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952B1 - 자동 차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952B1
KR102126952B1 KR1020187022866A KR20187022866A KR102126952B1 KR 102126952 B1 KR102126952 B1 KR 102126952B1 KR 1020187022866 A KR1020187022866 A KR 1020187022866A KR 20187022866 A KR20187022866 A KR 20187022866A KR 102126952 B1 KR102126952 B1 KR 10212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automatic
water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657A (ko
Inventor
량카이 판
차이쿠이 쉬
Original Assignee
난징 쥔리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078353.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54519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980464.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43746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996954.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400741B/zh
Application filed by 난징 쥔리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징 쥔리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Sewag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자동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병렬 설치된 자동 차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차수 유닛은 패널(11)과 베이스(5)를 포함하고, 베이스(5)에는 저수 캐비티가 설치되고, 패널(11)은 베이스(5)에 회전 설치되고, 패널(11)의 회전을 통해 저수 캐비티를 개폐하고, 베이스(5)와 함께 덮어 닫는 데 사용되는 패널(11)의 면에 부유판(2)이 설치되고, 베이스(5)에서 베이스(5)와 패널(11)이 연결되는 일단과 다른 일단에 저수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입수구(10, 51)가 개설되고, 물이 제1 입수구(10, 51)에서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여 부유판(2)에 접촉하면, 부유판(2)에 부력이 생겨, 부유판(2)은 그 부력 작용으로 패널(11)이 회전하여 열리고, 이를 통하여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자동 차수 장치
본 출원은 차수 설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단시간 폭우로 인해 도시 내 물이 넘쳐나는 현상이 가끔 발생한다. 특히 지하 차고는 물이 즉시 배출되지 못하면 대량의 자동차가 침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엄청난 재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폭우가 점점 거세지면서 배수 설계 측면에서 강우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고, 기술 측면에서도 난이도가 있어 충분한 예방 조치를 취하지 못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전에 모래주머니를 충분히 배치하여 수류를 차단하면 비가 차고 출구에서 차고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모래주머니를 운반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설치와 시공이 편리하고 설치 전에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차수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자동 차수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차수 기능을 구현하는 동시에 설치 및 운송비용을 낮추는 데에 있다.
양측 벽 사이 지면에 거치하여 수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하는 자동 차수 장치는, 2개 이상의 병렬 설치된 자동 차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차수 유닛은 패널과 베이스를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저수 캐비티가 설치되고, 패널은 베이스에 회전 설치되고, 패널의 회전을 통해 저수 캐비티를 개폐하고, 베이스와 함께 덮어 닫는 데 사용되는 패널의 면에 부유판이 설치되고, 베이스에서 베이스와 패널이 연결되는 일단과는 다른 일단에 저수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입수구가 개설되고, 물이 제1 입수구에서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여 부유판에 접촉하면, 부유판에 부력이 생겨, 부유판은 그 부력 작용으로 패널이 열리고, 이를 통하여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출원에서 제안하는 차수 장치에 있어서, 물이 제1 입수구에서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며, 물의 양이 비교적 많을 때 부유판과 접촉해 부유판에 부력을 생성시킴으로써 패널을 밀어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차수 유닛 구조는 사이즈가 비교적 작고 운송이 편리하므로 운송비용이 절감된다. 시공 현장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적절한 수량의 차수 유닛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동 차수 장치의 가공 및 시공 기간을 줄여준다. 상기 차수 유닛을 장시간 사용할 때 만약 차수 유닛이 훼손되면 곧바로 훼손된 차수 유닛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 및 유지비용과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이웃하는 2개의 베이스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차수 장치 베이스는 강성 구조가 아니며 그다지 평편하고 가지런하지 않은 지면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 중 차수 유닛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의 또 다른 3차원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또 다른 차수 유닛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 A지점의 국부적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 장치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중 B지점 구조의 국부적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중 배수 스위치 장치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 장치의 또 다른 3차원 구조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2개 자동 차수 유닛의 연결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유닛 중 패널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유닛 패널의 조감도이고;
도 1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중 연결 장치를 확대한 3차원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 중 C지점의 상세한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단부 자동 차수 유닛 중 패널의 또 다른 구조도이고;
도 16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유닛 중 패널의 또 다른 구조도이고;
도 17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판 설치 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판 설치 방식의 또 다른 설명도이고;
도 1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판 설치 방식의 또 다른 설명도이고;
도 20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판 설치 방식의 또 다른 설명도이고;
도 2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판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조감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A-A 설명도이고;
도 2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공극 충전재가 Z형 띠 모양인 구조도이고;
도 2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공극 충전재가 Z형 띠 모양인 설치도이고;
도 26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공극 충전재가 Z형 띠 모양인 설치에 대한 국부적 확대도이고;
도 27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와 바닥면 밀봉띠의 연결 구조도이고;
도 28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와 바닥면 밀봉띠의 또 다른 연결 구조도이고;
도 2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0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또 다른 구조도이고;
도 3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가 차수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도이고;
도 3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평면도이고; 및
도 3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차수 장치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자동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 차수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병렬 설치된 자동 차수 유닛으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차수 유닛을 각각 시공 현장까지 운송한 후 시공 현장에서 차수 유닛을 맞춰 연결함으로써 전체 차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자동 차수 유닛은 베이스(5)와 패널(11)을 포함하고, 베이스(5)에 저수 캐비티가 설치되고, 패널(11)은 베이스(5)에 회전 설치되고, 패널(11)을 회전시켜 저수 캐비티를 개폐하고, 베이스(5)와 서로 덮는 데 사용되는 패널(11)의 면에 부유판(2)이 설치되고, 베이스(5)에 베이스(5)와 패널(11)을 연결하는 일단과는 다른 일단에 저수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입수구가 설치되고, 물이 제1 입수구에서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여 부유판(2)에 접촉하면 부유판(2)에 부력이 생겨 부유판(2)이 부력 작용 하에서 패널(11)을 회전시켜 열고, 이를 통하여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웃하는 2개 베이스(5)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11) 일단은 경첩(3)을 통하여 베이스(5)에 회전 설치되고, 베이스(5)와 서로 덮는 데 사용되는 상기 패널(11)의 면에 복수개의 부유판(2)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5)에 베이스(5)와 패널(11)이 회전 연결되는 일단과는 다른 일단(소위 베이스(5)와 패널(11)이 회전 연결되는 일단과는 다른 일단이라 함은, 베이스(5)에서 베이스(5)와 패널(11)이 연결되는 일단에 상대적인 일단을 말하며, 즉 베이스(5)가 패널(11)과 회전 연결되지 않는 일단을 말함)에 제1 입수구가 개설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5)에 4개의 저수 캐비티가 설치된다. 주의해야 할 부분은,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저수 캐비티의 수량을 제한하지 않으며 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복수개 저수 캐비티를 설치할 때 각 저수 캐비티 사이는 빔(beam)(22)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상기 제1 입수구(10)는 상기 베이스(5)의 측면에 개설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물이 아주 적을 때 제1 입수구(10)에서 저수 캐비티 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물이 비교적 많을 때에는 제1 입수구(10) 및 베이스(5)에 인접한 제1 입수구(10) 일측의 상방 공간에서 베이스(5)의 저수 캐비티 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부유판(2)은 물의 부력 작용 하에서 패널(11)이 경첩(3)을 감싸며 위를 향해 회전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3 및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차수 유닛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 자동 차수 유닛 바닥부에 각각 2개의 연결판(9)이 설치되고, 연결판(9) 상부는 베이스(5)에 고정(예를 들어 힌지 결합)하며, 사용 중 조임부재(12)(예를 들어, 볼트)를 통하여 연결판(9)을 분리 가능하도록 지면에 설치함으로써, 자동 차수 유닛을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 베이스 유닛과 패널 유닛(11)의 너비는 200mm 내지 1000mm이며, 이는 운송 가능성이 비교적 우수하다.
