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48B1 -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48B1
KR102130948B1 KR1020157014195A KR20157014195A KR102130948B1 KR 102130948 B1 KR102130948 B1 KR 102130948B1 KR 1020157014195 A KR1020157014195 A KR 1020157014195A KR 20157014195 A KR20157014195 A KR 20157014195A KR 102130948 B1 KR102130948 B1 KR 10213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device
sealing material
sea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902A (ko
Inventor
미카엘 스팔렉
카를 쾌펠
Original Assignee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7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31Permanent type, e.g. welded or glu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6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65D1/095Ampoule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2Ethene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용기(1) 및/또는 상기 용기(1) 위에 위치된 밀폐 캡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용기 부품으로 구성되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용기(1)의 내부는 매체를, 특히 주사기 바늘과 같은 제거 장치에 의해 상기 용기(1)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살균 방식으로 병에 담긴 유체 형태로,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를 위해 상기 제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재료(9)를 관통하고,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1) 및/또는 용기 부품들에 연결된다. 상기 밀봉 장치는 상기 각각의 밀봉 재료(9)가 상기 용기(1)의 외부(7) 상에 그리고/또는 주변 환경과 대면하는 용기 부품들 상에 배열되는 것과, 또한 상기 각각의 밀봉 재료(9)가 상기 용기(1)의 외부(7)에 그리고/또는 용접 및/또는 접착 결합 연결부에 의해 상기 주변 환경과 대면하는 용기 부품들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SEALING ARRANGEMENT AND CONTAINER ASSOCIATED WITH SAME}
본 발명은 용기 상에 위치된 밀폐 캡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부품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용기의 내부는 매체를 특히 살균 방식으로 병에 담긴 유체 형태로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매체는 주사 바늘과 같은 제거 장치에 의해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제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재료를 관통하고,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 및/또는 용기 부품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은 밀봉 장치가 배치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주사기 바늘 또는 맨드릴과 같은 캐뉼라에 의해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특히 살균 방식으로 병에 담겨진 유체를 함유하는 용기들이 예를 들면 앰플 또는 정맥주사용 용기(infusion bottle) 형태로 특히 의료 용례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의료 용례의 경우, 제품이 오직 폴리머와 접촉하므로, 액체 충진 설비(blow-fill-seal) 또는 공지된 bottelpack®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용기들이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열악한 주변 환경 상황 하에서의 오랜 저장 기간 동안에서조차, 상기 용기들은 세균성 오염에 대한 높은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플라스틱 제품들은 예를 들면 US 5,897,008 A 또는 EP 2 269 558 A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제품들이 삽입 가능한 캐뉼라 또는 삽입 가능한 맨드릴에 의해 제거될 때, 그와 같은 BFS 용기들에 사용된 폴리오레핀이 거의 관통 부위를 신뢰 가능하게 충분히 밀봉할 정도로는 탄성적이지 않기 때문에, 초기 개방 이후 상기 용기들을 재밀봉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그와 같은 용기들은 오직 일회용 사용에 적합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무로 제조된 삽입 부품들 또는 스토퍼들이 의료 목적으로 의도된 BFS 용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한편으로, 상기 제조 공정은 실제 더욱 고비용으로 제조되며 또한 그와 같은 삽입으로 인해 지체된다. 또한, 상기 제품에서 낮은 박테리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고무 부품들을 살균할 필요성이 있다. 저장 기간 동안 조차, 제품이 삽입 부품과 접촉한다는 사실에서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 문헌 US 5,467,878 A, EP 0 721 897 A1, DE 2 844 206 C2 및 DE 2 327 553 A1은 고무 삽입체를 갖고, 또한 용기 헤드 위로 가압되고 기계적 고정에 의해 병의 목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캡들을 갖는 용기들에 대해 공개하고 있다. 상기 고무 삽입체가 오직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만 상기 가요성의 얇은 용기벽 위에 압착되므로, 설계의 결과로서 항상 갭이 존재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세균성 오염, 박테리아 성장, 곰팡이류 등이 이 공간에서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물은 상기 용기 헤드가 관통될 때 용기 내로 진입되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모세관 작업의 결과로서 흡입 공정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삽입체와 용기 헤드 사이의 공간 안으로 진입될 수 있다.
