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27B1 -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27B1
KR102124627B1 KR1020190031912A KR20190031912A KR102124627B1 KR 102124627 B1 KR102124627 B1 KR 102124627B1 KR 1020190031912 A KR1020190031912 A KR 1020190031912A KR 20190031912 A KR20190031912 A KR 20190031912A KR 102124627 B1 KR102124627 B1 KR 10212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containing
dispersibility
ed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054A (ko
Inventor
김선영
김일구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9003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54A/ko
Priority to KR102020007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0.5 wt% 내지 5 wt%, 염 0.1 wt% 내지 1 wt% 및 EDTA 0.02 내지 0.04 wt%를 함유한 수분산성이 향상된 파우더를 함유한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간의 응집력을 억제하며 수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powder}
본 발명은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0.5 wt% 내지 5 wt%, 염 0.3 wt% 내지 1 wt% 및 EDTA 0.02 wt% 내지 0.04 wt%를 함유한 수분산성이 향상된 파우더를 함유한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초 화장품류에서 불용성인 파우더류는 부드러운 마무리감을 줄 수 있어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저점도 가용화 타입 화장품에 불용성 파우더를 분사시켜 제조한 화장수는 특별한 사용감과 효능으로 인해 지성피부용으로 최근 사용이 증가 되고 있다.
파우더는 그 특유의 사용감으로 화장품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없애줄 수 있으며, 흡유력이 있는 파우더의 사용을 통해 지성 피부의 피지를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 내에 기능성 물질을 흡착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능성 파우더의 사용을 통해 신기능을 가지는 가용화 타입 화장수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파우더 수분산 기술을 이용한 저점도 가용화 타입 화장품의 경우 파우더의 응집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덩어리로 뭉치고 재분산이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친수성이 너무 낮아 물에 분산되기 어려운 파우더나 파우더 표면간에 작용하는 응집력이 강한 파우더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는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존 많은 연구에서 크기 또는 극성과 연관하여 파우더의 수분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화장품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파우더의 응집 현상을 억제한 가용화 타입 화장품을 연구하던 중, 에스테르기를 가진 다공성 고분자, 염기화합물 및 항응고제를 첨가함으로써 파우더의 응집 현상이 억제되고 수분산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염 및 EDTA를 첨가함으로써 파우더 간의 응집력이 억제된 수분산성이 향상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wt% 내지 5 wt%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및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t% 내지 1 wt%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2 wt% 내지 0.04 wt%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염 및 EDTA를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간의 반발력을 향상시켜 응집 현상이 억제되었으며, 이에 수분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염 및 EDTA를 첨가함으로써 파우더 간의 응집력을 억제하며 수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를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MA-COCO-170 파우더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이 첨가된 파우더 분산의 도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 종류 및 염 함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를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DTA를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를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PMMA를 함유한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사용된 시료는 화장품용 등급의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에 사용된 증류수는 Direct-Q3 장치를 통과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INCI name product name Producer/ditributor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SUNPMMA-COCO-170 SUNJIN CHEMICAL CO., LTD.(Korea)
몬모릴로나이트 Green clay ARCLAY LLC Natural Technology(USA)
폴리메틸 실세스퀴옥산 Gransil PSQ Grant industries, INC.(USA)
실리카 Sunsil 130 SUNJIN CHEMICAL CO., LTD.(Korea)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가교폴리머, 실리카 Plastic Powder D-400 Tochiki Pigment CO., LTD.(Japan)
Nylon-12 ORGASOL(nylon powder 613) ATOFINA(France)
염화나트륨 NaCl 수정케미칼(Korea)
염화칼륨 KCl 봉민케미칼(Korea)
황산마그네슘 MgSO4 KALI UND SALZ AG(Germany)
트리소듐 EDTA EDTA-3Na 제국화학(Japan)
SD ALCOHOL 40-B SDA 40B(ETHANOL)/0.808 ADM(USA)
PEG-40 HYDERGENATED CASTOR OIL HCO-40 NIKKOL(Japan)
글리세린 ELOGLYN R980 엘지생활건강(Korea)
시트르산 함수구연산 Chemicals PTL.(Germany)
시트르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YIXING Zhenfen Medical Chemi.(China)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상을 45℃에서 가열하여 상온으로 제조된 수상에 에탄올상을 가하는 방법으로 가용화한 후 교반하며 파우더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파우더의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질 실시예(wt%)
SD ALCOHOL 40-B 5.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3
글리세린 5.0
시트르산 0.02
시트라산나트륨 0.03
SUNPMMA-COCO-170 1.0
증류수 To. 100