본 출원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5)에 패널(11) 회전축과 평행한 통공이 개설되고, 이웃하는 2개의 베이스(5) 사이는 통공 내부에 설치된 볼트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함께 연결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하나의 베이스(5)와 기타 베이스(5) 연결면에 연결공(113)이 설치되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공(113)은 볼트 연결공이다.
상기 장치가 사용하지 않을 때 닫히도록, 상기를 지나는 차량에 일정한 진동 경감 효과를 주고 상기 차수 유닛의 양측에 각각 볼트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지면에 설치하는 완충 경사언덕(17)을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경사언덕(17)의 경사도는 5 내지 45도일 수 있다. 이때, 제1 입수구(10)에 인접한 일측의 완충 경사언덕(17)에 제2 입수구(30)가 개설되고, 제1 입수구(10)와 제2 입수구(30)는 연통하며, 이는 도 3과 2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주의해야 할 부분은, 본 출원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 높이가 자동차 바닥판 및 타이어를 훼손하지 않을 때, 베이스(5)의 양측에 완충 경사언덕(17)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의 높이가 4 내지 5cm보다 낮을 때, 완충 경사언덕(17)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수 유닛에 있어서 베이스(5) 양측에 완충 경사언덕(17)을 설치하지 않으며, 기타 부재의 구조는 도 3에서 완충 경사언덕을 설치한 경우와 유사하다.
또는, 본 출원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경사언덕(17)과 베이스(5)를 일체형 기구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2 입수구가 없고, 제1 입수구만 있으며, 제1 입수구는 그 소재하는 일측의 완충 경사언덕을 관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5)에서 패널(11)과 회전 연결되는 일단에 배수 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도 6 내지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상기 배수 장치는 차수 장치 내의 쌓인 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수 장치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수 장치를 설치한 후, 특히 경사언덕에 설치한 후, 패널을 평편하게 할 때 내부에 물이 쌓여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수 장치는 내부에 쌓인 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 내의 금속 부재, 예를 들어 급속 베이스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배수 장치는 베이스(5)에 개설되는 제1 출수구(2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수구(20) 지점에 설치되어 패널(11)과 연동되는 배수 스위치(21)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11)과 상기 베이스(5)를 덮어 닫을 때, 배수 스위치(21)가 열리고, 상기 패널(11)이 회전하여 열리면서 소정의 각도를 넘어설 때, 상기 배수 스위치(21)가 닫힌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3 내지 15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만약 베이스(5)의 양측에 완충 경사언덕(17)을 설치할 경우, 제1 출수구(20)에 인접한 일측의 완충 경사언덕(17)에 제2 출수구(31)를 개설하고, 제2 출수구(31)는 제1 출수구(20)와 연통한다. 주의해야 할 부분은, 완충 경사언덕(17)과 베이스(5)가 일체형 기구일 때 제2 출수구가 없으며 제1 출수구만 존재하고 제1 출수구는 그 소재하는 일측의 완충 경사언덕을 관통한다.
