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039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039B1
KR102124039B1 KR1020180033636A KR20180033636A KR102124039B1 KR 102124039 B1 KR102124039 B1 KR 102124039B1 KR 1020180033636 A KR1020180033636 A KR 1020180033636A KR 20180033636 A KR20180033636 A KR 20180033636A KR 102124039 B1 KR102124039 B1 KR 10212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demolding
moving
cor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478A (ko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선진정공 주식회사
동진피씨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공 주식회사, 동진피씨이(주) filed Critical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코어 스틸 폼의 탈형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탈형 방법은 탈형 장치를 준비하는 탈형 장치 준비 단계(S10)와, 상기 탈형 장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배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와, 상기 탈형 장치의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 이동 단계(S30)와,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 이동 단계(S4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판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가압판 이동 단계(S50)와, 상기 가압판을 계속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가압 탈형 단계(S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METHOD FOR SEPARATING CORE STEEL FORM FROM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탈형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코어 스틸 폼의 탈형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려면 원하는 형상으로 거푸집을 형성한 후, 이에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거푸집을 탈형하게 되는데, 이때 거푸집을 탈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작업자들이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하나씩 떼어내는 탈형방법이 있으나, 이는 동일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블럭 시공에는 적합한 방법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즉, 대규모 공사현장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을 동일한 구조로 하여 여러 개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거푸집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해체시키지 않고,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수직으로 당겨가며 동시에 탈형시킨 후, 다음 콘크리트 블록 시공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면에 설치된 거푸집은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 손쉽게 탈형시킬 수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거푸집인 코어 스틸 폼은 중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해머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탈형시킴으로써, 탈형 작업 중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고 탈형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면서 탈형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864593호 "거푸집 탈형 및 이동 장치"(2008.10.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코어 스틸 폼의 탈형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은, 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프레임과, 상기 지면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우이동부와, 상기 좌우이동부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 장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탈형 장치를 준비하는 탈형 장치 준비 단계와;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와; 상기 지면프레임을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 이동 단계와;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 이동 단계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으로 상기 가압판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판 이동 단계와; 상기 가압판을 계속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가압 탈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는,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 대신에, 미리 배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둘레로 상기 탈형 장치를 설치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의 상기 가압 탈형 단계는,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는 중에 상기 가압판을 진동시켜 상기 코어 스틸 폼을 진동시키는 가압판 진동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의 상기 가압판 진동 과정에서, 상기 가압판의 진동은 상기 가압판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시키는 구조물 이격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기 탈형 장치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고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극소화되어 불량 발생이 원활히 방지되고, 코어 스틸 폼의 탈형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극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방법에 사용되는 코어 탈형 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프레임(10)과, 상기 지면프레임(10)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전후이동부(20)와, 상기 전후이동부(20)의 상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40)과, 상기 수평프레임(4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우이동부(50)와, 상기 좌우이동부(50)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0)와, 상기 유압실린더(6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압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지면프레임(10)은 콘크리트 구조물(A)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길게 지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수평으로 레일(11)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후이동부(20)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A)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11)은 상기 전후이동부(20)가 타고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여기서, 콘크리트 구조물(A)은 예를 들어 그릴빔을 도시하였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의 상하 관통공에 설치되는 코어 스틸 폼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은 크레인 등에 의해 상기 지면프레임(10)의 사이로 이송되어 배치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면프레임(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면프레임(10)은 상기 전후이동부(20)에 대응하여 상기 지면프레임(10)의 양단 상면에 각각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톱퍼(12)와, 상기 한 쌍의 지면프레임(10)의 내측 사이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콘크리트 구조물(A)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12)는 상기 전후이동부(20)가 상기 레일(11)의 양단을 벗어나서 상기 지면프레임(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3)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의 전면과 후면을 고정하여 상기 유입실린더에 의한 가압시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A)을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시켜 하부로 코어 스틸 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후이동부(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올려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상기 레일(1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전후이동부(20)는 