고무 삽입물들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술된 일반 타입의 용기가 EPO 364 783 A1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고무 재료보다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제조된 밀봉 재료가 캡에 고정적으로 제공되며, 결국 상기 캡의 밀봉 재료가 상기 용기의 벽 영역을 따라 꼭 맞게 정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재료는 관통 부위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헤드와 상기 밀봉 재료 사이의 캐비티 또는 갭을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회피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유체는 얇은 갭에 의해 생성되는 모세관 작용의 결과로서 흡입 공정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갖게 된다. 상기 용기 헤드 및 밀봉 재료의 접촉면의 살균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용물들도 또한 대상이 되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이 또한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용기 시스템들은 오직 오토클레이브 공정의 높은 온도(115℃ 내지 132℃)에 대해 내성을 가질 수 있는 열적으로 안정된 제품에만 적합하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살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균성 부하에 대항하여 증가된 보전성을 제공하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체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밀봉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캡과 같은, 상기 용기 또는 용기 부품의 외부에 용접 또는 결합 연결된 연결부의 결과로서, 상기 갭이 종래 기술에서의 대응하는 해법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봉 재료의 접촉면 상에 형성된다는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밀봉 재료는 접촉 압력에 의해 할당된 접촉면에 대항하여 꼭 맞게 압착된다. 따라서, 갭을 따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한 박테리아 이동의 결과로서의 오염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밀봉 재료는 적합하게도 충진재 없이 그리고 적합하게는 접착제 없이 상기 용기의 외벽에 고정식으로 용접된다.
특히, 상기 구성은 상기 각각의 밀봉 재료가 상기 외벽 상에 직접 안착되고, 상기 외벽은 어떠한 공간도 갖지 않도록 또한 상기 외벽에 대해 안착되는 용기 또는 용기 부품과 마주하는 상기 밀봉 재료의 완전 접촉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유익한 방식에 있어서,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되며, 적합하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밀봉 재료로서 사용된다.
블로(blow), 충진 및 밀봉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용기의 경우, 상기 밀봉 재료는 적합하게도 상기 용기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 상기 용기에 도포된다.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조립체가 배치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각각의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의 외부 상에 또는 주변 환경과 대면하는 용기 부품들 상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각각의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그리고/또는 용접 및/또는 접착 결합 연결부에 의해 상기 주변 환경과 대면하는 용기 부품들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유리한 장점으로서, 디스크형 몸체 형태의 밀봉 재료가 재료적으로 집적된 결합으로 상기 용기벽의 외부에 연결되고, 그의 내부는 살균 방식으로 병에 담길 각각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밀봉된 용기에 인접된다. 플라스틱 용기 및 열가소성 밀봉 재료의 경우에 있어서, 재료적으로 통합된 본드에서의 연결부가 열적 접합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접합 요소들이 상기 재료들의 연화 거동에 따라 조절되는 온도, 예를 들면 200℃ 범위의 온도에서 용접되며, 양 부품들은 적절히 가열된 다음 서로에 대해 간단히 압착된다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밀봉 재료를 상기 용기 또는 그의 부품들에 연결하기 위해 대응하는 마찰-용접 접합부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특히 상기 접촉면의 표면들은 열가소성 밀봉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양쪽 용기 헤드가 동시에 살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목부에 의해 상기 용기의 주요부에 연결되는 용기 헤드를 가지며, 상기 용기 헤드는 제거 절차를 위해 관통될 수 있는 벽부를 가지며,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 헤드 상에 제공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는 보호 필름이 상기 밀봉 장치의 외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필름은 제 1 관통 이전에 제거될, 상기 보호 필름은 품질 봉인(seal of quality)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에 연결되는 상기 용기 헤드의 상기 벽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만곡부를 가질 때, 상기 밀봉 재료의 상기 몸체의 상기 외부는 적절하게 유사 만곡부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는 상기 용기 헤드의 외부 