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16B1 -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 Google Patents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16B1
KR102130916B1 KR1020190053648A KR20190053648A KR102130916B1 KR 102130916 B1 KR102130916 B1 KR 102130916B1 KR 1020190053648 A KR1020190053648 A KR 1020190053648A KR 20190053648 A KR20190053648 A KR 20190053648A KR 102130916 B1 KR102130916 B1 KR 10213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ain body
guide groove
coupling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환철
Original Assignee
양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환철 filed Critical 양환철
Priority to KR102019005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회용기 내부에 온도가 높은 음식물에 의해 스팀이 배출될 때 일회용기의 특정위치로만 스팀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스팀 배출시에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 ∩ " 형태의 단면 형상의 제1결합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제1결합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본체의 제1결합테두리 상부에는 제1결합테두리의 경로를 따라 안쪽 일정구간에 제1스팀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disposable vessel for easy discharge of steam}
본 발명은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회용기 내부에 온도가 높은 음식물에 의해 스팀이 배출될 때 일회용기의 특정위치로만 스팀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스팀 배출시에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해먹지 않고, 음식점 배달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정에서 배달을 통해 전달받는 음식은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기에 담겨있는 형태로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기는 대부분 음식물이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덮는 형태의 덮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와 덮개의 맞물림에 의해 내부에 있는 음식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회용기의 특성상 비용절감을 위해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회용기에 고온의 음식물이 수용될 경우, 음식물에 의해 스팀이 발생하면서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스팀은 일정 압력이상이 되면 본체와 덮개 사이에 틈새를 만들면서 배출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틈새로 인해 본체와 덮개가 분리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그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온의 음식물에 담겨있는 일회용기를 집어서 들어올릴 때, 용기를 누르게 되어 갑작스럽게 스팀이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스팀은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일회용기 테두리 전체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를 잡고 있는 손에 스팀이 전달되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8-0044042호(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내부 용기부재, 내부에 상기 내부 용기부재가 삽입되는 용기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단열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된 외부용기부재, 상기 내부 용기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내부본체, 외부용기, 덮개부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용기 내부에 고온의 음식물이 수용될 때 스팀배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구성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덮개분리되는 문제점과 스팀배출시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와 덮개 사이에 스팀배출을 유도하는 구성을 추가하여 용기 내부에 높은 온도의 음식물이 수용될 때 스팀이 특정 위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전반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손으로 스팀이 닿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 ∩ " 형태의 단면 형상의 제1결합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제1결합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본체의 제1결합테두리 상부에는 제1결합테두리의 경로를 따라 안쪽 일정구간에 제1스팀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결합테두리는 메인본체의 형상에 맞게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스팀안내홈은 곡선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와 덮개 사이에 결합되어 별도의 공간부를 갖는 내부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본체는 " ∩ "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결합테두리가 형성되어 제1결합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본체의 제2결합테두리 상부에는 제1스팀안내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스팀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팀안내홈은 제1스팀안내홈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제2스팀안내홈의 반대편에 돌출된 부분이 제1스팀안내홈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외측에는 메인본체의 하단부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본체의 결합테두리 상에 스팀배출이 특정위치로 이루어지도록 한 스팀안내홈을 형성하여, 스팀배출과정에서 용기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덮개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집을 때 일반적으로 손으로 잡지않는 부분으로 스팀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팀 배출시 손에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본체에 형성된 제1스팀안내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메인본체와 내부본체 사이로 스팀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덮개에 형성된 지지단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덮개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 안착홈에 내부본체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 ∩ " 형태의 단면 형상의 제1결합테두리(11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100)와, 상기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부(210)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200);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 상부에는 제1결합테두리(110)의 경로를 따라 안쪽 일정구간에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인본체(100)와 덮개(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어, 약간의 유연성을 띄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메인본체(100)는 상향 개구된 형태로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테두리부분에는 " ∩ " 형태의 단면 형상의 제1결합테두리(110)가 형성되어 덮개(200)의 결합홈부(210)에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어 밀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에는 제1스팀안내홈(111)이 일정구간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경로 안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일회용기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결합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팀의 배출방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스팀배출과정에서 전체적으로 틈새가 벌어지면서 덮개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은 제1결합테두리(110)에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결합구조의 차이점이 있다. 즉,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된 부분은 밀폐폭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된 부분으로 먼저 이동하면서 제1스팀안내홈(111)으로 스팀이 모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더 높아지게 되면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된 부분이 일시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부분으로만 스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본체(100)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결합테두리(110)는 메인본체(100)의 형상에 맞게 직선구간(120) 및 곡선구간(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곡선구간(130)은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곡선구간(130)에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스팀안내홈(111)이 곡선구간(130)에 형성되는 이유는 곡선구간(130)에 결합강도가 더 높기 때문에 스팀배출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더라도 덮개(200)가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고, 용기를 집을 때 일반적으로 직선구간(120)을 집고 들어올리기 때문에 스팀배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선구간(130)의 결합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곡선구간(130)의 폭은 직선구간(1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덮개(200)는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부(210)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부(210)의 내측에는 제1스팀안내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스팀안내홈(111)의 반대방향으로 상부스팀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스팀홈(211)을 통해 스팀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메인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 결합되어 별도의 공간부를 갖는 내부본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본체(300)의 바닥면은 메인본체(100)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크기를 구성하여 공간부를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용기에 서로 다른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본체(300)는 " ∩ "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결합테두리(310)가 형성되어 제1결합테두리(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본체(300)의 제2결합테두리(310) 상부에는 제1스팀안내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스팀안내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본체(300)를 더 포함할 경우, 메인본체(100), 내부본체(300), 덮개(200) 순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메인본체(1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제1스팀안내홈(111)과 제2스팀안내홈(311) 사이로 배출되고, 내부본체(3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제2스팀안내홈(311)과 덮개(200)의 상부스팀홈(211) 사이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2스팀안내홈(311)은 앞서 설명한 제1스팀안내홈(111)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스팀안내홈(311)을 통한 스팀배출 원리에 따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제2스팀안내홈(311)은 제1스팀안내홈(111)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제2스팀안내홈(311)의 반대편에 돌출된 부분이 제1스팀안내홈(11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덮개(200) 외측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본체(100)의 하단부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220)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200)의 외측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안쪽이 아닌 외부방향에 해당하는 바깥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면상에는 덮개(200)의 상부방향에 해당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일회용기를 적층할때 아래쪽에 위치한 용기의 덮개(200)에 형성된 지지단턱(220)에 위쪽에 위치한 용기의 메인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일회용기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배달시에 용기가 흐트러지지 않고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회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메인본체(100)에 수용된 음식물이 내부본체(300)의 하단부에 묻을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내부본체(300)를 식탁 위에 그대로 올려놓을 경우 식탁에 내부본체(300)의 하단부에 묻어있던 음식물이 묻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덮개(200) 내측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본체(3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안착홈(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00)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집은 상태에서 덮개(200) 상부에 내부본체(300)를 올려놓게 되면, 올려놓은 내부본체(3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내부본체(300)의 하단부에 묻어있던 음식물이 식탁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메인본체 110 : 제1결합테두리
111 : 제1스팀안내홈 120 : 직선구간
130 : 곡선구간 200 : 덮개
210 : 결합홈부 211 : 상부스팀홈
220 : 지지단턱 230 : 안착홈
300 : 내부본체 310 : 제2결합테두리
311 : 제2스팀안내홈 320 : 직선구간
330 : 곡선구간

