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431B1 -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431B1
KR100899431B1 KR1020080083247A KR20080083247A KR100899431B1 KR 100899431 B1 KR100899431 B1 KR 100899431B1 KR 1020080083247 A KR1020080083247 A KR 1020080083247A KR 20080083247 A KR20080083247 A KR 20080083247A KR 100899431 B1 KR100899431 B1 KR 10089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and
optical communication
train
alter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웰
Priority to KR102008008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대체지령실에서 별도로 이루어진 대체지령회선의 광통신으로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에 기지국범위를 선택적으로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여서,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대체지령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지국에 무선통신을 하도록 각각 근접 상응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를 각각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초고속 광통신하기 위한 광통신망; 상기 광통신망에 의해 상기 다수의 기지국무선통신단말기에 각각 대응하여 광통신 송수신하기 위한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상기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소정개수를 통합연결하고 희망하는 기지국과 연결통화하기위해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연결되어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는 대체지령회선을 이루는 통합연결스위칭부; 및 상기 통합연결스위칭부에 의한 대체지령회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고,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를 추가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대체지령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기지국선택부에 의해 필요로하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대체지령통화권으로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에 의해 열차대체지령을 처리하여 광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단계;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 경보부에 의해 장애모드를 알리도록 경보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에 따른 장애모드 시에도 열차대체지령를 하도록 절체변환부에 의해 자동 절체하여 작동을 수행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차무선통신, 회선장애, 장애모드, 대체지령, 광통신

Description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Fallback command system by optical fiber way in independ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rains' command}
본 발명은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기지국을 무선통신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한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 시에도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가능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대체지령실에서 별도로 이루어진 대체지령회선의 광통신으로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에 기지국범위를 선택적으로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여서,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은 여러개의 기지국과 여러개의 기지국을 각각 무선으로 통신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한 교환기로 이루어지는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기지국간의 열차지령 수행 작동이 불가능하고 되고, 이에 따라 지하철 및 경전철 등의 열차운행에서 다음 열차와의 추돌사고 등의 대형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장애의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의 해당사이트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 실행이 가능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열차무선통신시스템, 예를 들어 테트라시스템(TETRA System)이 개발되어 있다. TETRA시스템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 유럽 통신규격 위원회)의 주도 하에 전 유럽지역 국가의 공공통신망 규격 설정을 목표로 결성되었던 TETRA위원회가 전 세계의 사용자, 통신학계, 시스템 제조사, 국가기관, 공공기관, 상업망 운영자, 각종 회사 등의 참여를 받아들여 새로운 공공통신망 규격으로 확정된 국제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장애의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의 해당사이트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이 가능하더라도 다른 기지국간의 열차지령 수행 작동은 여전히 불가능하고 되고, 이에 따라 열차운행에서 다음 열차와의 추돌사고 등의 대형참사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기지국을 무선통신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한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 시에도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가능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대체지령실에서 별도로 이루어진 대체지령회선의 광통신으로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에 기지국범위를 선택적으로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여서,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를 최적화된 기지국 위치에 장착 후 광케이블의 광통신을 통해 대체지령회선을 구성하여 통합된 단말기를 하나로 연결 통화하는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고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 따른 은 다수의 기지국을 무선통신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한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 시에도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가능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무선통신을 하도록 각각 근접 상응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를 각각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초고속 광통신하기 위한 광통신망; 상기 광통신망에 의해 상기 다수의 기지국무선통신단말기에 각각 대응하여 광통신 송수신하기 위한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상기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소정개수를 통합연결하고 희망하는 기지국과 연결통화하기위해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연결되어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는 대체지령회선을 이루는 통합연결스위칭부; 및 상기 통합연결스위칭부에 의한 대체지령회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고,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방법은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대체지령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기지국선택부에 의해 필요로하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대체지령통화권으로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에 의해 열차대체지령을 처리하여 광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단계;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 경보부에 의해 장애모드를 알리도록 경보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에 따른 장애모드 시에도 열차대체지령를 하도록 절체변환부에 의해 자동 절체하여 작동을 수행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만한 열차지령업무를 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지국의 독립적 사이트 운영 기능과 함께 별도의 대체지령실을 이용하여 단독 백업시스템 구축하고 광역지역의 단일 통화권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열차지령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장애시인 평상시는 무선 지령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장애시인 비상시에도 통합 비상통신기능으로 작동하여 다른 기지국간의 열차지령 수행 작동은 가능하므로써 열차운행에서 다음의 열차와의 추돌사고 등의 대형참사가 발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통화권역외의 지역으로 음성 노이즈가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블록도로서,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은 여러개의 기지국(B1,...,Bn)과 여러개의 기지국(B1,...,Bn)을 무선통신 제어하는 중앙제어국(50)을 구비한 교환기(M)로 이루어진다.
일예로서 도시한 독립기지국(B2)는 중앙제어국(50)의 장애나 교환기(M)와 기지국(B1,...,Bn) 간의 회선장애 시에도 장애회선의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B2)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가능한 기지국인데, 이러한 독립기지국(B2) 들로 이루어진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을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이라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C)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대체지령회선인 광통신으로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가 제어 처리하는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은 독립기지국(B1,...,Bn)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환기(M)의 중앙제어국(50)에 의해 제어를 받아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을 이룬다.
