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68B1 - 내진형 배전함 - Google Patents

내진형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68B1
KR102130368B1 KR1020190107045A KR20190107045A KR102130368B1 KR 102130368 B1 KR102130368 B1 KR 102130368B1 KR 1020190107045 A KR1020190107045 A KR 1020190107045A KR 20190107045 A KR20190107045 A KR 20190107045A KR 102130368 B1 KR102130368 B1 KR 10213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ars
frame
support ba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959A (ko
Inventor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기전
Priority to KR102019010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10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격자형의 골조(110)와, 상기 골조(110)의 외측면을 마감하는 커버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110)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2, BAR)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111)과,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워진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5)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114)을 포함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골조(110)의 코너부(C)를 형성하는 상기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를 동시에 결속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에 동시에 고정되는 브래킷(210)과, 상기 브래킷(210)의 양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서포트바(220)와, 상기 제1서포트바(220)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113)과 일측의 상기 바(112, 115)에 고정되는 제2서포트바(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내진형 배전함(100)은, 상기 지지부(200)가 코너부(C)의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 및 커버판(120)을 동시에 결속함으로써 골조(110)의 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내진형 배전(100)함이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40)에 의해서 볼트(B1, B2, B3, B4)의 풀림이 방지되고 별도로 스프링 와셔를 구비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목적으로 상기 지지부(200)를 분리한 후 다시 결속시킬 때에도 스프링 와셔를 분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형 배전함 {DISTRIBUTION BOX OF EARTHQUAKE-PROOF TYPE}
본 발명은 내진형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골조의 코너부에 고정되어, 상부 프레임과 기둥 그리고 하부 프레임과 기둥의 견고한 결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나 태풍과 같은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용 골조의 양측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로서,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배전함은 격자 모양이 되도록 골조(F)가 구성되고, 상기 골조(F)의 외측면은 철판으로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골조(F)의 코너부에는 ㄱ형의 브래킷(1)이 장착되어 골조(F)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개의 플레이트(13)가 연결된 ㄱ형의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플레이트(13)를 지지하는 리브(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플레이트(13)에는 볼트홀(15)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이 상기 골조(F)의 코너에 장착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배전함용 골조(F)의 코너부는 일측 바(B, bar)와 상대측 바(B)가 직각으로 결합된 부분으로서, 양측 바(B)에 배전함용 브래킷(1)을 밀착시킨다. 이때, 바(B)에는 상기 볼트홀(15)에 대응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와셔(W)에 볼트(L)를 끼운 후 상기 볼트(L)가 볼트홀(15)을 통해서 관통구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바(B) 속으로 너트를 넣어서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L)가 상기 너트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바(B)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B)는 ㄱ형의 앵글이거나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 내지는 프로파일 등으로서 용이하게 너트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스프링 와셔(W)는 볼트(L) 머리를 밀어내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배전함 골조(F)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서 볼트(L)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배전함은 측방 내지는 상하방으로 심하게 요동하게 된다. 이때, 배전함은 도 3에서처럼, 양측에 설치된 상기 브래킷(1)이 화살표(K) 방향으로 상기 바(B)에서 분리되어 이탈됨으로써, 배전함의 골조(F)가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코너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바(B)는 화살표(W, R)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역시 골조(F)가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브래킷(1)을 장착시킬 때, 일일이 스프링 와셔(W)를 별도로 구비하여 볼트(L)를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지보수 때문에 상기 브래킷(1)을 분리한 후 다시 고정시킬 때 스프링 와셔(W)를 분실한 상태로 볼트(L)를 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서 볼트(L)가 쉽게 풀리게 되어 배전함용 골조(F)의 강도가 저하되어 지지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027917호 (2011년 04월 01일)