비교예 1 내지 5: 파우더 종류에 따른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제조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상을 45℃에서 가열하여 상온으로 제조된 수상에 에탄올상을 가하는 방법으로 가용화한 후 교반하며 파우더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파우더의 함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질 비교예 1(wt%) 비교예 2(wt%) 비교예 3(wt%) 비교예 4(wt%) 비교예 5(wt%)
SD ALCOHOL 40-B 5.0 5.0 5.0 5.0 5.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3 0.3 0.3 0.3 0.3
글리세린 5.0 5.0 5.0 5.0 5.0
시트르산 0.02 0.02 0.02 0.02 0.02
시트라산나트륨 0.03 0.03 0.03 0.02 0.03
ORGASOL 1.0 - - - -
Plastic powder - 1.0 - - -
Sunsil 130 - - 1.0 - -
Gransil PSQ - - - 1.0 -
Green clay - - - - 1.0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 수분산성 분석
가용화 장치로는 일반 가용화기로 T.K. Robomix를 사용하였으며, 탁도 측정은 탁도 측정기 COH-200A를 사용하였다. SUNJIN Chemical Co., LTD.를 이용하여 SEM 사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른 수상 내에서의 분산성을 분석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견본은 한달 동안 상온에서 외부의 충격을 받지 않게 보관하였으며, 한달 후에 견본을 거꾸로 하여 파우더가 재분산된 용액을 관찰하였다. 육안 관찰을 통해 1차적으로 분산성을 파악하였으며, 파우더의 분산성이 높으면 용액의 투명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탁도 측정을 통해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탁도는 상온에서 탁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028721958-pat00001
즉, 용액의 탁도가 높을수록 파우더의 수분산성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각 견본의 탁도는 3번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결과를 얻었다.
1) 파우더 종류에 따른 수분산성 연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수분산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ORGASOL(nylon powder 613)을 넣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과 파우더가 잘 섞이지 않고 시간이 경과 되어도 일부 파우더가 가라앉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 파우더의 경우 다른 파우더에 비하여 친수성이 매우 약해 물에 분산되는 능력이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의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파우더는 파우더 간의 응집력이 커서 뭉쳐져 있는 덩어리가 생성되고 재분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PMMA-COCO-170 파우더를 함유한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절한 친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들에 비하여 응집력이 크지 않아 뛰어난 재분산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PMMA-COCO-170의 구조에서 보이는 에스테르기가 부분적인 극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파우더 간의 반발력을 증가시켜 응집현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8721958-pat00002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MA-COCO-170이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접촉 면적이 넓어 극성에 의한 반발력이 더욱 커져 분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반 PMMA 파우더에 비하여 다공성 PMMA 파우더는 뛰어난 분산성을 보여주므로 이러한 물리적 구조가 큰 역할을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염 첨가에 따른 파우더의 분산성
상기 실험예 1)에서 우수한 수분산성을 보인 PMMA-COCO-170 파우더를 함유한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염을 첨가하여 염에 따른 분산성을 분석하였다.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황산마그네슘을 각각 0.1, 0.3, 0.5 및 1 wt%로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였으며,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물질 1(wt%) 2(wt%) 3(wt%) 4(wt%)
SD ALCOHOL 40-B 5.0 5.0 5.0 5.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3 0.3 0.3 0.3
글리세린 5.0 5.0 5.0 5.0
시트르산 0.02 0.02 0.02 0.02
시트라산나트륨 0.03 0.03 0.03 0.03
SUNPMMA-COCO-170 1.0 1.0 1.0 1.0
염화나트륨 0.1/0.3/0.5/1 - - -
염화칼륨 - 0.1/0.3/0.5/1 - -
황산마그네슘 - - 0.1/0.3/0.5/1 -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그 결과, 염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그렇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분산성이 확연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이 수상 내에서 이온화되어 극성을 띄는 이온들이 파우더 표면에 흡착되기 때문에 파우더 간의 반발력이 향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염 첨가는 그 함량이 높아질수록 분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0.3 wt% 이상이 되었을 때 확연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0.5 wt% 이상의 함량에서는 모두 뛰어난 분산성을 보여주어 그 이상의 함량이 들어가도 성향이 큰 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황산마그네슘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높은 분산성을 보이며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온 강도를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이온 강도는 하기의 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028721958-pat00003
상기 식에서, Ci는 전해질 용액에 들어있는 이온의 농도, Zi는 Ci의 가수이다. 황산마그네슘의 경우 1가 양이온과 1가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과는 달리 2가 양이온과 2가 음이온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같은 함량을 넣어도 이온 강도가 더 크게 나타나며 파우더 간의 반발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분산성의 향상이 염의 이온화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EDTA 첨가에 따른 분산성
EDTA의 첨가가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2)를 통해 분산성이 확인된 황산마그네슘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Trisodium EDTA를 첨가하여 첨가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였으며, 첨가 함량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물질 A(wt%) B(wt%)
