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92U -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 Google Patents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92U
KR20180001292U KR2020170001491U KR20170001491U KR20180001292U KR 20180001292 U KR20180001292 U KR 20180001292U KR 2020170001491 U KR2020170001491 U KR 2020170001491U KR 20170001491 U KR20170001491 U KR 20170001491U KR 20180001292 U KR20180001292 U KR 201800012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container
food
sub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치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치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치너스
Publication of KR20180001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판몸체의 각 음식용기에 대한 밀폐 구조를 제공하고, 서브커버를 통한 음식물 유동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FOOD TRAY WITH A CAP}
본 고안은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담아 먹을 수 있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갖는 식판에 뚜껑을 구비하고 뚜껑에 의해 복수개의 수용부 각각이 서로 차단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에 별도의 서브커버를 마련하고 식판에 뚜껑 장착 시 서브커버가 용기 내의 음식량에 맞추어 자동으로 상승하여 용기 내에서 음식물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에 관한 기술이다.
다양한 음식물을 각기 담아 밀폐 보관할 수 있고 이동이 간편한 식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7-0000578호(2007.05.18.공개)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식판 용기 각각의 음식물 수용부 테두리를 따라 변을 이루며 상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식판 용기 뚜껑 이열 밀폐 격벽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 격벽과, 식판 용기 뚜껑 저면 하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식판 용기의 돌출 격벽과 상호 밀봉되는 이열 밀폐 격벽과, 이열 밀폐 격벽 사이에 미리 고정 수용되어져 돌출 격벽이 인입될 때 긴밀히 압착 밀봉하는 밀폐 패킹으로 구성되어진 식판 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1973호(2013.03.27.공개) 『이중 단열용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단부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절곡되어 말아진 부분의 내부에 돌기성형홈부가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사출성형되되 상단부의 돌기가 상기 돌기성형홈부의 내부에 내입되도록 형성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하는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되 테두리에는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절곡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의 안착면과 상기 절곡부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개방공간부가 형성된 이중 단열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7-0000578호(2007.05.18.공개)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1973호(2013.03.27.공개)
본 고안은 식판의 상부를 뚜껑에 의해 덮을 경우 식판에 구비된 수용부들이 서로 차단되도록 하여 수용부에 담겨진 각각의 반찬이나 국 및 밥이 서로 뒤섞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종재질로 식판을 구비하여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떨어지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심한 소음이나 쉽게 찌그러짐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에 넘침방지구 진입 시 용기에 담긴 음식량에 따라 상승하여 밀폐하는 서브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용기 내의 음식물과 서브커버 간에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은,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부가 구비되고 둘레부를 따라 단턱돌부를 갖는 식판몸체와, 상기 식판몸체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판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각각에는 상단 둘레부를 따라 고정부를 갖고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용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고정부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인입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부 각각에 구비되는 음식용기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뚜껑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식판몸체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음식용기 각각의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 밀착되어 상기 음식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음식용기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하면에서 상기 넘침방지구 내부 중심 영역에 구비되고 이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각 단부(端部) 내벽에 돌출형 걸림부를 갖는 세 개의 기립(起立)형 탄성스냅부재를 더 포함하며,
원판형의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음식용기의 내부 상부 측 내주면과 상응한 직경을 갖는 탄성밀폐부재와, 상기 서브바디 상부 중심에 일체로 연결되어 세워지고 단부 외주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각 탄성스냅부재 사이 공간으로 진입 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돌출형 대응걸림부를 갖는 로드로 이루어진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은,
식판몸체와 뚜껑으로 구비하여 식판몸체에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으로 덮어 이동 도중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묻거나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판몸체의 수용부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용기를 구비하여 전체적인 내구성 및 견고성은 물론 청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넘침방지구가 음식물이 담겨진 음식용기의 상단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에 음식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이동 도중에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뚜껑 하부의 탄성스냅부재에 의해 임시로 결합된 서브커버가 식판몸체에 뚜껑 장착 시 용기 내의 음식량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하여 고정됨으로써 각 용기 내에 담겨진 음식물과 서브커버 간의 빈 공간을 거의 없애면서 음식물의 유동 범위를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또 넘침방지구 외주면을 따라 사이드커버를 마련하여 식판몸체에 뚜껑 장착 시 고정부에 밀폐됨으로써, 넘침방지구에 대한 밀폐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의 식판몸체와 뚜껑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에서 탄성스냅부재와 서브커버, 사이드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생략 구성 단면도,