Claims (5)

  1.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 ∩ " 형태의 단면 형상의 제1결합테두리(11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100)와,
    상기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부(210)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200);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본체(100)의 제1결합테두리(110) 상부에는 제1결합테두리(110)의 경로를 따라 안쪽 일정구간에 제1스팀안내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 결합되어 별도의 공간부를 갖는 내부본체(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본체(300)는 " ∩ "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결합테두리(310)가 형성되어 제1결합테두리(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본체(300)의 제2결합테두리(310) 상부에는 제1스팀안내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스팀안내홈(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스팀안내홈(311)은 제1스팀안내홈(111)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제2스팀안내홈(311)의 반대편에 돌출된 부분이 제1스팀안내홈(111)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100)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결합테두리(110)는 메인본체(100)의 형상에 맞게 직선구간(120) 및 곡선구간(13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스팀안내홈(111)은 곡선구간(1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외측에는 메인본체(100)의 하단부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220)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KR1020190053648A 2019-05-08 2019-05-08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KR10213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48A KR102130916B1 (ko) 2019-05-08 2019-05-08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48A KR102130916B1 (ko) 2019-05-08 2019-05-08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16B1 true KR102130916B1 (ko) 2020-07-06

Family

ID=7157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48A KR102130916B1 (ko) 2019-05-08 2019-05-08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174A (ko) 2021-02-27 2022-09-06 유종현 식품 저장 용기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36A (ja) * 1999-09-24 2001-04-10 Chuo Kagaku Co Ltd 包装用容器
JP2017165422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JP2018095266A (ja) * 2016-12-08 2018-06-21 中央化学株式会社 蓋付き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36A (ja) * 1999-09-24 2001-04-10 Chuo Kagaku Co Ltd 包装用容器
JP2017165422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JP2018095266A (ja) * 2016-12-08 2018-06-21 中央化学株式会社 蓋付き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174A (ko) 2021-02-27 2022-09-06 유종현 식품 저장 용기
KR20230077671A (ko) 2021-02-27 2023-06-01 유종현 식품 저장 용기
KR20230002390U (ko) 2021-02-27 2023-12-18 유종현 식품 저장 용기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KR102623919B1 (ko) 2022-01-28 2024-01-11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916B1 (ko)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JP4049274B2 (ja) 中間蓋を有する多段積層式容器
CN102700818A (zh) 带有盖子和封闭系统的食品包装
JP3157861U (ja) 食品包装容器
CN105919380A (zh) 真空杯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200318856Y1 (ko)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JP2001122305A (ja) 嵌合容器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JP6346344B1 (ja) 容器蓋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US20170341841A1 (en) Plastic package with an open reminder
JP7146209B2 (ja) 飲料カップ用蓋体
KR102121144B1 (ko) 음료용 컵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200453715Y1 (ko) 알약 용기
KR102623919B1 (ko) 음식 포장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KR20180001292U (ko)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JP3544151B2 (ja) 嵌合型遮光容器
KR200315319Y1 (ko) 휴대용 2중 용기
CN106264227A (zh) 一种定量出粮的存粮装置
KR20210000181U (ko) 식품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