SD ALCOHOL 40-B 5.0 5.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3 0.3
글리세린 5.0 5.0
시트르산 0.02 0.02
시트라산나트륨 0.03 0.03
SUNPMMA-COCO-170 1.0 1.0
황산마그네슘 0.3 0.3
Trisodium EDTA - 0.02
증류수 To. 100 To. 100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산마그네슘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EDTA를 첨가할 시 재분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EDTA는 금속이온을 고정시켜 이들 이온의 작용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EDTA가 마그네슘과의 결합을 통해 양이온의 작용을 억제하였음을 예상할 수 있다. 즉, 음이온에 결합되어 있는 파우더들은 서로 간의 반발력이 더욱 증가되므로 분산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결국 EDTA의 함유는 염의 작용을 더욱 극대화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wt% 내지 5 wt%로 함유하며, 시트르산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 wt%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황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wt% 내지 1 wt%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EDTA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2 wt% 내지 0.04 wt%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1912A 2012-04-19 2019-03-20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02A KR102425292B1 (ko) 2012-04-19 2020-06-12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161 2012-04-19
KR1020120041161 2012-04-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219A Division KR101963408B1 (ko) 2012-04-19 2016-01-15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802A Division KR102425292B1 (ko) 2012-04-19 2020-06-12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54A KR20190033054A (ko) 2019-03-28
KR102124627B1 true KR102124627B1 (ko) 2020-06-18

Family

ID=4963665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476A KR101590670B1 (ko) 2012-04-19 2012-09-05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05219A KR101963408B1 (ko) 2012-04-19 2016-01-15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1912A KR102124627B1 (ko) 2012-04-19 2019-03-20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71802A KR102425292B1 (ko) 2012-04-19 2020-06-12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476A KR101590670B1 (ko) 2012-04-19 2012-09-05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05219A KR101963408B1 (ko) 2012-04-19 2016-01-15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802A KR102425292B1 (ko) 2012-04-19 2020-06-12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590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438B1 (ko) * 2017-01-13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8819A (ko)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은호 연옥 나노에멀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521A1 (ja) * 2005-07-13 2007-01-18 Miyoshi Kasei, Inc. 表面処理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14850A2 (pt) * 2009-04-03 2016-04-12 Shiseido Co Ltd cosmético em pó e método para produção do mesm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521A1 (ja) * 2005-07-13 2007-01-18 Miyoshi Kasei, Inc. 表面処理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97A (ko) 2013-10-29
KR20190033054A (ko) 2019-03-28
KR101963408B1 (ko) 2019-03-29
KR102425292B1 (ko) 2022-07-27
KR101590670B1 (ko) 2016-02-01
KR20200073185A (ko) 2020-06-23
KR20160012236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4232B (zh) 微粒无机粉体水系分散体和混配了该水系分散体的化妆料
KR102124627B1 (ko)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89701B1 (ko) 재분산형 분말 분산 화장료
JP5030243B2 (ja) 外用剤組成物
DE102011001613A1 (de) Basiszusammensetzung für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JP6284303B2 (ja) O/w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JP6049162B2 (ja) 皮膚の重金属汚染防止のための皮膚外用剤
JP4859645B2 (ja) 化粧料用の粉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3352381B2 (ja) 美白パウダー
JP2008137944A5 (ko)
Karsheva et al. The choice of the thickener-a way to improve the cosmetics sensory properties
JP2012206991A (ja) 皮膚外用剤
JP2018083765A (ja) 不飽和脂肪酸吸着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6611675B2 (ja) 皮膚用化粧料
JP2016121140A (ja) ジェル状化粧料
JP2011173862A (ja) 皮膚洗浄料組成物
TW201138838A (en) Two-layer type powder cosmetic preparation
KR20170012564A (ko) 색조 화장료의 국소 도포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WO2012043680A1 (ja) 水系皮膚外用剤
JP2013006808A (ja) 粉末化粧料
JP6661972B2 (ja) 疎水性有機表面処理された微粒子無機粉体を配合した固体状組成物
KR102643174B1 (ko)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JP2016175878A (ja) 皮膚洗浄剤
JP6082178B2 (ja) 化粧直し用の粉末化粧料
Kim et al. A research on powder dispersion ability using several content, variety of powder and additive in aqueou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