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02B1 - 선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02B1
KR102123402B1 KR1020190164576A KR20190164576A KR102123402B1 KR 102123402 B1 KR102123402 B1 KR 102123402B1 KR 1020190164576 A KR1020190164576 A KR 1020190164576A KR 20190164576 A KR20190164576 A KR 20190164576A KR 102123402 B1 KR102123402 B1 KR 10212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guide hole
guide hole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효동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효동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9016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2Feed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various diameters of wire or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직경의 선재가 포머장치의 절단유닛이나 단위 가공유닛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해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부,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제2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들의 제2가이드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제1가이드홀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홀에 선재를 선택적으로 인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 가이드 장치{STEEL WIRE GUIDE DEVICE}
본 발명은 선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너트 등의 부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선재를 포머장치의 절단유닛이나 단위 가공유닛 측으로 가이드 해줄 수 있는 선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설비, 기계 구조물 등의 체결부품으로 폭 넓게 사용하고 있는 볼트나 너트는 대부분 포머장치를 통해 성형한다.
포머장치는 크게 볼트나 너트의 재료가 되는 선재가 권취되어, 선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선재 권선유닛, 선재를 일정한 피치로 공급하는 선재 공급유닛,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된 리볼브유닛, 리볼브유닛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이송되는 선재를 점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유닛, 컷팅유닛에 의해 컷팅된 선재를 각종 성형금형유닛들로 순차 이송시키는 집게 파지 타입의 트래스포머, 성형금형유닛들의 전방에서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의 내부에 마련된 성형공간으로 인입시키는 펀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재는 펀치유닛에 의해 타격 시 성형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인입되면서 성형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후에, 포머장치의 인출유닛이 작동하여 성형공간에 꽉 끼워진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유닛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제조하고자 하는 볼트나 너트의 사이즈에 따라 선재의 직경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리볼브유닛에는 직경별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된다.
또한, 포머장치는 이동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와 선재 권선유닛에서 공급되는 선재를 수평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리볼브유닛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리볼브유닛의 이동가이드홀의 직경은 정형화 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직경과 이동가이드홀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 선재의 직경과 동일한 이동가이드홀을 갖는 다른 리볼브유닛으로 교체해야 했으므로,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26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직경의 선재가 포머장치의 절단유닛이나 단위 가공유닛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해줄 수 있는 선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부,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제2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홀들 또는 가이드부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상기 소켓부를 회전시키는 위치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환부는, 상기 소켓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제1가이드홀들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인입된 가이드부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들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들의 제2가이드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의 제1가이드홀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홀에 선재를 선택적으로 인입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들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소켓부의 내면과 가이드부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수용되는 회전방지키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부,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제2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부들의 제2가이드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소켓부의 제1가이드홀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홀에 선재를 선택적으로 인입하여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선재를 모두 가이드 할 수 있어 폭 넓은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에 적용된 소켓부와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에 적용된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에 적용된 소켓부와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에 적용된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선재를 절단, 가공 등을 하여 볼트, 너트, 기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생산하는 포머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포머 장치를 구성하는 절단부(미도시)나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단위 가공부(미도시) 등으로 선재를 공급함에 있어, 선재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아니하고 직진방향으로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직경의 선재를 취급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1)는, 소켓부(10), 가이드부(20A,20B,20C)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켓부(10)는 선재를 절단부 측으로 가이드 하거나 또는 가이드부(20A,20B,20C)들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소켓부(1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재는 코일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소켓부(10)로 공급되는 바, 소켓부(10)는 2개 이상이 클램프(C)를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켓부(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홀(10a,10b,10c)이 서로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가이드홀(10a,10b,10c)은 소켓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홀(10a,10b,10c)의 일단은 선재 또는 가이드부(20A,20B,20C)들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되고, 타단은 선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된다.
즉, 선재는 제1가이드홀(10a,10b,10c)을 통과하여 절단부로 공급되고, 가이드부(20A,20B,20C)들은 제1가이드홀(10a,10b,10c)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가이드홀(10a,10b,10c)은 소켓부(10)의 센터를 기준으로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제1가이드홀(10a,10b,10c)은 3개, 4개 등 다양하게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3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1가이드홀(10a,10b,10c)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홀(10a,10b,10c)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선재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전술한 포머장치의 절단부, 각종 단위 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을 다양한 사이즈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포머장치는 예를 들어, 선재를 볼트로 가공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선재는 포머장치(미도시)의 트랜스포머에 의해 제1가이드홀(10a,10b,10c) 또는 가이드부(20A,20B,20C)의 제2가이드홀(21)을 거쳐 절단부에 공급된다.
