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77B1 -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77B1
KR102127777B1 KR1020200005287A KR20200005287A KR102127777B1 KR 102127777 B1 KR102127777 B1 KR 102127777B1 KR 1020200005287 A KR1020200005287 A KR 1020200005287A KR 20200005287 A KR20200005287 A KR 20200005287A KR 102127777 B1 KR102127777 B1 KR 10212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in
operation plan
location information
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목
Original Assignee
김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목 filed Critical 김형목
Priority to KR102020000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1L27/0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7/0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10Operations, e.g. scheduling or time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은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를 보유한 철도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승무원배치정보 및 상기 운행계획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에 배치된 승무원의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승무원과 상기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상기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상기 열차의 운행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장치(300);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도록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및 상기 열차 내부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열차의 운행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및 열차운행 안내장치(400)에 전송하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OPERATION PLA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무원배치정보, 운행계획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무선 송수신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그린 에너지가 화두가 되고 있는 지금, 철도가 단위 수송량당 여객의 경우 승용차 대비 20% 이하, 버스의 경우 50% 이하의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고에너지 효율 교통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전통적인 철도신호제어에서는 궤도회로를 이용한 열차위치 검지장치, 열차위치 검지신호를 활용한 고정폐색장치 및 회전 속도계를 이용한 열차속도 검지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궤도회로 기반의 신호시스템은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비교적 긴 열차 운행시격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서는 이와 같은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배차, 무인운전, 안전한 열차운행 등의 다양한 장점이 존재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열차제어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현재 철도차량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되는 행선안내정보와 차량컴퓨터에 저장되는 운행계획정보는 차량을 정비할 때 차량기지에서 USB나 전용 저장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재의 정보입력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없어 열차의 운행시간표 등이 변동되었을 경우 변동되었다는 사실, 변경된 운행시간표에 대한 정보가 즉각적으로 반영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승무원이나 탑승객들은 최신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루에 한 번 특정 시간마다 차량기지로부터 전달되는 운행계획에 대한 정보와 운행경로상에서 수행될 작업계획에 대한 정보가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 또한 USB나 전용 저장장치를 통해 전달되고 있어, 현장의 작업시간이 초과되거나 작업현장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상황에 즉각 대응하여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현재의 차량상태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차량의 가/감속, 제동, 기타 차량상태정보 등을 저장할 때 해당 열차의 번호를 매칭하여 수동으로 저장하고 있는데, 이 경우 오입력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 해당 정보를 신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3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21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899431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를 정비하는 정비원으로 하여금 열차시간표 등의 열차운행계획을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했던 업무를 경감시키고 열차시간표가 정시에 업데이트되지 않아 발생되었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를 운전하는 승무원이 종이시간표와 음성무전기로 열차운행계획을 소통해야 했던 기존 통신방식을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열차운행계획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상황의 변동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승무원이 휴대하는 열차운행 안내장치를 열차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고가의 단말기의 분실 또는 파손위험을 감소시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의 운행경로상에 비콘 등의 통신단말기를 설치하여, 열차가 외부서버와의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 있더라도, 운행경로상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열차의 위치정보나 변경된 현장작업정보를 직접적으로 승무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전송되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운행계획정보와 운행정보를 기초로 열차의 정시율을 향상시키고, 조급한 열차의 가감속조작을 방지하며, 열차의 통과사고를 방지하고, 고객에게 안내하는 정보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며, 나아가 열차 내에서 생산되는 정보가 정확히 집계되고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은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를 보유한 철도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승무원배치정보 및 상기 운행계획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에 배치된 승무원의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승무원과 상기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상기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상기 열차의 운행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장치(300);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도록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및 상기 열차 내부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열차의 운행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및 열차운행 안내장치(400)에 전송하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무원배치정보 및 상기 운행계획정보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상기 