배수 스위치(21)는 차단판(211), “回”자형의 고정판(212), 활동문(213) 및 스위치 스프링(214)을 포함하고, 고정판(212)은 베이스(5)에 고정되어 제1 출수구(20) 지점에 인접하고 고정판(212) 중간부의 개구부는 제1 출수구(20)와 연통한다. 활동문(213)은 스위치 스프링(214)의 가이드 로드(215)를 통하여 고정판(212)에 연결되고, 스위치 스프링(214) 일단은 고정판(212)에 고정되고, 활동문(213)과 스위치 스프링(214)은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순서대로 가이드 로드(215)를 씌우고, 가이드 로드(215)에서 먼 고정판(212)과 고정되는 일단과 스위치 스프링(214)에서 활동문(213)과 먼 일단은 핀(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된다. 활동문(213)에서 스위치 스프링과 반대되는 일측에 꼭대기 로드(216)가 고정되고, 꼭대기 로드(216)는 고정판(212) 중간부를 관통하여 고정판(212)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 진입하고, 상기 차단판(211)은 패널(11)에 고정되고, 차단판(211)은 패널(11)과 베이스(5)가 힌지 결합되는 일단에 위치하고, 차단판(211)은 패널(11)이 회전하며 꼭대기 로드(216)를 밀어냄에 따라 활동문(213)이 가이드 로드(215)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하도록 만든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꼭대기 로드(216)는 나사산을 수반하고, 활동문(213)에는 나사공이 개설되고, 꼭대기 로드(216)는 나사산을 통하여 활동문(213)에 고정되고, 사용 중 수동으로 꼭대기 로드(216)를 활동문(213)의 나사공에서 회전 진입하거나 나가도록 함으로써, 활동문(213)의 열리는 정보를 조절하여 배수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패널(11)이 평평하게 방치될 때, 상기 배수 스위치(21)의 차단판(211)이 꼭대기 로드(216)에 맞대어 지탱되기 때문에 활동문(213)이 스위치 스프링(214)을 압축시키게 만들고, 활동문(213)이 고정판(212)을 이탈하며 제1 출수구(20)가 열려 배수 상태에 놓이고, 남은 물을 배출하여 금속 베이스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패널(11)이 부유하는 경우 스위치 스프링(214)이 활동문(213)을 압축시키고 활동문(213)이 고정판(212)에 부착되며 제1 출수구(20)가 닫혀 배수가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꼭대기 로드(216)은 접시머리 나사봉이며, 차단판(211)과 이것이 비교적 큰 접촉 면적을 갖도록 해 꼭대기 압축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또한, 차수 장치 내에 쌓인 물을 배출시키는 것 외에 상기 차수 장치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배수 장치는 차수 장치가 너무 일찍 차단되어 입구 통로를 막아 차량 통행에 영향을 주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수구(10)의 입수 능력이 제1 출수구(20)의 배수 능력보다 크다. 입구 물 양이 제1 출수구(20)의 배수 능력보다 작을 때,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는 물은 제1 출수구(20)에서 배출될 수 있고, 패널(11)이 형성하는 차수판은 폐쇄 상태에 놓여 차량이 정상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입수량이 상기 제1 출수구(20)의 배수 능력보다 큰 경우에만, 저수 캐비티 내에 물이 쌓여 있을 수 있고, 패널(11) 전단 경첩(3)을 따라 위를 향해 열린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11)이 부유할 때 상기 배수 스위치(21) 중의 스위치 스프링(214)이 활동문(213)을 압축하고, 활동문(213)은 고정판(212)에 부착되며, 제1 출수구(20)가 닫혀 배수가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패널(11) 사이는 각각 2개의 압축띠(18)가 하나로 압축된 연성 밀봉띠(19)로 구성되는 밀봉 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각 하나의 연성 밀봉띠(19)는 2개의 이웃하는 패널(11)에 연결되고, 2개의 압축띠(18)는 각각 볼트를 통하여 2개의 패널(11)에 고정되고, 연성 밀봉띠(19)의 양측에 압박을 주는데, 이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연성 밀봉띠(19)는 실리콘 고무 접착제 또는 연성 금속판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성 밀봉띠(19)의 재료는 이중층 구조이고, 바닥층은 4mm 두께의 실리콘 고무 접착제이고, 표면층은 0.3mm 스테인리스강판이다.
패널(11)과 베이스(5)가 힌지 결합하는 위치에서, 패널(11)과 베이스(5) 사이는 2개의 후방 압축띠(181)와 하나의 후방 연성 밀봉띠(7)로 구성되는 후방 밀봉 장치를 통하여 밀봉되고, 후방 연성 밀봉띠(7)의 양변은 각각 패널(11)과 베이스(5)에 연결되고, 2개의 후방 압축띠(181)는 각각 볼트를 통하여 패널(11) 및 베이스(5)에 고정되고, 2개의 후방 압축띠(181)는 각각 후방 연성 밀봉띠(7)의 양측을 패널(11)과 베이스(5)에 압착하여 붙임으로써, 패널(11)과 베이스(5) 사이 밀봉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연성 밀봉띠(7)를 제작하는 재질은 4mm 두께의 실리콘 고무 접착제이며 밀봉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고 사용 시간이 더욱 길다.
또한, 기구를 정교하고 간결하기 만들어 공간을 절약하며 패널 연결 지점과 패널 표면이 평편하도록 만들기 위하여, 각 하나의 패널(11)은 경첩(3)에 인접한 방향 상의 3개 가장자리 위치 지점에 각각 베이스(5) 방향으로 오목하게 진입하는 제2 오목홈(111)이 개설되며,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성 밀봉띠(19) 및 후방 연성 밀봉띠(7)는 제2 오목홈(111) 내에 설치된다. 압축띠(18)와 그 중 하나의 후방 압축띠(181)도 볼트를 통하여 패널(11)에 고정되고, 패널(11)이 베이스(5)와 서로 덮으며 닫힐 때 압축띠(18)와 후방 압축띠(181)의 꼭대기부와 패널 꼭대기부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하나의 빔(22) 바닥부와 지면 사이에 하나의 간극(52)이 설치되고, 상기 간극은 빔(22) 및 부유판(2)이 지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물을 바닥부로 진입시키고, 각 저수 캐비티 사이는 서로 연통하며 패널(11)에 대하여 균일한 부력을 발생시킨다. 각 베이스(5)에서 제1 입수구(10)에 인접한 일단에 베이스(5)의 상기 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경사 지반 네일(53)을 설치하고, 경사 지반 네일(53)은 베이스(5)의 다른 일단 방향으로 경사가 지고, 베이스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베이스(5)의 경사 지반 네일(53)의 수량은 하나일 수도,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수 캐비티와 제1 입수구(10)의 연통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상기 빔(22) 바닥부를 이격시켜 간극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하나의 저수 캐비티와 제1 입수구를 연통시키는 것 이외에도, 제1 입수구의 수량을 저수 캐비티의 수량과 동일하게 설치하고 각 저수 캐비티와 하나의 제1 입수구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제1 입수구의 수량과 제2 입수구의 수량을 동일하게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5)는 제1 입수구(10)에 인접한 일단에 하나의 패널과 접촉할 수 있는 탄력 장치(54)가 설치되는데, 이는 패널(11)이 베이스를 덮은 후 패널(11)이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스프링에 위를 향한 힘을 발생시켜 패널을 쉽게 부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력 장치(54)는 스프링이며 오목홈(421) 내에 설치된다. 스프링을 오목홈(421) 내에 설치하면 그 신축 범위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이 적절하여 정상 사용 중 패널과 베이스가 자동으로 탄성력으로 열리지 않는다. 본 출원에 있어서 스프링의 수량은 2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실제 수요에 따라 적절한 수량의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패널(11)에 각각 베이스(5)와 연결되는 연결 장치(4)가 설치되고, 패널(11)이 부유할 때 패널(11)을 끌어당긴다. 