도 6 및 도 도 7은 도 5에서 식판몸체에 뚜껑 장착 시 탄성스냅부재와 서브커버 간의 결합, 고정부와 사이드커버 간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은,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둘레부를 따라 단턱돌부(12)를 갖는 식판몸체(10)와,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식판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수용부(11)가 구비되는 식판몸체(10)와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는 뚜껑(20)은 종래 기술사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용부(11) 각각에는 상단 둘레부를 따라 고정부(31)가 구비된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용기(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1)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음식용기(30)의 고정부(31)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인입홈(13)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20)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부(11) 각각에 구비되는 음식용기(30)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뚜껑(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음식용기(30) 각각의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 밀착되어 상기 음식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이 음식용기(30)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구(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음식용기(30)와 식판몸체(10)와의 결합은 이중사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이중사출성형몰드에 음식용기(30)를 위치한 후 사출수지물을 충진하여 식판몸체(10)를 성형함으로써 식판몸체(10)와 음식용기(30)가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음식용기(30)에 구비되는 고정부(31)가 수용부(11)에 구비되는 인입홈(13)에 인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음식용기(30)가 식판몸체(10)의 수용부(11)로부터 벗어나거나 분리됨을 방지한다.
상기 넘침방지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음식용기(30)의 형상과 동일하다.
즉, 음식용기(30)의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넘침방지구(40) 형상 역시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음식용기(30)의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팔각형과 같이 변형될 경우에는 변형된 음식용기(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넘침방지구(40)가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넘침방지구(40)가 음식용기(30)의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넘침방지구(40)에 의해 음식용기(30)의 상단 내면이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넘침방지구(40)가 음식용기(30)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되어 밀착되기 때문에 이동이나 또는 보관 도중에 음식용기(30)에 담겨진 반찬이나 국 및 밥과 같은 음식물이 음식용기(3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식물이 서로 뒤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음식용기(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음식용기(3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면(311)과, 상기 수평절곡면(311)으로부터 하향지게 경사 절곡되는 경사절곡면(312)과, 상기 경사절곡면(31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입홈(13)에 인입되는 수평면(31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절곡면(3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판몸체(10)에 구비되는 수용부(11) 상면에 밀착되어 수용부(11)와 음식용기(30)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경사절곡면(312)은 상기 수용부(1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인입됨에 따라 음식용기(30)가 수용부(11)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평면(313)은 상기 수용부(11)에 구비되는 인입홈(13)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상기 식판몸체(10)에 대해 수평상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용기(30)가 수용부(11)로부터 분리됨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식판몸체(10)의 재질은 견고성은 물론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식용기(30)는 청결성 및 내구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판몸체(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재질 이외에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식판몸체(10)를 떨어뜨렸을 때 충격에 대한 흡수성 및 견고성을 갖는 재질이면 상기 식판몸체(1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식판몸체(10)의 재질과 음식용기(30)의 재질을 서로 다른 이종 재질 즉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각각 구비한 이유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용기(30)에 대한 청결성 및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내구성 및 견고성과 함께 충격에 대한 흡수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상기 식판몸체(1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단턱돌부(12) 하단에는 제1걸림돌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둘레부에는 상기 식판몸체(10)의 단턱돌부(12)측으로 꺾어져 단턱돌부(12)를 포설하고 상기 제1걸림돌부(14)에 걸어지는 제2걸림돌부(21)가 각각 구비된 결합부(2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2)는 하부 측으로 꺾어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결합부(22)가 하부 측으로 꺾어짐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상기 뚜껑(20)으로 덮은 후 상기 결합부(22)를 하부 측으로 꺾어 상기 결합부(22)에 구비되는 제2걸림돌부(21)와 상기 식판몸체(10)의 단턱돌부(12) 하단에 구비되는 제1걸림돌부(14)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면 상기 결합부(22)를 해제하지 않는 한 상기 뚜껑(20)이 식판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도중에 뚜껑이 식판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은 탄성스냅부재(50), 서브커버(60)를 더 포함하는데,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스냅부재(50)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서 상기 넘침방지구(40) 내부 중심 영역에 구비되고 이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각 단부(端部) 내벽에 돌출형 걸림부(51)를 갖는 세 개의 기립(起立)형 기둥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세 개의 기립형 탄성스냅부재(5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은 후술할 로드(63)가 진입될 수 있도록 로드(63)의 단면적과 상응한 단면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로드(63)가 원기둥이므로 상기 세 개의 기립형 탄성스냅부재(50)가 이루는 내부 공간 또한 원형이면서 상하로 긴 공간 구조를 갖는다.