본 발명은 기지국(B1,...,Bn) 측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n)와 대체지령실(10)로 구성되며, 대체지령실(10)은 광통신망(O), 대체지령실(10) 측의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n), 통합연결스위칭부(Sn),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를 구비한다.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n)는 다수의 기지국(B1,...,Bn)에 무선통신을 하도록 각각 근접 상응하여 여러개로 설치된다.
즉 각각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는 각각의 해당 사이트로 별로 기지 국(B1) 분포 인접지역 역사에 근접하여 최적의 위치에 설치한다.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는 무선송수신부(1), 무선인터페이스부(2), 데이터/음성멀티플렉서(3) 및 광통신인터페이스부(4)를 구비한다.
무선송수신부(1)및 무선인터페이스부(2)는 데이터/음성멀티플렉서(3)로 와의 데이터/음성을 무선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광통신인터페이스부(4)는 광전변환기로서 데이터/음성멀티플렉서(3)의 데이터/음성을 변환하여 광통신망(O)을 통하여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의 광통신인터페이스부(14)와 함께 광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광통신망(O)은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n)와 해당되는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n)를 각각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초고속 광통신으로서 기지국(B1,...,Bn)에서 원거리에 있는 대체지령실(10)로의 원격의 대체지령회선을 구성하므로써 각각 대응하여 광통신 송수신을 한다.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n)는 소정개수,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4)가 1개의 통합연결스위칭부(S1)에 의해 통합 연결되도록 대체지령실(10) 내의(rack)장치에 장착된다.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는 데이터/음성멀티플렉서(13) 및 광통신인터페이스부(14)를 구비하고, 통합연결스위칭부(S1)에 연결된다.
단일무선통신부(CR)는 무선송수신부(11), 무선인터페이스부(12)를 구비하여 기지국과는 달리 단일의 것으로 통합연결스위칭부(S1)에 연결되어 대체지령실(10)에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있다.
이렇게 하여 통합연결스위칭부(S1)는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4)의 4개를 통합연결하고 또 다른 통합연결스위칭부(S2)는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5,...,CT8)의 4개를 통합연결하며, 통합연결스위칭부(S1)와 다른 통합연결스위칭부(S2)가 연결 접속되어 8개의 기지국(B1,...,B8)이 단일통화권으로 대체지령회선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통합연결스위칭부(S1)는 음성버스선 및 제어버스선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4쌍의 버스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통합연결스위칭부(S1)는4개의 기지국(B1,...,B4)에서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4)로부터 광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4)로 수신되는 데이터/음성멀티플렉서의 음성데이터를 4개를 4쌍의 버스선에 의해 0.3초-0.4초 간의 음성딜레이로 음성을 통합하는 패칭(Patching)방식으로 단일 그룹통화권을 형성한다.
따라서 통합연결스위칭부(S1,...,Sn)는 희망하는 기지국과 연결통화하기 위해 필요로하는 개수만큼 연결되어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일정 지역의 그룹으로 패칭(Patching)하여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는 대체지령회선을 이룰 수 있다.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는 통합연결스위칭부(S1,...,Sn)에 의한 대체지령회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고,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대체지령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대체지령 제어처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는 기지국선택부(21), 대체지령 처리부(22), 경보부(23) 및 절체변환부(24)를 구비한다.
기지국선택부(21)는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대체지령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대체지령처리부(22)는 기지국선택부(21)에 선택된 대체지령통화권으로 송수신할 열차대체지령을 처리한다.
대체지령처리부(22)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를 통해 조작하도록 GUI구성으로 하며,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n)를 대체지령실(10) 측의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CT1,...,CTn)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하나의 GUI CAD화면으로 나타내어 제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으로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BT1,...,BTn)의 원격지 상태확인, 채널변경 및 기능작동, 선로 이상유무, 무인 원격 영상 감시기능, 영상 데이터감시 경보 기능, 역사 내 유선 무선 통합 제어 기능, 연동 제어 기능. 원격지 자동 녹음 설비 기능, 단말기간 통신 및 음성 녹음 기능, 대체사령실 설비에 녹음 저장 및 확인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경보부(23)는 대체지령처리부(22)가 장애모드 시에 대체지령을 보내도록 경보를 알려준다.
절체변환부(24)는 경보부(23)의 경보와 함께 장애모드 시에도 대체지령를 하도록 자동 절체하여 작동을 수행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지령 광통신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대체지령실(10)에서 다수의 기지국(B1,...,Bn)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패칭(Patching)에 의해 통합하여 별도의 대체지령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의 기지국선택부(21)에 의해 다수의 기지국(B1,...,Bn) 중에서 필요로 하는 기지국을 선택한다(S10).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의 대체지령처리부(22)에서 장애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
S11 단계에서 장애모드가 아닌 경우 대체지령통화권으로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의 대체지령처리부(22)에 의해 열차대체지령을 처리하여 광통신으로 송수신한다(S12).