패널(11)이 완전히 부유할 때 패널(11)을 지탱하며, 이것이 물을 차단하지 않을 때 수작업으로 사람이 간섭해야만 엎을 수 있어 이것이 갑자기 닫혀 주변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13 및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하나의 연결 장치(4)는 패널(11)에 각각 설치된 상부 고정부(41)와 베이스(5)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42)를 포함하고, 상부 고정부(41)와 하부 고정부(42) 사이에는 연결봉(43)이 더 설치되고, 연결봉(43)은 절첩이 가능하다. 하부 연결봉과 회전 연결되는 빔(22) 꼭대기부에 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목홈(421)이 개설되고, 상기 오목홈(421)은 하부 고정부(42)를 구성한다. 연결봉(43)은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 상부 연결봉(433), 힌지 지지부재(434)를 포함하고,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 및 상부 연결봉(433)은 모두 힌지 지지부재(434)를 통하여 회전 연결되고, 힌지 지지부재(434)를 지지점으로 절첩 또는 연장되며, 좌측 하부 연결봉(431)과 우측 하부 연결봉(432)은 각각 상부 연결봉(433)의 양측에 위치한다.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은 각각 연결되어 핀축(42)을 통하여 하부 고정부(42)의 오목홈(421) 내부에 회전 설치되고,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 사이는 베이스(5)와 인접한 위치에 횡방향 스프링(6)이 더 연결되고,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과 베이스(5) 연결 위치 지점의 횡방향 스프링(6)의 일면과는 다른 일면에 외부로 연장하는 반원 헤드 플랜지(61)가 설치되고(즉, 횡방향 스프링과 반원 헤드 플랜지(61)는 좌측 하부 연결봉(431) 또는 우측 하부 연결봉(432)에서 서로 등지는 양면에 위치함), 반원 헤드 플랜지(61)는 핀축(42)과 힌지 지지부재(434) 사이에 위치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저수 캐비티의 수량은 빔의 수량보다 하나 많으며, 만약 빔의 수량이 복수개이면, 빔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빔에 오목홈(421)을 개설하여 좌측 하부 연결봉(431), 우측 하부 연결봉(432)과 회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패널(11)이 완전히 부유된 이후, 좌측 하부 연결봉(431)과 우측 하부 연결봉(432) 외측의 반원 헤드 플랜지(61)는 스프링(6) 작용으로 인하여 외부로 열리고, 반원 헤드 플랜지(61)는 빔 내부 오목홈(421)에서 노출되며, 반원 헤드 플랜지(61)가 오목홈(421) 꼭대기부 가장자리에 접촉하며 지탱되기 때문에 좌측 하부 연결봉(431)과 우측 하부 연결봉(432)이 아래로 회전하도록 제한하고, 물이 물러난 후 부유판(2)이 자체 중량 때문에 덮을 수 없도록 하여 수작업으로 강제로 패널(11)을 밀어야만 반원 헤드 플랜지(61)가 안쪽으로 수축되어 오목홈(421)으로 진입하고, 좌측 하부 연결봉(431)과 우측 하부 연결봉(432)이 아래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부 연결봉과 하부 연결봉 하나로 절첩되어 오목홈(421) 내로 수거되고, 패널(11)이 비로소 닫힌다. 따라서 패널(11)이 갑자기 닫혀 주변 인력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 중의 패널(11)은 상층의 상부 패널(101)과 하층의 하부 패널(102)을 포함하고, 하부 패널(102)은 경첩(3)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전 설치되고, 상부 패널(101)은 리벳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하부 패널(102)에 설치되고, 부유판(2)은 하부 패널(102)에 고정되고 하부 패널(102)에 복수개의 라이트닝홀(lightening hole)(112)이 더 설치되고 부유판(2)과 라이트닝홀(112)은 모두 하부 패널(102)과 베이스가 서로 덮는 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11)은 알루미늄재로 제작하며 중량이 비교적 가볍다. 라이트닝홀(112) 내에 물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재료(질량이 비교적 가볍고 수중에서 부력을 비교적 크게 받고 수면에 표류하는 재료)를 충진하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력 재료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한 폼일 수 있다.
상부 패널(101)의 상표면 위치에 오목 무늬(133) 또는 돌출 무늬가 더 설치되기 때문에, 지나가는 차량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하여 눈이나 비가 오는 날 차량이 상기 차수 장치를 지나갈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비교적 우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유판(2)에서 베이스(5)를 향하는 일면에 수위 경고 표시(15)가 더 설치된다. 수위 경고 표시(15)는 눈금이 나타나거나 경고색깔이 나타난다. 패널(11)이 부유할 때 주위 작업자 또는 기타 관계자에게 차주 장치를 높이거나 적절히 배수 작업을 진행한다는 것을 상기시킬 수 있고, 또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경고를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출원 중의 부유판(2)은 방수 폼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비교적 높고 긴 사용 수명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수 장치의 양단은 벽면이고, 상기 차수 장치와 측벽 사이의 틈새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 차수 장치는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양측과 양측 벽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성 밀봉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성 밀봉판은 각각 측벽과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중 상기 측벽에 인접한 자동 차수 유닛의 패널(11)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패널(11)이 부유판 후 상기 연성 밀봉판은 이를 따라 구부려지고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양측과 양측벽 사이에서 차수 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차수 장치와 측벽 사이의 틈새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 내지 2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차수 장치 단부의 자동 차수 유닛과 벽(16) 사이에 삼각형의 연성 밀봉판(1)을 설치할 수 있고, 연성 밀봉판(1)은 실리콘 고무 접착제로 제작할 수 있고, 그 중 바닥변은 밀봉판 벽면 압축띠(161)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벽(16)에 설치하고, 그 중 하나의 허리변(waist edge)은 밀봉판 패널 압축띠(162)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벽면에 인접한 패널(11)에 설치함으로써, 최양단의 패널(11)과 벽(16)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벽(16)의 밀봉판 벽면 압축띠(161)와 베이스는 45도 각도로 배치되고, 밀봉판 벽면 압축띠(161) 바닥단은 최외측의 압축띠(181) 단부 헤드에 바짝 붙는다. 밀봉판 벽면 압축띠(161), 벽면 누수방지 연성 밀봉판(1), 밀봉판 패널 압축띠(162)와 패널(11) 등 부재는 함께 완전한 벽면 누수방지 연성 밀봉 캐비티를 형성한다. 패널(11)이 부유판 후 연성 밀봉판(1)이 이를 따라 구부려지기 때문에 벽면 누수방지 밀봉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성 밀봉판(1)의 형상은 직각 삼각형이며, 직각 삼각형에서 하나의 직각변은 패널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경사변은 벽면(16)에 고정된다.