트랜스포머는 선재를 파지하는 다수개의 집게, 선재가 제1가이드홀(10a,10b,10c) 또는 제2가이드홀(21)을 통과하여 절단부에 공급되도록 집게를 절단부 측으로 반복되게 이송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가공부는 절단된 선재의 일부분을 볼트의 헤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 유닛, 선재의 다른 부분을 볼트의 몸체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 유닛, 몸체의 외주연에 나선을 형성하는 가공 유닛 등으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는 포머장치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이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소켓부(10)는 위치변환부(30)에 의해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위치변환부(30)는 소켓부(10)의 제1가이드홀(10a,10b,10c)들 또는 가이드부(20A,20B,20C)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소켓부(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소켓부(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31), 피동기어(3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 소켓부(10)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동기어(32)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선재의 직경에 따라 구동모터(33)를 작동시켜 제1가이드홀(10a,10b,10c)과 선재의 위치를 수평선상으로 위치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선재의 직경이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제1가이드홀(10c)과 일치할 경우, 트랜스포머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가장 작은 직경의 제1가이드홀(10c)의 위치를 변경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재의 직경에 맞게 다른 제1가이드홀(10a,10b,10c)들의 위치도 변경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가이드부(20A,20B,20C)는 가공하고자 하는 선재의 직경이 모든 제1가이드홀(10a,10b,10c)들의 직경과 상이할 경우 적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0A,20B,20C)는 일정한 길이(소켓부(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재를 절단부나 단위 가공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2가이드홀(21)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20A,20B,20C)는 복수개로 적용되는데, 제1가이드홀(10a,10b,10c)과 대응되는 개수 또는 제1가이드홀(10a,10b,10c)보다 많은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0A,20B,20C)들은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10a,10b,10c)과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0A,20B,20C)들은 제1가이드홀(10a,10b,10c)에 각각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A,20B,20C)들은 제1가이드홀(10a,10b,10c)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직경의 제1가이드홀(10a)에 적용되는 가이드부(A)의 제2가이드홀(21)과 중간 직경의 제1가이드홀(10b)에 적용되는 가이드부(20B)의 제2가이드홀(21) 및 가장 작은 직경의 제1가이드홀(10c)에 적용되는 가이드부(20C)의 제2가이드홀(21)의 직경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나아가, 가이드부가 제1가이드홀(10a,10b,10c)보다 많은 개수로 적용될 경우, 가장 큰 직경의 제1가이드홀(10a)과 중간 직경의 제1가이드홀(10b) 및 가장 작은 직경의 제1가이드홀(10c)에 각각 2개 이상의 가이드부가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이때 가장 큰 직경의 제1가이드홀(10a)에 적용되는 가이드부(20A)들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지만 그 제2가이드홀(21)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중간 직경의 제1가이드홀(10b)에 적용되는 가이드부(20B)들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지만 그 제2가이드홀(21)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가장 작은 직경의 제1가이드홀(10c)에 적용되는 가이드부(20C)들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지만 그 제2가이드홀(21)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홀(10a,10b,10c)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아니하며, 가이드부(20A,20B,20C)들 중 어느 하나의 제2가이드홀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선재를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가이드부를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10a,10b,10c)에 인입한 후, 위치변환부(30)를 통해 해당 가이드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선재와 해당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홀(21)을 수평선상에 위치시킨 다음, 트랜스포머를 작동 시켜 선재가 제2가이드홀(21)을 통해 절단부나 단위 가공부로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즉, 종래에는 소켓부(10)의 제1가이드홀(10a,10b,10c)들과 선재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 선재의 가공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해당 선재의 직경과 동일한 제1가이드홀을 갖는 다른 소켓부(10)로 교체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 장치(1)는 선재와 제1가이드홀(10a,10b,10c)의 직경이 상이할 경우, 해당 선재와 대응되는 제2가이드홀(21)을 갖는 가이드부를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10a,10b,10c)에 인입하여 선재를 가공하면 됨으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가공하는 선재들의 직경에 맞는 가이드부(20A,20B,20C)를 제1가이드홀(10a,10b,10c)들에 각각 인입한 다음, 전술한 