서울금속 홈페이지 http://www.seoulheatsink.co.kr/products/pro01.htm?useful_second_prim=8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를 이루는 3개의 바(BAR)를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바가 회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형체가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에 브래킷을 고정시킬 때에 일일이 스프링 와셔를 별도로 구비하여 볼트를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유지보수 때문에 상기 배전함용 브래킷을 분리한 후 다시 고정시킬 때 스프링 와셔를 분실한 상태로 볼트를 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서 볼트가 쉽게 풀리게 되어 배전함용 골조의 강도가 저하되어 지지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격자형의 골조와, 상기 골조의 외측면을 마감하는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BAR)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워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골조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상기 기둥과 상기 기둥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를 동시에 결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과 상기 기둥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에 동시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양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서포트바와, 상기 제1서포트바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과 일측의 상기 바에 고정되는 제2서포터 바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기둥을 커버하는 ㄱ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양측 바로 연장되는 양측의 측방 커버와, 양측의 상기 측방 커버와 상기 바디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포트바는 상기 리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와, 상기 측방 커버에 관통된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을 통해서 상기 기둥과 바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바와 기둥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브를 관통하는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을 통해서 상기 커버판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리브와 커버판을 밀착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서포트바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기둥에 밀착되고 상대측은 바에 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관통된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을 통해서 상기 기둥 및 바에 관통되는 볼트와, 상기 바와 기둥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트홀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 및 측방 커버와 플랜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대측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볼트의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서포트바와 제2서포트바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서포트바와 제2서포트바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내진형 배전함은, 상기 지지부가 코너부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 및 커버판을 동시에 결속함으로써 골조의 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내진형 배전함이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서 볼트의 풀림이 방지되고 별도로 스프링 와셔를 구비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목적으로 상기 지지부를 분리한 후 다시 결속시킬 때에도 스프링 와셔를 분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용 골조의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이한 배전함용 골조의 양측 코너부에 ㄱ형의 브래킷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하부 프레임과 기둥이 이루는 코너에 지지부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상부 프레임과 기둥이 이루는 코너에 지지부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 구성되는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 구성되는 지지부의 브래킷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하부 프레임과 기둥이 이루는 코너에 지지부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서 상부 프레임과 기둥이 이루는 코너에 지지부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 구성되는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에 구성되는 지지부의 브래킷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배전함은 수배전 설비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격자형의 골조(110)가 구성되고, 상기 골조(110)의 외측면을 마감하는 커버판(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방으로는 커버판(120) 없이 개방되고 도어(130)가 설치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골조(110)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2, BAR)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111)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워진 기둥(11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13)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5)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114)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14)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각 기둥(113)이 연결되어 구성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100)은, 상기 골조(110)의 각 코너부(C)에 장착되어 기둥과 상기 기둥의 양측에 연결된 바(112, 115)를 동시에 결속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므로, 배전함의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부(C)는 상부 프레임(114)과 기둥(113) 사이에 4군데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111)과 기둥(113) 사이에 4군데 배치되므로 상기 지지부(200)는 도 6에서처럼 하부의 코너부(C)에 배치되고, 도 7에서처럼 상부의 코너부(C)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00)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처럼,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에 동시에 고정되는 브래킷(2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10)의 양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서포트바(22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서포트바(220)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113)과 일측의 상기 바(112, 115)에 고정되는 제2서포트바(230)가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210)은, 상기 기둥(113)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가 ㄱ형으로 절곡된 바디(211)가 구성된다. 상기 기둥(113)은 사각바로 구성되므로 ㄱ형의 바디(211)가 부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디(211)의 일측 단부에서 양측 바(112, 115)로 연장되는 판상의 측방 커버(213)가 구성된다. 