차수 장치와 양측벽 사이의 밀봉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차수 장치와 양측벽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줄여야만 밀봉판의 밀봉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일방면에서 양측벽 사이의 거리를 상당히 정밀하게 측정해야 하며, 다른 방면에서 차수 장치의 너비도 상당히 정밀하게 가공해야 한다. 비록 다른 수량의 차수 유닛을 조합하여 다른 너비의 차수 장치를 구현할 수 있기는 하나, 차수 장치와 양측벽 사이의 밀봉을 구현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차수 장치 단부의 자동 차수 유닛과 벽(16) 사이에 직각 계단형의 연성 밀봉판(13)을 설치할 수 있는데, 도 21 내지 2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수 장치는 2개의 각각 차수 장치 양측에 설치된 직각 계단형 연성 밀봉판(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은 측벽과 고정 연결되고, 직각 측변과 패널(11)은 상기 측벽에 인접한 일단에 고정 연결되고, 꼭대기변과 베이스(5) 후방 가장자리는 평편하고 가지런하게 지면과 밀봉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벽면 압축띠(161), 패널 압축띠(1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의 바닥각은 45도이고, 벽면 압축띠(161)는 측벽면을 따라 45도 각도로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을 측벽(16)에 고정시키고, 패널 압축띠(162)는 측벽면과 평행하며, 밀봉판(13)의 직각 측변은 패널(11) 상표면에 고정된다.
밀봉판(13)은 연성 재료이며, 시공 현장에서 시공인력이 전단하여 그 꼭대기변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밀봉판(13)의 꼭대기변 너비가 베이스 최외측과 측벽 사이 거리에 패널 압축띠 너비를 더한 합과 같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현장 설치 시공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제품의 적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차수 유닛은 2개 이상이며, 상기와 밀봉판(13)의 직각 측변과 고정 연결된 패널(11)은 차수 장치에서 양측벽에 각각 인접한 2개의 차수 유닛의 패널이다.
차수 유닛이 하나일 때, 상기 유닛 양단은 밀봉판(13)을 통하여 양측벽과 밀봉 연결된다. 차수 유닛이 복수개일 때, 각각 양측벽에 인접한 2개 차수 유닛의 패널에서 외측에 인접한 지점은 밀봉판(13)을 통하여 양측벽과 밀봉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16)에 인접한 베이스(5)와 측벽 사이에는 베이스(5)와 높이가 같은 공극 충전재(6)가 더 설치되는데 이는 도 2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상기 공극 충전재(6) 일단은 측벽(16)에 지탱하고, 다른 일단은 베이스(5)와 밀폐 연결되며, 하표면이 지면과 밀폐되어 고정 연결되고, 밀봉판(13)의 꼭대기변은 공극 충전재(6)의 상표면에 설치되고, 공극 충전재 압축띠(163)로 밀봉판(13)의 꼭대기변을 공극 충전재(6)와 고정 연결한다.
공극 충전재(6)로 베이스(5)와 측벽(16) 사이의 공극을 메우고, 밀봉판(13)으로 패널(11)과 측벽(16) 사이 공극을 충진함으로써, 전체 차수 방안의 완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밀봉판(13) 꼭대기변의 시공 난이도를 감수시키고 밀봉판(13)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밀봉판(13)은 전체 차수 장치 중 가장 훼손되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밀봉판(13)의 사용수명 연장은 전체 차수 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24 내지 2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공극 충전재(6)는 횡단면이 Z형인 띠 모양이고, 그 길이는 베이스(5) 최외측과 측벽(16) 사이 거리보다 길고, 그 꼭대기단의 공극 충전재 벽면 고정판(64)은 측벽(16)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의 공극 충전재 상표면(61)은 베이스(5) 후방을 따르는 상표면(151)에 접합되고, 공극 충전재 중간 수직면(62)은 베이스 후방을 따르는 후방 단면(152)에 접합되고, 상기 공극 충전재(6)의 하표면(63)은 지면과 접합된다. 그 내측 수직방향 높이와 베이스(5) 후방 방향 높이는 같기 때문에, 베이스(5)와 측벽(16) 사이 하부 공극의 밀폐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부 공극은 밀봉판(13)에 의하여 밀폐된다.
도 24는 공극 충전재가 Z형 띠인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벽면(16)의 고정판(64)을 추가하였다.
도 25는 공극 충전재가 Z형 띠인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패널(11)과 베이스 전후 경사언덕(17)을 표시하지 않았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 공극 충전재가 Z형 띠 구조를 설치한 국부적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패널과 베이스 전후 경사언덕(17)을 표시하지 않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횡단면이 Z형인 띠의 길이는 베이스(5) 최외측과 측벽 사이의 거리에 5cm를 더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설치할 때 횡단면이 Z형인 띠의 공극 충전재(6)는 전단할 필요가 없으며, 베이스(5) 최외측과 측벽(16) 사이의 공극 충전 길이만 충족시킬 수 있으면 밀봉성을 보장할 수 있고 시공하기도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극 충전재(6)는 각관일 수 있으며, 그 일단은 측벽(16)에 지탱되고 다른 단은 베이스(5)의 측벽에 지탱되고, 각관 높이는 베이스(5) 높이와 같다.
공극 충전재의 역할 범위는 시공 현장에서 시공인력이 베이스와 측벽 간의 거리에 의거하여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에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밀봉성과 시공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밀봉판(13)의 꼭대기변 너비는 베이스(5) 최외측과 측벽 사이 거리에 패널 압축띠(162) 너비를 더한 합보다 짧지 않다.