윤곽과 연속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밀봉 재료의 상기 몸체의 외부는 환상 공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환상 공간은 중심의 비-리세스 영역으로 동심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적층 재료의 몸체 외부의 다른 윤곽 형성으로서 천공될 실제 영역에서 예를 들면 홈통형 오목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 재료의 상기 몸체를 측면으로 둘러싸는 플라스틱 링이 제공되며, 상기 링은 상기 용기 헤드 및/또는 상기 용기의 주요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플라스틱 링은 상기 용기 헤드 및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 위에 주조 또는 몰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종류의 플라스틱 링은 또한, 예를 들면 캐치 기구(catch mechanism), 용접 접합 또는 리베팅에 의해, 상기 용기 헤드에 대한 기계적인 고정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링은 캐치 기구로서 상기 용기 헤드 상의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에지 영역 뒤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경우, 상기 용기의 주요부와 상기 용기 헤드 사이의 전이부에 견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링은 캡 방식으로 상기 용기 헤드 위로 오버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견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는 상기 캡형 플라스틱 링이 실린더 형태로 상기 밀봉 재료의 상기 몸체를 위한 밀폐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몸체를 지나 축상 외향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실린더의 원통벽은 예를 들면 EP 1 847 242 A1으로부터 공지되는 바와 같은 장탈 어댑터를 위한 연결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 용기를 관통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특히 유리한 방법에 있어서, 그와 같은 종류의 실린더의 외부 단부는 또한 그 위에 형성된 커버를 가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커버 상에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괴점을 형성하며, 이어서 통합부로서 탭이 형성되어, 각각의 미리 결정된 파괴점에서 상기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청구항 1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장치를 위한 밀봉 재료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밀봉 재료는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제공되고, 상기 밀봉 재료는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블록형 밀봉 재료는 또한 상기 용기와는 별도로 생산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대응하는 블록이 최종 및 충진된 용기를 패키징할 때 포함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용기가 사용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와 접착 본드의 사용을 통해 밀봉 재료의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밀봉 재료의 블록이 각각의 용기에 대한 분리 가능한 접착 결합 연결부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경우, 예를 들면 6개의 용기형 앰플들을 갖는 앰플 팩을 밀봉 재료의 오직 하나의 블록을 갖는 퍼티(putty)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제거 절차를 위해 분리 가능한 접착 결합 연결부 위로 상기 각각의 앰플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앰플 용기의 사용 후에, 밀봉 재료의 상기 블록은 선행하는 용기로부터 제거된 후 다른 제거 절차를 위해 다시 다음의 앰플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청구항 2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청구항 제 6 항 내지 청구항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 사용되는 밀봉 재료가 항균성 첨가제를 함유할 때, 상기 밀봉 재료의 외부면은 또한 연장 기간 이상 동안 낮은 세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밀봉 재료의 관통 부위가 맨드릴 또는 캐뉼라의 삽입 전에 살균될 필요가 없다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들에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예시적 실시예의 용기 헤드에 인접한 영역만을 나타낸, 실제 실시예와 비교해서 확대도로서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을 축소하여 원근법으로 도시한 경사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2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3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4 예시적 실시예의 용기 헤드에 인접한 영역만을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
도 8은 제 4 예시적 실시예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5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6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7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제 8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9 예시적 실시예의 용기 헤드의 영역에서의 부분 절삭된 측면도.