즉, 상기 브래킷(210)이 골조(110)의 하부의 코너부(C)에 설치될 때에는 바디(211)의 하부 단부에 측방 커버(213)가 연결되고, 브래킷(210)이 골조(110)의 상부의 코너부(C)에 설치될 때에는 바디(211)의 상부 단부에 측방 커버(213)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11)와 측방 커버(213)를 연결하는 판상의 리브(215)가 구성되므로 바디(211)와 측방 커버(213)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서포트바(220)는 상기 리브(215)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서포트바(23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기둥(113)에 밀착되고 상대측은 바(112, 115)에 밀착되는 플랜지(231)가 구성되므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디(211) 및 상기 측방 커버(213)에 관통된 볼트홀(H1, H2)이 구성되고, 상기 볼트홀(H1, H2)을 통해서 상기 기둥(113)과 바(112, 115)를 관통하는 볼트(B1, B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112, 115)와 기둥(113)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B1, B2)에 체결되는 너트(N)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215)를 관통하는 볼트홀(H3)이 구성되고, 상기 볼트홀(H3)을 통해서 상기 커버판(120)을 관통하는 볼트(B3)가 구성되며, 상기 볼트(B3)에 체결되어 상기 리브(215)와 커버판(120)을 밀착시키는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31)에 볼트홀(H4)이 관통되고, 상기 볼트홀(H4)을 통해서 상기 기둥(113) 및 바(112, 115)에 관통되는 볼트(B4)가 구성되며, 상기 바(112, 115)와 기둥(113)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B4)에 체결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상기 볼트홀(H1, H2, H3, H4)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211) 및 측방 커버(213)와 플랜지(231)에, 일측(A)이 고정되고 상대측(B)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판스프링(240)이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240)의 일측은 리벳 내지는 용접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40)은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볼트(B1, B2, B3, B4)의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볼트(B1, B2, B3, B4)를 체결하게 되면 볼트(B1, B2, B3, B4)의 헤드가 상기 판스프링(240)을 압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서포트바(220)와 제2서포트바(230)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서포트바(220)와 제2서포트바(230) 사이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므로, 상기 제2서포트바(230)의 양측 플랜지(231)가 기둥(113)과 바(112, 115)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내진형 배전함(100)은, 상기 브래킷(210)의 바디(211)가 기둥(113)에 고정되고, 측방 커버(213)가 기둥(113)에 양측으로 고정된 바(112, 115)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11)와 측방 커버(213)는 리브(21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기둥(113)에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2서포트바(230)가 기둥(113)과 바(112, 115)에 연결되고, 상기 제2서포트바(230)를 제1서포트바(220)가 리브(215) 쪽으로 인장시켜 줌으로써 제2서포트바(230)는 기둥(113)과 바(112, 11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서포트바(230)와 제1서포트바(220) 사이에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 경우에는 제2서포트바(230)를 리브(215) 쪽으로 당겨주기 때문에 양측 플랜지(231)가 기둥(113)과 바(112, 115)에 밀착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둥(113)과 바(112, 115)가 이루는 직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진형 배전함(100)이 지진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215)는 커버판(120)에 연결됨으로써 커버판(120)이 골조(110)에 부착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버판(120)이 골조(110)에만 부착될 뿐만 아니라 리브(215)에도 고정됨으로써, 커버판(120)이 골조(110)의 강도에 협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00)는 골조(110)의 코너부(C)를 이루는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에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와 커버판을 동시에 결속시키므로 배경기술보다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40)은 상기 각각의 볼트홀(H1, H2, H3, H4)의 측방에 배치된 것으로서 일측(A)은 고정되고 상대측(B)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이므로 볼트(B1, B2, B3, B4)를 회전시켜서 체결하게 되면 볼트(B1, B2, B3, B4)의 헤드가 판스프링(240)을 하방으로 압박하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240)은 상기 볼트(B1, B2, B3, B4)의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에 힘이 가해지므로 볼트(B1, B2, B3, B4)의 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별도로 스프링 와셔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고, 보수 시 스프링 와셔를 분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내진형 배전함 110: 골조
111: 하부 프레임 112: 바
113: 기둥 114: 상부 프레임
115: 바 120: 커버판
130: 도어 200: 지지부
210: 브래킷 211: 바디
213: 측방커버 H1, H2, H3, H4: 볼트홀
B1, B2, B3, B4: 볼트 220: 제1서포트바
230: 제2서포트바 240: 판스프링
N: 너트

Claims (1)

  1. 격자형의 골조(110)와,
    상기 골조(110)의 외측면을 마감하는 커버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110)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2, BAR)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111)과,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워진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115)가 사각형으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11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4)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각 기둥(113)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전방으로는 커버판(120) 없이 개방되고 도어(130)가 설치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골조(110)의 코너부(C)를 형성하는 상기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를 동시에 결속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기둥(113)과 상기 기둥(113)의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에 동시에 고정되는 브래킷(210)과,
    상기 브래킷(210)의 양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서포트바(220)와,
    상기 제1서포트바(220)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113)과 일측의 상기 바(112, 115)에 고정되는 제2서포트바(230)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210)은,