상기 각각의 레일(11)의 상면에 올려지고 상기 레일(1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 바퀴(21)와, 상기 제1 바퀴(21)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장착판(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장착판(22)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면에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이 장착되는 상면판(23)과, 상기 측면장착판(2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판(24)과, 상기 레일(11)에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고정판(24)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퀴(21)는 그 양단이 상기 측면장착판(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레일(11)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면장착판(22)은 상기 제1 바퀴(2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상면판(23)은 상기 측면장착판(22)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판(24)은 상기 측면장착판(22)의 전면과 배면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걸림턱(25)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25)은 상기 레일(11)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부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레일(11)에 걸리어 상기 전후이동부(20)의 상승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동부(20)의 상면 중앙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프레임(40)이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전후이동부(20)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면 사이에 대칭되게 부착되는 보강리브(31)와, 상기 보강리브(31)의 상단과 수직프레임(30)의 전후면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발판(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31)는 상기 상면판(23)에 대한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설치 상태를 보강하여 그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발판(32)은 사용자가 밝고 콘크리트 구조물(A)의 상면으로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이동판(4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이동부(50)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판(41)은 상기 좌우이동부(5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동부(50)는 상기 이동판(41)의 상면에 올려지는 것으로, 상기 이동판(4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유압실린더(60)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좌우이동부(50)는 상기 각각의 이동판(41)의 상면에 올려지고 상기 이동판(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2 바퀴(51)와, 상기 이동판(41)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퀴(51)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바퀴(5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외측장착판(52)과, 상기 한 쌍의 외측장착판(52)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고 하면에 상기 유압실린더(60)의 상단이 장착되는 하단판(53)과, 상기 외측장착판(52)의 상단 외측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대(54)와, 상기 지지대(54)의 상단에 하면에 부착되는 상단판(55)과, 상기 상단판(55)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연결되는 유압펌프(5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바퀴(51)는 그 외측단이 상기 외측장착판(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판(41)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외측장착판(52)은 상기 제2 바퀴(5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하단판(53)은 상기 한 쌍의 외측장착판(52)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시키면서 상기 유압실린더(6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수평프레임(40)의 하면에 근접되어 상기 유압실린더(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54)는 상기 하단판(53)의 상부로 상기 상단판(55)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상단판(5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판(55)은 상기 유압펌프(56)를 포함하는 상기 유압실린더(60)를 위한 제반 기기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펌프(56)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유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유압실린더(60)를 구동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유압실린더(60)는 상기 좌우이동부(50)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해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판(70)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판(70)에 하부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판(70)은 상기 로드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위치한 코어 스틸 폼을 하부 방향으로 눌러서 탈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9와 상기한 설명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은 탈형 장치를 준비하는 탈형 장치 준비 단계(S10)와, 상기 탈형 장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배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와, 상기 탈형 장치의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 이동 단계(S30)와,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 이동 단계(S4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판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가압판 이동 단계(S50)와, 상기 가압판을 계속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가압 탈형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탈형 장치 준비 단계(S10)는 상기 탈형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로써, 상기 탈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프레임(10)과, 상기 지면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전후이동부(20)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40)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우이동부(50)와, 상기 좌우이동부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 장착되는 가압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미리 설치된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탈형 작업을 수행할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옮겨서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 대신에, 미리 배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둘레로 상기 탈형 장치를 설치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탈형 장치가 미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기 탈형 장치로 옮겨서 배치하거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는 곳에 상기 탈형 장치를 이송하여 설치하는 두 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대적으로 큰 건축용 대형 구조물로써, 이들이 제작된 현장에 상기 탈형 장치를 옮겨서 배치하는 것이 탈형 작업에 보다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시키는 구조물 이격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 이격 과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에서 이격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서 탈형되는 코어 스틸 폼이 하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기 탈형 장치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고정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 고정 과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견고히 고정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와 가압판에 의한 코어 스틸 폼의 가압 