도 18은 도 17과 유사한, 제 10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제 9 예시적 실시예의 헤드 영역만을 확대도로서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0과 유사한, 도 18의 제 10 예시적 실시예의 헤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주사용 캐뉼라를 직접 삽입함으로써 제품을 제거하기 위한, 정맥주사용 용기 또는 작은 치수의 앰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용기와 같은, 용기들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정맥주사용 용기를 사용할 때, 제품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 맨드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들은 예를 들면 공지된 bottelpack® 시스템에 따른 공지된 액체 충진 설비 방법에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따라서 낮은 또는 높은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2는 오직 상단부 섹션만 도시된, 도면부호 1로 표시되는 용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제 1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좁은 원형 원통형 목부(3)가 타원형 윤곽을 갖는 상기 용기의 주요부에 연결되며, 이어서 상기 목부는 용기 헤드(5) 내로 전이되어, 상기 용기 헤드(5)의 상부 단말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 헤드의 상부 측면에는 외향으로 약간 만곡되는 벽 영역(7)을 가지며, 상기 영역은 제거 절차 동안 상기 용기벽의 관통을 위해 천공될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디스크형 몸체(9) 형태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제조되는 밀봉 재료가 상기 벽 영역(7)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몸체(9)는 용기 재료와 비교할 때 증가된 탄성을 갖는 폴리머로 제조되어, 관통 부위가 고무로 제조되는 밀봉 요소의 경우에 발생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재밀봉된다. 상기 몸체(9)의 재료의 경우는, 예를 들면, Santoprene®181-55MED, Laprene®SEBS, Thermolast®TM 3RST 등과 같은, 낮은 또는 높은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벽 영역(7)에 대한 상기 몸체(9)의 분리 불능형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벽 영역 및 상기 몸체(9)의 접촉면은 약 200℃ 범위의 연화 온도로 가열되고, 서로에 대해 압박되어, 재료적으로 통합된 본드에서의 분리 불능형 연결부가 형성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호 필름(11)이 상기 몸체(9)의 상부면에 분리식으로 제공되며, 상기 용기의 초기 사용을 위해 돌출 탭(13)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1)의 상부면에는 예를 들면 최초 밀봉을 대표하는 마킹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필름(11)에 의해 커버된 상기 몸체(9)의 상부면은 상기 용기 헤드(5)의 벽 영역(7)과 같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만곡된다. 도 1 및 도 2의 예들에서, 상기 디스크형 몸체(9)는 측면 볼록부(15) 근방까지 거의 전체 벽 영역(7)을 커버하며, 그 결과, 상기 용기 헤드(5)의 직경은 상기 목부(3)의 직경과 비교할 때 확대된다.
도 3 및 도 4의 제 2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목부(3)가 볼록부 없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 용기 헤드(5) 내로 전이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 1 예시적 실시예와는 다르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밀봉 재료(TPE)의 몸체(9)와의 분리 불능형 연결을 위한 외부의 만곡된 벽 영역(7)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예와 비교할 때 추가의 차이점은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9)가 주축(17)과 동심인 오목부(19)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외향으로 분기되는 경사 측벽들을 갖는 홈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오목부(19)는 상기 몸체(9)에서 절개될 영역을 형성하고, 감소된 벽 강도를 갖는 반면, 상기 몸체(9)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용기 헤드(5)에서 벽 영역(7)의 외부 에지에 대한 어떠한 오목부 없이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의 제 3 예시적 실시예는 목부(3)에 연결된 볼록부(15)로부터 시작해서, 용기 헤드(5)가 벽 섹션(7)까지 상향으로 실린더부(21)에 의해 연장된다는 점에서 이전의 예들과는 다르다.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9)는, 상기 오목부(19)가 상기 축(17)에 동심원인 환상 공간 형태로 설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외형과 윤곽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의 예에 대응한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제 4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용기 헤드(5) 및 목부(3)의 설계면에서 도 3 및 도 4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응한다. 그들을 비교할 때 차이점은 밀봉 재료의 몸체(9)가 상기 용기 헤드(5)에 있는 관련 벽 영역(7)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상기 몸체(9)는 상기 몸체(9)의 외부와 상기 벽 영역(7)의 외부 에지 사이의 영역에서 플라스틱 링(23)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몸체(9)의 밀폐부는 제조 공정 동안 용이하게 조작된다.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상기 몸체(9)에 결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재료적으로 통합된 본드에서, 상기 용기 헤드(5)의 상기 벽 영역(7)에 대한 상기 몸체(9)의 연결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종국적으로 상기 용기 헤드(5)에 용접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목부(3), 볼록부(15) 및 용기 헤드(5)의 설계가 도 5 및 도 6의 예에 대응하는 제 5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7 및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9)는 도 7 및 도 8 예의 경우와 같이 플라스틱 링(23)에 의해 둘러싸인다. 오목부(19)가 도 3의 오목부(19)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몸체(9)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며, 도 9에서, 리세스는 상기 몸체(9)의 외부 에지 근방까지 개방된다.