S11 단계에서 대체지령처리부(22)는 중앙제어국(M)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50)와 기지국(B1,...,Bn) 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모드로 판단하고
경보부(23)에 의해 장애모드를 알리도록 경보한다(S13).
S13 단계에서의 경보에 따른 장애모드 시에도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20)를 통하여 열차대체지령을 하도록 절체변환부(24)에 의해 자동 절체하여 작동을 수행하도록 변환한다(S14).
또한 본 발명은 공항의 무선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당 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체지령회선인 광통신으로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가 제어 처리하는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지령 광통신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체지령실 20: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
O: 광통신망
B1, ... ,Bn: 독립기지국
BT1, ... ,BTn: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
S1, ... ,Sn: 통합연결스위칭부
CT1, ... ,CTn: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Claims (3)

  1. 다수의 기지국을 무선통신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한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 시에도 복구 시까지 독립기지국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통화실행가능한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무선통신을 하도록 각각 근접 상응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
    다수의 기지국 무선통신단말기를 각각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초고속 광통신하기 위한 광통신망;
    상기 광통신망에 의해 상기 다수의 기지국무선통신단말기에 각각 대응하여 광통신 송수신하기 위한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상기 대체지령실 광통신단말기 소정개수를 통합연결하고 희망하는 기지국과 연결통화하기위해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연결되어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는 대체지령회선을 이루는 통합연결스위칭부; 및
    상기 통합연결스위칭부에 의한 대체지령회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단일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고, 비장애모드 시에 무선지령 대용으로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고, 상기 중앙제어국의 장애나 상기 교환기와 기지국간의 회선장애가 발생한 장애모드 시에는 자동 절체 작동수행 변환하여 열차대체지령을 제어처리하는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지령실 제어처리기는 다수의 기지국 중의 선택적 기지국범위를 별도의 대체지령통화권으로 형성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기지국선택부와, 상기 기지국선택부에 선택된 대체지령통화권으로 송수신할 열차대체지령을 처리하기 위한 대체지령처리부와, 상기 대체지령처리부가 장애모드 시에 대체지령을 보내도록 경보를 알려주는 경보부와, 상기 경보부의 경보와 함께 장애모드 시에도 대체지령를 하도록 자동 절체하여 작동을 수행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절체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3. 삭제
KR1020080083247A 2008-08-26 2008-08-26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KR10089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47A KR100899431B1 (ko) 2008-08-26 2008-08-26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47A KR100899431B1 (ko) 2008-08-26 2008-08-26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431B1 true KR100899431B1 (ko) 2009-05-27

Family

ID=4086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247A KR100899431B1 (ko) 2008-08-26 2008-08-26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77B1 (ko) 2020-01-15 2020-06-29 김형목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848A (ko) * 2000-09-27 2003-05-09 에어로샛 코포레이션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KR200318288Y1 (ko) 2003-04-09 2003-06-28 주식회사 웨이브컴 결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하공간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740588B1 (ko) * 2006-08-29 2007-07-18 양영석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20070097784A (ko) * 2006-03-29 2007-10-0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848A (ko) * 2000-09-27 2003-05-09 에어로샛 코포레이션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KR200318288Y1 (ko) 2003-04-09 2003-06-28 주식회사 웨이브컴 결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하공간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70097784A (ko) * 2006-03-29 2007-10-0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740588B1 (ko) * 2006-08-29 2007-07-18 양영석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77B1 (ko) 2020-01-15 2020-06-29 김형목 철도차량용 운행계획 무선전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6510B1 (en) Public safety 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EP0819344B1 (en) Optical network and arrangement and method in such network
CN103081439B (zh) 逻辑链路管理方法和通信装置
EP0987857A1 (en) Back-up restoration technique for sonet-SDH rings
CN100563192C (zh) 无线电传输设备
KR100899431B1 (ko)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AU2018236894B9 (en) P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A2356210C (en) Sta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in subscriber line test
KR101023061B1 (ko)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통신시스템
RU2490793C1 (ru) Контрольно-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це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JPH1127208A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2018098651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RU22892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льцевой сети оператив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связи по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м системам передач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AU5224498A (en) Procedur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in the event of malfunction in the telephone network
KR100285958B1 (ko)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EP1240792B1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to make redundancy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7315883B2 (ja) 光通信システム、光通信装置および光通信方法
JPH09312614A (ja) 光インタフェース自動切り替え方式
CN109789991B (zh) 电梯系统
US7711393B1 (e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optical cross-connect switching architecture
KR101671099B1 (ko) 광중계기 원격 운용 장치 및 시스템
US7813641B1 (en) Fiber optic cable topology for fiber optic repeater distributed antenna system
HU221573B (hu) Előfizető-csatlakoztató hálózat előfizetői állomások csatlakoztatására távközlési kapcsolóközponthoz rádiós rendszer alkalmazásával
KR100187817B1 (ko) 디지탈 위성방송 송신국의 사이트 다이버시티 운용방법
RU259614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подвиж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абонента в многозоновой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