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174B1 -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174B1
KR102643174B1 KR1020210129997A KR20210129997A KR102643174B1 KR 102643174 B1 KR102643174 B1 KR 102643174B1 KR 1020210129997 A KR1020210129997 A KR 1020210129997A KR 20210129997 A KR20210129997 A KR 20210129997A KR 102643174 B1 KR102643174 B1 KR 10264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transparent water
polyglyceryl
weight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695A (ko
Inventor
임성원
김수인
홍인석
주영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1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적정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매트한 사용감을 개선하고, 피지 조절, 모공 수축 효과 및 모공 노폐물 세정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transparent water soluble comprising potassium alum and polyglyceryl surfactant}
본 발명은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피부를 청결하고 건강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용성 물질, 지용성 물질, 분산제 등이 혼합되어 제조된다. 종래에는 매트한 사용감을 내기 위해 셀룰로오스 다공성 실리카 등 물에 녹지 않고 분산형태의 매트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는 분산제를 주로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분산제는 투명도가 탁하며, 현탁이 된 불투명한 제형으로 구현되어 투명한 타입의 수용성 제형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셀룰로오스 다공성 실리카 등의 기존의 분산제는 피지를 흡착하여 매트한 사용감은 나타낼 수 있으나, 피지 조절, 모공 노폐물 세정 및 모공 수축의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였다.
한편, 명반 (Alum)은 백반이라고도 하며 MIAl(SO2)2*12H2O 또는 MI2SO4Al2(SO4)3*24H2O의 일반식을 갖는다. MI은 1가의 금속을 말한다. 함유되어 있는 1가의 금속이온이 무엇인지에 따라 칼륨백반 또는 포타슘 알룸(KAl(SO4)212H2O),암모늄백반((NH4)Al(SO4)2·12H2O) 등으로 부른다. 포타슘알룸 또는 포타슘알루미늄설페이트는 칼루나이트 (암석 형태)와 칼리나이트 (섬유 형태)로 알려진 천연산 광물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황화물과 칼륨을 함유한 광물의 풍화 및 산화 작용으로 암석에 쌓여 존재하며. 칼륨, 알루미늄 및 설페이트 이온은 식품과 인체에서 널리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포타슘알룸은 천연 미네랄 솔트 (natural mineral salts)로도 표기한다. 명반은 억균 작용, 해독 작용, 방부 작용, 살균 작용 등으로 피부내 균을 억제하며, 땀을 조절하고 피부에 조이는 느낌을 주고, 긴장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 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탈수 축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 한 것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친수부(親水部)가 되는 폴리글리세릴의 출발원료가 글리세린으로 식품만이 아닌 화장품이나 의약품분야에도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기존의 폴리옥시에틸렌계(PEG)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유화 및 가용화에 활용 가능하며, 저자극 피부에 사용이 적합하며 화장품 소재 안전에 대한 요구에 유용한 계면 활성제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여, 기존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의 단점을 보완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적정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구현하여,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포타슘 알룸 (Potassium Alum)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타슘 알룸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6.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10.0 중량%, 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6.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0.5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카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1 내지 20:1, 예를 들어, 3:1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 컨디셔닝제, 보존제, 보습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소듐파이테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시트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5 내지 0.1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디셔닝제는 알란토인, 카페인, 베타인, 트레할로오스, 아세틸글루코사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프룩토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디셔닝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0.001 내지 0.8 중량%, 0.001 내지 0.6 중량%, 0.001 내지 0.4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0.8 중량%, 0.1 내지 0.6 중량%, 0.1 내지 0.4 중량%, 예를 들어, 0.2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존제는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존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8 중량%, 0.01 내지 2.6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8 중량%, 0.1 내지 2.6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8 중량%, 1.0 내지 2.6 중량%,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8 중량%, 1.5 내지 2.6 중량%, 2.0 내지 3.0 중량%, 2.0 내지 2.8 중량%, 2.0 내지 2.6 중량%, 예를 들어, 2.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및 프로판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0 내지 15.0 중량%, 1.0 내지 12.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3.0 내지 15.0 중량%, 3.0 내지 12.0 중량%, 3.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15.0 중량%, 5.0 내지 12.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8.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적정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매트한 사용감을 개선하고, 피지 조절, 모공 수축 효과 및 모공 노폐물 세정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도포 전/후의 피지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도포 전/후의 피지량의 육안적인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도포 전/후의 모공부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도포 전/후의 모공면적의 변화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모공의 최대 깊이 증감률을 보여주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모공 속 노폐물 세정율을 보여주는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의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 1 비교예 2
