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174A - 식품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3174A KR20220123174A KR1020210162824A KR20210162824A KR20220123174A KR 20220123174 A KR20220123174 A KR 20220123174A KR 1020210162824 A KR1020210162824 A KR 1020210162824A KR 20210162824 A KR20210162824 A KR 20210162824A KR 20220123174 A KR20220123174 A KR 202201231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storage
- storage container
- fitting
- main body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 수용부의 외측 상기 본체부의 둘레부 상부에 설정 위치로 상향 돌출된 누름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 상부를 폐쇄 시 상기 누름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누름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되는 식품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식품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해먹지 않고, 음식점 배달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정에서 배달을 통해 전달받는 음식은 대부분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의 일회용 식품 저장 용기에 담겨있는 형태로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식품 저장 용기는 대부분 음식물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형태의 덮개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부와 덮개부의 맞물림에 의해 내부에 있는 음식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식품 저장 용기는 본체부와 덮개부의 분리 시 과도한 힘을 주어야 하는 등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부와 덮개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식품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 수용부의 외측 상기 본체부의 둘레부 상부에 설정 위치로 상향 돌출된 누름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 상부를 폐쇄 시 상기 누름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누름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되는 식품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관통부 외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덮개부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가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둘레부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끼움부 상측으로 상기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끼움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홈부에 상기 관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는 본체부와 덮개부의 분리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에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에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100)는 본체부(120) 및 덮개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부가 개구되며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을 이루는 수용부(12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20) 상부 개구된 외측 둘레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요철 형태의 끼움부(122)가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부(122)가 끼워져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끼움홈부(112)가 상기 덮개부(110)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본체부(120)로부터 손으로 상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하는 제1손잡이부(114)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100)는 상기 덮개부(110)의 상기 끼움홈부(112)에 관통부(118)가 한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20)에 상기 덮개부(110)를 상기 끼움부(122)가 끼움홈부(112)에 고정되도록 설치 시 상기 관통부(118)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관통부(118)를 관통하는 누름돌출부(128)가 상기 끼움부(122)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덮개부(110)의 둘레 전체적으로 제1손잡이부(114)가 적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손잡이부(114)는 상기 관통부(118)가 형성된 부위로 상기 덮개부(110) 외측에 일정 영역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100)는 상기 덮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를 페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20)와 덮개부(110)를 분리 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114)를 상측으로 소정 외력(F1)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상기 누름돌출부(128)를 하측으로 소정 외력(F2)을 가하면서 상기 본체부(120)와 덮개부(11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엄지로 상기 누름돌출부(128)를 누르면서 검지 등으로 상기 제1손잡이부(114)를 상측으로 누르는 동작 즉, 한손으로도 상기 본체부(120)와 덮개부(11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전체적으로 사각 블록 형태의 본체부(120)와 이를 개폐하는 덮개부(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원통 형태나 다른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식품 저장 용기에도 상술한 관통부(118)와 누름돌출부(128)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18)에 상기 누름돌출부(128)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질 정도로 관통부(118)의 크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통부(118)에 누름돌출부(128)의 외면이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상기 양 부재(118, 128)의 크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끼움부(122)와 끼움홈부(112)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돌출부(128)와 관통부(118)가 적용된 부위로 기 설정 영역에 걸쳐 상기 끼움부(122)와 끼움홈부(112)의 폭(L2)이 다른 영역의 끼움부(122)와 끼움홈부(112)의 폭(L1)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누름돌출부(128)와 관통부(118)가 전술한 제1실시예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블로우 사출의 경우에 상기 누름돌출부(128)의 형성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누름돌출부(128)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분산되어 보다 편리하게 상기 누름돌출부(128)의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20) 둘레 외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부(124)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부(114)와 제2손잡이부(124)는 각각 상기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에 휘어짐이 가능한 형태로 일체화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손잡이부(114)와 제2손잡이부(12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손잡이부(114)와 제2손잡이부(124)를 이용 상기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손잡이부(114)를 상측으로 소정 외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상기 누름돌출부(128)를 하측으로 소정 외력을 가하면서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한손으로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부(120)와 덮개부(11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손잡이부(114)와 제2손잡이부(124)는 각각 상기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의 둘레 외측 일정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에 의하면, 끼움부와 끼움홈부가 이중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측에서부터 상기 덮개부(110) 둘레측에 상향 돌출된 제1끼움홈부(112a)가 구비되고, 상기 제1끼움홈부(112a)에 연결되되 하측으로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2끼움홈부(112b)가 구비되되, 상기 제2끼움홈부(112b)에 관통부(118)가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1끼움홈부(112a)와 