    상기 기둥(113)을 커버하는 ㄱ형의 바디(211)와,
    상기 바디(211)의 일측 단부에서 양측 바(112, 115)로 연장되는 양측의 측방 커버(213)와,
    양측의 상기 측방 커버(213)와 상기 바디(211)를 연결하는 리브(215)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210)의 바디(211)가 기둥(113)에 고정되고, 측방 커버(213)가 기둥(113)에 양측으로 고정된 바(112, 115)에 고정되고 상기 바디(211)와 측방 커버(213)는 리브(21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기둥(113)에 양측으로 연결된 바(112, 115)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서포트바(230)가 기둥(113)과 바(112, 115)에 연결되고, 상기 제2서포트바(230)를 제1서포트바(220)가 리브(215) 쪽으로 인장시켜 줌으로써 제2서포트바(230)는 기둥(113)과 바(112, 11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서포트바(220)는 상기 리브(215)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211) 및 상기 측방 커버(213)에 관통된 볼트홀(H1, H2)과,
    상기 볼트홀(H1, H2)을 통해서 상기 기둥(113)과 바(112, 115)를 관통하는 볼트(B1, B2)와,
    상기 바(112, 115)와 기둥(113)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B1, B2)에 체결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215)를 관통하는 볼트홀(H3)과,
    상기 볼트홀(H3)을 통해서 상기 커버판(120)을 관통하는 볼트(B3)와,
    상기 볼트(B3)에 체결되어 상기 리브(215)와 커버판(120)을 밀착시키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서포트바(23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기둥(113)에 밀착되고 상대측은 바(112, 115)에 밀착되는 플랜지(231)와,
    상기 플랜지(231)에 관통된 볼트홀(H4)과,
    상기 볼트홀(H4)을 통해서 상기 기둥(113) 및 바(112, 115)에 관통되는 볼트(B4)와,
    상기 바(112, 115)와 기둥(113)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B4)에 체결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홀(H1, H2, H3, H4)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211) 및 측방 커버(213)와 플랜지(231)에 일측(A)이 고정되고 상대측(B)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판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240)의 일측은 리벳 내지는 용접에 의해서 부착되되, 상기 판스프링(240)은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볼트(B1, B2, B3, B4)의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구성되어 볼트(B1, B2, B3, B4)를 회전시켜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볼트(B1, B2, B3, B4)의 헤드가 판스프링(240)을 하방으로 압박하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240)은 상기 볼트(B1, B2, B3, B4)의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헤드에 힘이 가해지며,
    상기 제2서포트바(230)와 제1서포트바(220) 사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어 제2서포트바(230)를 리브(215) 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양측 플랜지(231)가 기둥(113)과 바(112, 115)에 밀착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기둥(113)과 바(112, 115)가 이루는 직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리브(215)는 커버판(120)에 연결됨으로써 커버판(120)이 골조(110)에 부착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배전함.
KR1020190107045A 2019-08-30 2019-08-30 내진형 배전함 KR10213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45A KR102130368B1 (ko) 2019-08-30 2019-08-30 내진형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45A KR102130368B1 (ko) 2019-08-30 2019-08-30 내진형 배전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38A Division KR20190038508A (ko) 2019-03-28 2019-03-28 내진형 배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59A KR20190104959A (ko) 2019-09-11
KR102130368B1 true KR102130368B1 (ko) 2020-07-06

Family

ID=6794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45A KR102130368B1 (ko) 2019-08-30 2019-08-30 내진형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768A (ja) * 1999-08-10 2001-02-20 Nippon Fuasutemu Kk 耐震補強工事におけるモルタル注入用鉄骨ブレース工法
KR101757664B1 (ko) 2017-01-05 2017-07-13 청우시스템(주) 내진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배전반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19A (ja) * 1993-08-25 1995-03-10 Toei Denki Kk 筐体製造方法および筐体
KR101027917B1 (ko) 2010-05-24 2011-04-12 주식회사 삼신기전 내진 골조구조로 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1576611B1 (ko) * 2014-02-28 2015-12-10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768A (ja) * 1999-08-10 2001-02-20 Nippon Fuasutemu Kk 耐震補強工事におけるモルタル注入用鉄骨ブレース工法
KR101757664B1 (ko) 2017-01-05 2017-07-13 청우시스템(주) 내진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배전반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59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6991U (ja) 折板屋根ハゼ取付金具
KR102130368B1 (ko) 내진형 배전함
KR20180106301A (ko) 내진형 배전함
JP5405268B2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KR20190038508A (ko) 내진형 배전함
JP3866256B2 (ja) 既存住宅の補強構造・工法とこれに用いるコーナー金物
JP5551800B1 (ja)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構造
JP6430808B2 (ja) フェンス
JP6469902B1 (ja) ネットフェン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9901B1 (ja) ネットフェンス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3246862U (ja) 建物用補強金具
JP7451623B2 (ja) 制御盤の固定装置
JP3032191U (ja) 住宅用接合金物
JP2005344492A (ja) 木造家屋の耐震補強工法とこれに用いる補強金具及び柱抜け防止装置
JP2023064180A (ja) 防音パネルの設置構造
JP3127379U (ja) 木材接合部構造
JPH0471792B2 (ko)
KR101277624B1 (ko) 골조의 연결 고정후크 및 이를 사용하는 사각패널형 조립식 물 저장탱크
JP3489606B2 (ja) 変位防止金具および変位防止構造
JPH09331606A (ja) キュービクルの補強構造
JP2001130692A5 (ko)
JP5599288B2 (ja) 設備機器設置用基礎台
JP2012251321A (ja) 筋交い部材の支持金具及び筋交い部材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