도 11 및 도 12는 목부(3) 및 용기 헤드(5)의 설계가 도 3 및 도 4의 예에 대응하는 제 6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러나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9)는 상기 용기 헤드(5)의 벽 영역(7)과 비교할 때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밀폐부로서 제공된, 상기 플라스틱 링(23)의 내경은 대응하여 감소되는 반면, 상기 플라스틱 링(23)의 외경은 상기 링이 상기 벽(7)의 에지 위로 연장하고 상기 용기 헤드(5) 너머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확대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3)의 추가적인 측면 정착이 수행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 7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목부(3)는 다시 상기 볼록부(15)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 헤드(5)는 상기 볼록부에 직접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2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밀봉 재료의 몸체(9)는 상기 용기 헤드(5)의 직경과 비교할 때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둘러싸인 플라스틱 링(23)은 일종의 캡을 형성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와 비교할 때 확대되며, 그의 외부 에지(25)는 상기 플라스틱 링(23)을 위한 스냅 또는 로킹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목부(3)의 단부에서 상기 볼록부(15) 위로 돌출한다.
도 15 및 도 16의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 목부(3), 볼록부(15) 및 용기 헤드(5)의 형상은 도 13 및 도 14의 예에 대응한다. 그러나, 둘러싸인 플라스틱 링(23)은 캡형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 실린더(27)를 사용하여 확대되어, 실린더 단부가 상기 용기(1)의 주요부와 상기 목부(3) 사이의 전이부에 형성되는 견부(29)에 대해 안착된다. 상기 실린더 단부는 예를 들어 접착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견부(2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는 제 9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선행하는 도 15 및 도 16의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외부 실린더(27)를 갖는 캡형 방식으로 확대되며, 상기 용기(1)의 주요부 상의 견부(29)로 연장한다. 목부(3), 볼록부(15) 및 용기부(5)는 도 15 및 도 16의 예에 대응한다. 그러나, 거기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플라스틱 링(23)은 몸체(9)를 너머 축방향으로 상향 돌출하는 실린더(31) 형태로 밀봉 재료의 몸체(9)를 위한 밀폐부를 형성하며, 보호 필름(11)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33)을 갖는다(도 19 참조). 상기 돌출부들(33)을 갖는 상기 실린더(31)의 돌출 벽은 공지된 장탈 어댑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20의 제 10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실린더(31)의 상단부 상의 보호 필름(11) 대신에 통합 부품으로서 보호 커버(35)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7 및 도 19의 예와 다르며, 이 경우 미리 결정된 파괴점(37)(도 20)이 형성되고, 제거 절차를 위해 상기 커버(35)를 절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를 보다 용이하게 절개시키기 위하여, 핸들로서 작용하는 링(39)이 상기 커버(35) 상의 연결 탭(41) 위에 형성된다.