제2끼움홈부(112b)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120) 둘레측에 상향 돌출된 형태로 제1끼움부(122a)와 제2끼움부(12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끼움부(122b)에 누름돌출부(128)가 상기 관통부(118)를 관통하도록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2손잡이부(124)가 상기 제2끼움부(122b) 외측에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누름돌출부(128)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용기 둘레를 따라 기 설정 구간에만 도 9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제1끼움홈부(112a), 제2끼움홈부(112b) 및 제1끼움부(122a), 제2끼움부(122b)가 형성되고, 다른 구간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끼움부와 끼움홈부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용기 전체 둘레를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제1끼움홈부(112a), 제2끼움홈부(112b) 및 제1끼움부(122a), 제2끼움부(122b)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돌출부(128)를 이용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의 분리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용기 내부에 액체가 수용 시에 상기 관통부(118) 측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에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 용기도, 끼움부와 끼움홈부가 이중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측에서부터 상향 돌출된 제3끼움홈부(112c)가 구비되고, 상기 제3끼움홈부(112c)에 연결되되 상측으로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4끼움홈부(112d)가 구비되되, 상기 제4끼움홈부(112b)에 관통부(118)가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3끼움홈부(112c)와 제4끼움홈부(112d) 하측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120) 둘레부에 상향 돌출된 형태로 제3끼움부(122c)와 제4끼움부(122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끼움부(122d)에 누름돌출부(128)가 상기 관통부(118)를 관통하도록 상향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손잡이부(124)가 상기 제4끼움부(122d) 외측에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누름돌출부(128)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용기 둘레를 따라 기 설정 구간에만 도 9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제3끼움홈부(112c), 제4끼움홈부(112d) 및 제3끼움부(122c), 제4끼움부(122d)가 형성되고, 다른 구간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끼움부와 끼움홈부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용기 전체 둘레를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제3끼움홈부(112c), 제4끼움홈부(112d) 및 제3끼움부(122c), 제4끼움부(122d)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누름돌출부(128)를 이용 덮개부(110)와 본체부(120)의 분리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용기 내부에 액체가 수용 시에 상기 관통부(118) 측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과 형태는 각각의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 및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식품 저장 용기 110: 본체부
112: 끼움홈부 114: 제1손잡이부
118: 관통부 120: 덮개부
122: 끼움부 112: 끼움홈부
114: 제1손잡이부 128: 누름돌출부
112: 끼움홈부 114: 제1손잡이부
118: 관통부 120: 덮개부
122: 끼움부 112: 끼움홈부
114: 제1손잡이부 128: 누름돌출부
Claims (2)
-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 수용부의 외측 상기 본체부의 둘레부 상부에 설정 위치로 상향 돌출된 누름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 상부를 폐쇄 시 상기 누름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누름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되는 식품 저장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둘레부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끼움부 상측으로 상기 누름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끼움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홈부에 상기 관통부가 구비되는,
식품 저장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5920A KR20230077671A (ko) | 2021-02-27 | 2022-11-19 | 식품 저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7034 | 2021-02-27 | ||
KR20210027034 | 2021-02-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3174A true KR20220123174A (ko) | 2022-09-06 |
Family
ID=8328127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2824A KR20220123174A (ko) | 2021-02-27 | 2021-11-23 | 식품 저장 용기 |
KR1020220155920A KR20230077671A (ko) | 2021-02-27 | 2022-11-19 | 식품 저장 용기 |
KR2020230002280U KR20230002390U (ko) | 2021-02-27 | 2023-11-07 | 식품 저장 용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5920A KR20230077671A (ko) | 2021-02-27 | 2022-11-19 | 식품 저장 용기 |
KR2020230002280U KR20230002390U (ko) | 2021-02-27 | 2023-11-07 | 식품 저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22012317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0916B1 (ko) | 2019-05-08 | 2020-07-06 | 양환철 |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
-
2021
- 2021-11-23 KR KR1020210162824A patent/KR202201231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11-19 KR KR1020220155920A patent/KR202300776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11-07 KR KR2020230002280U patent/KR20230002390U/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0916B1 (ko) | 2019-05-08 | 2020-07-06 | 양환철 | 스팀 배출이 용이한 일회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2390U (ko) | 2023-12-18 |
KR20230077671A (ko)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6803B1 (ko) |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 |
CN105392709B (zh) | 分配封盖 | |
US10478842B2 (en) | Auto-open compact container | |
USD475571S1 (en) | Microwave cooking tray | |
USD894686S1 (en) | Microwave oven tray with cover | |
KR20210050865A (ko) |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 |
KR20220123174A (ko) | 식품 저장 용기 | |
US10729221B2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unit | |
CN105919380A (zh) | 真空杯 | |
WO2014160608A1 (en) |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 |
JP2001122305A (ja) | 嵌合容器 | |
EP1234522A3 (en) | Rouge compact | |
KR200445185Y1 (ko) |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 |
KR20180053138A (ko) | 용기뚜껑의 들림현상을 방지하여 밀폐력을 강화하는 화장품용기 | |
KR200373749Y1 (ko) |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용기커버 | |
KR101703705B1 (ko) | 체크밸브를 갖는 이동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
KR200497719Y1 (ko) |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 |
KR20040054462A (ko) |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 |
JP3051376U (ja) | 包装用容器 | |
JP7491883B2 (ja) | 食品保存容器 | |
KR200373748Y1 (ko) |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용기 커버 | |
KR101918475B1 (ko) |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 |
JP3225210U (ja) | 真空鮮度保存容器 | |
KR100549285B1 (ko) | 체크밸브를 위한 보호캡을 구비한 진공용기 | |
KR200324152Y1 (ko) | 용기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