밀봉판(13)은 시공 현장에서 시공인력이 전단하여 그 꼭대기변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밀봉판(13)을 제 위치에 설치한 후의 꼭대기변 너비를 베이스 최외측과 측벽 사이 거리에 패널 압축 띠 너비를 더한 합과 같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차수 장치 전체 너비를 엄격하게 양측벽 거리에 매칭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수 장치 전체 너비를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행 측정과 현장 설치 시공이 편리하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수 장치는 패널(11)의 부유 각도의 위치를 제한하는 돌기(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24)는 자동 차수 장치 양측의 벽면(16)에 설치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수 장치는 베이스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로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로드(23)는 자동 차수 장치 양측의 벽면에 고정되며, 그 바닥단과 최외측의 베이스는 제1 입수구에 위치하는 일단과 고정된다.
도 2 및 2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5)와 지면 사이에 베이스 누수방지 연성 밀봉띠(50)가 설치되고, 베이스 누수방지 연성 밀봉띠(50)는 베이스에서 제1 입수구(10)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고(즉 베이스에서 제1 입수구(10)에서 먼 일단), 상기 일단은 밀봉띠 압축띠(501)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밀봉띠 압축띠(501)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지면에 설치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베이스 누수방지 연성 밀봉띠(50)는 상기 설치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수평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그 일단은 베이스의 바닥부에, 다른 일단은 지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압축띠에는 모두 볼트 또는 리벳이 고정된다.
차량의 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수 장치의 베이스는 최대한 낮게 설치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소량의 물이 저수 캐비티(5)로 진입하여 패널(11)이 전단 경첩(3)을 따라 위를 향해 열리면서 차수 상태에 진입하며 동시에 차량의 정상 통행을 저지할 수 있다. 소량의 쌓인 물이 있는 상황에서, 차수 장치가 너무 일찍 입구 통로를 차단하여 차량의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입수구(10) 하부 가장자리와 지면까지의 높이를 끌어올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수구(10)의 하부 가장자리와 지면 거리의 값 범위는 3~6cm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5cm일 수 있다. 이는 도 2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또는, 차수 장치가 너무 일찍 입구 통로를 닫아 차량의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입수구를 그리드 구조로 설치하고 베이스(5)의 상표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9, 20, 30 내지 3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입수구를 그리드 구조로 설치하여 베이스(5)의 상표면에 설치함으로써, 수위가 베이스(5) 상부 가장자리보다 높기만 하면 물이 베이스(5)를 천천히 지나 제1 입수구(51)를 통해 저수 캐비티 내로 진입하고, 이를 통하여 패널(11)을 열어 “패널(11)이 베이스(5) 전단에서 물 양이 차수 역치에 도달하기만 하면 위로 열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때의 차수 역치는 바로 베이스(5)와 같은 높이의 수위를 말한다. 상기 차수 역치는 각 응용 상황의 배수 능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형전 실험을 통해 확정할 수 있다.
입구에 물이 적고, 쌓인 물 깊이가 얕을 때, 패널(11)이 형성하는 차수판이 닫힌 상태에 있으며 차량이 정상 통행할 수 있다. 입구에 물이 많고, 쌓인 물 깊이가 높을 때 패널(11) 전단 경첩(3)이 위로 열리고 물이 충분히 차고 밖으로 차단된다.
입수 그리드에서 입수량을 늘려 장치의 가동 정밀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구조 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차량이 압력을 받아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5)의 후단에 제1 출수구(20)를 더 설치하면, 도 3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11)이 열리는 시간을 더 지연시켜 차량 통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기반으로 진행한 모든 수정과 동등한 수준의 치환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0)

  1. 삭제
  2. 양측 벽 사이 지면에 거치하여 수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하고, 2개 이상의 병렬 설치된 자동 차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차수 유닛은 패널(11)과 베이스(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5)에는 저수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11)은 상기 베이스(5)에 회전 설치되고, 상기 패널(11)의 회전을 통해 저수 캐비티를 개폐하고, 상기 베이스(5)와 함께 덮어 닫는 데 사용되는 상기 패널(11)의 면에 부유판(2)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5)에서 베이스(5)와 패널(11)이 연결되는 일단과 다른 일단에 저수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입수구(10, 51)가 개설되고, 물이 제1 입수구(10, 51)에서 저수 캐비티로 진입하여 부유판(2)에 접촉하면, 부유판(2)에 부력이 생겨, 부유판(2)은 그 부력 작용으로 패널(11)이 회전하여 열리고, 이를 통하여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패널(11)과 연결되는 상기 베이스(5)의 일단에 배수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베이스(5)에 개설되어 상기 저수 캐비티가 연통하는 제1 출수구(20) 및 제1 출수구(20) 지점에 설치되어 패널(11)과 연동되는 배수 스위치(21)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11)과 상기 베이스(5)가 닫힐 때 배수 스위치(21)가 열리며; 상기 패널(11)이 회전하여 열리고 이것이 소정의 각도를 넘어설 때 상기 배수 스위치(21)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스위치(21)는 활동문(213), 가이드 로드(215), 스위치 스프링(214) 및 상기 패널(11)에 고정되는 차단판(211)을 포함하고, 가이드 로드(215)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5)에 고정되고, 스위치 스프링(214)과 활동문(213)은 가이드 로드(215)를 씌우고, 베이스(5)에 멀리 떨어져 고정된 가이드 로드(215)의 일단은 스위치 스프링과 고정되고, 활동문(213)에 스위치 스프링(214) 위치와 상반되는 일측에 꼭대기 로드(216)이 고정되고, 차단판(211)은 상기 패널(11)을 따라 회전하여 꼭대기 로드(216)을 밀어 활동문(213)이 가이드 로드(215)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만들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출수구(2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수구(10, 51)의 입수 능력이 상기 제1 출수구(20)의 배수 능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동 차수 장치는 베이스(5) 양측에 설치되는 완충 경사언덕(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출수구(20) 일측에 인접한 완충 경사언덕(17)에 제1 출수구(20)와 연통하는 제2 