위치변환부(30)로 가이드부(20A,20B,20C)들의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먼저 31Ψ를 갖는 선재를 가공한 다음, 33Ψ를 갖는 다른 선재를 가공한 후, 37Ψ를 갖는 다른 선재를 가공하고자 할 경우, 제1가이드홀(10a,10b,10c)들에 각각 31Ψ의 제2가이드홀(21)을 갖는 가이드부(20A,20B,20C)와 33Ψ를 갖는 제2가이드홀(21)을 갖는 가이드부(20A,20B,20C) 및 37Ψ의 제2가이드홀(21)을 갖는 가이드부(20A,20B,20C)를 인입한 다음, 선재들의 직경에 맞게 위치변환부(30)를 조작하여 가이드부(20A,20B,20C)의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선재들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가이드 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소켓부(10)의 내면과 가이드부(20A,20B,20C)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홈(10d)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홈(10d)에 수용되는 회전방지키(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소켓부(10)의 제1가이드홀(10a,10b,10c) 상에 회전방지홈(10d)이 형성되고 가이드부(20A,20B,20C)의 외면에 회전방지키(22)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회전방지홈(10d)과 회전방지키(22)로 인해 가이드부(20A,20B,20C)로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할 때, 가이드부(20A,20B,20C)가 소켓부(1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선재 가이드 장치 10 : 소켓부
10a,10b,10c : 제1가이드홀 10d : 회전방지홈
20A,20B,20C : 가이드부 21 : 제2가이드홀
22 : 회전방지키 30 : 위치변환부
31 : 피동기어 32 : 구동기어
33 : 구동모터

Claims (4)

  1.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부,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제2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홀들 또는 가이드부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상기 소켓부를 회전시키는 위치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환부는,
    상기 소켓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제1가이드홀들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각각 인입된 가이드부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들의 제2가이드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제1가이드홀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홀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홀에 선재를 선택적으로 인입할 수 있는 선재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들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선재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의 내면과 가이드부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수용되는 회전방지키가 형성된 선재 가이드 장치.
KR1020190164576A 2019-12-11 2019-12-11 선재 가이드 장치 KR10212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76A KR102123402B1 (ko) 2019-12-11 2019-12-11 선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76A KR102123402B1 (ko) 2019-12-11 2019-12-11 선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402B1 true KR102123402B1 (ko) 2020-06-16

Family

ID=7114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76A KR102123402B1 (ko) 2019-12-11 2019-12-11 선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4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864A (ja) * 1997-10-06 1999-04-20 Amada Co Ltd フィラーワイヤ供給装置
KR101962685B1 (ko)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KR201900817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864A (ja) * 1997-10-06 1999-04-20 Amada Co Ltd フィラーワイヤ供給装置
KR201900817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KR101962685B1 (ko)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5130B2 (ja) パイプの曲げ装置およびパイプ曲げ方法
CN107756039B (zh) 一种制造四通换向阀d接管的生产线及方法
EP2878424B1 (de) Blasformmaschine mit Blasformwechselroboter mit zusätzlicher Behandlungsfunktion
EP2878425B1 (de) Blasformmaschine mit Wechselroboter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CN104319595B (zh) 一种四线三头全自动端子压着机
CN202155887U (zh) 一种智能化的机器人抓手夹具
NO157446B (no) Arbeidsstykke- manipulator.
JP3861092B2 (ja) 切断機構付曲げ加工装置
CN104016126B (zh) 圆柱圆盘类工件送料机械手
JP2021066007A (ja) 多辺形断面を有する金属金型の表面切削装置
CN210779853U (zh) 一种裁剪扭线一体机
CN207387055U (zh) 一种集气管加工设备
KR102123402B1 (ko) 선재 가이드 장치
CN106159637B (zh) 一种螺纹连接圆形电连接器电动扳手
CN203863355U (zh) 一种钻攻两用装置
KR102346475B1 (ko) 캠 자동 조절장치
CN205466288U (zh) 抓取工件的机械手结构
CN104117559A (zh) 弯管成型机
JP2009060745A (ja) ハーネス保護チューブ装着機及びハーネス保護チューブ装着方法
CN101850379B (zh) 一种电动螺旋叶片拉伸机组
CN112718978B (zh) 一种管件旋转夹持器及机器人弯管工作站
KR102079678B1 (ko) 인출장치
JPH04240085A (ja) ロボットハンド
DK178378B1 (da) Udstyr til installering af et opspoleligt koblingselement i rullerørledning
US2285690A (en) Wire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