상기 뚜껑(20) 하면에 상방으로 움푹 들어간 공간에 은닉되게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 플레이트(52)에 의해 상기 세 개의 기립형 탄성스냅부재(50) 상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세 개의 기립형 탄성스냅부재(50)는 외력에 의해 벌어졌다가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51)는 상기 각 탄성스냅부재(50)의 단부, 즉 하단 내벽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반달 형상의 돌기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커버(60)는
원판형의 서브바디(61)와,
상기 서브바디(61)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음식용기(30)의 내부 상부 측 내주면과 상응한 직경을 갖는 탄성밀폐부재(62)와,
상기 서브바디(61) 상부 중심에 일체로 연결되어 세워지고 단부 외주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각 탄성스냅부재(50) 사이 공간으로 진입 시 상기 걸림부(51)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돌출형 대응걸림부(631)를 갖는 로드(63)
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바디(61)는 이의 외주면을 따라 요입되게 환형(環形)의 장착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밀폐부재(62)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611)를 따라 암수 결합되는 장착부(6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61)로부터 상기 탄성밀폐부재(62)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밀폐부재(62)의 단부는 두께가 얇은 플랫(flat)부(6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음식용기(30) 내로 상기 서브커버(60) 진입 시 좀 더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음식용기(30)로부터 상기 서브커버(60) 분리 시에 고온의 음식물로 인해 상기 음식용기(30)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상기 서브커버(60) 한쪽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탄성밀폐부재(62)의 플랫부(622)가 상기 음식용기(30)의 내주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버(60)에는 상기 서브바디(61)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641)를 갖는 서브벽체(64)가 더 구비된다.
결국 상기 서브벽체(64)에 의해 상기 서브커버(60) 상부 측에 수용공간부(64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식판몸체(10)로부터 뚜껑(20) 개방 시 상기 음식용기(30)로부터 상기 서브커버(60)를 분리한 후 상기 서브커버(60)를 별도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식판몸체(10)에 뚜껑(20) 장착 전에 상기 서브커버(60)의 로드(63)를 상기 세 개의 탄성스냅부재(50) 사이로 진입시켜 로드(63)의 대응걸림부(631)가 탄성스냅부재(50)의 걸림부(51)에 걸리도록 한 후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식판몸체(10)에 뚜껑(20)을 장착하게 되면 음식용기(30)에 담긴 음식량에 따라 상기 서브커버(60)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브커버(6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로드(63)에 형성된 다수의 대응걸림부(631)가 상기 탄성스냅부재(50)의 걸림부(51)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마지막으로 타고 넘어간 대응걸림부(631)가 걸려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은 사이드커버(70)를 더 포함하는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커버(70)는
상기 뚜껑(20)이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넘침방지구(40)가 상기 음식용기(30) 각각의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 밀착 시 상기 고정부(31) 일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넘침방지구(4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사이드커버(70)는 상기 고정부(31)의 수평절곡면(311)의 외면과 상응한 내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음식용기(30) 내로 진입한 상기 넘침방지구(40)와 상기 음식용기(30) 사이 틈새에 대한 밀폐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식판몸체
11 : 수용부
12 : 단턱돌부
13 : 인입홈
14 : 제1걸림돌부
20 : 뚜껑
21 : 제2걸림돌부
22 : 결합부
30 : 음식용기
31 : 고정부
311 : 수평절곡면
312 : 경사절곡면
313 : 수평면
40 : 넘침방지구
50 : 탄성스냅부재
51 : 걸림부
52 : 플레이트
60 : 서브커버
61 : 서브바디
611 : 장착홈
62 : 탄성밀폐부재
621 : 장착부
622 : 플랫부
63 : 로드
631 : 대응걸림부
64 : 서브벽체
641 : 수용공간부
70 : 사이드커버

Claims (3)

  1.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둘레부를 따라 단턱돌부(12)를 갖는 식판몸체(10)와,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식판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 각각에는 상단 둘레부를 따라 고정부(31)를 갖고 음식물이 담겨지는 음식용기(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1)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음식용기(30)의 고정부(31)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인입홈(13)이 더 구비되며,