승무원과 상기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상기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상기 운행계획정보, 상기 운전정보,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및 VPN(Virtual Privat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또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와 통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모듈, 컬러코드, 2차원 QR(Quick Response)코드 및 3차원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차를 정비하는 정비원으로 하여금 열차시간표 등의 열차운행계획을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했던 업무를 경감시키고 열차시간표가 정시에 업데이트되지 않아 발생되었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를 운전하는 승무원이 종이시간표와 음성무전기로 열차운행계획을 소통해야 했던 기존 통신방식을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열차운행계획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상황의 변동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승무원이 휴대하는 열차운행 안내장치를 열차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고가의 단말기의 분실 또는 파손위험을 감소시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의 운행경로상에 비콘 등의 통신단말기를 설치하여, 열차가 외부서버와의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 있더라도, 운행경로상에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열차의 위치정보나 변경된 현장작업정보를 직접적으로 승무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전송되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운행계획정보와 운행정보를 기초로 열차의 정시율을 향상시키고, 조급한 열차의 가감속조작을 방지하며, 열차의 통과사고를 방지하고, 고객에게 안내하는 정보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며, 나아가 열차 내에서 생산되는 정보가 정확히 집계되고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계획 관리서버 및 운행계획 수신장치에 포함되는 해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이하, “본 무선전송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무선전송시스템은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위치정보 측정장치(300),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및/또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를 포함한다.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는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를 보유한 철도정보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를 일괄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승무원배치정보는 특정 열차에 배치(지정)되는 승무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승무원배치정보는 열차를 식별하는 열차식별정보, 승무원을 식별하는 승무원식별정보 및/또는 열차식별정보와 열차식별정보가 식별하는 열차에 배치되는 승무원을 식별하는 승무원식별정보를 연결하는 연결정보를 포함한다. 연결정보는 열차와 해당 열차에 배치된 승무원을 매칭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운행계획정보는 승무원별 및/또는 열차별 출발역정보, 정차통과역정보, 종착역정보, 출발시간정보, 정차통과시간정보, 도착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열차에 설치된다.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열차에 배치된 승무원을 식별하는 승무원식별정보를 승무원 또는 승무원이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러고 나서,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내 저장된 전체 운행계획정보 중에, 해당 승무원과 해당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만을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해당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도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운전정보는 열차의 최고속도정보, 운행경로에 존재하는 선로별 최고속도정보, 운행경로상 구역별 속도제한정보, 열차의 운전모드정보, 열차의 제동성능정보 등을 포함한다. 열차의 운전모드는 기지운전모드, 수동운전모드, 비상운전모드 및 자동운전모드를 포함하는데, 기지운전모드는 차량기지에 진입할 때 동작되는 모드이고 비상운전모드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 동작되는 모드이다.
한편, 운행계획 수신장치(200)가 수신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운전정보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를 포함하는데,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는 운행계획정보, 운전정보, 해당 열차의 위치정보,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비상상황 안내정보 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러한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는 MMI(man Machine Interface)라고도 하며, 열차에 탑승한 승무원(기관사, 차장 등)에 의해 조작된다.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및 VPN(Virtual Privat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및/또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와 통신한다. 이때, LTE-R은 공공안전재난망주파수를 사용하는 철도전용 무선통신망으로서, 350Km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열차에서도 영상통화를 비롯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이다.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열차의 운행경로에 설치되어 열차의 위치정보를 측정한다.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모듈, 컬러코드, 2차원 QR(Quick Response)코드 및 3차원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열차의 운행경로상이나 운행경로의 근방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또는 휴대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콘이 위치정보 측정장치(300)에 해당할 수 있다.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로 비콘, GPS 수신모듈, 컬러코드, 2차원 QR코드 및/또는 3차원 QR코드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고유정보는 비콘의 위치정보, GPS 신호정보, 기상정보, 열차운전을 위해 승무원에게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및/또는 철도정보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열차운행 안내장치(400)와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정보공급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는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로부터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열차가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해당 열차가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도록 해당 열차의 위치정보,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또는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보들을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출시킨다.