중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흔들림이나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구조물 이격 과정과 구조물 고정 과정은 함께 수행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함께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방향 이동 단계(S30)는 상기 지면프레임을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좌우방향 이동 단계(S40)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 이동 단계(S30)와 좌우방향 이동 단계(S40)를 통해 상기 가압판은 평면상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판 이동 단계(S50)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으로 상기 가압판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가압판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탈형할 코어 스틸 폼에 근접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 탈형 단계(S60)는 상기 가압판을 계속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코어 스틸 폼을 상기 가압판으로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가압 탈형 단계(S60)는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는 중에 상기 가압판을 진동시켜 상기 코어 스틸 폼을 진동시키는 가압판 진동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 진동 과정은 상기 가압판에 설치된 진동기를 통해 상기 코어 스틸 폼을 진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극소화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기 코어 스틸 폼의 분리 및 탈리가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압판 진동 과정에서 상기 가압판의 진동은 상기 가압판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후에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설정 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진동되어 가압력의 전달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면서 설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진동되기 전에 상기 코어 스틸 폼이 미리 분리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진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지면프레임
11 : 레일 12 : 스톱퍼
13 : 받침프레임
20 : 전후이동부
21 : 제1 바퀴 22 : 측면장착판
23 : 상면판 24 : 고정판
25 : 걸림턱
30 : 수직프레임
31 : 보강리브 32 : 발판
40 : 수평프레임
41 : 이동판
50 : 좌우이동부
51 : 제2 바퀴 52 : 외측장착판
53 : 하단판 54 : 지지대
55 : 상단판 56 : 유압펌프
60 : 유압실린더
70 : 가압판
A :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프레임과, 상기 지면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좌우이동부와, 상기 좌우이동부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 장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탈형 장치를 준비하는 탈형 장치 준비 단계(S10)와;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와;
    상기 지면프레임을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향 이동 단계(S30)와;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스틸 폼을 제거할 위치로 상기 가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 이동 단계(S4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으로 상기 가압판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판 이동 단계(S50)와;
    상기 가압판을 계속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여 탈형시키는 가압 탈형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상기 탈형 장치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고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탈형 장치의 내측으로 상기 지면프레임의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 대신에, 미리 배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둘레로 상기 탈형 장치를 설치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탈형 단계(S60)는,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코어 스틸 폼을 가압하는 중에 상기 가압판을 진동시켜 상기 코어 스틸 폼을 진동시키는 가압판 진동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 진동 과정에서, 상기 가압판의 진동은 상기 가압판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배치 단계(S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탈형 장치를 배치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시키는 구조물 이격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6. 삭제
KR1020180033636A 2018-03-23 2018-03-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KR10212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636A KR102124039B1 (ko) 2018-03-23 2018-03-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636A KR102124039B1 (ko) 2018-03-23 2018-03-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478A KR20190111478A (ko) 2019-10-02
KR102124039B1 true KR102124039B1 (ko) 2020-06-17

Family

ID=6842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636A KR102124039B1 (ko) 2018-03-23 2018-03-23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917A (ja) * 1998-09-11 2000-03-28 Hitachi Zosen Corp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脱型装置
JP2000117722A (ja) 1998-10-16 2000-04-25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成形品型抜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93B1 (ko) 2008-07-09 2008-10-22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거푸집 탈형 및 이동 장치
KR101472111B1 (ko) * 2013-05-24 2015-01-05 주식회사 협동정밀 금형의 핀 제거장치
KR200483472Y1 (ko) * 2015-12-28 2017-05-18 주식회사 비티에스엘이디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917A (ja) * 1998-09-11 2000-03-28 Hitachi Zosen Corp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脱型装置
JP2000117722A (ja) 1998-10-16 2000-04-25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成形品型抜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478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2000167647A (ja) 生型用自動振動造型機
KR102124031B1 (ko)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JP6966853B2 (ja) 傾斜面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移動式型枠装置
KR1021240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탈형 방법
KR101682211B1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US7309226B2 (en) Moulding equipment with cores for concrete casting machines
CN210850741U (zh) 一种预制飘窗生产模具
CN209837083U (zh) 混凝土基础预留孔模具
KR101642881B1 (ko) 콘크리트 양생 중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CN214834824U (zh) 一种大型模块化模板退模结构
CN111391112B (zh) 内有交叉孔的预制钢筋砼空心模板的生产方法
CN110883920B (zh) 一种预制t梁自行式液压模板装置及模板系统
KR101912367B1 (ko) 저소음 거푸집 조립체와 이의 시공 및 해체 방법
CN107142961B (zh) 混凝土浇筑整体移动模架
JP4476403B2 (ja) 中空PCa部材製造用型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製造方法
CN220953004U (zh) 一种桥梁模板分离机构
EP2527119B1 (en) Method for disengaging the fastening magnet of a dismountable sidewall element by a side robot, and a system with a side robot and a detachable sidewall unit
CN214353114U (zh) 一种建筑施工用预制模板
CN115366233B (zh) 一种预制楼梯生成模具及其方法
CN218255766U (zh) 一种承重桥梁混凝土预制件成型模具
CN210086768U (zh) 可移动的台模
CN216372729U (zh) 用于管状砼结构的施工装置
CN217046827U (zh) 一种混凝土构件自动振捣台
CN208749094U (zh) 一种二次结构窗台挑檐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