1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3 - - 0.3 0.3 0.3 0.3
2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 0.3 - - - - -
3 폴리글리세릴-10카프레이트 - - 0.3 - - - -
4 분산제 포타슘 알룸 0.3 0.3 0.3 2.0 5.0 - -
5 실리카 - - - - - 0.3  -
6 셀룰로오스 - - - - - - 0.3
7 금속이온봉쇄제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8 컨디셔닝제 알란토인 0.1 0.1 0.1 0.1 0.1 0.1 0.1
9 카페인 0.1 0.1 0.1 0.1 0.1 0.1 0.1
10 보존제 1,2-헥산다이올 2.5 2.5 2.5 2.5 2.5 2.5 2.5
11 보습제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4.0
12 메틸프로판다이올 2.0 2.0 2.0 2.0 2.0 2.0 2.0
13 부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2.0 2.0
14 용제 정제수 88.69 88.69 88.69 86.99 83.99 88.69 88.69
총 합 (단위: 중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구체적으로,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각각의 분산제, 보존제 및 정제수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25 내지 50 ℃의 온도에서 아지믹서 (Agi mixer)를 이용하여 25 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그 다음, 25 ℃의 온도에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2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를 제조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제형상 투명한 가용화 토너의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 2는 제형상 불투명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파우더가 가라앉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은 분산제로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여 투명한 형태를 유지하였으나, 비교예 1, 2는 분산제로 실리카 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토너제형에서 투명성 및 분체 유지 안정도가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피지량 비교평가
실시예 1의 도포 전 후의 피지량을 비교하기 위해 피시험자 (평균나이 30.8세) 5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다. 피부 측정을 위해 피시험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세안 후,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6시간 동안 일상생활을 하여 피지 분비를 유도하였다. 그 다음, 항온항습 조건 (온도 20 내지 24 ℃, 습도 40 내지 60 %)의 공간에서 약 1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하여 기기 측정전에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1 사용 전 피부 피지량을 측정한 후, 4 X 4 cm 사각 패치 타입의 시트에 실시예 1을 함침하여 피부에 10분간 올려 둔 후 내용물을 흡수 시킨 후, 곧 바로 피부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피지량 측정은 Sebumeter (CK electronic, Germany), Visia-CR (Canfield Scientific,Inc., USA)으로 하였으며, 실시예 1의 사용 전/후의 피지량을 측정하여 변화율을 산출 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 전 실시예 1 사용 후
피지량 (μg/cm2) 125 29.2
피지량 증감률(%) -76.2
상기 표 2 및 도 2,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을 사용 전 대비 사용 후는 피지량이 약 76.2 % 감소하였다.
실험예 2. 모공 개선 평가
실시예 1의 사용 전/후 모공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 피시험자 (평균나이 45.2세) 20명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를 하였다.
2-1. 모공의 부피 측정
피부 측정을 위해 피시험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 내지 24℃습도 40 내지 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을 얼굴에 도포 후 모공 부피를 측정하고 2주 뒤에 다시 모공 부피를 측정하여 전/후 모공 부피를 비교하였다. 모공 부피 측정은 Antera 3D를 사용하여 얼굴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의 특정 영역을 지정해 모공 부피를 분석하여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공 부피의 단위는 mm3이며, 분석값과 모공 부피 개선정도는 반비례하므로 분석값이 낮을수록 모공 부피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분석 후, 모공부피 증감률(%)을 계산하여 하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 전 실시예 1 사용 후
평균±표준편차(mm3) 0.861±0.481 0.5421±0.323
모공부피 증감률(%) -38.45
상기 표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사용 전보다 사용 후 모공 부피가 약 38.45 %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모공의 면적 측정
피부 측정을 위해 피시험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 내지 24 ℃, 습도 40 내지 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을 얼굴에 도포 후 모공 면적을 측정하고 2주 뒤에 다시 측정하여 실시예 1 사용 전/후 모공 면적을 비교하였다. 모공 면적 측정은 Antera 3D 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사용 직후 얼굴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의 특정 영역을 지정해 모공 면적을 분석하여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공 면적의 단위는 mm2 이며, 분석 값과 모공 면적 개선 정도는 반비례하므로 분석 값이 낮을수록 모공 면적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분석 후, 모공 면적 증감률(%)을 계산하여 하기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 전 실시예 1 사용 후
평균±표준편차(mm3) 0158±0.046 0.143±0.037
모공면적 증감률(%) -8.475
상기 표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사용 전보다 사용 후 모공 면적이 약 89.475 %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모공의 깊이 측정
피부 측정을 위해 피시험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 내지 24 ℃, 습도 40 내지 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을 얼굴에 도포 후 모공 깊이를 측정하고 2주 뒤에 다시 측정하여 실시예 1 사용 전/후 모공 최대 깊이를 비교하였다. 모공 최대 깊이 측정은 Antera 3D 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직후 얼굴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의 특정 영역을 지정해 모공 최대 깊이를 분석하여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공 최대 깊이의 단위는 mm3 이며, 분석 값과 모공 최대 깊이 개선 정도는 반비례하므로 분석 값이 낮을수록 모공 최대 깊이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분석 후, 모공 면적 증감률(%)을 계산하여 하기 표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 전 실시예 1 사용 후
평균±표준편차(mm3) 0.030±0.007 0.026±0.005
최대깊이 증감률(%) -11.523