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는 열차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행선안내정보와 운행정보를 표출하는 행선안내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는 열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무원 또는 탑승객에게 행선안내정보와 운행정보를 표출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는 열차 내부의 통신망을 통해 해당 열차의 운행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및/또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에 전송한다. 이때,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는 VPN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고, 여러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정보나 USB 호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열차의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계획 관리서버 및 운행계획 수신장치에 포함되는 해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는, 프로세서(111), 캐시(112) 및 메모리(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싱 장치(110)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및/또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13)는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디렉토리를 통해 참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켓이 포함된 세그먼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13)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와 캐시(112)를 통해 연결된다. 프로세서(111)는 캐시(112)의 캐시라인을 통해 메모리의 파일 시스템에 있는 버켓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버켓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시 키(Hash key)의 제1 인덱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Directory)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Segment)를 확인하고,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을 확인하고, 그 확인된 버켓에 해시 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내 복수의 버켓 중 하나의 버켓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글로벌 깊이(Global depth) 비트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해시 키의 제1 인덱스는 해시 키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를 포함할 수 있다.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는 해시 키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1 인덱스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탐색하고, 탐색된 디렉토리 엔트리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접근하는 경우에 충돌이 발생하면 세그먼트를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로컬 깊이(Local depth)를 증가시킨 새로운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확인된 세그먼트의 데이터를 스캔하여 그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비트 값을 갖는 데이터를 그 생성된 새로운 세그먼트에 복사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인덱스의 비트 값이 1인 데이터를 새로운 세그먼트에 복사하고 해당 디렉토리 엔트리의 포인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분할되는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Local depth)를 증가시키고, 그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다른 비트 값을 갖는 데이터를 유효하지 않은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제2 인덱스의 증가시킨 로컬 깊이(Local depth)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0인 데이터를 분할되는 세그먼트에서 지우지 않고, 로컬 깊이만 8바이트 연산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지우지 않은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키가 되게 만들 수 있다. 즉, 지우지 않은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은 키로 간주되고, 다른 데이터에 의해 덮어 써질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확인된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를 증가시키고,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를 갱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 중 업데이트되는 포인터(Pointer)를 제2 인덱스 값이 큰 포인터부터 제2 인덱스 값이 작은 포인터 순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1)는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 중 업데이트되는 포인터(Pointer)를 제2 인덱스 값이 작은 포인터부터 제2 인덱스 값이 큰 포인터 순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1)는 업데이트 하는 순서의 반대 방향으로 복구 동작을 수행하여 복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확인된 세그먼트가 분할되는 경우, 디렉토리를 갱신할 때 디렉토리 엔트리들을 버디(buddy)라는 쌍으로 묶을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세그먼트의 글로벌 깊이와 로컬 깊이를 사용하여 시스템 문제가 발생된 세그먼트를 확인하고, 버디를 이용하여 시스템 문제가 발생된 세그먼트의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바이트 단위 접근이 가능한 메모리와 CPU 간의 데이터 전송 단위는 최신 CPU에서 64 바이트의 캐시라인(Cacheline)이다. 만일 종래의 8KB 버켓을 사용한다면, 하나의 데이터를 찾기 위해 128개의 캐시라인으로 구성된 버켓을 읽어야 하므로, 총 128번 메모리에 접근하게 된다. 디스크 기반의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과 달리 인-메모리 해시 테이블은 버켓의 크기를 디스크 블록의 크기에 맞출 필요가 없다. 만일 버켓 크기를 64 바이트로 정하면, 하나의 버켓을 읽기 위해 하나의 캐시라인을 읽으면 되므로 총 한 번의 메모리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만일 버켓(Bucket)의 크기가 하나의 캐시라인(Cacheline)이라면, 64바이트 캐시라인마다 디렉토리 엔트리가 하나씩 필요한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의 특징으로 인해, 디렉토리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 방법을 변형하여 바이트 단위 접근이 가능한 메모리에 적합하게 캐시라인-컨시어스 익스텐더블 해싱(Cacheline-Conscious Extendible Hashing, CCEH)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방법은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의 변형으로 종래의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이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해 제공하지 못하던 결함 원자성(Failure-atomicity)을 제공하고, 더 적은 캐시라인(Cacheline)의 접근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 방법이다. 본 해싱 방법은 종래의 디렉토리(Directory)와 버켓(Bucket)으로 이루어진 2단 구조에서 세그먼트(Segment)라는 계층을 두어 캐시라인(Cacheline)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가 비휘발성 메모리(Persistent Memory, PM) 기반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예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는, CPU(111), CPU 캐시(CPU Cache)(112), 비휘발성 메모리(Persistent Memory, PM)(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113)는 PM 기반 파일 시스템(113a) 또는 PM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13) 대신에 DRAM(Dynamic random-access memory)이 사용될 수 있다.