출수구(31)가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수구(51)에 그리드 구조가 있고 상기 베이스(5)의 상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수구(10)의 하부 가장자리와 지면 간 거리의 값이 3~6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양측과 양측 벽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성 밀봉판(1, 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 밀봉판(1, 13)은 각각 측벽과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중 상기 측벽에 인접한 자동 차수 유닛의 패널(11)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패널(11)이 부유한 후 상기 연성 밀봉판(1, 13)은 이를 따라 구부려지고, 상기 자동 차수 장치 양측과 양측벽 사이에서 차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밀봉판(1, 13)은 직각 계단형 구조이고,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은 측벽과 고정 연결되고, 직각 측변은 상기 측벽에 인접한 차수 유닛의 패널(11)에서 상기 측벽에 인접한 일단에 고정 연결되고, 꼭대기변과 베이스(5) 후방 가장자리는 평편하고 가지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양측벽과 양측벽에 인접한 베이스(5)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공극 충전재(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극 충전재(6)는 상기 베이스(5)와 높이가 같고, 일단은 측벽에 지탱하고, 다른 일단은 베이스(5)와 밀폐 연결되며, 하표면이 지면과 밀폐되어 고정 연결되고, 밀봉판(13)의 꼭대기변은 공극 충전재(6)의 상표면에 설치되어 공극 충전재(6)와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벽면 압축띠(161), 패널 압축띠(162) 및 공극 충전재 압축띠(1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의 바닥각은 45도이고, 벽면 압축띠(161)는 측벽면을 따라 45도 각도로 상기 밀봉판(13)의 경사각 측변을 측벽에 고정하고, 패널 압축띠(162)는 측벽면과 평행하며, 밀봉판(13)의 직각 측변은 패널(11) 상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공극 충전재 압축띠(163)는 밀봉판(13)의 꼭대기변을 공극 충전재(6) 상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의 꼭대기변 너비가 베이스(5) 최외측과 측벽 사이 거리에 패널 압축띠(162) 너비를 더한 합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밀봉판(1)은 삼각형 구조이고, 그 바닥변은 상기 측벽에 인접한 자동 차수 유닛의 패널(11)에서 상기 측벽에 인접한 일단과 고정 연결되고, 하나의 허리변(waist edge)이 측벽과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에 2개 이상의 저수 캐비티가 병렬 설치되고,
    상기 장치는,
    각 저수 캐비티 사이를 격리시키는 빔(22);
    일단이 패널(11)과 회전 연결되는 상부 연결봉(433); 및
    일단이 베이스(5)의 빔(22)과 회전 연결되는 하부 연결봉을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부 연결봉(433)의 다른 일단은 하부 연결봉의 다른 일단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부 연결봉과 회전 연결되는 빔(22) 꼭대기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상부 연결봉(433)과 하부 연결봉을 수용하는 오목홈(421)이 개설되고, 하부 연결봉은 좌측 하부 연결봉(431)과 우측 하부 연결봉(432)을 포함하고, 양자는 각각 상부 연결봉(433)의 양측에 위치하고, 양자의 일단이 모두 상부 연결봉(433)과 힌지 결합되고, 양자의 다른 일단은 각각 오목홈(421) 양측의 내벽에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5)에서 제1 입수구(10, 51)에 인접한 일단에 패널(11)과 접촉 가능하게 탄력 장치(54)를 설치하고, 상기 패널(11)이 닫힌 상태일 때 패널(11)이 상기 탄력 장치(54)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로드(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로드(23)은 자동 차수 장치 양측의 벽에 고정되고, 그 바닥단과 측벽에 인접한 자동 차수 유닛의 베이스(5)는 제1 입수구(10, 51)에 위치하는 일단과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패널(11)은 상층의 상부 패널(101)과 하층의 하부 패널(102)을 포함하고, 하부 패널(102)은 베이스(5)에 회전 설치되고, 상부 패널(101)은 분리 가능하도록 하부 패널(102)에 설치되고, 부유판(2)은 하부 패널(10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수 장치.
  20. 삭제
KR1020187022866A 2016-02-04 2017-02-04 자동 차수 장치 KR102126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78353.2 2016-02-04
CN201610078353.2A CN105545190B (zh) 2015-10-31 2016-02-04 模块化自动挡水装置
CN201610980464.2 2016-11-08
CN201610980464.2A CN106437462B (zh) 2016-11-08 2016-11-08 地下车库延时挡水装置
CN201610996954.1 2016-11-14
CN201610996954.1A CN106400741B (zh) 2016-11-14 2016-11-14 一种挡水装置
PCT/CN2017/072874 WO2017133680A1 (zh) 2016-02-04 2017-02-04 自动挡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657A KR20180100657A (ko) 2018-09-11
KR102126952B1 true KR102126952B1 (ko) 2020-06-26

Family

ID=5950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66A KR102126952B1 (ko) 2016-02-04 2017-02-04 자동 차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22095B2 (ko)
EP (1) EP3401492B1 (ko)
JP (1) JP6666472B2 (ko)
KR (1) KR102126952B1 (ko)
AU (1) AU2017215797B2 (ko)
CA (1) CA3013517C (ko)
GB (1) GB2561798B8 (ko)
WO (1) WO2017133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5282B (zh) * 2017-12-06 2023-05-30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汽车防水淹装置
GB2569370A (en) * 2017-12-15 2019-06-19 Haawal Eng As Portable water barrier
US10619318B1 (en) * 2019-05-24 2020-04-14 Floodbreak, L.L.C. Flood barrier
CN111139833A (zh) * 2020-01-31 2020-05-12 魏嘉轩 一种水利防洪墙修建设备
CN112095545A (zh) * 2020-08-25 2020-12-18 童宗明 一种基于非牛顿流体的缓冲防护型防汛板
CN112049214B (zh) * 2020-09-14 2021-12-17 淮北市荣恋科技有限公司 地下车库进口泄水结构
CN112982284B (zh) * 2021-02-25 2023-02-10 青岛理工大学 一种地下车库水动力阻水装置及方法
CN113071608B (zh) * 2021-04-01 2022-05-10 山东韵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定时浮标检测装置
JP7354177B2 (ja) * 2021-04-07 2023-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止水装置
CN113175065B (zh) * 2021-04-17 2022-03-08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地下车库雨水分区排水系统
CN113585172B (zh) * 2021-08-11 2022-10-11 南京市水利规划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市政用地铁口挡水坝
CN113802520A (zh) * 2021-09-18 2021-12-17 安徽科技学院 一种用于地下设施入口处的自动截水装置
JP7444829B2 (ja) * 2021-09-28 2024-03-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止水装置、止水構造