상기 표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사용 전보다 사용 후 모공 최대 깊이가 약 11.523 %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공 속 노폐물 (더스트 모사체) 세정력 측정
피부 측정을 위해 피시험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 내지 24 ℃, 습도 40 내지 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을 얼굴에 도포 후 모공 깊이를 측정하고 2주 뒤에 다시 측정하여 실시예 1 사용 전/후 모공 속 노폐물 세정력을 측정하였다. 모공 속 노폐물 세정력 측정은 얼굴 코 옆 모공 부위에 더스트 모사체를 도포한 후 모공 속에 끼여있던 더스트 모사체가 실시예 1에 의해 세정되는 정도를 통해 실시예 1의 모공 속 노폐물 세정력 효과를 확인하였다. 모공은 Folliscope 5.0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pro plus로 특정 영역의 Pixel값을 분석하여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공 속 노폐물과 Pixel 분석 값은 비례하므로 분석 값이 낮을수록 시험제품에 의해 모공 속 노폐물이 세정됨을 의미한다. 분석 후, 모공 속 노폐물 세정력을 계산하여 하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 전 실시예 1 사용 후
평균±표준편차(mm3) 229.904±82.150 3.840±4.296
세정율(%) -98.147
상기 표 6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사용 전보다 사용 후 모공 속 더스트 모사체 세정율이 약 98.147 %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포타슘 알룸 (Potassium Alum)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중량비 1:1 내지 3:1로 포함하는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슘 알룸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카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8.0 중량% 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 컨디셔닝제, 보존제, 보습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소듐파이테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시트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5 내지 0.1 중량% 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알란토인, 카페인, 베타인, 트레할로오스, 아세틸글루코사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프룩토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3.0 중량% 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및 프로판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0 내지 15.0 중량%포함된 것인,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9997A 2021-09-30 2021-09-30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4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97A KR102643174B1 (ko) 2021-09-30 2021-09-30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97A KR102643174B1 (ko) 2021-09-30 2021-09-30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95A KR20230046695A (ko) 2023-04-06
KR102643174B1 true KR102643174B1 (ko) 2024-03-05

Family

ID=8591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997A KR102643174B1 (ko) 2021-09-30 2021-09-30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7292A (ja) * 2012-03-28 2013-11-07 Kose Corp (カルボマー/パパイン)クロスポリマー含有組成物
JP2015520735A (ja) 2012-04-27 2015-07-23 エヴォニ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アーゲー アルミニウム塩と組み合わせたカプリル酸エタノールアミドおよび/またはカプリン酸エタノールアミドを含む製剤ならびにその使用
KR102104214B1 (ko) 2019-12-24 2020-04-23 오한상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152656A (ja)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マンダム 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7292A (ja) * 2012-03-28 2013-11-07 Kose Corp (カルボマー/パパイン)クロスポリマー含有組成物
JP2015520735A (ja) 2012-04-27 2015-07-23 エヴォニ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アーゲー アルミニウム塩と組み合わせたカプリル酸エタノールアミドおよび/またはカプリン酸エタノールアミドを含む製剤ならびにその使用
JP2020152656A (ja)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マンダム 化粧料組成物
KR102104214B1 (ko) 2019-12-24 2020-04-23 오한상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95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207294C2 (de) Topische Salbengrundlage
US6582709B1 (en)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Dead Sea Mud
DE60218698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hautstraffender wirkung
DE2846085A1 (de) Truebungs- und niederschlagsfreies mundwasser auf basis von natriumricinoleat
KR101295724B1 (ko)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90B1 (ko) 투명 성상을 가지는 수중유형 실리콘 유화 보습 화장료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보습화장품
KR102643174B1 (ko) 포타슘 알룸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74348B1 (ko) 세포 성장촉진 및 피부보습 개선기능을 가진 덕구온천수와 올리고키토산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EP1593371B1 (en) Acid buffered skin or hair care composition
KR102560840B1 (ko)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JPH09291013A (ja) 皮膚化粧料
KR102308743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물을 포함하는 라멜라 액정형 화장료 조성물
EP3721945B1 (de) Kosmetische reinigungszubereitung
EP30753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DE2347787A1 (de) Zahnpasta
EP2821051B1 (de) Remineralisierende Mund- und Zahnpflege- und Reinigungsmittel mit Zahnfleischstimulation
KR102663997B1 (ko) 레시틴을 포함하는 복합 계면활성제 조성물
KR101270926B1 (ko) 비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DE102010006612A1 (de) Stabilisierte Zubereitungen auf Basis einer Wasser in Silikon - oder Silikon in Wasser-Emulsion umfassend Butylenglykole
DE102010022062A1 (de) Kosmetisches Körperreinigungsmittel mit nicht spürbarem Fehlen von alkoxylierten Tensiden
KR20240055382A (ko) 황토를 포함하는 약산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E102014222570A1 (de) Duschlotionen I
Sahlan et al. Formulation of microemulsion propolis fluoride (PF) as varnish topical agent to stop activity of teeth caries
KR102190530B1 (ko)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