CPU(111)는 CPU 캐시(112)의 캐시라인을 통해 해시 키의 인덱스가 참조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확인하고, 해당 디렉토리 엔트리가 가리키는 세그먼트 내에서의 버켓에 접근하고자 한다. CPU(111)는 해시 키(Hash key)의 제1 인덱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Directory)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Segment)를 확인할 수 있다. 즉, CPU(111)는 세그먼트 인덱스(Segment Index)를 사용하여 어느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를 참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인덱스(Segment Index)는 제1 인덱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최상위 2비트에 해당하는 세그먼트 인덱스 10(2)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엔트리 010(2)를 참조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CPU(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을 확인할 수 있다. CPU(111)는 참조하는 세그먼트(Segment) 내에서 어느 버켓(Bucket)을 읽을지를 결정하기 위해, 해시 키(Hash Key)의 버켓 인덱스(Bucket Index)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버켓 인덱스(Bucket Index)는 제2 인덱스로 지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PU(111)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참조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통해 세그먼트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버켓 인덱스가 가리키는 버켓을 확인할 수 있다. 디렉토리[세그먼트 인덱스]+버켓 인덱스가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의 주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CPU(111)는 확인된 버켓에서 해시 키에 대응되는 키 값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CPU는 확인된 버켓에서 해시 키에 대응되는 키 값 또는 데이터를 읽거나 쓸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100: 운행계획 관리서버 200: 운행계획 수신장치
300: 위치정보 측정장치 400: 열차운행 안내장치
500: 운행정보 전송장치 210: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

Claims (5)

  1. 승무원배치정보 및 운행계획정보를 보유한 철도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승무원배치정보 및 상기 운행계획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에 배치된 승무원의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승무원과 상기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상기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운행계획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상기 열차의 운행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장치(300);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열차가 상기 운행계획정보에 따라 운전되도록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는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및
    상기 열차 내부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열차의 운행정보를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및 열차운행 안내장치(400)에 전송하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를 포함하며,
    상기 승무원배치정보 및 상기 운행계획정보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상기 승무원과 상기 열차에 해당하는 운행계획정보 및 상기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정보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및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각각 해싱장치(110);를 더 포함하되,
    해싱장치(110)는,
    디렉토리를 통해 참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켓(Bucket)이 포함된 세그먼트(Segment)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모리(113);
    캐시라인을 포함하는 캐시(112); 및
    상기 캐시라인을 통해 메모리(113)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1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프로세서(111);
    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시 키(Hash key)의 제1 인덱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를 확인하고, 상기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접근하려는 버켓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켓에 상기 해시 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내 복수의 버켓 중 하나의 버켓에 바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상기 운행계획정보, 상기 운전정보, 상기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선행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후행 열차의 위치정보, 상기 운행계획 대비 지연시간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승무원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운전대 열차정보현시장치(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운행계획 수신장치(20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및 VPN(Virtual Privat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열차운행 안내장치(400) 또는 운행정보 전송장치(500)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위치정보 측정장치(3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모듈, 컬러코드, 2차원 QR(Quick Response)코드 및 3차원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KR1020200005287A 2020-01-15 2020-01-15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KR10212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87A KR102127777B1 (ko) 2020-01-15 2020-01-15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87A KR102127777B1 (ko) 2020-01-15 2020-01-15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77B1 true KR102127777B1 (ko) 2020-06-29