저-세균성 표면을 얻기 위하여, 생성되는 동안, 예를 들면 폴리원(Poly One)사의 Stand® 또는 가부리엘 케미(Gabriel Chemie)사의 HP 7A 4000 AM과 같은, 항균성 첨가제가 상기 몸체(9)의 밀봉 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9) 상의 관통 부위는 더 이상 맨드릴 또는 캐뉼라에 의해 상기 부위를 관통하기 전에 살균되어야 할 필요성이 없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 주변 환경과 대면하는 상기 용기의 외측의 벽부(7) 상에 위치하고 상기 벽부와 재료적으로 집적된 결합으로 연결되는 밀봉 재료를 구비하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는 살균 방식으로 병에 담긴 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품은 제거 장치에 의해 상기 용기(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거 장치는 상기 밀봉 재료를 관통하고, 상기 용기는 블로 몰딩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살균 방식으로 충진 및 밀봉되고, 상기 벽부(7)는 관통 영역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거 장치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밀봉 재료는 제거 공정 동안 상기 벽부에 형성되는 관통 부위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용기와 별도로 생산되고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 형태로 생산되며,
    상기 밀봉 재료는 용접 및/또는 접착 결합 연결부에 의해 상기 관통 부위로서 제공되는 상기 용기의 벽부(7)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는 충진재 없이 상기 용기의 벽부(7)에 고정식으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는 상기 벽부 상에 공간을 두지 않고 안착하되, 상기 몸체의 전체 접촉면은 상기 용기(1)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틱이 밀봉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목부(3)에 의해 상기 용기(1)의 주요부에 연결되는 용기 헤드(5)를 가지고, 상기 용기 헤드는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 뿐만 아니라 제거 절차를 위해 관통 영역으로서 관통될 수 있는 상기 벽부(7)를 가지며,
    상기 용기(1)의 주요부는 상기 제품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 상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보호 필름(11)이 상기 밀봉 장치의 외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에 연결되는 상기 용기 헤드(5)의 상기 벽부(7)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의 외측은 상기 용기 헤드(5)의 상기 벽부(7)의 상기 만곡부에 대응되는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의 외측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9)는 중심의 비-리세스 영역으로 동심적으로 연장하는 환상 공간(19)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를 측면으로 둘러싸는 플라스틱 링(23)이 제공되며, 상기 링은 상기 용기 헤드(5) 및/또는 상기 용기(1)의 주요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상기 용기 헤드(5) 상의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에지 영역(15) 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상기 용기(1)의 주요부와 상기 용기 헤드(5) 사이의 전이부에 견부(29)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캡 방식으로 상기 용기 헤드(5) 위로 오버랩하고 그리고 상기 견부(2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3)은 실린더(27) 형태로 상기 몸체(9)를 위한 밀폐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몸체(9)를 지나 축상 외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밀봉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거 절차를 위한 관통 부위로서 제공되는 용기의 벽부(7) 및 용접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 형태의 밀봉 재료 사이에 재료적으로 집적된 결합에 의한 분리 불가능한 결합부가 접합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합 공정에서 재료적으로 집적된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접합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상의 접촉면은 상기 접합 요소들이 용접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압착되기 전에 적어도 살균 온도로 가열되는 밀봉 장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항균성 첨가제가 함유되는 밀봉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제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는 캐뉼라 또는 주사기 바늘인, 밀봉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또는 디스크형 몸체(9)는 충진재 없이 그리고 접착제 없이 상기 용기의 벽부(7)에 고정식으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9. 제 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밀봉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제조 방법.
  21. 삭제
KR1020157014195A 2012-10-31 2013-09-11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 KR102130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21525 DE102012021525A1 (de) 2012-10-31 2012-10-31 Dichtungsanordnung sowie einer solchen zugeordneter Behälter
DE102012021525.8 2012-10-31
PCT/EP2013/002730 WO2014067597A1 (de) 2012-10-31 2013-09-11 Dichtungsanordnung sowie einer solchen zugeordneter 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02A KR20150079902A (ko) 2015-07-08
KR102130948B1 true KR102130948B1 (ko) 2020-08-05

Family

ID=4917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195A KR102130948B1 (ko) 2012-10-31 2013-09-11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098814B2 (ko)
EP (1) EP2914507B1 (ko)
JP (1) JP6251280B2 (ko)
KR (1) KR102130948B1 (ko)
CN (1) CN104870329B (ko)
AU (1) AU2013339810B2 (ko)
BR (1) BR112015009372B1 (ko)
CA (1) CA2888637C (ko)
DE (1) DE102012021525A1 (ko)
ES (1) ES2638167T3 (ko)
HK (1) HK1211274A1 (ko)
MX (1) MX361001B (ko)
PL (1) PL2914507T3 (ko)
PT (1) PT2914507T (ko)
RU (1) RU2643432C2 (ko)
SG (1) SG11201503385XA (ko)
WO (1) WO2014067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1182A1 (de) * 2013-01-24 2014-07-24 Bernd Hans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uftraggeräts
DE102014008611A1 (de) * 2014-06-06 2015-12-17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nis
EP3274266B1 (de) * 2015-03-27 2020-04-22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 behältnis zum aufnehmen einer medizinischen flüssigkeit
DE102015006489A1 (de) * 2015-05-22 2016-11-2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MX2018012967A (es) 2016-04-25 2019-03-06 Koska Family Ltd Sistema de suministro medico.