JP7444828B2 (ja) * 2021-09-28 2024-03-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止水装置、止水構造
CN114108553A (zh) * 2021-12-06 2022-03-01 周立武 一种水利工程用防洪堤
CN114481949B (zh) * 2022-02-26 2023-06-13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防止水电站泄洪道检修时渗水的挡排水系统及方法
CN114775641B (zh) * 2022-05-30 2023-08-29 南京旭浦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密肋空腔墙板
CN115354953B (zh) * 2022-09-08 2024-03-19 安阳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翻转式钢筋混凝土挡水墙构造
CN115807439B (zh) * 2022-12-28 2023-08-22 连云港市金河水利工程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止水装置
CN116770769B (zh) * 2023-08-01 2024-01-09 威海水利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地埋翻板式止水闸门
CN116988425B (zh) * 2023-08-09 2024-07-23 周口市水利勘测设计院 一种水利工程施工用挡水装置
CN118360901B (zh) * 2024-06-19 2024-08-30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一勘探队 一种海岸带泥沙侵蚀防护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82B1 (ko) * 2011-11-04 2012-02-22 주식회사 이건 자동개폐가 가능한 가동보
KR200467597Y1 (ko) * 2013-04-19 2013-06-21 권대운 자석을 이용하여 신속설치가 가능한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JP2014506307A (ja) * 2010-12-27 2014-03-13 フロッドブレイク,エルエルシー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826U (ja) * 1982-09-27 1984-04-05 株式会社栗本鉄工所 転倒ゲ−トの水密保持装置
DE19509970C2 (de) * 1995-03-18 1997-06-05 Herbert Riedmayer Klappe zum Absperren eines oben offenen Gerinnes
JP3605739B2 (ja) * 1995-11-15 2004-12-22 豊国工業株式会社 防水扉の起立装置
DE10162568A1 (de) * 2001-12-19 2003-07-17 Seidl & Partner Gmbh Gesamtpla Bauwerksegment für ein Hochwasserschutzbauwerk, Bauwerk und Verfahren zur Errichtung des Bauwerks
JP2003227125A (ja) * 2002-02-04 2003-08-15 Hitachi Zosen Corp 起伏ゲート
JP2003253912A (ja) *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US6623209B1 (en) * 2002-04-04 2003-09-23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 gate
JP2005344486A (ja) * 2004-05-31 2005-12-15 Koichi Mochizuki 起伏ゲート装置
GB2465005B (en) * 2008-11-04 2012-04-11 John Charles Macintosh Forrest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lood defence
CN201448029U (zh) * 2009-08-04 2010-05-05 陈铭铸 一种防汛挡水装置
US8246272B1 (en) * 2010-01-19 2012-08-21 Denios, Inc. Actuated spill barrier
US20120034032A1 (en) * 2010-08-05 2012-02-09 Waters Jr Louis A Self-Actuating Flood Guard
JP5845025B2 (ja) * 2011-08-24 2016-01-20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の扉体構造
CN103306247B (zh) * 2013-06-09 2015-10-14 王辉 水利景观活动挡水坝
JP6176534B2 (ja) * 2014-02-24 2017-08-09 株式会社 ▲高▼▲橋▼監理 洪水用止水装置
GB2514879B (en) * 2014-03-06 2015-05-06 Antonios Toumazis Self-operated barrier for flood, spill and other protection
CN104120907A (zh) * 2014-08-13 2014-10-29 南京军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挡水装置
CN204456011U (zh) * 2015-01-09 2015-07-08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自浮式上翻闸门挡水装置
CN105133552A (zh) * 2015-08-24 2015-12-09 湖南力威液压设备有限公司 平衡式液压拦河坝
CN105545190B (zh) * 2015-10-31 2017-02-22 南京军理科技股份有限公司 模块化自动挡水装置
CN205387898U (zh) * 2015-10-31 2016-07-20 南京军理科技股份有限公司 模块化自动挡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307A (ja) * 2010-12-27 2014-03-13 フロッドブレイク,エルエルシー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KR101115582B1 (ko) * 2011-11-04 2012-02-22 주식회사 이건 자동개폐가 가능한 가동보
KR200467597Y1 (ko) * 2013-04-19 2013-06-21 권대운 자석을 이용하여 신속설치가 가능한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492A1 (en) 2018-11-14
GB201812923D0 (en) 2018-09-19
JP6666472B2 (ja) 2020-03-13
CA3013517C (en) 2019-12-03
WO2017133680A1 (zh) 2017-08-10
GB2561798B8 (en) 2019-07-24
GB2561798B (en) 2019-06-26
JP2019504954A (ja) 2019-02-21
EP3401492B1 (en) 2019-10-23
EP3401492A4 (en) 2019-01-09
AU2017215797B2 (en) 2019-07-11
AU2017215797A1 (en) 2018-08-16
US20190032293A1 (en) 2019-01-31
GB2561798A8 (en) 2018-10-31
US10422095B2 (en) 2019-09-24
KR20180100657A (ko) 2018-09-11
CA3013517A1 (en) 2017-08-10
GB2561798A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952B1 (ko) 자동 차수 장치
CN105545190B (zh) 模块化自动挡水装置
US7101114B1 (en)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CN107780423B (zh) 可调式水围堰
US9689129B2 (en) Self-activating flood protection barrier
CN211819117U (zh) 一种用于作战洞库口部具有伪装功能的防洪装置
KR101087366B1 (ko) 가변형 온실구조물
CN109292485B (zh) 用于密封或遮蔽装载平台处的车辆的天气屏障装置
PL199371B1 (pl) Przenośna zapora przeciwpowodziowa
US8820346B2 (en) Self-actuating drainag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GB2323621A (en) Self-actuating flood barrier
ITUD20090238A1 (it) Dispositivo anti-allagamento
CN113775018B (zh) 一种地下室施工方法
CN204475495U (zh) 一种多功能排水井盖
KR102273068B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건물 옥상의 방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건물 옥상의 방수 시공방법
JP2619605B2 (ja) 防潮装置
CN104695534A (zh) 一种多功能排水井盖
CN215977142U (zh) 一种用于地下洞室的防洪闸门结构
CN101906808B (zh) 排水沟盖及其阻气盘
KR102695424B1 (ko) 수해방지용 무동력 부력식 자동 차수벽
CN111350264B (zh) 一种多功能井盖组件
CN117468588B (zh) 一种玻璃幕墙用防水装置
CN220797487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箱式变电站
CN115188287A (zh) 基于物联网的高速路旁落地式智能液晶大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