상에 투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9는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뿐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 역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는 화상 데이터와의 동기 여부에 따라서 변경되기도 하고 변경되지 않기도 한다.
만약, 오디오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와 동기가 맞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도 9(a))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길이 간격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분절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동영상 파일의 촬영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동영상 파일의 촬영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변경율에 따라 체감적으로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 각각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모듈(160, 160a)은 재생 속도(출력 속도)이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합쳐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100a: 컴퓨팅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사용자 입력부 140: 출력부
130: 카메라 150: 저장 매체
160, 160a: 동영상 처리 모듈

Claims (14)

  1. 카메라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되는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와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할 때,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구간의 모션 빠르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구간의 모션 빠르기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된 재생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중복하여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할 재생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는 시간 단위, 프레임 세트 단위, 또는 각 프레임 단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5. 촬영 요청 및 재생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촬영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는 카메라; 및
    동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제1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편집하고,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 및 상기 편집된 제2 화상 프레임 세트를 이용하여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화상 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영상 처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될 때, 상기 제2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구간의 모션 빠르기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상 프레임 세트에 대응하는 구간의 모션 빠르기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6.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에 관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제1 구간의 제1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재생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1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제거하고 나머지 일부의 프레임들을 기준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재생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제1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중복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들을 상기 기준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중에,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재생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전체 구간에서 상기 기준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재생 속도로 일정하게 재생하도록 설정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상기 기준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10. 삭제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70878A 2016-08-19 2018-12-27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31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190 WO2018034371A1 (ko) 2016-08-19 2016-08-19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PCT/KR2016/009190 2016-08-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69A Division KR102065512B1 (ko) 2016-08-19 2017-08-11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82A KR20190000882A (ko) 2019-01-03
KR102131322B1 true KR102131322B1 (ko) 2020-08-05