DE102016009594A1 (de) 2016-08-06 2018-02-08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schlusses bei einem aus Kunststoff hergestellten Behälter
DE102017000048A1 (de) * 2017-01-05 2018-07-0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er
DE102017002401A1 (de) * 2017-03-07 2018-09-13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系统和方法
US11058605B2 (en) * 2018-03-08 2021-07-13 Flex Ltd. Sterilization fluid path with barrier removal
DE102018124115A1 (de) * 2018-09-28 2020-04-02 Schott Schweiz Ag Primärpackmittel für pharmazeutische Substanzen
DE102018007993A1 (de) 2018-10-08 2020-04-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Dichtungsanordnung mit zugeordnetem Behälter und einem Dichtstoff
CN115361983A (zh) * 2020-04-05 2022-11-18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预填充医疗输送装置的系统和方法
DE102020208146A1 (de) 2020-06-30 2021-12-30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Kappe für medizinischen Fluidbehälter, Ansatzteil für Kappe, System umfassend Kappe und Ansatzteil, medizinischer Fluidbehälter, System umfassend medizinischen Fluidbehälter und Ansatzteil,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uidbehälters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304A (ja) * 1999-05-28 2003-01-07 ノボ ノルディス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医療用容器のための射出成形されたスト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860A (en) * 1963-10-30 1967-06-20 Hansen Gerhard Moulding and sealing machines
AU1031270A (en) * 1969-01-17 1971-07-15 Tasman Vaccine Laboratory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stic bottles andthe luce
FR2085227B1 (ko) * 1970-02-26 1974-08-09 Labaz
JPS5033388Y1 (ko) * 1970-09-18 1975-09-29
DE2844206C2 (de) 1978-10-11 1984-11-08 Matthias Faensen Kleinmetallwarenfabrikation, 5190 Stolberg Schutzkappe
JPS5841964Y2 (ja) * 1979-05-18 1983-09-22 テルモ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薬液容器
DE3149780A1 (de) * 1981-12-16 1983-06-30 Gerhard 7166 Sulzbach-Laufen Hansen Behaelter, insbesondere flasche aus kunststoff
US4657152A (en) * 1985-11-27 1987-04-1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Thermoplastic foam fitment
DE3835720A1 (de) 1988-10-20 1990-05-03 Wimmer Pharma Gummi Gmbh Verschluss fuer eine medikamentenflas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verschlusses
US5230427A (en) * 1991-06-12 1993-07-27 Ppg Industries, Inc. Sterilizable hermetically-sealed substantially glass container
JP3048736B2 (ja) * 1992-03-17 2000-06-05 株式会社大協精工 医薬品用栓体
DE4230645C2 (de) 1992-09-12 1996-03-07 Bernd Hansen Ampulle
DE4231750C1 (de) * 1992-09-23 1994-03-10 Pohl Gmbh & Co Kg Infusionsflasche aus Kunststoff
DE4238682A1 (de) 1992-11-17 1994-05-19 Pohl Gmbh & Co Kg Infusionsflasche
US5395365A (en) * 1993-03-22 1995-03-07 Automatic Liquid Packaging, Inc. Container with pierceable and/or collapsible features
DE4309738C1 (de) * 1993-03-25 1994-10-13 Pohl Gmbh & Co Kg Verschlußkappe
JP2702059B2 (ja) * 1993-07-09 1998-01-21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輸液容器の口部閉塞方法