    상기 뚜껑(20)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부(11) 각각에 구비되는 음식용기(30)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뚜껑(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음식용기(30) 각각의 상단 내면측으로 인입 밀착되어 상기 음식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이 음식용기(30)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구(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면에서 상기 넘침방지구(40) 내부 중심 영역에 구비되고 이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각 단부(端部) 내벽에 돌출형 걸림부(51)를 갖는 세 개의 기립(起立)형 탄성스냅부재(50)를 더 포함하며,
    원판형의 서브바디(61)와, 상기 서브바디(61)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음식용기(30)의 내부 상부 측 내주면과 상응한 직경을 갖는 탄성밀폐부재(62)와, 상기 서브바디(61) 상부 중심에 일체로 연결되어 세워지고 단부 외주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각 탄성스냅부재(50) 사이 공간으로 진입 시 상기 걸림부(51)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돌출형 대응걸림부(631)를 갖는 로드(63)로 이루어진 서브커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커버(60)에는 상기 서브바디(61)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갖는 서브벽체(6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식판몸체(1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넘침방지구(40)가 상기 음식용기(30) 각각의 상단 내면 측으로 인입 밀착 시 상기 고정부(31) 일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넘침방지구(4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사이드커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KR2020170001491U 2016-10-25 2017-03-27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KR2018000129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96 2016-10-25
KR20160006196 2016-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92U true KR20180001292U (ko) 2018-05-04

Family

ID=6216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491U KR20180001292U (ko) 2016-10-25 2017-03-27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59B1 (ko) * 2018-09-07 2019-05-15 이은희 발열유아식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578U (ko)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130001973U (ko) 2011-09-19 2013-03-27 조문식 이중 단열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578U (ko)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130001973U (ko) 2011-09-19 2013-03-27 조문식 이중 단열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59B1 (ko) * 2018-09-07 2019-05-15 이은희 발열유아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042B2 (en) Vessel and lid with stacking features
US9187220B2 (en) Child-resistant cap and container assembly
US8967408B2 (en) Plastic food container with securable inner vessel
KR20090039667A (ko) 저장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시스템
US9181009B1 (en) Cup with outwardly protruding straw channel and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KR101685884B1 (ko) 재밀봉형 리필형 티슈 분배기
RU148678U1 (ru)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сосуд и крышку
KR101499752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CA3003050C (en) Airtight container
CN109561755B (zh) 用于包装产品,特别是化妆品成分的包装
CN209769344U (zh) 饭盒容器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20180001292U (ko) 뚜껑을 갖는 개량 식판
KR20140055330A (ko) 용기
US9150330B1 (en) Multi-compartment vessel with optional lids
JP7149559B2 (ja) 食品包装用容器
CA2936601A1 (en) Container offering multiple configurations
JP5142104B2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2623919B1 (ko) 음식 포장 용기
JP3068535U (ja) 蓋付き容器
KR20120008760U (ko) 식품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