Family

ID=611966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69A KR102065512B1 (ko) 2016-08-19 2017-08-11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70878A KR102131322B1 (ko) 2016-08-19 2018-12-27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69A KR102065512B1 (ko) 2016-08-19 2017-08-11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4338B2 (ko)
JP (1) JP6943949B2 (ko)
KR (2) KR102065512B1 (ko)
CN (1) CN109845245B (ko)
WO (1) WO2018034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6696B (zh) 2018-07-19 2020-04-14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0388322B1 (en) * 2018-10-29 2019-08-20 Henry M. Pena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US11641439B2 (en) 2018-10-29 2023-05-02 Henry M. Pena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US10404923B1 (en) 2018-10-29 2019-09-03 Henry M. Pena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CN109525886B (zh) * 2018-11-08 2020-07-07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速度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704015B (zh) * 2019-09-29 2020-10-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音频播放的调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67165B1 (ko) * 2020-06-02 2022-02-23 주식회사 에스비에스 촬영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14827695B (zh) 2021-01-21 2023-05-3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03632A1 (en) * 2021-03-17 2022-09-22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569A (ja) * 2000-11-07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ネマ信号作成システム
JP2006093838A (ja) * 2004-09-21 2006-04-06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4091A1 (fr) * 1996-11-29 1998-06-04 Sony Corporation Systeme de montage video et procede correspondant
CN1299501C (zh) 2000-11-07 2007-02-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影像信号制作系统和该系统的影像信号记录播放装置
JP2006180315A (ja) 2004-12-24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撮影装置、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撮影方法、動画再生方法
JP2006279563A (ja) * 2005-03-29 2006-10-12 Pioneer Electronic Corp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54017A (ja) * 2006-12-19 2008-07-03 Sharp Corp カメラ付携帯端末
KR101168991B1 (ko) * 2007-07-04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보상 및 영상 보간을 통한 슬로우 비디오 재생 방법및 장치
WO2009040950A1 (ja) * 2007-09-28 2009-04-02 Fujitsu Limited 音信号制御装置
JP4656168B2 (ja) * 2008-03-05 2011-03-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
EP2304727A4 (en) * 2008-07-04 2013-10-02 Booktrack Holding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D REPRODUCING SOUNDPROGRAMS
JP5245919B2 (ja) * 2009-03-04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21627B2 (ja) * 2009-03-19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データ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750048B1 (ko) * 2009-11-13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속 재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274592B2 (en) * 2009-12-22 2012-09-25 Eastman Kodak Company Variable rate browsing of an image collection
JP5146503B2 (ja) * 2010-09-06 2013-0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処理装置、動画再生装置、動画処理方法、動画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51527A (ja) * 2011-01-14 2012-08-0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US8971689B2 (en) * 2011-09-02 2015-03-03 Nikon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image-audio playback device
JP2013070121A (ja) * 2011-09-20 2013-04-18 Canon Inc システム、撮像装置、提供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32579B2 (en) * 2011-09-23 2014-05-20 Klip, Inc. Rapid preview of remote video content
US8934762B2 (en) * 2011-12-09 2015-01-13 Advanced Micro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tering video playback speed
CN103208298A (zh) * 2012-01-11 2013-07-1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摄像方法及系统
JP5889690B2 (ja) * 2012-03-27 2016-03-2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管理サーバ
CN104205812B (zh) * 2012-05-30 2017-07-1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
CN103517124B (zh) * 2012-06-29 2016-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
US20140193140A1 (en) * 2012-08-13 2014-07-10 Iconic Sport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low motion display, analysis and/or editing of audiovisu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10187605B2 (en) * 2012-08-16 2019-01-22 W. Eric Blayney Broadcasting/transmission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4086869A (ja) * 2012-10-23 2014-05-12 Nik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2014154908A (ja) * 2013-02-05 2014-08-25 Marvelous Aql Inc 動画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66150B1 (ko) * 2013-06-21 2014-02-25 (주)티비스톰 동영상 재생속도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0397630B2 (en) * 2013-07-26 2019-08-27 Veaver, Inc. Apparatus for providing, editing and playing video contents and the method thereof
JP2015122731A (ja) * 2013-11-19 2015-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及び動画再生方法
JP6102825B2 (ja) * 2014-05-30 2017-03-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データ再生装置、動画データ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05416A (ko) * 2014-07-07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50770B1 (ko) * 2014-12-16 2022-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269674A1 (en) * 2015-03-09 2016-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Video Capture Rate Control
KR20170013083A (ko) * 2015-07-27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847857A (zh) * 2016-03-07 2016-08-10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倍速播放视频时处理音频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569A (ja) * 2000-11-07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ネマ信号作成システム
JP2006093838A (ja) * 2004-09-21 2006-04-06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8622A (ja) 2019-10-10
KR20180020899A (ko) 2018-02-28
KR20190000882A (ko) 2019-01-03
CN109845245B (zh) 2021-10-22
KR102065512B1 (ko) 2020-01-10
CN109845245A (zh) 2019-06-04
JP6943949B2 (ja) 2021-10-06
WO2018034371A1 (ko) 2018-02-22
US20190237104A1 (en) 2019-08-01
US11024338B2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322B1 (ko)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26018B1 (ko) 동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
JP5522894B2 (ja) 動画のフレーム情報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動画を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US11438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KR20210082232A (ko) 실시간 비디오 특수 효과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807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연결 방법
CN106027893A (zh) 控制Live Photo生成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9042183A1 (zh)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394315A (zh) 一种拍摄图像的方法
JP6400293B2 (ja) 電子装置でコンテンツを制御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8002791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60718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16746A (ko) 단일 클릭에 기초한 비디오 클립의 시작 및 종료점의 결정
KR10059766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재생방법
KR102066857B1 (ko) 객체 영상 트랙킹 스트리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법
JP2008020944A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101984490B1 (ko)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9046A (ko) 동영상 콘텐트에 포함된 블랙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59297B1 (ko) 동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22681B1 (ko) 동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7102826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160012295A1 (en) Image processor, method and program
US20200267338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4297618A (ja) 画像抽出方法および画像抽出装置
JP200804245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