DE9317644U1 (de) * 1993-11-18 1994-01-27 Wimmer Pharma Gummi Gmbh Verschlußkappe
DE19500460A1 (de) 1995-01-10 1996-07-11 Pohl Gmbh & Co Kg Anordnung an Infusionsflaschen oder dergleichen
EP0763476A1 (de) * 1995-09-13 1997-03-19 Pohl GmbH Kappenverschluss für einen Behälter
DE19620169A1 (de) * 1996-05-20 1997-11-27 Pohl Gmbh Äußere Verschluß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JPH11169431A (ja) * 1997-12-10 1999-06-29 Naigai Kasei Kk 医療用キャップ
US6681475B2 (en) 1998-04-20 2004-01-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of sealing a medical container with a plastic closure
DE10311154A1 (de) * 2003-03-14 2004-09-23 Helvoet Pharma Belgium N.V. Für pharmazeutische Verwendung dienende Überkappe mit Verschlussstopfen
KR20060010822A (ko) * 2003-05-22 2006-02-02 오스카 파마슈티칼 팩토리 인코포레이티드 밀봉체와 그것을 구비하는 캡 및 의료용 용기
US20080131842A1 (en) * 2003-10-14 2008-06-05 Steven Joseph Edwards Multiple grip dental handle
EP1847242B1 (en) 2005-02-08 2015-06-17 Toyo Seikan Kaisha, Ltd. Sterile packag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duction apparatus
CA2722551C (en) 2008-04-25 2015-10-20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Plastic ampule
JP5758098B2 (ja) * 2010-09-17 2015-08-05 株式会社大協精工 医薬品バイアル用ゴム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304A (ja) * 1999-05-28 2003-01-07 ノボ ノルディス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医療用容器のための射出成形されたストッ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5977A1 (en) 2015-10-29
SG11201503385XA (en) 2015-06-29
EP2914507B1 (de) 2017-05-31
WO2014067597A1 (de) 2014-05-08
ES2638167T3 (es) 2017-10-19
BR112015009372B1 (pt) 2021-02-23
BR112015009372A2 (pt) 2017-07-04
CA2888637A1 (en) 2014-05-08
CN104870329A (zh) 2015-08-26
RU2015117239A (ru) 2016-12-20
HK1211274A1 (en) 2016-05-20
JP6251280B2 (ja) 2017-12-20
PL2914507T3 (pl) 2017-10-31
KR20150079902A (ko) 2015-07-08
MX2015005247A (es) 2015-07-14
JP2016501786A (ja) 2016-01-21
PT2914507T (pt) 2017-07-12
MX361001B (es) 2018-11-23
US10098814B2 (en) 2018-10-16
CN104870329B (zh) 2018-01-05
EP2914507A1 (de) 2015-09-09
DE102012021525A1 (de) 2014-04-30
AU2013339810B2 (en) 2017-10-12
CA2888637C (en) 2019-12-17
RU2643432C2 (ru) 2018-02-01
AU2013339810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948B1 (ko) 밀봉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용기
EP2455210B1 (en) Plastic ca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A2677286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for receiving medical liquids, and container for receiving medical liquids
CN109562573B (zh) 用于在塑料制成的容器中制造封闭部的方法以及一种容器
CA2956332C (en) Container having a head piece, which container can be or is filled with a medium
US9731872B2 (en) Closure cap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US11376192B2 (en) Plastic container product
JP2001129055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KR200391368Y1 (ko) 주사제용 수액용기에 결합되는 밀봉장치
WO2009141326A1 (en) Perforable closure for a container
JP2017042964A (ja) 栓体付き薬液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