Family

ID=7140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87A KR102127777B1 (ko) 2020-01-15 2020-01-15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982A (zh) * 2021-12-13 2022-04-29 昆明聚讯科技有限公司 基于调车作业计划传输系统完成调车作业计划传输的方法
CN114900515A (zh) * 2022-03-25 2022-08-1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列车文件回传方法、列车主机、站点及控制中心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91Y1 (ko) 2005-10-21 2006-02-22 경봉기술(주) 주파수 도약 확산 대역 방식을 이용한열차자동제어시스템용 무선통신장치
KR100801210B1 (ko) 2006-02-03 2008-02-11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선로를 이용하는 열차통신 시스템
KR100899431B1 (ko) 2008-08-26 2009-05-27 주식회사 한스웰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KR20160000590A (ko) * 2014-06-25 2016-01-05 박현수 철도 차량 추돌 방지 시스템
US20160098930A1 (en) * 2014-10-03 2016-04-07 Life Fight Network,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portation management
JP2019104306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交通運用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交通運用情報統合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91Y1 (ko) 2005-10-21 2006-02-22 경봉기술(주) 주파수 도약 확산 대역 방식을 이용한열차자동제어시스템용 무선통신장치
KR100801210B1 (ko) 2006-02-03 2008-02-11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선로를 이용하는 열차통신 시스템
KR100899431B1 (ko) 2008-08-26 2009-05-27 주식회사 한스웰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KR20160000590A (ko) * 2014-06-25 2016-01-05 박현수 철도 차량 추돌 방지 시스템
US20160098930A1 (en) * 2014-10-03 2016-04-07 Life Fight Network,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portation management
JP2019104306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交通運用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交通運用情報統合管理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982A (zh) * 2021-12-13 2022-04-29 昆明聚讯科技有限公司 基于调车作业计划传输系统完成调车作业计划传输的方法
CN114407982B (zh) * 2021-12-13 2024-04-26 昆明聚讯科技有限公司 基于调车作业计划传输系统完成调车作业计划传输的方法
CN114900515A (zh) * 2022-03-25 2022-08-1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列车文件回传方法、列车主机、站点及控制中心
CN114900515B (zh) * 2022-03-25 2024-04-0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列车文件回传方法、列车主机、站点及控制中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4435B (zh) 一种适用于轨道交通智能检测系统的列车定位方法和装置
EP3326887B1 (en) Heavy freight train grouping device and grouping method,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pneumatic brake system
KR102127777B1 (ko)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CN110758470B (zh) 一种列车定位方法和装置
CN110837539B (zh) 一种铁路电子地图构建方法及电子地图位置匹配方法
CN100515845C (zh) 适用于不同闭塞制式的列车定位方法
CN110395205B (zh) 车辆事故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779546B (zh) 一种列车定位误差的校正方法和装置
CN110008486B (zh) 轨道交通闭塞设备数据提取方法
CN102717817A (zh) 高速铁路站台信息发布系统及方法
CN110758476A (zh) 一种列车定位方法及系统
CN115230783A (zh) 一种列车安全包络确定方法及装置
CN112793630B (zh) 一种线路距离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98475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871743A (zh) 一种普速线路中的线路数据处理方法、控制方法及装置
WO2023033250A1 (ko) 블록체인 기반의 운송 이력 매칭을 이용한 운송 중개 플랫폼 시스템, 운송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5503786A (zh) 一种提高车载设备可用性的处理方法和系统
US9569448B2 (en) Operating techniques for a storage network system
CN112732353B (zh) 一种无人驾驶列车地图数据的加载方法及电子设备
CN114655249A (zh)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4582149A (zh) 交通信息推送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784365B2 (ja) 交通機関の乗車経路再現装置、乗車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449798A (zh) 港口无人驾驶地图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01084490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CN211494085U (zh) 一种机车定位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